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벤쿠버의 한인 바둑광들 Korean Baduk Freaks of Vancouver - (94년 7월 캐나다 여행 中) - (July 1994, during trip to Canada)
이거, 한 교수 아니우? 아니 여긴 언제 왔소? 김정학 선배의 전화 목소린 여전했다. 김선배는 한국기원 이사로 오랫동안 한국바둑계의 발전을 위하여 숨은 공로자 역할을 하다가 약 5년전 이곳 캐나다 벤쿠버로 이민을 했다. Isn’t this Professor Hahn? When did you come here? My high school senior Jung-Hak Kim’s voice on the phone was the same as before. For a long time, as the director of the Hankuk-Kiwon, senior Kim had played the role of a contributor, making hidden distinguished servic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Baduk. About 5 years ago he immigrated here to Vancouver.
네, 며칠 됐습니다. 요즘 건강은 어떻습니까? 그가 건강을 위해 캐나다로 이민을 갔던 것을 기억하며 내가 물었다. 많이 좋아졌죠, 그런데 여긴 술친구가 없어서 재미가 없잖소? 하하... 하여튼 우리 만나서 우선 바둑부터 한번 둬야 할 거 아니오? 나는 김선배와 약속한 대로 저녁 6시 뱅쿠버 한인기원을 찾아갔다. 기원 근처에 한국상점들이 보이는 것이 한인 밀집지대인 것 같다. Yes, it had been a few days. How is your health these days? I asked him that because I remembered that he had migrated to Canada for his health’s sake. It got better a lot, but wouldn’t you know that it’s no fun because I don’t have any drinking mates here? Ha-ha.. Anyhow shouldn’t we at least meet and play a game of Baduk first? I had found my way to the Vancouver Korean Kiwon by 6 o’clock, just as I had promised senior Kim. Nearby the Kiwon, I could see Korean shops around and it seemed to be an area clustered by Koreans.
벤쿠버 인구는 1백50만, 그 중 한국 교민 수는 1만 5천명, 약 백분의 일이 한인이다. 우연히 내가 사는 시드니도 인구 4백만에 교민 4만 명이니까 같은 100분의 1이 된다. 뱅쿠버는 캐나다에선 제일 따뜻한 곳이다. 겨울에도 태평양쪽 해양성 기후 영향으로 우리나라 겨울 날씨보다 훨씬 따뜻하다. 바로 옆에 스위스 크기 만한 뱅쿠버 섬이 있는데 이곳에 빅토리아란 도시가 있다. 뱅쿠버가 속해있는 브리티쉬 콜럼비아(British Columbia)주의 수도로 아름다운 관광지가 많은 곳이다. Vancouver’s population is 1,500,000, and amongst that the Korean immigrant’s population is 15,000, around 1/100 of the population is Korean. As a coincidence Sydney’s population is 4,000,000 and the Korean population is 40,000, which is the same 1/100th. Vancouver is the warmest place in Canada. Even in winter, the influence of the Pacific Ocean’s climate makes it much warmer than Korea’s winter. Right next to Vancouver is Vancouver Island, which is the size of Switzerland, and on it is a city called Victoria. It is the capitol city of British Columbia, the state which Vancouver is a part of, and there are many beautiful tourists’ attractions.

▲ 벤쿠버 야경.
