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 일체동관분(一切同觀分)
수보리(須菩提) 어의운하(於意云何) 여항하중소유사(如恒河中所有沙) 불설시사부(佛說是沙不) 여시(如是) 세존(世尊) 여래설시사(如來說是沙) 수보리(須菩提) 어의운하(於意云何) 여일항하중소유사(如一恒河中所有沙) 유여시사등항하(有如是沙等恒河) 시제항하소유사수(是諸恒河所有沙數) 불세계(佛世界) 여시(如是) 영위다부(寧爲多不) 심다(甚多) 세존(世尊) 불고수보리(佛告須菩提) 이소국토중(爾所國土中) 소유중생(所有衆生) 약간종심(若干種心) 여래실지(如來悉知) 하이고(何以故) 여래설제심(如來說諸心) 개위비심(皆爲非心) 시명위심(是名爲心) 소이자하(所以者何) 수보리(須菩提) 과거심불가득(過去心不可得) 현재심불가득(現在心不可得) 미래심불가득(未來心不可得)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 하느냐? 저 항하(恒河)에 있는 모래를 부처가 모래라 말하느냐?』 『그러하나이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모래라고 말씀하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 하느냐? 저 한 항하에 있는 많은 모래 수효와 같이 그렇게 많은 항하가 있고, 이 모든 항하에 있는 모래 수효와 같은 수의 불 세계(佛世界)가 있다면 이런 불 세계는 많다고 하지 않겠느냐 』 『엄청나게 많나이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렇게 많은 세계에 있는 모든 중생들의 갖가지 마음을 여래가 다 아노니 왜냐하면 여래가 말씀한 모든 마음은 모두가 마음이 아니기에, 이를 마음이라 이름 할 뿐이기 때문이니라.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수보리야, 과거의 마음도 잡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잡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잡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 |
내 몸의 눈, 코, 귀, 혀와 손이 별개의 기관 같지만 결국 한 몸이듯이 그 다섯 가지 눈은 붓다라는 하나의 인격이 여러 작용으로 드러나는 모습일 뿐입니다. 부처와 중생, 번뇌와 보리, 주관과 객관, 본질과 현상을 둘로 나누어 모양을 지으면 그것은 상(相)이 되어버립니다. 일체가 한 몸이고 하나임을 보아야 합니다. 이것이 일체동관(一切同觀)입니다.
부처님은 육안, 천안, 혜안, 법안, 불안을 모두 하나로 보았습니다. 그래서 그 마음 깨달으면 부처요, 그 마음이 자비하면 보살이요, 그 마음이 청정하면 성문연각이요, 그 마음이 선량하면 천인이요, 그 마음이 정직하면 인간이요, 그 마음이 성내고 짜증내면 아수라요, 그 마음이 어리석으면 축생이요, 그 마음이 탐욕에 휩싸이면 아귀요, 그 마음이 번뇌 망상에 찌들어 있으면 지옥이라 했습니다. 중생도 부처도 다 이 마음 가운데 있습니다.
과거의 기쁨과 슬픔, 과거의 즐거움과 상처는 현재의 내가 짓는 생각에 불과합니다. 현재의 내가 괴로운 이유는 과거의 괴로움을 돌이켜 기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는 내 생각 속에 있을 뿐이며 지금 이 순간 실제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내가 과거의 생각을 일으키지 않는 한 과거는 나를 손톱만큼도 괴롭힐 수 없습니다. 내가 그때의 괴로움을 돌이켜 기억해 내서 다시금 괴로운 마음이 드는 것입니다.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습니다. 실현되지 않은 시간입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아직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어떤 일을 미리 당겨와 걱정하거나 두려워합니다. 시험에서 떨어지면 어쩌나? 병이 들면 어쩌나? 노후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 잠시도 이런저런 걱정이 떠날 날이 없습니다. 이미 지나버린 과거를 붙들고 괴로워하는 것도 모자라서 아직 닥치지도 않은 미래의 일을 걱정해 안절부절못합니다. 이는 미래의 일로 걱정하는 현재의 내 마음 속에 두려움이 깃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망상을 짓고 있기에 그렇습니다.
