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프물범 : Pagophilus groenlandica Erxleben
► 외국명 : (영) Harp seal, (일) Tategotoajaran (タテゴトアザラシ)
► 형 태 : 북대서양 서부의 암수컷은 전장 170㎝, 체중 130kg 정도이지만 다른 해역에서는 약간 더 크다. 새끼의 몸빛은 밝은 회색이며 어두운 색의 얼룩이 흩어져 있지만 성장하면서 색깔이 어두워진다. 특히 어른 수컷은 등에 U자형으로 하프 모양의 어두운 색의 얼룩이 발달한다. 암컷의 하프무늬는 별로 명백하지 않다. 갓난 새끼의 털은 백색이다. 몸은 비교적 매끈하며 동작은 빠르다. 이빨은 작고 교두가 발달해 있다.
크기는 몸길이 1.8m, 체중은 115~180kg 정도로 잔점박이물범보다는 조금 크다. 수컷이 암컷보다 두드러지게 큰 편이다. 성체 수컷은 체색이 흰 크림색 같으며, 검은 머리와 등에 있는 U자 문양을 지니고 있다. 문양의 패턴은 비대칭적이고 불규칙하다. 성체 암컷도 수컷과 비슷하지만 패턴이 덜 뚜렷하다. 2살에서 3살까지의 개체의 피부는 옅은 회색을 바탕으로 짙은 회색의 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앞지느러미는 흰색또는 옅은 회색이며, 5개의 발톱이 각각 나 있다. 꼬리는 10~15㎝ 정도로 짧은 편이다. 털의 두께는 2㎝ 정도이며, 피부의 색깔은 털의 색과 비슷하다. 많은 콧수염이 나 있으며, 가장 긴 경우는 12㎝ 정도이다. 갓 태어난 새끼는 검은 코와 눈을 제외하고는 모두 하얗다.
► 설 명 : 주로 빙하 위에서 생활하는데 얼음 위의 온도는 영하 20℃지만 피부에 있는 지방층으로 온도를 유지한다. 어릴 때는 하얀 솜털이 공기 층을 형성해서 체온을 유지한다. 수심이 얕은 곳에서 중간 정도의 깊은 곳까지 잠수한다. 잠수 깊이는 계절, 시간 및 위치에 따라 다르다. 그린란드 해 하위 개체군에서 평균 잠수 횟수는 시간당 약 8.3번이고 잠수 깊이는 20m 미만에서 500m 이상이다. 잠수 시간은 2분 미만에서 20분이 조금 넘는 범위이고, 봄과 여름 동안 그린란드 바다의 얼음 덩어리를 따라 물개들이 먹이를 찾는 동안, 대부분의 다이빙은 50m 미만이다. 늦은 가을과 겨울에 잠수 깊이가 증가하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덴마크 해협에서 평균 잠수 깊이가 141m인 것으로 밝혀졌다. 먹이는 남쪽 해역에서는 참열빙어 등의 물고기와 대형 플랑크톤(특히 새끼)이며, 열빙어, 청어, 대구, 소형 상어 같은 물고기나 게와 새우를 포함한 갑각류, 오징어 등을 잡아먹고 산다.
암컷의 초산은 5.0~5.5세이고, 수컷의 성숙은 백해에서는 4세이다. 출산기는 백해에서는 2월 중순에서 3월이며, 얀마이엔섬 주변이나 북대서양 서부에서는 다소 늦다. 암컷은 대빙원의 중앙부에 모여 빙구 사이에서 출산하며, 수유기간은 9~12일이다. 어미가 얼음 위에서 새끼를 낳기 때문에 새끼 때는 보호색인 흰색으로 덮여있다가 크면서 털이 빠져서 등에 하프무늬가 생긴다. 어미는 새끼를 낳으면 12일동안 집중적으로 젖을 먹이고 바다로 떠나 두 번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이유 후 암컷은 수중에 모여 소리를 내기도 하고 수컷과 합류하여 교미한다. 여름에는 때때로 상당히 큰 무리를 이루어 비교적 빨리 회유하며, 가끔 빙상에서 휴식한다. 수명은 수컷 29년, 암컷 30년 이상이다.
새끼는 바로 바다에 뛰어들지 않고 몇 주간 굶으면서 몸에 축적한 에너지를 소모한다. 눈밭 위에 어미 없이 엎드려 있는 흰색 하프물범들이 이 시기에 있다. 추위와 굶주림에 많이 죽고 인간과 북극곰에게 사냥도 당한다. 태어난 지 3주가 지나면 하얀 털이 회색으로 바뀌며, 4년이 지나면 다 자란다. 서식 수는 260~380만 마리이다.
뉴펀들랜드 섬에서는 본종의 지느러미를 파이로 한 플리퍼 파이(flipper pie)라는 전통 음식을 부활절에 만들어 먹는 습관이 있다. 아카디아인들은 본종의 지방으로 튀긴 과자와 비스킷(쿠키)을 만들고 있었다.
► 분 포 : 캐나다 북동쪽 연안부터 그린란드, 북대서양, 북유럽 일부 연안과 북극해 주변에 분포한다. 뉴펀들랜드섬 북동부에서부터 세인트로렌스만에 걸쳐 그리고 얀마이엔섬 주변, 백해 북부에서 번식하며, 여름철에는 카라해, 바렌츠해, 그린란드 및 캐나다 북극권의 섬들 주변에서 지낸다.
► 자 원 : 모든 개체군이 사냥 대상이다. 사냥은 주로 캐나다, 노르웨이, 러시아, 그린란드에서 성행한다. 이누이트는 거의 통째로 식량, 연료, 의류, 공예품 등에 이용하지만 방광만큼은 바다에 흘려 보내는 습관이 있다. 상업적 포획에 종사하는 사냥꾼들은 모피만 채취하고 나머지는 유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어린 개체의 모피는 귀하게 여겨져 남획되었다. 1800년대 초 상업적 포획이 시작되기 이전 북서 대서양 개체군의 크기는 불분명하지만, 몇몇 시뮬레이션 모델에 따르면 300만~400만 마리로 추정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는 개체군 수 300만 마리로 알려졌으나 195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캐나다의 상업적 포획 때문에 개체수가 50~66%로 감소했다. 포획고 할당과 보전 정책이 주효하여 외부 전문가의 감사를 받은 1999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520만 마리까지 회복되었다.
캐나다 수산해양부는 1년에 32.5만 마리의 포획을 허용하고 있으며 원주민(퍼스트 네이션, 이누이트, 메티)에게는 이와 별도로 1만 마리가 배정된다. 동물 애호 단체들은 캐나다에서 사냥이 필요 이상으로 잔혹하고 할당량보다 더 많은 물범이 죽임을 당하고 있으며 기대되는 경제 효과도 의심스럽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유명한 여우 배우들도 연루되어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상업적 포획 보호론자들은 포획이 정지되면 본종의 개체군 수가 증가해 지역 어업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