기원에 들어서니 김정학씨 외에도 홍성화씨, 최종성씨 등 반가운 얼굴들이 나를 맞아준다. 바둑광 들이 만나면 우선 바둑부터 두고 나서 얘기는 그 다음에 한다는 말대로 인사만 나누고 우리는 곧장 리그전에 돌입했다. 이날 나와 동행한 자칭 강 1급이란 이승현기자(세계일보)와 나는 캐나다 팀에게 패배했다. 나중 이 기자와 둘이만 있는 자리에서 내가 이 기자에게 우리가 진 것은 여독 탓이겠지? 하니까 이 기자가 “그럼요” 한다. 우리는 끝까지 깨끗한 승복을 못하는 매너를 보이고 말았다. When I went into the Kiwon, not only was there Kim Jung-Hak but Hong Seong-Hwa, Choi Jong-Seong etc. were also pleasantly surprising faces to see. As there is saying that when Baduk freaks meet, they play Baduk first before they start to talk about things. We literally just greeted each other and dashed into a league tournament right then. That day, myself and Lee Seung-Hyun (Sae-Gae Il-Bo reporter) who was traveling with me and professed himself to be a strong 1 keup(amateur 6 dan), had been defeated by the Canadian team. Later when just myself and Mr. Lee were alone I said “It was jet lag that we lost wasn’t it?” and Mr. Lee said “Of course.” Till the end, neither of us showed a fair manner of being defeated.
근처 신라식당으로 자리를 옮긴 후 앉자마자 홍성화씨가 나에게 후지쓰배 준결승 결과가 어떻게 됐습니까? 지난 7월 1일에 치뤘을 텐데요” 하고 묻는다. 내가 나는 지난 며칠동안 밴프(Banff),제스퍼(Jasper)등 로키산맥 안에서 돌아다니며 빙하 속에 있다 나와서 뉴스는 깜깜이죠, 한국은 7월1일 아침에 떠났고요. 오늘이 8 일인데 여기선 아직도 결과를 모른단 말입니까?_ 오히려 반문을 했다. 홍성화씨 얼굴이 찌푸려지며 그럼, 혹시 우리가 다 진건 아닐까요? 유창혁 六단은 조치훈 九단에게 과거전적이 나빴고 조훈현 九단도 임해봉 九단에게 얼마든지 덜미를 잡힐 수도 있고... 이겼다면 소식이 내 귀에 들려왔을 텐데요..하며 사뭇 걱정이다. After we had changed place to the Shila restaurant nearby, as soon as we sat down Hwa-Seong Hong had asked me “What were the results of the Fujitsu semi-finals?”. It would have been around the 1st of July”. I said “I traveled around Banff and Jesper Canadian Rockies, how could I hear the Baduk news from Ice burgs, I left Seoul 1 July and today is the 8th. How come you didn’t hear any news?” You should have heard it by now. Dr. Hong made a wry face then and said “possibly we could lose all the games. Yoo Chang-Hyuk’s results against Cho Chi-Hoon in the past were bad and Rin Hai-Fong is also strong enough to get the scruff of Cho Hoon-Hyun’s neck” “ If we won the games, I must have heard the news…” He is really worried.
홍성화씨는 캐나다 거주 20년이 된 치과의사로 만만치 않은 바둑광. 한국에서 젊은 시절에 입단대회에 도전했는가 하면 최근에는 「입단연가」란 소설을 써 문인으로 실력도 과시하고 있다. 나와는 나고야 세계대회에서 만나 여행도 같이 하고 해서 퍽 친숙한 사이다. 이곳 뱅쿠버에는 한국 일간지가 없어 주말에 나오는 주간지를 통해서만 국내 뉴스를 접할 수 있단다. Hwa-Seoung Hong is a formidable Baduk freak who has lived in Canada for 20 years as a dentist. When he was young in Korea, he had taken the challenge to enter the competition to be a professional player, and recently he written a novel, 「Baduk love song」, to show off that he also has talent as a literati. He had met with me in the Nagoya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we also traveled together, so he was of a quite friendly relation with me. This place Vancouver has no daily Korean newspaper, so in order to be in touch with news about korea, they have to read the weekly newspaper that comes out on the weekend.