삶에서 중요한 것은 언제나 현재입니다. 우리는 늘 현재를 놓치고 살고 있습니다. 현재를 놓치는 삶은 죽은 삶입니다. 다만 지금 이 시간에 집중해서 최선을 다하면 현재가 쌓여 미래가 되어가는 이치를 꿰뚫어 보게 됩니다. 현재의 마음도 하나의 허망한 움직임일 뿐입니다.
중국 당나라 덕산 선사는 금강경에 대해서는 자신만큼 잘 아는 사람이 없다고 자부했습니다. 그래서 늘 사람들에게 금강경을 강의 했고, 사람들은 그를 속성인 주(周)를 따서 주금강(周金剛)이라고 불렀다. 그런 그가 용담(龍潭)이라는 곳에 숭신(崇信)이라는 선사가 많은 제자들에게 깨달음의 눈을 열어 주고 있다는 소문을 듣고는 자신이 지은 『금강경청룡소초(金剛經靑龍蔬秒)를 바랑에 짊어지고 길을 떠났습니다.
덕산 선사가 용담 근처에 도착해 점심 요깃거리를 찾다가 떡파는 노파를 만났습니다. 선사는 할머니에게 말했습니다.
“점심 요기를 하려는데 마침 잘됐소. 떡을 좀 파시구려.”
그런데 할머니는 떡을 내놓는 대신 선사가 짊어진 봇짐에 눈길을 던지며 말했습니다.
“그 속에 무엇이 들었소?”
“아, 이것은 금강경에 관한 책이라오.”
“그렇다면 정말 잘 됐소. 내가 평소에 금강경에 궁금한 대목이 있었는데 스님이 대답해 준다면 떡은 공짜로 드리리다. 하지만 대답을 못하면 돈을 준다 할지라도 떡을 팔지 않겠소.”
덕산 선사는 금강경에 대한 질문이라면 무엇이든 자신 있었으므로 호탕하게 그러자고 했습니다. 할머니는 물었습니다.
“금강경에서 과거심불가득(過去心不可得) 현재심불가득(現在心不可得) 미래심불가득(未來心不可得)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스님은 어느 마음에 점을 찍으려 하시오?”
선사가 말한 점심(點心)이라는 말에 할머니는 ‘마음에 점을 찍는다.’는 뜻으로 선문답을 던진 겁니다.
덕산 선사는 순간적으로 말문이 막혔습니다. 금강경에 대해서만큼은 완벽하게 통달했다고 자부를 했건만 이와 같은 물음을 난생 처음이었고 그에 대한 답도 알지도 못했던 것입니다. 용담 근처에서 만난 떡장수 할머니의 수준이 이만하라면 숭신 선사는 두말할 나위도 없으리라는 두려움이 일었습니다.
하지만 용담에 도착해서는 그런 당혹감을 떨쳐버리고 숭신 선사를 찾아 첫마디를 던졌습니다.
“용담에 와 보니 용도 없고 담도 없구려.”
그리고는 금강경에 대한 온갖 지식을 펼쳐놓기 시작했습니다. 숭신 선사는 밤이 깊도록 잠자코 그의 말을 듣기만 했습니다.
덕산 선사는 숭신 선사가 소문과는 달리 별 볼일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는 잠자리에 들기 우해 촛불을 들고 방문을 나섰습니다. 그때 곁에 있던 숭신 선사가 갑자기 덕산 선사가 들고 있던 촛불을 ‘훅’하고 불어 꺼버렸습니다. 순식간에 온 천지가 깜깜해졌고 그 순간 덕산 선사는 한 생각 돌이켜 크게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다음날 아침 덕산 선사는 자신이 짊어지고 온 금강경 주석서를 앞마당에 쌓아놓고 불을 질러버리고는 그곳을 떠났습니다.
덕산 선사는 그 뒤로 누가 자기에게 와서 법을 물으면 아무 대답 없이 몽둥이로 후려쳤다고 합니다. 덕산방(德山榜)이라 불리는 덕산 선사의 몽둥이 이야기는 이런 깨달음에서 시작했습다. 이는 지식에 사로잡히고 망념에 사로잡힌 정신을 번쩍 들게 하기 위함입니다. 지식 위주의 공부가 지나쳐서 깨달음에 방해가 되는 문제를 뛰어넘기 위한 방편(方便)이라 하겠습니다.
출처 : 법륜 스님 <금강경 강의 : 정토출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