六一. 淸神湯
治驚癎 心虛血熱.
犀角 鎊屑 遠志 薑汁焙 白鮮皮 石菖蒲 人蔘 甘草 等分
上爲末. 每服五七分 麥門冬煎湯調服.
61. 청신탕(淸神湯)
경간(驚癎) 심허(心虛) 혈열(血熱)을 치료(治)하느니라.
서각(犀角)(방(鎊)한 설(屑)) 원지(遠志)(강즙(薑汁)과 배(焙)) 백선피(白鮮皮) 석창포(石菖蒲) 인삼(人蔘) 감초(甘草) 등분(等分)
가루 내고 매 5~7분(分)을 복용하니 맥문동(麥門冬)을 달인 탕(湯)에 조(調)하여 복용하느니라.
六二. [錢氏]酸棗仁湯
治心肺虛熱 煩躁驚啼 痘疹血熱血燥等證.
棗仁 炙甘草 人蔘 生地 麥冬 當歸身 梔子仁 等分
上加燈心 水一盞 煎六分. 溫服.
62. [전씨]산조인탕([錢氏]酸棗仁湯)
심폐(心肺)의 허열(虛熱)로 번조(煩躁) 경제(驚啼)하고 두진(痘疹)의 혈열(血熱) 혈조(血燥) 등의 증(證)을 치료(治)하느니라.
조인(棗仁) 자감초(炙甘草) 인삼(人蔘) 생지(生地) 맥동(麥冬) 당귀신(當歸身) 치자인(梔子仁) 등분(等分)
등심(燈心)을 가하고 물 1잔(盞)으로 달여 6분(分)이 되면 온복(溫服)하느니라.
六三. 黑附子湯
治慢脾風四肢厥冷.
附子(炒 去皮) 三錢 木香 人蔘 各一錢半 白附子 一錢 炙甘草 五分
上爲散. 每服三錢 薑五片 水煎. 若手足卽溫 卽止後服.
63. 흑부자탕(黑附子湯)
만비풍(慢脾風)에서 사지(四肢)가 궐냉(厥冷)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부자(附子)(초(炒)하고 피(皮)를 거(去)) 3전(錢) 인삼(人蔘) 목향(木香) 각 1전반(錢半) 백부자(白附子) 1전(錢) 자감초(炙甘草) 5분(分)
산(散)으로 만들고 매 3전(錢)을 복용하니, 강(薑) 5편(片)을 넣고 물로 달이느니라. 만약 수족(手足)이 바로 온(溫)하면 후(後)의 복용을 바로 지(止)하느니라.
六四. 鉤藤散
治吐利 脾胃氣虛 慢驚生風.
釣藤鉤 人蔘 天麻 蝎尾(去毒) 防風 蟬殼 各半兩 麻黃 殭蠶(炒) 炙甘草 川芎 各二錢半 麝香 五分
上㕮咀. 每服二三錢 水煎服. 虛寒加附子一錢.
薛按: 慢驚之證屬脾胃虧損所致 前方乃辛溫散表之藥而無調補之功 須審用之.
64. 구등산(鉤藤散)
토리(吐利)로 비위(脾胃)가 기허(氣虛)하여 만경(慢驚) 생풍(生風)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조구등(釣藤鉤) 인삼(人蔘) 천마(天麻) 갈미(蝎尾)(독(毒)을 거(去)) 방풍(防風) 선각(蟬殼) 각 반량(半兩) 마황(麻黃) 강잠(殭蠶)(초(炒)) 자감초(炙甘草) 천궁(川芎) 각 2전반(錢半) 사향(麝香) 5분(分)
썰어서(:㕮咀) 매 2~3전(錢)을 복용하니 물에 달여 복용하느니라. 허한(虛寒)하면 부자(附子) 1전(錢)을 가하느니라.
설안(薛按)에 이르기를 "만경(慢驚)의 증(證)은 비위(脾胃)의 휴손(虧損)의 소치(所致)에 속(屬)한다. 앞의 방(方)은 신온(辛溫)으로 산표(散表)하는 약(藥)이니, 조보(調補)하는 공(功)이 없다. 반드시 이를 살펴서 사용하여야 한다." 하니라.
六五. 鉤藤飮子
治小兒一切驚風潮搐 目視昏迷.
釣藤鉤 防風 獨活 天竺黃 羌活 各三錢 麻黃 升麻 甘草 草龍膽 各二錢 川芎 三錢 蟬蛻 五個(去頭足)
上每服二三錢 薑 棗 水煎服. 薛立齋曰: 按上方若外感風寒 形證俱實者宜用之. 若形氣虛而病氣實者 宜用惺惺散加鉤藤 麻黃 若外邪少而形病俱虛者 宜異功散.
65. 구등음자(鉤藤飮子)
소아(小兒)의 일체(一切) 경풍(驚風)으로 조축(潮搐)하거나 목시(目視)가 혼미(昏迷)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조구등(釣藤鉤) 방풍(防風) 독활(獨活) 천축황(天竺黃) 강활(羌活) 각 3전(錢) 마황(麻黃) 승마(升麻) 감초(甘草) 초용담(草龍膽) 각 2전(錢) 천궁(川芎) 3전(錢) 선태(蟬蛻) 5개(個)(두족(頭足)은 거(去))
매 2~3전(錢)을 복용하니 생강(生薑) 대조(大棗)를 넣고 물에 달여 복용하느니라.
