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장三十七章
도道는 늘 그러하게 무위無爲하는 바인데, 따라서 (도道는) 일삼지 못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다. (따라서) 제후와 천자天子가 (무위無爲하는 바를) 지킨다면, 천하는 이른바 저절로 그러하게 살아가게 된다. (천하는 이른바 저절로 그러하게) 살아가는 바인데, 따라서 (제후와 천자가 천하를 일부러 일삼는 바를) 일으키고자 한다면, 나는 이른바 그를 내리누를 것이다.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불리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는 바(인 도道)로써.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불리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는 (도道) 그것은 (무위無爲가) 투박한 바인데, 따라서 (도道는) 이른바 (천하를) 일부러 일삼고자 하지 않는다. (도道는 이른바 저절로 그러하게) 일부러 일삼고자 하지 않는 바로서, (저절로 그러하게 유위有爲가) 조용한 바이며, 천하는 이른바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가) 참된 바(正; 性·命·道)이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 천하를 저절로 그러한 바自·性대로) 살아가게 하는 제후와 천자는 (유위有爲의) 끄트머리(徼; 無爲)로 돌아갔으며, (천하를 저절로 그러한 바自·命대로) 참되게 하는 제후와 천자는 (유위有爲가) 어렴풋한 바로 돌아갔다.
道, 常無為, 而無不為. 侯王, 若能守, 萬物, 將自化. 化而欲作, 吾, 將鎮之, 以無名之樸. 無名, 之, 樸, 亦將不欲. 不欲, 以靜, 天下, 將自正. 化者, 歸徼, 正者, 歸妙.
(이른바, 무위無爲가) 투박한 바(樸; 道·性)를 품어 안는 제후와 천자는 (36장이 일컬은 아주 먼) 옛날(의 무위無爲한 성인의 모습)의 끝점에 이르게 되고, 따라서 (도道의) 기물(器; 自然·性)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며, (따라서 그것을) 일삼게 된다. (이른바, 무위無爲가) 투박한 바(樸; 道·命)를 알아차리는 제후와 천자는 (36장이 일컬은 아주 먼 옛날의 무위無爲한 성인의 모습의) 끝점을 일삼게 되고, 따라서 (도道의) 기물(器; 無爲·命)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며, 따라서 (그것을 일삼는 바에) 이르게 된다.
藏樸者, 終古, 而有器, 之, 用. 見樸者, 用極, 於器, 而止矣.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불리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는 제후와 천자는 (자신의 마음이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불리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는 바(인 천하)와 더불어 하고, (따라서 자신의) 마음이 (그러한 천하와) 짝하는 바를 일삼으며, 따라서 (그러한 천하는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불리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지) 않기를 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불리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는 제후와 천자는 천하) 그것이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불리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는 바를) 일삼는 바를 두려워하고, 따라서 (자신의 마음이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불리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는 바(인 천하)와 더불어 하며, (따라서 자신의) 마음이 (그러한 천하와) 짝하는 바를 일삼고, 따라서 (그러한 천하는) 이른바 그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불리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는 바를) 일삼고자 하는 바를 떠나가게 된다.
故無名, 與有名, 為情侶, 而非能無也. 畏其用, 而與有名, 為情侶, 故並去其欲.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성벽을 빙 둘러치는 바로써 나라를 지키는 제후와 천자는 (유위有爲를) 꺾고 텅 비운 그러한 공격을 펼치지 못하게 된다.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성문(城門; 閣)을 걸어 잠그는 바로써 자신을 지키는 제후와 천자는 (무위無爲를) 헤아리고 닦은 그러한 방어를 일삼지 못하게 된다.
嬰城以守國者, 不邀折沖之功. 閉閣以守身者, 不為感帨之拒.
(이른바, 제후와 천자는) 세상 사람들의 (무위無爲가) 바탕인 바(本; 性·道)와 (무위無爲가) 참된 바(正; 命·道)를 알아차려야 한다. 따라서 (제후와 천자는) 감히 (자신의 유위有爲가 바탕인 바와 유위有爲가) 참된 바로써 (세상 사람들의 무위無爲가 바탕인 바와 무위無爲가 참된 바를 바뀌게 하거나) 달라지게 해서는 안 된다.
