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release(풀어놓다. 방출하다) |
Please release me, darling let me go... for I don't love you anymore... 가 부른 의 가사인데, 사랑의 종말은 이렇게 씁쓸하다... 영어 의 어원을 밝혀보자...(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는 <풀어 놓다>는 뜻인데, 고대 불어 relaissier (to relinquish, let go, abandon) 및 라틴어 relaxare (to loosen, stretch out)에서 유래한 것인데,,, 이것으로는 음소에 대한 설명이 되지 않으니, 현대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보자. 르완다어 rera (to raise a child, rear)는 <기르는 것>, rya (to eat, bite)는 <먹는 것 또는 물리는 것>, kusanya (to gather things together)는 <함게하는 것>, -re-re (tall, long)는 <긴 것>을 뜻한다. 라틴어 는 르완다어 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서로(to gather) 물린(to bite) 것을 길게(long) 키우는(to raise) 것> 즉 <서로의 인연을 멀어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 의 기원인 고대 불어 relaissie는 라틴어 의 변형이므로, 에서 영어 relax와 release가 파생된 것이다. 여기서 라틴어 접두사 re-의 여러 뜻이 있는데, 그중 <강한 의지>를 뜻하는 것은 르완다어 rera (to raise)에서 기원했음을 알 수 있고, 영어나 라틴어 x의 어원이 르완다어 kusanya (to gather)라는 것도 알 수 있다. 결국, 영어 는 르완다어 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서로의 인연을 멀리하는 것> 즉 <포기하고 풀어 주는 것>을 의미한다. So please release me...and let me love again... |
구분 | Don't forget(잊지마...) |
Don't forget to remember me my love... 헤어지더라도 잊지 말자는 이야기...
잊지마... 이 얼마나 중요한 말인가?
쌍팔년도에 직장 다닐 때 흐린 날씨에 미등을 켜둔채로 회사 주차장에 파킹하고 나오는데 옆에서 파킹하던 양키 아저씨가 뭐라고 말하기를...
Don't forget turn off the light..
영어의 대표적인 동사 do의 고어는 don (to make, act, perform, put, place)인데, 고대 게르만어 tuon (to put, place, do, make)에서 유래한 것이다.
현대 유라시아어는 대부분 현생인류의 초기 언어인 아프리카 르완다어에서 유래한 것인데... 르완다어 tura (to put down a load)는 한국어 <두다>의 기원이고, ona (to damage crops)는 거두어 들인다는 뜻이다.
영어 do 즉, 고대 게르만어 tuon은 르완다어 의 합성어로서, <(곡식을) 거두어 놓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영어 don't는 do not의 줄임말인데, not은 naught의 약세형에서 비롯됐으므로 고대 게르만어 niwiht (evil, bad)에서 기원한 것이다.
그런데, 고대 게르만어 niwiht (evil, bad)는 르완다어 로 볼 수 있으므로, 영어 not는 <노력을 무위로 하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영어 don't는 거두지 못하는 것 즉, 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포겟의 유래를 보자.
영어 forget의 고어 forgietan (to lose the power of recalling to the mind)은 고대 게르만 firgezzan, 게르만어 vergessen (to forget)에서 유래하였다.
르완다어 bera (unjust)는 제대로 되지 못한 것을 뜻하고, gesa (to harvest millet or wheat)는 수확하는 것, enda (to take something in hands)는 갖는 것을 의미한다.
게르만어 vergessen은 르완다어 의 합성어로서, 수확하여 갖은 것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 즉, <제대로 간직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결국, 영어 forget는 르완다어 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제대로 간직하지 못하여 <망실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돈 포겟...
이것은 참 중요한 말이지만 우리는 잊고 살고 그래서 실패를 반복한다... |
구분 | golf(골프) |
Nice shot!