설입재(薛立齋)가 이르기를 "생각하건대 이 방(方)은 풍한(風寒)의 외감(外感)으로 형증(形證)이 모두 실(實)한 경우 마땅히 사용한다. 만약 형기(形氣)가 허(虛)하면서 병기(病氣)가 실(實)하면 마땅히 성성산(惺惺散)에 조구등(釣鉤藤) 마황(麻黃)을 가한 것을 사용하고 외사(外邪)이 소(少)하고 형(形) 병(病)이 모두 허(虛)하면 마땅히 이공산(異功散)을 사용한다." 하니라.
六六. [錢氏]鉤藤飮
治小兒臟寒夜啼 陰極發躁.
釣藤鉤 茯神 茯苓 當歸 川芎 木香 各一錢 甘草 五分
上每服二錢 薑 棗 水煎服. [撮要]方有芍藥一錢. 若心經有熱 臉紅便赤 去木香 加硃砂末一錢 木通湯下.
66. [전씨]구등음([錢氏]鉤藤飮)
소아(小兒)의 장한(臟寒) 야제(夜啼) 음극(陰極) 발조(發躁)를 치료(治)하느니라.
조구등(釣藤鉤) 복신(茯神) 복령(茯苓) 당귀(當歸) 천궁(川芎) 목향(木香) 각 1전(錢) 감초(甘草) 5분(分)
매 2전(錢)을 복용하니 생강(生薑) 대조(大棗)를 넣고 물에 달여 복용하느니라.
보영촬요([保嬰撮要])의 방(方)에는 작약(芍藥) 1전(錢)이 있느니라. 만약 심경(心經)에 유열(有熱)하여 면홍(面紅) 변적(便赤)하면 목향(木香)을 거(去)하고 주사(硃砂) 가루 1전(錢)을 가하여 목통(木通)의 탕(湯)으로 하(下)하느니라.
六七. [薛氏]抑肝散
治肝經虛熱發搐 或發熱咬牙 或驚悸寒熱 或木乘土而嘔吐痰涎 腹脹少食 睡不安.
軟柴胡 甘草 各五分 川芎 八分 當歸 白朮(炒) 茯苓 釣藤鉤 各一錢
上水煎 子母同服. 以蜜丸 名抑靑丸.
67. [설씨]억간산([薛氏]抑肝散)
간경(肝經)의 허열(虛熱)로 발축(發搐)하거나 혹 발열(發熱) 교아(咬牙)하거나 경계(驚悸) 한열(寒熱)하거나 목(木)이 토(土)를 승(乘)하여 담연(痰涎)을 구토(嘔吐)하고 복창(腹脹) 소식(少食)하며 수(睡)가 불안(不安)한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연시호(軟柴胡) 감초(甘草) 각 5분(分) 천궁(川芎) 8분(分) 당귀(當歸) 백출(白朮)(초(炒)) 복령(茯苓) 조등구(釣藤鉤) 각 1전(錢)
물로 달이니 자모(子母)가 같이 복용하느니라. 밀(蜜)로 환(丸)을 만들면 억청환(抑靑丸)이라 명(名)하느니라.
六八. 大靑膏
治傷風痰熱發搐.
天麻 靑黛 各一錢 白附子 煨 烏蛇 酒浸 取肉 焙 蝎尾 各五分 天竺黃 麝香 各一字
上爲末 生蜜丸 豆大. 每用半粒 薄荷湯化下.
68. 대청고(大靑膏)
상풍(傷風) 담열(痰熱)로 발축(發搐)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천마(天麻) 청대(靑黛) 각 1전(錢) 백부자(白附子)(외(煨)) 오사(烏蛇)(주(酒)에 침(浸)하고 육(肉)을 취하여 배(焙)) 갈미(蝎尾) 각 5분(分) 천축황(天竺黃) 사향(麝香) 각 1자(字)
가루 내고 생밀(生蜜)로 환(丸)을 두(豆)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반립(半粒)을 사용하니 박하(薄荷)의 탕(湯)에 화(化)하여 하(下)하느니라.
六九. 地黃淸肺飮
治肺熱疳蝕穿孔 或生瘜肉 或鼻外生瘡.
桑白皮 半兩(炒) 紫蘇 前胡 赤茯苓 防風 黃芩 當歸 天門冬 連翹 桔梗 生地 甘草(炙) 各二錢
每服五七錢 水煎服 次用化䘌丸.
69. 지황청폐음(地黃淸肺飮)
폐열(肺熱)로 감식(疳蝕) 천공(穿孔)하거나 혹 식육(瘜肉)을 생(生)하거나 비외(鼻外)에 생창(生瘡)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상백피(桑白皮) 반량(半兩)(초(炒)) 자소(紫蘇) 전호(前胡) 적복령(赤茯苓) 방풍(防風) 황금(黃芩) 당귀(當歸) 천문동(天門冬) 연교(連翹) 길경(桔梗) 생지(生地) 감초(甘草)(자(炙)) 각 2전(錢)
매 5~7전(錢)을 복용하니 물에 달여 복용하느니라. 다음에 화익환(化䘌丸)을 사용하느니라.
七十. 甘草湯
治撮口.
甘草(生用) 一錢
上水煎 以棉毬蘸吮 令出痰涎 却以猪乳點入口中卽瘥.
70. 감초탕(甘草湯)
촬구(撮口)를 치료(治)하느니라.
감초(甘草)(생(生)으로 용(用)) 1전(錢)
물로 달이고 면구(棉毬)에 잠(蘸)하여 연(吮)하게 하니 담연(痰涎)을 출(出)하게 하고 저유(猪乳)를 구중(口中)에 점입(點入)하면 바로 낫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