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4월 23일 일요일
날씨 : 맑음 연무는 늘 있고 조금 더위를
어디로 : 임실 고덕산 진안 내동산
누구와 : ##
산행코스 : 고덕마을 - 1봉~8봉 - 암릉지대 - 삼봉산 갈림길 - 삼봉산 (빽) - 구암리 갈림길 - 504봉 - 대운치 - 도로 - 구신치 -내동산 (빽) - 약수암 - 동산마을
몇년전에 고덕산 삼봉을 왔을때
앞에 보이던 내동산 때문에
진안의 명산 마이산을 볼수가 없어서
아쉬움이 많았던 기역이 난다.
그때는 고덕산도 거의 아는 사람만 다니던 숨겨진산
8봉 우리가 있지만 고만 고만 짧은 코스다.
그래서 그때도 삼봉산을 연계해서 진행을
고덕산 삼봉산 연결도 짧은 산행 이었다.
또한 그동안 내동산은
마이산에서 보고
덕태산 선각산 산행을 하면서 보면서
언제 한번 꼭 가려고 했던산
내동산은 진안 고원 지대에 홀로 서 있는 산으로
다른 산과 연계 하여 산행 하기가 좀 그렇다.
내동산만 산행은 총 약 7키로 널널리 4시간 산행
그래서 인천에서 특별히 산행지를 잡는곳이 없다.
얼마전 인천 모산악회서 잡았지만
인원 부족으로 취소가
산을 좀 타는 사람에게는 인천에서
내동산만 산행을 오기에는 좀 그런 산이다.
오늘은 고덕산 삼봉산 내동산 연계산행을
구미가 당겨서 일찍히 첫번째로 산행 신청
고덕 마을에 고덕산 주차장까지 생겼다.
또한 계속 이정표가 생겨서 누구나 쉽게 오를수가
1봉부더 8봉 까지 정상 표시 이정표도
처음 이곳을 왔을때는 아무것도 없던곳
곳곳에 계단도 잘 만들어져 위험 구간이 없다.
칠봉에서 팔봉구간도 완전히 계단으로 안전하게
8봉에 오르면 장수 팔공산 진안 성수산. 덕태산. 선각산
임실 성수산 멀리 전주 모악산도 보이지만
오늘은 연무로 볼수가 없는 아쉬움이
날씨가 좋으면 내장산 백암산 방장산도 볼수가 있는곳
8봉 정상에는 없던 정상석도 크고 멋지게 생겼다
이제부터는 사람의 발길이 없는 삼봉산으로
고덕산 암릉을 지나야 한다.
처음 왔을때도 어렵게 내려 가다가
일부는 우회해서 내려간 촛대바위옆 직벽구간
선두가 못내려가서 갈팡 질팡 일부는 뺵을 하려고
누군가 설치한 밧줄이 삭아서 끊어지고 없다
간단히 슬링줄 두개를 연결하여 하산을
뒤에서 누군가 굵은 밧줄을 주워와
안전하게 설치후 모두가 하산을
그리고 계속 이어지는 암릉구간
바위가 모두 모가 져서 조심 조심 이동을
에고 여자 한분이 넘어지면서 큰일이 날번
다행이 앞 사람 다리에 걸려서 큰일을 모면
오래전에 있던 나무 다리도 썩어서 없어지고
옆으로 우회를 하면서 통과를 한다.
바위 지대를 지나면 지맥길 특유의 등로가 나온다.
이곳은 성수지맥 일부 구간
삼봉산 갈림길 점심을 먹는다.
그동안 나는 삼봉산을 부지런히 다녀온다.
특별히 볼것은 없지만 ㅎㅎ트랭글 배지를 주는곳
삼봉산을 다녀와 간단히 행동식을 먹고
선두를 따라 간다. 꼴지로 부지런히
구암리 갈림길 일부가 구암리로 아니 대부분 내려간다.
오늘 산행 코스에서 우회로 이용 코스다.
결론부터 이야기 하면 다음에 하시는 분들은 구암리로 가시길 추천 합니다.
대운치로 가는것은 지맥을 하지 않은한 갈 필요가 없다.
길게 어렵게 돌아서 가는 것 외 이무것도 없다.
나를 따라서 일산에서 오는 두분이 함께 온다.
대운치 도착 임실과 진안의 경계 대운치
이제 부터는 도로를 따라서 구신치를 찾아간다.
아스팔트 열기가 확 오른다.
지나던 경찰차가 나를 보고 어디를 가냐고 물어본다.
구신치를 지나 내동산을 간다고 하니
구신치 가는 도로를 알려준다.