과연, 의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golf는 15세기 스코틀란드어 gouf에서 유래하였고, 그것은 중세 네덜란드어 colf, colve (stick, club, bat)에서 유래한 것이며, 원시 게르만어 kulth (clapper, club)에서 기원한 것이다. 그러면,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kura (to take away, dislocate)는 <치우는 것>을 뜻하고, taha (to go home, be next)는 <(끝내고) 집으로 가는 것>을 뜻한다. 원시 게르만어 kulth (clapper, club)는 르완다어 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치우는 것의 본체> 즉 <채의 손잡이(home)>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중세 네덜란드어 colf (stick, clubs)는 르완다어 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치우는 것의 커버> 즉 <채의 손잡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결국, 영어 의 뜻은 <치다>가 아니라, <치우는 채의 손잡이 부분의 본체>를 뜻하는 것이고, 채끝은 여러번 사용후에 갈아 끼운다는 개념인 것이었다. 정리하자면, 는 르완다어 또는 pfuka (to cover, wrap)>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막대기 채의 손잡이>를 의미하는 것이었으나, 지금은 채끝의 아이언이나 우드가 오히려 비싸기 때문에 그냥 <골프채 막대기 전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가 동사로 쓰이면 <골프를 치는 것> 즉 <막대기로 공을 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
구분 | way(길.도로) |
We went the long way round...
과연 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way의 고대어는 weg (road, path)이며, 원시 게르만어 (Proto-Germanic) wegaz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독일어나 화란어의 weg와 같다.
그러면 weg의 기원을 알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w)egera는 접근하다 (to approach, draw near)의 뜻이며, (w)egereza는 데려다 주다, 인도하다 (to bring something to another)의 뜻이다. 원시게르만어 wegaz는 르완다어 (w)egereza (to bring something to another)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이곳에서 저곳으로 데려다 주는 것> 즉, <길이나 방법>을 의미하는 것이다. 결국, 영어 way는 원시게르만어 wegaz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르완다어 (w)egereza (to bring something to another)에서 기원하였으며, <현재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인도해주는 것> 즉, <길이나 방법>을 의미하는 것이다. |
구분 | guru(지도자) |
Jai guru de va om...nothing's gonna change my world...
과연 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영어 guru는 인도 산스크리트어에서 차용한 말로서, 원래 종교 지도자 (senior leader)를 의미하지만 거장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르완다어 kuru는 중요한, 나이 든 (important, senior)의 뜻이다. 산스크리트어 guru는 르완다어 kuru (important, senior)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연장의 지도자>를 의미한다. 참고로, 16~19세기 인도를 지배한 Mughul 제국은 르완다어 kuru (important, senior)의 사람을 수식하는 접두어가 붙은 형태인 mukuru (important of man)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위대한 영웅(의 나라)>를 의미한다.
이것은 Beatles의 히트 넘버인 Across the universe의 가사로서, 필자의 해석으로는 <깨달은 도인이 지나가다가 겁주어 말하기를 너(의 세상)는 변치 않을 것> 즉, <운명은 정해진 것>이라는 뜻이다. 산스크리트어 는 르완다어 jabika (to dip into), kuru (senior), deha (to be lazy), va (to come from), omora (to threat) 등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
구분 | China |
China의 시대가 도래하다... 과연 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China는 1550년대 산스크리트 Cina 및 라틴어 Sina에서 유래한 것이며, 그것은 중국 Qin dynasty (秦)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러면, 의 어원인 <진(秦)>의 어원과 의미를 살펴보자.
중국 진(秦)나라는 봉건사회의 시작인 주(周)나라의 서쪽 변경의 제후국이었는데, 주나라의 가장 강력한 외적인 견융에 대한 방위를 맡고 있었다.
서쪽 변경의 진(秦)은 동쪽 진(晉)과 패권을 다투어 멸망시키고, 견융의 침입으로 주 황실이 약화된 전국시대에 들어서 패권국으로 군림하다가 시황제에 이르러 법가 사상으로 부국강병책을 써서 초나라 등 6국을 제압하고 중국을 통일하였다.
여기서, 중국 진(秦)나라는 원래 BC 1,000년 경부터 중국과 서역의 교통로인 현재의 감숙성 및 섬서성에 위치한 것에 주목해보자. 감숙성의 지형은 산지형 고원으로 길게 동서로 평원을 이루며, 동쪽은 주나라 황실이 있는 중원으로 이어지고 서쪽은 사막지대와 연결된다. 한국어와 한자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 tshimo는 평원 (field, garden)의 뜻이다. 한자어 <진(秦)>은 세소토어 tshimo (field, garden)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평원> 즉 <곡식이 심어진 대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자 진(秦)의 상형을 보면, <三 + 人 + 禾>로서, <사람(人)을 가진 (三) 곡식 (禾)> 즉, <곡식을 잉태한 것>이니, <씨가 뿌려진 대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참고로, 한자 삼(三)은 르완다어 sama (to catch in the hand, get pregnant)로서, <손에 갖는 것>과 <임신하는 것>의 두가지 뜻이 있다.
