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베르만 (Doberman, Dobermann)
► 이 명 : 도베르만 독(Doberman Dog), 도베르만 핀셔(Doberman Pinscher)
► 외 관 : 도베르만의 크기는 수컷은 몸 길이 68~71㎝, 체중 25~34kg, 암컷은 몸 길이 63~66㎝, 체중 23~32kg 정도되는 대형견이다. 크기에 비해 몸무게가 굉장히 많이 나가며 근력이 강하다. 체형은 사각형 모양이고 가슴은 근육질로 잘 발달되어 있으며 복부가 치켜올라가 있다. 몸매가 매끈한 유선형이다. 귀는 다소 짧으며, 머리는 쐐기꼴이다. 머리는 길이가 길고 앞이 뭉툭하다. 눈은 아몬드 모양으로 색깔은 갈색이며, 코의 색이 털 색에 따라 달라지며 입술이 턱 위쪽에 붙어 있다. 다리는 앞다리가 일직선이고 뒷다리는 서로 간격이 넓으며 평행을 이룬다. 뒷다리의 힘이 매우 강하다. 발은 발가락이 아치 모양이고 며느리발톱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꼬리는 척추선을 따라 이어져 있는데, 첫째나 둘째 관절에서 잘라내는 경우가 많다. 털은 짧고 검은색, 붉은색, 파란색의 3가지 빛깔로 되어 있다.
흔히들 도베르만 하면 짧고 뾰족하게 서 있는 귀와 짧은 꼬리를 떠올리기 마련인데 사실 이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 아닌 성형수술을 거친 인공적인 모습이다. 본래는 꼬리도 길고, 귀도 비글 등의 귀와 비슷하게 아래로 쳐지는 형태이다. 꼬리는 태어나고 나서 곧 잘라내고, 귀의 경우 생후 7주에서 9주 사이에 수술을 거쳐 잘라서 세운다. 이때 한동안은 교정기를 차고 다녀야 한다. 최근 유럽에서는 단이와 단미가 금지되어 있다.
► 설 명 : 도베르만은 독일 원산으로 사역견으로서는 저먼 셰퍼드와 비견할 수 있는 품종으로 예민성, 굳은 의지가 있으며, 행동력에서도 우수하다. 영리하고 원기왕성하며, 주의가 깊고 단호하며, 충직하면서 순종적이다. 활력과 경계심이 있고 용감하며, 충실하고 대담한 성격이다. 도베르만은 타고난 경비견이다. 머리가 좋고 힘이 세며, 필요하다면 공격적으로 된다. 따라서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지만 충실하고 애정이 깊어 좋은 친구가 될 수 있다. 수명은 10~14년 정도이다.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주인공을 습격하는 개하면 도베르만이거나 로트와일러일 만큼 흉포한 이미지가 강하다. 하지만 원래 성격은 온순하고 호기심이 왕성하며, 주인에게는 상당한 응석받이이다. 또한 영리해서 훈련의 이해가 빠르므로 애정을 쏟는다면 멋진 가족이 될 수 있다. 털 빠짐이 적고 체취도 신경 쓰이지 않으므로 실내사육 등 모든 면에서 적합한 견종이라고 할 수 있다. 단 어리광이 심하거나 훈련이 부족하면 단순한 난폭꾼이 되어 버린다. 일단 그렇게 되면 공격적인 면이 드러나므로 훈련소 등에 맡기는 것이 좋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강한 편이다. 강건한 외모처럼 전체적으로 튼튼하지만 피부질환과 관절질환에 주의해야 한다. 추위에 특별히 약하지 않은 평균적인 견종이다.
특이한 질병으로 ‘도베르만 춤추는 질병(Dancing doberman disease)’이라는 것이 있다. 도베르만 핀셔가 알려진 원인 없이 다리를 치켜 올리는 것이다. 이것은 여러 해에 지속되거나 다른 다리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수축과 고유수용체 결함이 나타날 수 있다. 다리의 힘줄과 근육 반사가 과다활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치료방법은 없고 감염된 동물은 회복되지 않지만 생활에 지장을 주지는 않는다.
► 기 원 : 1865년과 1870년 사이에 독일의 세무조사관 루이스 도베르만은 경비견을 만들 목적으로 다양한 품종 교배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탄생한 품종이 도베르만이다. 견종명은 작출자의 이름을 붙였다. 도베르만이 어떤 과정을 거쳐 육종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로트바일러, 핀셔, 맨체스터 테리어, 그레이하운드와 그 지방 재래의 소몰이 개들을 교배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도베르만은 1900년에 독일의 켄넬 클럽(Kennel Club)에서 공인되었고, 1차 세계대전에서는 독일군들에게 경비견과 정찰견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현재도 도베르만은 세계에서 경찰견으로 활동하는 중이다. 일반적으로 귀를 세우기 위해서 단이하고, 꼬리도 짧게 단미하는데, 최근 유럽에서는 단이와 단미가 금지되어 있다. 때문에 도그 쇼에서 볼 수 있는 도베르만은 대부분 늘어진 귀와 긴 꼬리로 딱딱한 인상이 부드럽게 보인다.