知物之本正. 而不敢正之以化也.
(이른바, 천하) 그것은 도(道; 性·命)를 일삼는 바이다. (따라서 제후와 천자는 도道·性·命) 그것을 헤아려야 하고, 따라서 (유위有爲를) 어렴풋하게 하는 바를 거듭해야 하며, 따라서 (유위有爲를) 얕아지게 하는 바로 돌아가야 한다. (따라서 제후와 천자는 일부러 일삼아 빙 둘러친 성벽城·有爲) 그것을 무너뜨려야 하고,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걸어 잠근) 성문(門; 有爲)을 열어젖혀야 하며, 따라서 (무위無爲를) 깊어지게 하는 바로 돌아가야 한다.
其, 為道也. 測之, 於重玄, 而反淺, 闓之, 於妙門, 而反深.
(이른바, 제후와 천자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 無爲)를 일삼는 바로써 (천하를) 일삼게 되면, (이른바 천하는 저절로 그러하게) 일삼는 (바用·無爲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고, (천하가 일삼는 바는) 저절로 그러한 바(然; 性·道)에 자리하게 된다. (따라서 제후와 천자가 저절로 그러하게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有; 無爲)로써 (천하를) 일삼게 되면, 이른바 (천하는 일부러) 일삼는 (바用·有爲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되고, (천하가 일삼는 바는) 저절로 그러한 바(然; 命·道)에 자리하게 된다.
以為無用, 有用居然矣. 以為有用, 而無用居然矣.
(따라서 제후와 천자가 자신의) 날마다 (유위有爲를) 흩어버리는 바의 끝점에 이르게 되면, 이른바 (천하는 유위有爲를) 비롯하지 않게 되고, (천하가 일삼는 바는 유위有爲를) 가득 채우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후와 천자가 자신의) 숨마다 (유위有爲를) 작아지게 하는 바와 (더불어) 어우러지게 되면, 이른바 (천하는) 저절로 그러한 바(然; 道·性·命)와 (더불어) 꿈틀거리게 되고, (천하가 일삼는 바는 무위無爲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와 (더불어) 같이하게 된다.
終日散, 而未始, 不盈. 微息通, 而蝡然, 似有.
(이른바, 그 제후와 천자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無爲를 일삼는 바로써 천하를 일삼고, 그 저절로 그러하게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有·無爲로써 천하를 일삼는) 두 성벽(壘; 城·無爲)이 (잘) 세워지게 되면, 이른바 그 (천하가 저절로 그러하게 일삼는 바用·無爲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고, 따라서 일삼는 바가 저절로 그러한 바然·性·道에 자리하게 되며, 일부러 일삼는 바用·有爲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되고, 따라서 일삼는 바가 저절로 그러한 바然·命·道에 자리하게 되는 두) 성문(間; 門·無爲)이 잘 지켜지게 된다. (이른바, 그 제후와 천자가 자신의 날마다 유위有爲를 흩어버리는 바의 끝점에 이르고, 자신의 숨마다 유위有爲를 작아지게 하는 바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두 실마리가 (잘) 풀리게 되면, 이른바 그 (천하가 유위有爲를 비롯하지 않게 되고, 천하가 일삼는 바가 유위有爲를 가득 채우지 않게 되며, 저절로 그러한 바然·道·性·命와 더불어 꿈틀거리게 되고, 천하가 일삼는 바가 무위無爲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와 더불어 같이하게 되는 바로) 돌아가는 바를 잘 기대게 된다.
兩壘立, 而善守其間. 兩端馳, 而善俟其反.
이른바, (제후와 천자가 무위無爲가) 투박한 데, 이른바 (천하가) 어찌 (유위有爲가 투박한 바를) 말하는 바를 충족하게 되겠는가? 이른바, (제후와 천자가 유위有爲가) 어렴풋한 데, 이른바 (천하가) 어찌 (유위有爲가 또렷한 바를) 충족하고, 이른바 그것(의 끝점)을 다하게 되겠는가?
則樸, 又何足言. 而玄, 又何足以盡之哉?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