그런데, 한자 <춘(春)>은 태양(日)을 잉태한(三+人) 것을 의미하므로, 진(秦)은 <곡식(禾)을 잉태한(三+人)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자어 <춘(春)>은 르완다어 cucuma (추추마; to mash)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성교>를 의미한다. <매춘이나 춘화는 춘이 성교(의 계절)임을 증명한다>
결국, 는 산스크리트 Cina에서 유래하였으며, 그 뜻은 한자 <진(秦)>의 어원인 세소토어 tshimo (field, garden)로서, <곡식이 심어진 평원>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사막지대인 서역에서 볼 때는 중국은 곡식이 나는 땅 즉, 농사짓는 나라인 것이다. <세소토어 나라 (nala)는 넓은 지역(abundance)을 의미한다> |
구분 | you(당신) |
You raise me up... 과연 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의 고대어는 eow이며, 원시 게르만어 juz, iwwiz (색슨어 iu, 네덜란드어 u) 등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러면, 더 근원적인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영어 는 원래 복수 너희들의 뜻이었고, 원래 단수는 thou였다. 고대 영어인 는 르완다어 로서, <집안의 너> 즉,< 친근한 너>를 의미하는 것이다. 르완다어 u는 너(you)의 뜻이고, i는 안에 (in, at, to)의 뜻이며, (y)awe는 너의 (your)의 뜻이며, zi는 알다 (to know, acquaintance)의 뜻이다. 원시 게르만어 는 르완다어 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네가 속한 곳의 지인들>을 의미하며, 원시 게르만어 는 르완다어 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너의 지인들>을 의미하는 것이다. 결국, 영어 는 르완다어 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너의 지인들>을 의미하며, 원래는 복수였지만 근세에 이르러 존칭어법으로 사용되어 복수가 단수 <너>가 된 것이다.
|
구분 | get(얻다) |
One way or another I'm gonna get you... 과연 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은 고대 노르만어 geta (to obtain, beget)에서 유래하였으며, 원시 게르만어 getan (to try to get) 및 인도유럽조어 ghed- (to take, seize)에서 기원한 것이다. 그러면, 더 근원적인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를 참조하자. 세소토어 kgetha는 선택하다 (to choose, prefer)의 뜻이며, 명사형 kgetho는 선택 (election)의 뜻이다. 고대 노르만어 geta (to obtain) 및 원시 게르만어 getan (to try to get), 인도유럽조어 ghed- (to take) 등은 모두 세소토어 kgetha (to choos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선택하여 고르는 것>을 의미한다. (게르만어 동사어미는 -n이다) 결국, 영어 는 원시 아프리카 언어인 세소토어 kgetha (to choos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선택하여 고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Blondie가 부른 의 가사 뜻은 <어떻게든 너를 선택하여 차지하겠다>는 의미인 것이다. |
구분 | vision(시각. 상상력) |
And the vision that was planted in my brain still remains... 과연 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Vision은 우리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으므로 어렵지만 그 어원을 찾아보자. 영어 vision은 고대 불어 visioun (sight, view, appearance, dream)에서 기원한 것이며, 그것은 라틴어 videre (to see)의 명사형 visionem (act of seeing, sight, thing seen) 에서 유래하였고, 멀리 원시 인도유럽어 weid (I know, I see), 그리스 도리아어 Woida (I know)에서 근원하였다. 그러면, 더 깊은 어원을 찾기 위해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를 참조하자. 세소토어 boithutelo는 자격 (부여) (qualification)의 뜻이다. 라틴어 vedere, 인도유럽어 weid, 그리스어 woida는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 boithutelo (qualification)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지식 인증으로 자격 부여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영어 vision>은 세소토어 boithutelo (qualification)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자격을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자면, 은 단순하게 쳐다보는 것이 아니라, <통찰하는 것> 즉, <전문가적인 자격을 갖추고 머릿속에 설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음운적으로, 에서 중요한 것은 영어 등 유럽어의 발음이 아프리카 원시어 에서 유래한 것이라는 점이다. 결국, <영어 vision>은 전문적인 소양을 갖춘자가 상상하는 설계도인 것이니, 어설픈 지도자들이 실현가능성이 희박하고 말장난에 불과한 임기내 GNP 4만불이니 5만불이니 하는 <국가의 비젼>을 제시하는 것은 나라를 망치고 국민을 기망하는 것이다. |
