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기29
-2015. 3. 28. 토. 4~15도
읽은, 혹은 읽을 책들의 목록이다.
모차르트 볼프강힐데스하이머 2014
리슨투디스 알렉스로스 2014
중일전쟁 권성욱 2015
시간의철학적성찰 소광희 2003
막 읽기 시작한 책들. 아마 탈락한다면 마지막 책이. 첫 책은 이렇게 두꺼울 수가.
현대건축의흐름 유현준 2011
내집100배잘짓는법 김집 2009
과학철학을만나다 장하석 2015
죽음이란무엇인가 셸리케이건 2012
탄소의시대 에릭로스턴 2011
두 번째 책은 2독 도전. 나머지는 곧 도전
생태학의역사 안나브람웰 2013
앨런튜링의이미테이션게임 앤드루호지스 2015
한서 반고 2013
숨겨진우주 리사랜들 2008
세, 네 번째 책들은 전부터 읽어오는 중. 앞의 두 책은 읽을 욕심
채식주의가병을부른다 이동진 2014
1980년대의북극꽃들아뿔고둥을불어라 정과리 2014
산과강은바다에서만나고 임혁백 2014
첫 책은 읽는 중
어느여자의사의턱디스크이야기 조주온 2014
서유기1 임홍빈역 2004
한자야미안해 하영삼 2007
망국 조중의 2014
병자호란1 한명기 2014
읽을 책들
임꺽정1,2,3,4 홍명희
1902년조선인하와이이민선을타다 안형주 2014
풍운아채현국 김주완 2015
이순신불멸의신화 조정우 2014
내가만난손창섭 정철훈 2014
노컷조선왕조실록 김남 2014
종교와마술그리고마술의쇠퇴1 키스토마스 2014
류성룡나라를다시만들때가되었나이다 송복 2015
결혼 남정욱 2014
만신김금화 김금화 2014
신이선택한여자2 심진송 2012
지리산이나를깨웠다 구영회 2014
훔볼트형제의통섭 김미연 2014
대조언어학 허용 2014
문자이야기 앤드류로빈슨 2003
언어학사와언어학의제문제 조두상 2010
시읽는기쁨1 정효구 2001
제주도 이즈미세이치 2014
묻지마믿음그리고물음 정재현 2014
죽음 콘라드파울리스만 2014
질병영원한추상성 최은주 2014
쓰레기문명의그림자 카트린드실기 2014
단숨에읽는에피소드음악사 크리스티아네테빙켈 2014
예술경험과좋은삶,고야그리고아리스토텔레스 문광훈
매혹의음색 김진호 2014
한국전쟁사 이희진 2014
개신교가저버린보화들 임승만 2014
삶을베팅하는사람들 김호진 2013
사람의거짓말말의거짓말 남재일 2014
삼치거리사람들 최희영 2014
신은왜내소원을들어주지않을까 금석 2014
백신의덫 후나세슌스케 2014
베스트셀러의역사 프레데리크루빌루아 2014
진실그것을믿었다황우석사태취재파일 한학수 2014
이들은 읽은책들인데, 임꺽정4는 아직 미독. 몇권을 빼고는 거의 완독
했는데, 그중 '1902년, 조선인 하와이 이민선을 타다' '이순신 불멸의 신화'
'노컷 조선왕조실록' '류성룡 나라를 다시...' 등이 감명 깊었다. 또 '백신의 덫'이
흥미로왔고, '내가만난손창섭'은 2부 중 1부만 읽었다. 매혹의 음색은 현대음악관련
전문적 내용이 많은데 다 읽진 않았다. '종교와 마술..' 은 3권 시리즈인데 1권만 읽었다.
대조언어학은 다 읽지 않았고, 그밖의 몇 권들도 그렇다. 대충 읽은 책들도 있는데,
베스트셀러의 역사, 신은왜내소원을 등이 그렇다. 마지막 책은 완독하려다 중단했다.
'쓰레기, 문명의 그림자'는 읽을 만한 책이다. 에피소드음악사도 꽤 흥미로운 책이고.
임꺽정1,2,3은 재밌었는데, 계속 재밌을 지는 두고봐야. 제주도, 한국전쟁사도
꼼꼼히 읽진 못했다.
한편,
종교와마술그리고마술의쇠퇴3 키스토마스 2014
그림으로읽는중국고전 양비 2010
장서의괴로움 오카자키 다케시 2014
발터벤야민의공부법 권용선 2014
일렉트릭유니버스 데이비드보더니스 2014
http완벽가이드 데이빗고울리 2014
우리안의우주 닐투룩 2013
등도 어떻게든 곧 볼 생각이다. 마지막 책은 진작 끝냈어야할 책인데 여태..
(*3월 중 작곡가 권길상, 강준일이 별세했다.
권길상, 꽃밭에서 스승의 은혜 등 작곡한 동요작곡가 3. 13 미LA 자택 별세
향년 88세 과꽃 모래성 푸르다 등 동요와 스승의 날 부르는 스승의 은혜 가곡
그리움 등 발표하고 1964 미국이민 LA에서 동포후세교육 힘써 1927 서울생
서울대 예술대학 음악부 1회 졸업생 서울에서 '봉선화동요회' 만들어 동요
작곡과 노래 지도하기도 1948 서울 무학여중고교를 시작으로 이화여중고
등에서 10년 넘게 교편 잡았고 미 이민 후 남가주한인음악가협회 초대회장
역임 한국아동음악상 31회소파상 KBS동요대상 대한민국동요대상 수상
강준일, 한국 전통음악 현대화 주역 3. 19 여주 작업실 근처 심장질환 별세
향년 71세 서울대 물리학과 졸업 후 동대학 음악대학 작곡과 다니다 중퇴
10년간 독학으로 음악 공부한 작곡가 서양음악 기법으로 전통음악 만든 그는
1983년 사물놀이와 관현악 위한 협주곡 '마당'으로 주목 받았고 사물놀이협주곡
'푸리'1983 사물놀이와 피아노를 위한 '열마당 열두거리'1984로 명성을 얻었다
첼로 장고 피아노 위한 '해맞이굿' 해금 첼로 이중주 '허재비굿' 해금 피아노 위한
'소리그늘' 등 1970년 서울음악학회 창단 후학양성 88올림픽 개폐회식 음악위원
민족음악인협회 이사장 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