그래서 이곳 바둑인들은 후지쯔배 준결승 결과 때문에 교민신문 주간지를 눈이 빠지게 기다리고 있었다. 또 이것이 아마도 해외 바둑인들이 한국이란 모태에서 이탈된 여건상 생기는 피할 수 없는 공통된 현상이요 생리인가 보다. 국내 바둑팬 들이여, 제 때 바둑뉴스를 듣고 사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일 인줄 알지어다. That’s why the Baduk players here were waiting their eyes out for the weekly newspaper to find out the result of Fujitsu Cup semi-finals. Also, this is inevitable phenomenon and physiology must be shared condition that overseas Korean Baduk players have due to their separation from their mother’s womb(Korea). The Baduk fans living in Korea must know how happy they should be to be able to hear watch the Baduk news on time.
바둑얘기가 무르익어 가자 기분이 좋아진 김 선배가 생선회 안주에 맥주를 계속 시킨다. 최종성씨는 금년 동경세계대회에 참가했었는데 그 뒷 얘기들을 재미있게 들려준다. 또 조총련계측이 주관해서 교토의 그랜드호텔에서 열렸다는 “한겨레 바둑축제” 얘기는 특히 인상적이었다. As the Baduk talk began to ripen, senior Kim became happy and kept on ordering the sashimi(raw fish) side dish and beer. Choi Jong-Seoung was telling us the interesting back ground story what had happened after the World Championship held in Tokyo which he had taken part in this year. I was especially impressed of his story about the “Korean Compatriots Baduk Festival” which opened at the Grand Hotel in Kyoto under the auspice of Cho Chong-Ryun pro North Korean group.
최종성씨는 사업인이 지만 바둑에 대한 열성은 대단하다. 그는 세계아마대회에서 5위에 입상한 경력도 있고 특히 이관철 사범과의 우정은 널리 알려진 일. 김 이사(김정학씨는 아직도 이곳 바둑인들에겐 아직도 김이사님으로 불려지고 있었음)에게 얘기할 차례가 돌아가자 그는 얼마전 담수회 멤버들이 다녀간 일에 대해 말을 했다. Although Choi Jong-Seong is a businessman, he has a great enthusiasm towards Baduk. He has a record of winning 5th place at the World Amateur Championship, and his friendship with master Lee Gwan-Chul is especially well known. Director Kim’s (Jung-Hak Kim is still called “Director” by the Baduk players here) turn had come to speak and he told us about the recent visit by the Dam-Soo Club members.
담수회는 순수한 바둑애호가들의 모임인데 우리 기계에 끼친 공은 일일이 나열할 수가 없을 정도로 많다. 나는 2년전에 담수회 회장 정운희씨, 총무 허윤씨와 함께 정회장의 강원도 오미자 농원을 방문한 일이 있었다. 3일 동안 3인이 바둑과 정담을 나누며 자연과 벗하여 지낸 일은 나에게 좋은 추억거리를 만들어 주었다. 담수회 회원들이 과거 핵심 멤버였던 김정학 이사를 찾아 태평양을 횡단하는 우정을 보여주고 있다. The Dam-Soo Club is comprised of pure Baduk lovers, and their contributions made to the Baduk world are countless. Two years ago, together with the Dam-Soo Club president Chung Woon-Hee, and the treasurer Huh Yoon I had visited President Chung’s O-mi-ja (fruit of five tastes) farm in Kang-Won province. During the 3 days as the 3 of us shared Baduk and tripartite talks whilst we becoming good friends with nature, I had made some good memories to look back on. The Dam-Soo Club core members of the past showed their friendship by traveling across the Pacific Ocean to find Director Kim Jung-Hak.
밤은 깊어 가는데도 우리들의 바둑얘기는 끝이 없이 이어지고 말하고 있는 우리들은 무슨 먹고 살 일이라도 난 것처럼 계속 열을 뿜는다. 밤 12시가 훨씬 지나 일어서려고 하는데 최종성씨가 2차를 제안한다. 정중히 거절하고 나오는데 홍성화씨가 따라나와 차로 30분 이상 가야 하는 내 숙소까지 자기 차로 바래다준다. As the night became deeper our talks of Baduk continued with no end and we talked feverishlyit was our means to eat and survive. It was way passed 12 at night when were about to get up to leave, when Jong-Seong Choi proposed to go for a 2nd round. I politely turned down the offer, and as I was going out Seong Hwa- Hong followed me and took me to my lodge which was over 30 minutes distance by car.
