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 근대의 농업
토지는 경지면적 16,117정보(18%), 임야면적 75,000여정 (82%), 총면적 91,117정보이다. 지질은 화강암이 풍부한 사질양토로 대체로 비옥하다. 경지총계 및 1호당과 1인당 평균은 다음과 같다.
경지총계 및 1호당과 1인당 평균
면 명 | 전 | 답 | 계 | 1호당 | 1인당 |
문경 | 778町 6 | 407.9 | 1,186.5 | 0.86 | 0.16 |
마성 | 1,029.9 | 353.2 | 1,383.1 | 1.27 | 0.23 |
가은 | 1,054.8 | 793.0 | 1,847.8 | 0.94 | 0.23 |
농암 | 985.5 | 612.8 | 1,598.3 | 1.02 | 0.35 |
호계 | 642.6 | 515.5 | 1,158.1 | 1.05 | 0.25 |
호서남 | 532.6 | 750.9 | 1,283.5 | 0.97 | 0.18 |
영순 | 703.9 | 923.0 | 1,616.9 | 1.32 | 0.31 |
산양 | 717.3 | 825.9 | 1,640.8 | 1.01 | 0.27 |
산북 | 1,081.2 | 884.0 | 1,965.2 | 0.94 | 0.16 |
동로 | 788.8 | 569.7 | 1,358.5 | 0.98 | 0.19 |
신북 | 572.8 | 415.6 | 988.4 | 0.93 | 0.94 |
합계 | 8,985.6 | 7,051.5 | 16,117.1 | 11.29 | 3.27 |
쓰지스데죠우(逵捨藏), 「경북대감(慶北大鑑)」 1936년, 1,228쪽
문경군은 경지는 산북 가은 산양순으로 넓고 밭이 더 많은 데 호서남 영순 산양은 논이 더 많아 평야지다 호당면적은 영순 마성 순으로 많고 1인당 경지면적은 문경면에 합처진 신북면이 가장 넓다
농업생산은 산악이 많고 따라서 넓은 평야가 적지만 석천, 점촌 · 창리, 대하 · 불암 등의 옥토가 널려 있고 산 골짜기에 개재(介在)한 경지는 주로 화강암질로 되어 있어 유기질이 풍부한 사질양토라서 토지는 비옥하다.
군내를 관통하는 영강(潁江)은 서쪽 수리봉(水裡峰)과 동쪽 대미산(代美山)에서 발원하여 남단에 이르러 다른 세류와 합하여 다시 영순강(永順江)이 되어 낙동강에 흘러들어 갔다. 수리에 윤택하고 여러 가지 농경에 적당하다.
종래의 영농법은 대체로 유치하고 자족자급하는데 불과하였으나 일제강점 이후 농업시설제도의 개선으로 점차 농산액이 증가하고 품질도 역시 개량되어 관내 점촌과 상주군 함창역을 통하여 연액 쌀 25,000섬, 콩 6,000여 섬을 수출하고 있다. 당국의 다각적 농업 방침 하에 적당 한 농사를 보급 개량하여 착착 그 효과를 실현하고 있어 1934년 현재의 주요 농산물의 생산액은 표와 같다.
주요생산물 생산액(1934)
종류 | 경작반별 | 생산고(斤) | 종류 | 경작반별 | 생산고(斤) |
쌀 | 7,066.8 | 85,261 | 콩 | 3,491.7 | 24,092 |
겉보리 | 6,887.9 | 42,246 | 조 | 2,077.2 | 14,933 |
밀 | 1,794.6 | 8,602 | 목화 | 556.7 | 417,000 |
쌀보리 | 1,062.2 | 5,058 |
|
|
|
쓰지 스데죠우(逵 捨藏), 「경북대감(慶北大鑑)」, 1936년, 1299~1230쪽
잠업의 기원을 밝힐 자료가 부족하지만 현재 각면의 전지 주위에 거대한 재래 뽕나무가 남이 있는 것을 보면 왕년에 상당한 잠업을 한 것으로 보인다. 1910년경에는 재래잠(三眠蠶으로 잠견이 좋지 않다)의 사육으로 산견액은 160섬에 불과하였다. 제반 시설의 지도 장려를 잘하여 현저한 발전을 하여 상전(桑田) 883정보, 양잠호수 9,696호, 잠종 소립(掃立) 매수 16,000여매, 산견액 10,074섬을 올렸다. 그 중 추잠은 전년의 3배가 되어 상당한 이윤을 얻어 전 조선에 그 유례가 없는 문경군이 제1위이다.
축산은 산야(山野)가 많아 가축 사료가 풍부하다. 따라서 가금(家禽) 육성에 가장 적당하고 소마리 수도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이다. 소의 체격은 중간 크기로 선량하다. 조합원은 종우(種牛)를 선호하는 관념이 해마다 늘어나고 우량한 송아지도 많이 생산되고 있다. 본군 농가호수는 13,381호로 총 축우수(畜牛數)에 비교하면 농가 100호당 평균 65두의 비율이다. 경지면적 14,814정2반에 대하여 1두의 경지면적은 평균 1정 7반이고 장차 증가할 여지는 충분 히 있다. 1934년에 축우 생산수는 1,961두로 소모수는 407두이고 폐사 수는 72두이다
임업은 산야 총면적 73,000정보(국유림은 6,780정보)가 있고 19개년 계획으로 사유림 66,220정을 식재하면 전도가 유망하다.
1926년부터 삼림조합을 조직하여 지도 장려에 힘써 점차 발달을 촉진하고 있다.<일제강점기 문경을 보다 문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