함께한 두분은 시간도 없고 힘도 들어서 포기를
이제부터는 홀로 꼴지에서 부지런히 가야 한다.
경찰이 알려준 도로를 포기하고 능선으로 접어 들어서
결과적으로 말하면 정코스를 접어 들어서 간다.
이곳이 요즘 유행하는 마이산 환종주 코스 일부 구간
거의 사람의 발길이 없는곳 가시덤불이 곳곳에
허허 구신치 도착 1조 후미 천둥님 만남
이제 부터는 걱정이 없다.
내 뒤로 오는 사람이 있으니
선두도 방금전에 갔다고 하니 더 반갑다.
구신치 임도길을 올라서니 내동산 주능선 도착
이제 부터는 등로도 좋고 조망도 잇으니 힘이 절로난다.
능선에는 곳곳에 암릉 구간이 잇어서 산행 재미도
이제는 우리팀원들이 보이니
여유 있게 산행을 한다.
그만 어제 사진을 찍은 메모리 카드를 가져와서
메모리 부족으로 사진을 제대로 찍을수가 없다.
몇장을 지우고 겨우 겨우 중요 부분만
그리고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는다.
동산 마을 갈림길에서 배낭을 내려놓고
내동산 정상으로 그렇게 보고픈 내동산 정상
내가 생각한 모습으로 볼수가 잇다.
마이산이 멋지게 보인다.
어떻게 바위가 저렇게 생겨났을까 자연의 신비함을
흐리지만 연석산 운장산 구봉산 부귀산 등등
또한 덕유산 서봉 남덕유도 볼수가
덕태산 선각산 성수산 팔공산은 손아 잡힐듯 가까이에
다음에 올 기회가 또 있으면 날씨 좋은날 와서
더 선명하고 멋진 많은 산들을 접해야 겠다.
시산제 산행 하기에 아주 좋은 산으로 생각을 해둔다.
내동산 하산길 내동폭포 까지는 급경사
그래도 곳곳에 계단과 안전 시설이 있어서 편하게 하산을
내동 폭포는 가물어서 물줄기가 힘없는 노인 오줌 줄기처럼 질질질 ㅎㅎㅎ
그래도 떨어지는 물에 세수를 하니 너무 시원하다.
수량이 많으면 정말 멋진 폭포로 둔갑을 하겠다.
약수암 부터 동산 마을 까지는 아주 편한길
동산마을 회관 앞 산행을 마치고
화장실에서 시원하게 도가니를 식혀준다.
나는 오늘도 새로운 산을 만남에
너무 너무 행복했다.
어제 거창 금귀봉과
오늘 진안 내동산은
높이도 비슷하고
사방 팔방 볼수 있는것 또한 비슷하고
분지 중앙에 잇는것도 비슷하다.
역시 산은 시원한 조망이 잇으면
산행의 묘미가 배가 되는 기쁨이
나는 오늘도 너무 행복 햇다
산은 나의 영원한 친구다.
처음 이곳에 왔을때는 아무것도 없던 시절에
지금은 주차장에 이정표가 아주 잘되여 있네요.
오늘 우리는 고덕산 찍고 삼봉산 내동산으로 진행을
제1봉 정상 이정표
고덕 마을과 주차장 우리 버스도 보이고
2012년 이곳에 왔을때는 중앙 고덕교 앞부터 산행 시작
봉우리가 계속 이어지지만 아기 자기 해서
이정표를 못보고 가면 몇봉인줄 알기가 아리송 하지요.
해산굴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지나쳐 갑니다.
살짝 돌아서 있고
입구에 표시 없음
정상 등로는 좌측으로 있음
7봉에서 바라본 8봉 정상 모습
8봉 아래 바위틈 사이로 장수 팔공산이 멋지게 보이고
새로 생긴 정상석이 산에 비해서 너무 큰것이 있네요.
삼봉리와 삼양 저수지
처음 왔을때는 삼봉산 찍고 저수지로 하산을
고덕산에서 삼봉산 방향은 거의 사람의 발길이 없는 구간에
직벽을 내려 와야 하는곳 이곳에 밧줄이 삭아 끊어져서
슬링줄 두개를 연결하여 내려 갑니다.
잠시후 누군가 위쪽에서 굵은 밧줄을 주워와서
그나마 쉽게 내려 갑니다.
방금전에 내려온 암릉 구간
위험하면 사진에서 좌측 계단으로 내려와
바위 사면으로 우회길 입니다.
특별히 등로 없음
처음 왔을때도 일부는 우회로 이용함
한동안 암릉을 지나는 재미가 솔솔 하지요.