나는 여행을 좋아해서 1년에도 평균 2∼3번씩은 해외에 나간다. 내가 세계 어느 곳에 가던지 일반 여행자들이 못 누리는 특권은 그 곳 바둑인들과 만나는 즐거움이다. 모스크바의 영하 25°눈 속을 2시간 이상 헤메어 기어코 6명이 만나 바둑으로 밤을 지새우던 일. 유럽 바둑협회장인 얀 후랑켄하우센씨의 암스텔담 집에서 3일간 묵던 일. 스위스 챔피언 고스텔로씨 집에서 이틀 간 묵으면서 탤레파시 얘기를 밤새하던 일. Since I like traveling, I go overseas on average 2~3 times a year. Whatever place I may go to, I have the privilege to enjoy what average travelers can not enjoy, which is meeting the Baduk freaks of the place. There was an incident in Moscow where 6 of us(me and 5 Moscow Baduk addicts) met up and wandered around within a snowy minus 25 degrees for over 2 hours just to stay up all night and play Baduk. Another incident involved me staying over at Jan Frankenhuisen’s (the European Baduk Association President) his Amsterdam house for 3 days. Or the time I had spent 2 days at Swiss champion Gostelli’s house staying up all night conversing about telepathy.
부다페스트대학 바둑부에서 헝가리 챔피온을 두점 접어주고 뒀다 진일. 3시간 동안 숨소리도 죽여가며 관전한 40여명의 부다페스트 바둑 회원들, 뉴질랜드에서 만났던 우리동포 및 일본 바둑인들. 세계 바둑대회에서 만난 얼굴들 등 소설을 써도 모자랄 지경이다. 아~ 바둑은 즐겁도다. I had played the Hungarian Baduk Champion at the Budapest university Baduk club with a two stone handicap game and I had lost. For three hours, as around 40 Budapest Baduk club members killed the sound of their breath for observing the game, Korean migrants I had met in New Zealand, and the Japanese Baduk players, and all the faces I met at the World Baduk Championship. It looks as though I wouldn't be able to fit in even if I wrote a novel. Viva Baduk! | |
//
14 18:33 http://cafe.daum.net/clubA7bodook/EMJA/1478
//
호주는 독립된 대륙으로 혼자 진화하여 동식물이 우리와 전혀 다르다. 우리나라와는 가장 이질적 대륙이다. 그뿐 아니라 우리와 거꾸로 가는 게 너무 많다. 계절이 거꾸로 가고 장마철이 겨울에 있다. 사람이 만든 것도 자동차가 좌측통행을 하고 전기 스위치도 내리면 켜지고 올리면 꺼진다. 호주는 남한의 78배 이상 크지만 인구는 약 2000만이다. 자연이 아름답고 오염이 전혀 없다. 나라의 별명은 “Lucky country”. 이런 나라에서도 바둑을 둔다. 바둑인구는 3000명 정도.
1. 초기
호주에 바둑을 제일 먼저 소개한 사람은 그래이(Geoffrey Gray)로 당시 그는 시드니대학 수학과 교수였다. 1934년에 독일인 라스커가 ‘바둑 입문서(An Elementary Book on Go)’를 미국에서 출간했는데 그래이는 그 책으로 공부하였다. 1950년대 그래이가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참고서를 썼는데 그 책이 히트를 쳐서 돈을 많이 벌었다. 그는 대학교수직을 조기 사임하고 자기가 좋아하는 바둑에 전념했다. 그 때 그래이에게서 바둑을 배운 플래토(Kurt Flatau)는 호주 체스챔피언이었다. 플래토가 시드니 체스클럽 한 모퉁이에 최초의 바둑클럽을 열고 바둑을 가르쳤다. 1960년대 시드니 대학생 스마이스와 파워가 그곳에서 바둑을 배웠다. 초대 시드니클럽 회장은 그래이 박사가 맡았다.