구분 | me(나를. 나에게) |
Let me be there... 과연 영어 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me는 고 게르만어 mih 및 고 Friesland어 mi 에서 유래하였으며, 고 색슨어 mi, 고 화란어 mi등과 동족어이다. (특히 네덜란드 북부의 프리즐랜드어인 Frisian은 게르만어와 원시 아프리카어의 연결에 매우 중요한 징검다리 언어이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 및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세소토어 mi는 나 (I)의 뜻이다. 고 게르만어 mih, 고 색슨어 mi, 고 프리지언 mi 등은 세소토어 mi (I)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1인칭인 나>를 의미한다. 그러면 영어의 1인칭 대명사 주격 의 어원을 보자. 영어 < I >의 고대어는 ic 로서, 원시 게르만어 ek, ik 에서 유래한 것이며, 그것은 라틴어 및 그리스어 ego 에서 기원한 것이다. 따라서, 영어 I의 어원이 밝혀진다면, 독일어 ich나 라틴어 그리스어 ego의 어원도 동시에 밝혀지는 것이다. 르완다어 kora는 하다 (to do)의 뜻이고, ikora 는 스스로 하다 (to do oneself)의 뜻이며, i 는 자신 즉 재귀용법 (self)을 나타내는 것이다. 원시게르만어 ik (ek)는 르완다어 ikora (to do oneself)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스스로 하는 것> 즉, <자립하는 나>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스어에서 비롯된 egoism은 본인 중심의 이기주의 (egocentric, self-centered)을 의미하는 것인데, 그리스어 ego는 바로 self-center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스스로 하는 것 즉, 르완다어 ikora (to do oneself)에서 유래한 것이다.
결국, 영어 I (나)는 르완다어 i (kora) <(to do) oneself>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스스로 하는 자신>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렇게, 영어의 1인칭 대명사 주격 는 르완다어 에서 유래하였고, 목적격 는 세소토어 에서 유래하였으니, 영어는 르완다어 및 세소토어에서 기원한 것이라고 주장하여도 충분한 것이다. |
구분 | there(거기) |
Let me be there...
과연 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의 고어는 thaer (in or at that place)이며, 원시 게르만어 thaer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를 참조하자. 세소토어 tlhalo는 결별하다 (to divorce)의 뜻이다. 원시게르만어 thaer (in or at that place)는 세소토어 tlhalo (to divorc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결별하여 따로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세소토어 tlhalo (to divorce)는 한국어 <따로>의 어원이기도 하므로, 영어 와 한국어 <따로>는 결국 같은 어원에서 유래한 비슷한 의미의 말인 것이다. 결국, 영어와 한국어의 공통 조상어는 아프리카 르완다어 및 세소토어인 것이다. 는 1973년 Olivia Newton John의 히트송으로서 그대가 떨어져 있는 그곳에 나를 같이 있게 해 달라는 것이다. |
구분 | let(~시키다) |
Let me be there...
과연 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let의 고어는 laetan (to allow to remain)이며, 원시 게르만어 letan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를 참조하자. 세소토어 leta는 기다리다 (to wait)의 뜻이다. 원시게르만어 letan (to leave, let)은 세소토어 leta (to wait)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기다리는 것> 즉, <그대로 있(게 하)는 것>의 뜻이다. 음운적으로 보면, 원시게르만어 동사어미는 -n이므로, <원시게르만어 letan>은 <세소토어 leta + n (게르만어 동사어미)> 인 것이다. 결국, 영어 let은 원시게르만어 letan에서 유래한 것이며, letan은 세소토어 leta와 동일한 단어인 것이다. 따라서, 영어 의 원뜻은 <기다리는 것> 즉 <그대로 방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는 1973년 Olivia Newton John의 히트송으로서 그대가 있는 그곳에 나를 기다리며 있게 해 달라는 것이다. 이렇게, 영어 등 인도유럽어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아프리카 동남부 <세소토어>에서 기원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