원산지는 독일이지만 미국에서 추가적인 개량이 있었다. 독일 원산의 도베르만은 굵직한 몸통에 좀 더 거친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미국에서 성격을 보다 유순하고 몸통을 날렵하게 개량하였다. 우리가 보통 떠올리는 도베르만의 이미지가 이쪽이며, 국내 대부분의 도베르만 역시 아메리칸 타입이다.
► 비 고 : 도베르만 핀셔는 2015년 11월 13일자로 FCI(세계 애견연맹) 분류 그룹 2 핀셔 및 슈나우져 – 몰로세르 견종 – 스위스 마운틴 독 및 캐틀 독 그리고 섹션 1 핀셔 및 슈나우져 스탠다드 No. 143으로 등록이 되었다.
도베르만은 1900년에 독일 Germany 켄넬 클럽에 의해 공인되었으며, 그 뒤 곧바로 미국 USA과 영국 Great Britain에도 소개되었다. 미국의 아메리칸 케넬 클럽은 2012년과 2013년에 도베르만을 12번째로 인기 있는 품종으로 선정하였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도베르만 핀셔의 크기는 체고 65 ~ 70㎝, 체중 30 ~ 40kg 정도되는 대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조금 더 큰 편이다. 실제로는 체고가 75㎝ 이상되는 개체도 있다. 외모는 전체적인 모습이 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육질의 몸매와 우아하고 귀족적인 외모를 가지고 있다.
► 머리 : 두부는 튼튼하고, 크기가 체구와 잘 맞아야 하며, 위에서 내려다보면 끝이 뭉툭한 쐐기 모양이고, 정면에서 바라보면 두상의 윗면이 거의 일직선이어야 하며, 귀 부위에서 낮아지지 않는다. 주둥이의 윤곽선도 두개골의 윗면과 평행하며, 목과 만나는 부분은 완만한 곡선을 그리고 있다. 눈썹 활은 충분히 발달되어 있으나 튀어나오지는 않았으며, 머리 중앙의 홈도 눈으로 구분할 수 있다. 후두부는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머리 양쪽 측면이 불룩한 형태도 아니다. 다만 위턱과 광대뼈는 약간 튀어나온 편이나 머리 전체 길이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머리 전체에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스톱은 두드러지지 않지만 눈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코 : 코는 콧구멍이 큼직하며, 모양은 가로가 더 넓은 원형이고, 전체적으로 돌출된 느낌은 없다. 색은 모색이 검은색인 경우에는 검은색이며, 모색이 갈색이면 검은색에 옅은 음영이 들어간 색이다.
• 입 : 주둥이는 머리 윗부분의 크기와 비율이 잘 맞고 충분히 발달된 형태이며, 세로 길이(깊이)가 깊고 입이 벌어지는 범위가 어금니(후구치)까지 넓게 이어져 있다. 주둥이 너비는 위아래 앞니가 모두 보일 정도로 충분히 넓은 편이다. 입술(머즐)은 탄탄하며, 턱과 밀착되어 있어 입을 다물면 단단히 꼭 다문 형태가 되고, 잇몸 색은 짙은 편이며, 모색이 갈색인 경우에는 잇몸 색도 옅은 편이다. 턱과 이빨은 위아래 턱이 튼튼하고, 넓적하면서 협상교합이며, 이빨은 42개로 크기가 일반적인 수준이고 정확한 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편이다.
• 눈 : 눈의 크기는 중간 정도로 타원형이며, 색은 짙은 편이고, 모색이 갈색인 경우에는 눈 색깔이 더 밝아도 허용은 되지만 가급적이면 짙은 색을 가진 개체들이 더 선호된다. 눈꺼풀은 안구와 밀착된 형태이며, 털로 덮여 있다.
• 귀 : 귀는 자연 상태 그대로 두었을 때 적절한 크기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단이를 허용하는 나라가 많아서 귀를 잘라서 세우는 단이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귀의 위치는 두개골에서 높이가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하고 있고, 눕혔을 때 볼에 닿는 정도의 크기가 가장 이상적이다.
► 목 : 목은 길이가 충분히 길고, 몸 전체이 크기와 머리의 크기 및 비율이 잘 맞는 편이며, 가늘지만 근육질이다. 목의 형태는 위로 조금씩 길어지는 형태로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위로 곧게 세운 자세에서 우아함이 느껴진다. 목에서 당당한 자신감도 느낄 수 있다.