 ▲ 미항 ( 美港 ) 시드니 | 내가 1975년에 시드니에서 그래이를 만났을 때 그는 50대 후반이었고 바둑은 2단으로 나에게 4점 놓고도 잘 안 되는 수준이었다. 플래토 4단은 나에게 3점으로 두었다. 미국 프린스톤 대학에서 수학박사를 획득하고 돌아온 스마이스 (Neville Smythe)가 그의 지도교수 폭스(Ralph Fox)로 부터 바둑을 연마하고 4단이 되어 돌아와 가세했다. 폭스 교수는 프린스톤 대학에 미국 최초의 바둑 클럽을 만든 인물이다. 한편 일본에서 8년 간 체류하며 일본학을 전공한 파워(John Power)도 일본 5단이 되어 돌아왔다. 다른 동양학교수 포터(Don Potter) 4단과 포인튼 교수까지 합해 지식인 중심 호주 바둑계가 형성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부터 한국 이민자가 늘면서 이들 화초 바둑은 한국의 힘 바둑 앞에서 맥 없이 무너진다. 특히 파워 교수는 필자와 며칠 사이에 바둑을 50판쯤 두어 전패를 하자 “내가 앞으로 10년은 호주 챔피언을 할 줄 생각했는데 한국인들이 이민 온다는 건 생각도 못 했다. 앞으로 내가 10년은 바둑 공부만 해야 당신을 따라 잡을까 말까 한데 나에겐 그럴 시간이 없다” 며 호주대회에 출전을 안 하기 시작했다. 그는 호주챔피언이 되겠다는 꿈을 접고 바둑 필자로 돌아 섰다. 일본에 가서 ‘바둑세계(Go World)’ 란 영어 바둑잡지를 내고 현존 영어바둑서적 중 최고로 꼽히는 그의 필생의 걸작 ‘무적 슈사쿠(秀策-Invincible Shusaku)’를 집필한다. 내가 “그 책이 나오는데 나도 한 몫 했다” 라고 주장하는 이유다. ^^
 ▲ 무적 슈사쿠 |
 ▲ 슈사쿠의 대국보를 모은 책 | 호주 바둑협회가 결성된 것은 1978년이었다. 1979년 2월 일본 도쿄에서 열릴 제 1회 세계아마추어바둑선수권대회에 호주대표를 뽑기 위해 시드니에서 제1회 호주바둑챔피언대회가 열렸다. 그 대회 중 정기총회를 열고 호주바둑협회(AGA)가 탄생했다. 캔베라 국립대 수학과 과장인 스마이스 교수가 초대회장에 취임했다. 초대 호주챔피언은 내가 되고 일본 아마강자 마쯔다가 나를 반 집으로 누르고 오픈챔피언에 올랐다. 이 대회에 한국에서 기원 1급이었다고 자처하는 아마 5단 동포 바둑인 2~30명이 대거 출전하여 상위권을 휩쓸며 앞으로 한국세가 호주 바둑계를 석권할 것을 예고했다. 이 당시 호주 최고수 20명을 뽑으라면 그 중 15명은 한국인이었다. 지금은 중국이 그렇다.
