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0년 후에 1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토지의 현재가치를 계산할 경우 일시불의 현재가치계수를 사용한다. ( )
정답 : O
2. 현재 5억원인 주택가격이 매년 전년대비 5%씩 상승한다고 가정할 때, 5년 후의 주택가격은 일시불의 미래가치계수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 )
정답 : O
3. 연금의 현가계수는 이자율이 r이고 기간이 n일 때, 매년 1원씩 n년동안 받게 될 연금을 일시불로 환원한 액수 이다. ( )
정답 : O
4. 정년퇴직자가 매월 연금형태로 받는 퇴직금을 일정기간 적립한 후에 달성되는 금액을 산정할 경우 연금의 미래가치계수를 사용한다.( )
정답 : O
5. 5년 후 주택구입에 필요한 자금 3억원을 모으기 위해 매 월말 불입해야 하는 적금액을 계산하려면, 3억원에 연금의 현재가치계수(월 기준)을 곱하여 구한다. ( )
정답 : X 현재가치계수 → 감채기금계수
6. 감채기금계수는 미래에 사용할 금액을 적립하기 위한 매월의 적립금을 계산하는데 사용한다. ( )
정답 : O
7. 원금균등상환방식으로 주택저당대출을 받은 경우 저당대출의 매기간 원리금 상환액은 저당상수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 )
정답 :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