► 몸통 : 기갑은 높이나 길이가 모두 두드러지는 편이며, 특히 수컷에서 그와 같은 특징이 나타나는 편이고, 기갑의 높이와 길이에 따라 기갑부터 엉덩이로 이어지는 등선의 기울기가 결정된다. 허리는 충분히 넓고, 근육질이며, 암컷은 새끼에게 젖을 물릴 공간이 필요하므로 허리길이가 수컷보다 약간 더 긴 경우가 있다. 등은 짧고, 탄탄하면서 충분히 넓은 편이며,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엉덩이는 엉치뼈(천골)에서 꼬리가 시작되는 부위까지 매우 완만한 기울기로 낮아지고 형태는 둥그스름하며, 일직선으로 이어지거나 높이 변화가 확연히 드러나지는 않으며, 엉덩이는 넓적하고 근육질이다. 가슴은 길이, 너비가 모두 몸 전체 길이에 알맞은 비율이고, 늑골은 아치형으로 굽어 있으며, 가슴의 깊이는 체고의 약 50%에 해당된다. 가슴은 충분히 넓고, 특히 앞가슴이 잘 발달되어 있다. 복부 윤곽선과 복부는 가슴뼈 아랫부분부터 골반 뼈까지 확연히 홀쭉해지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 꼬리 : 꼬리는 자연 상태 그대로 두어야 하며, 살짝 곡선을 그리면서 높이 들고 있는 모양이 가장 이상적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꼬리를 그대로 두기 보다는 어릴 때 꼬리를 짤라 주는 단미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 사지 : 앞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일직선으로 곧게 뻗어 있고, 바닥과 수직으로 만나며, 매우 잘 발달된 편으로 직 사각형의 몸체를 나타내는 근원이기도 하다. 특히 앞다리 상부가 다른 견종보다는 확연히 길고, 근육질 이다. 어깨뼈는 가슴 가까이에 위치하며, 양쪽 모두 가장자리에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고, 등뼈가 시작되는 부위까지 이어지면서 최대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뒤로 충분히 젖혀진 형태를 보이고 있다. 기울어진 각은 수평면 기준 약 50% 정도이다. 무릎은 양쪽 무릎의 간격이 가까운 편이며, 방향이 바깥쪽으로 치우치지는 않았다. 전완은 튼튼하고, 곧게 뻗어 있고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길이는 몸 전체와 균형을 이루고 있는 편이다. 발목은 뼈가 튼튼하고, 정면에서 보면 일자로 곧게 뻗어 있으며, 측면에서 보면 살짝 비스듬하고, 발목관절도 튼튼하다. 앞발은 짧고, 발가락은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고양이 발과 유사한 모양으로 위로 볼록한 모양이며, 발톱은 짧고 검은색이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뒤에서 보면 엉덩이 위와 아래 부분에 골반 근육이 크게 발달되어서 넓적하고, 둥근 모양이며, 골반부터 허벅지 윗부분과 아랫부분까지 근육이 길게 이어져 다리가 매우 넓적하며 허벅지, 무릎관절 부위, 허벅지 아랫부분 모두 잘 발달된 형태이다. 뒷다리는 전체적으로 튼튼하며, 일자로 곧게 뻗어 있고, 양쪽이 평행을 이루는 모양이다. 허벅지는 길이와 너비가 충분한 수준이며, 근육질이고, 엉덩이와 이어지는 부위는 수평면 기준 약 80 ~ 85도로 넓은 각을 형성하고 있다. 무릎은 튼튼하고, 무릎을 기준으로 허벅지 윗부분과 아랫부분, 무릎관절을 구분할 수 있다. 허벅지 하부의 길이는 중간 정도이며, 뒷다리 전체 길이와 조화를 이루고 있고, 비절은 길이는 중간 정도로 양쪽이 평행하면서 허벅지 하부와 발목을 잇는 연결지점 역할을 한다. 발목은 짧고 바닥과 수직으로 만나며, 뒷발도 앞발처럼 뒷발가락도 짧고 위로 볼록하며, 발가락이 서로 밀착되어 있고, 발톱은 짧고 검은색이다.
► 털과 색 : 피부는 전신의 피부가 몸과 밀착되어 있으며, 색이 선명하다.
털은 전형적인 단모종으로 털이 비교적 짧고 탄탄하며, 밀도가 높은 편이다. 털은 피부에 밀착해서 자라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윤기가 많이 흐르는 편이다. 털은 전신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야 하고, 하모는 허용되지 않는다.
모색은 검은색 또는 적갈색이 섞인 갈색 두 가지 종류로 구분이 되며, 두 가지 모두 색이 선명하고 또렷한 무늬(황갈색)가 형성된다. 황갈색 무늬는 주둥이와 볼, 눈썹 윗부분에 반점으로 나타나며, 목 앞쪽에도 두 부분으로 나누어 형성된다. 앞가슴과 네 다리의 발목, 발, 뒷다리의 허벅지 안쪽, 다리 윗부분, 꼬리 아랫부분에도 나타난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는 주어진 일을 처리하는 능력과 외형적인 특성에 전체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주면서 유연하고, 우아하면서 민첩하며, 자연스럽게 걷고, 보행 시 지면을 충분히 포괄해야 한다. 앞다리는 최대한 멀리 딛고, 뒷다리도 멀리까지 길게 뻗으면서 유연한 움직임으로 추진력을 제공해야 하며, 각 앞다리와 대각선 방향에 있는 뒷다리가 동시에 이동하면서 등과 인대, 관절이 안정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