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that 강조 구문-1]
I met Naomi here yesterday.
위의 문장은 ‘나는 어제 거기서 나오미를 만났다’ 는 뜻이다.
그렇지만, 위와 같이 밋밋한 문장에 다음과 같이 강조하는 어감을 주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할까?
(1) 내가 어제 여기에서 만난 것은[=사람은] (바로) 나오미였어.
(2) 내가 어제 앨리를 만난 곳은 (바로) 여기였어.
(3) 내가 여기에서 도언을 만난 것은 (바로) 어제였어.
(4) 어제 여기에서 네이트를 만난 것은[=사람은] (바로) 나였어.
이럴 때 바로 [It is _____ that ...] 강조구문을 이용한다.
위에서 강조되는 대상은 각각의 사람, 여기, 어제, 그리고 나 이다!
그 강조되는 대상을 빈 [It was ______ that...]의 빈칸에 놓고 나머지는 that 뒤에 그대로 연결하면 된다.
(1‘) It was Naomi that I met ____ here yesterday.
(2‘) It was here that I met Ally ____ yesterday.
(3‘) It was yesterday that I met Do-eon here ________.
(4‘) It was I that met _____ Nate here yesterday.
cf1) 위에서 전체 시제를 과거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기 때문에 It 뒤에 is가 아니라 was를 썼음.
cf2) (1')과 (4‘)는 강조 대상이 사람이므로 아래와 같이 that 대신에 [who]를 쓰는 경우도 있다.
(1") It was Naomi who(m) I met ____ here yesterday.
(4") It was I who ____ met Nate here yesterday.
[It is ~ that 강조 구문의 의문문-2]
What is it that he wants?
위의 문장은 ‘도대체 그가 원하는 게 무엇이냐?’ 라는 뜻인데, 앞에서 보았던 [It is ____ that 강조구문]의 변형이다. 위의 문장이 나오게 된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a. He wants the laptop computer. (그는 그 휴대용 컴퓨터를 원한다.)
b. It is the laptop computer that he wants. (그가 원하는 것은 그 휴대용 컴퓨터이다.)
그럼, 위의 (b) 문장을 한 단계 발전시켜서 Yes/No-의문문과 Wh-의문문을 만들면 어떻게 될까? 아래의 (c, d)와 같은 문장이 나오겠지용.
c. Is it the laptop computer that he wants? (그가 원하는 것이 그 휴대용 컴퓨터입니까?)
d. What is it that he wants? (그가 원하는 것이 도대체 무엇입니까?)
[ It is ~ that 강조 구문-3]
It wasn't until we were married that I realized what kind of person he is.
[It is not until ~ that]구문은 [~하고 나서야 비로소 ~하다]는 의미로 일종의 관용구문일걸요.
그래서, 위의 문장은 다음과 해석할 수 있다.
“우리가 결혼하고 나서야 비로소 나는 깨달았다 / 그가 어떤 종류의 사람인지.”
그러나, 맨 위의 문장을 잘 보면 [It is ~ that] 강조구문의 형식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강조구문으로 변화되기 이전의 문장이 위와 같은 [It is not until ~ that]의 형식을 취하기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a. I didn't realize what kind of person he is until we were married.
(나는 깨닫지 못했다 / 그가 어떤 종류의 사람인지 / 우리가 결혼하기 전까지는.)
(=> 우리가 결혼하고 나서야 나는 그가 어떤 종류의 사람인지 깨달았다.)
b. I realized what kind of person he is not until we were married.
c. I did realize what kind of person he is not until we were married.
d. It was not until we were married that I realized what kind of person he is.
(a)에서 (d)로 변환되는 과정의 중간 단계로 (b-c)의 문장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 참고로 (a)의 문장에서 (b, c)의 단계를 거쳐, 아래와 같이 부정부사어구가 주어 앞으로 도치된 구문도 가능하다.
I didn't realize what kind of person he is until we were married.
-> Not until we were married did I realize what kind of person he is.
(위에서 Not until~ 이 주어 앞으로 도치되었는데, 이 때 (조)동사 did가 주어 I 앞으로 빠져나간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까요?!.)
[Test] 1. Choose the correct sentence.
(a) It is you who is responsible for it.
(b) It is mosquitoes that causes malaria.
(c) It was Mr. Brown whom Mary loved.
(d) It was this room that the incident took place.
힌트: 강조되기 이전의 문장은 각각 다음과 같다.
(a) You are responsible for it.
(b) Mosquitoes cause malaria.
(c) Mary loved Mr. Brown.
(d) The incident took place in this room.
[Test] 2. 다음 문장을 (A) It is ___ that... 강조구문과, (B) Not until...을 주어 앞으로 도치시킨 문장으로 전환해보숑.
1. I didn't become aware of my foolishness until the accident happened.
(A) ->
(B) ->
2. Japan didn't feel strong enough for a real test of arms until 1894.
(A) ->
(B) ->
[Answer]
1. 나는 나의 어리석음을 깨닫지 못했다 / 그 사고가 일어나기 전까지.
(A) It was not until the accident happened that I became aware of my foolishness.
(B) Not until the accident happened did I become aware of my foolishness.
2. 일본은 무력을 실제로 시험해볼 만큼 충분히 강해졌다고 느끼지 않았다 / 1894년이 되기 전까지는.
(A) It was not until 1894 that Japan felt strong enough for a real test of arms.
(B) Not until 1894 did Japan feel strong enough for a real test of arms.
[Test] 3. 다음 문장을 해석해볼까용.
1. When was it that the accident took place?
2. How was it that the accident took place?
3. Why was it that the accident took place?
[Solution]
1. 도대체 언제 그 사고가 일어났습니까?
2. 도대체 어떻게 그 사고가 일어났습니까?
3. 도대체 왜 그 사고가 일어났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