에고 이곳에서 큰일이 날번 했지요.
일산에서 오신 여자분 노랑 모자분이
그만 넘어 지면서
다행 히도 앞분 여자분 다리에 머리를 박으면서
바위와 충돌을 막음
넘어진 사람도 다리에 쥐가 나고
부디친 분은 다리가 아파서 한동안 고생을
그나마 두분다 큰 다침 없는것이 다행
앞으로 가야할 내동산 모습
우측 길게 느러진 부분이 구신치
현재 모습 그전 중간에 걸쳐 있던 나무가
썩어서 떨어져서 우회를 해서 갑니다.
썩어서 떨어진 나무가 보이네요.
아래 그전 모습 사진 참조
2012년 이런 모습으로 다리가
중간의 나무가 있어서 잡고 건너면 쉽게 통과를
지금은 우회를 해야 합니다.
2012년 우리팀 청석골님이 걸어놓은 삼봉산 정상 안내판 인증샷
오늘은 함께한 사람이 없어서
새로 생긴 정상 표시만 인증을
독도(이경일님)
요즘 하고 있는 한강기맥에도 같은 표시판이 많이 걸려 있음
내동산을 가려면 이곳에서 구암리로 내려가서
구신치로 올라 가는것을 추천함
이곳에서 성수지맥 따라서 대운치 가는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고 그냥 멀리 돌아서 가는것임
대운치 임실군과 진안군의 경계
이곳부터 도로를 따라서 구신치 입구까지 걸어 갑니다.
옛 도로가 나오면
능선으로 치고 오르면 잡목 지대에 가시 덤불에
능선을 따라서 시커먼 비닐을 쳐놓음
안쪽이 개인 약초를 재배 하는듯
그리고 마이산 환종주 코스라는 리본도 보이고요.
마이산 환종주 트랭글 코스 (남의것 슬적 ㅎㅎㅎ)
한동안 이런곳을 지나서 구신치 도착함
구신치 임도길 이곳을 오기전에 옛 구신치 있음
그만 사진을 찍고 삭제를 했네요.
그곳에서 꼴지로 오다가 천둥님을 만남
대운치까지 함께 하던 두분은 중도 포기함
홀로 부지런히 구신치로 천둥님 만나니
얼마나 반가운지 ㅎㅎㅎ
이제 본진을 만나니 더 반갑고
중앙 삼봉산 우측 고덕산
삼봉산 좌측 재로 내려와
구암리로 내려와 구신치로
오르면 좀더 쉽게 고덕산 삼봉산 내동산을 연결 할수 있음
우측 뒤 장수 팔공산
앞은 임실 성수산
중앙 뽀족한 선각산
뒤 좌측은 삿갓봉
뒤는 섬진강 발원지 데미샘이 잇는 천상데미산
앞으로 홍두깨재
올려다본 내동산
우측 삼봉산에서 좌측504봉 넘어서 좌측 대운치 도로가 보이고
대운치에서 도로를 따라서 내려와
좌측 능선으로 오르면 구신치
내동산을 만나기 위해서 얼마나 힘들게 왔는지
인천에서 내동산만 산행지를 잡는 산악회가
거의 없는 관계로 오기가 힘도 들었고
오늘 산행도 결코 쉬운것이 아니라서 힘들고 ㅎㅎ
내동산 종주 계남 마을에서 동산 마을 6.5키로
독립된 산군이라서 연계 산행 하기도 그렇고
그래서 거의 산악회에서 단체로 오지 않은 내동산
분지 중앙에 있는 산 이라서 조망이 죽여 줍니다.
마이산이 멋지게 보이고
뒤로는 멀리 연석산 운장산 구봉산도
날씨만 좋으면 선명히 보아는곳
좌측은 계남 마을 방향 우측은 방화 마을 방향
좌측 부터 덕태산 삿갓봉 뒤로 천성테미 우측은 팔공산
앞 뽀족한 선각산에서 시루봉으로 내려오면 점전 폭포가 나오지요
구신치에서 오르는 능선 암릉이 제법 많음
동산 마을 하산길은 내동 폭포 까지 급경사
내동 폭포 수량이 많으면 정말 멋질듯
카메라 메모리 카드가 꽉 차서 사진을 마음것 못찍음
어제 보해산 찍고 그대로 가져와서 흑흑흑
폭포 물에 세수를 하니 너무 너무 시원함
폭포 아래 약수암
암자 부터는 길이 상당히 좋음
동산 마을 회관 날머리
마을회관 화장실에서 개운하게 세수를
종지나물 (서양 제비꽃)
매발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