일본기원이 호주바둑협회 창립에 적극 협조했다. 이 무렵 일본은 전 세계 여러 나라가 바둑협회를 설립하는 데에 인력과 재정을 지원했다. 호주에도 프로기사 2 명이 바둑세트 30조쯤을 선물로 들고 와서 도왔다. 그런 점에서 일본의 공로를 인정해 주어야 한다. 그렇게 힘들여 만든 각국의 협회와 세계아마추어대회를 우리나라 국무총리배가 똑같이 흉내 내고 이용만 하면서 세계대회를 개최하는 걸 일본이 좋아할 이유가 없다. 나는 우리가 선발한 국가끼리 단체전을 개최할 것을 지금도 주장한다. 어차피 세계대회의 성적에는 관심이 없는 바둑 하수국가들의 선수와 단장을 한국에 공짜 여행을 시켜준다고 해서 그 나라 바둑인구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기도보급은 다른 방식으로 해야 한다.
 ▲ 세계에서 가장 큰 돌 울루루 (Uluru). 호주 내륙 한 복판에 있다 . 둘레가 9km | 이 무렵 호주 주요 도시에 바둑 클럽이 하나 둘 생기기 시작한다. 제일 먼저 스마이스 교수가 수도 캔베라(Canberra)에 클럽을 창설했고 한국과 일본대사관 직원들이 중심 멤버가 되었다. 빅토리아 주에서는 변호사 햇필드(Bruce Hatfield) 2단이 멜본(Melbourne) 클럽을 설립하고 나는 사범이 되었다. 퀸즈랜드에서는 회계사 레버릿(Bill Leverett) 초단이 브리스베인 클럽을 만들었다. 뉴사우스 웨일즈에서는 20대 젊은 공무원 데이비스(Clive Davis) 3단이 시드니(Sydney) 클럽을 재 정비했다.
그리고 1980년대 후반에 가서야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주에는 영국인 컴퓨터 강사 배이트(Jim Bates) 5단이 애들레이드(Adelaide) 클럽을 열었고, 타스마니아 주 호바트(Hobart)에서는 의사 에반스(David Evans) 초단이 클럽을 열고 어린이들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마지막으로 1990년대에 들어 와서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주 퍼스(Perth)에 컴퓨터 전문가 클레이(Paul Clay) 초단이 한국교민 중심으로 클럽을 개설해 드디어 호주 주요도시 전체에 바둑 클럽이 생겼다.
 ▲ 달리는데 앞에 348 미터 높이의 거대한 바위가 막고 서 있을 때 느끼는 위압감을 생각해 보라 ( 서울 남산 265 미터 ) |
2. 한국계 활약
초기 호주 바둑계는 나의 독무대였다. 나는 총 15번 호주대회에 나가 12번을 우승했다. 외국인에게도 개방된 오픈 챔피언 자리에는 8번 올랐다. 세계대회는 두 번 계속 못 나간다는 규정 때문에 6번 출전했다. 그러는 동안에 한국과 중국에서 강자들이 속속 이민 와서 나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한국인으로는 1980년대 중반에 이민 온 성균관대 선수 출신의 지보근과 연구생 출신 문춘식이 있다. 1993년을 마지막으로 나는 호주대회에 더 이상 출전하지 않았다. 그리고 지보근의 독주시대가 시작되었다.
지보근은 호주동아 기자로 일하면서 기타도 잘 쳤다. 그러나 아깝게도 그는 젊은 나이에 지병으로 세상을 하직한다. 지보근만 중국강자 왕우비를 가끔 꺾을 수 있었다. 문춘식은 한번 우승한 뒤 공부에만 전념해 시드니대학을 졸업하고 치과의사가 된다. 한국인 중에는 지보근, 임의재, 신명길 3명이 라이벌이었으나 임의재마저 지병을 얻어 10여년 전에 한국으로 가 버리자 한국인 강자는 신명길 7단 혼자 남게 되었다.
20년 전에 멜본서 시드니로 거처를 옮긴 신명길 7단은 한 동안 바둑보다 사업에 전념하여 성공한다. 그는 현재 시드니에 일식식당 10개와 중국 항주기원 6층 식당도 소유하고 있다. 그러나 식당경영은 부인에게 맡기고 그의 본업인 건설업에 올인하고 있다. 내가 호주에 가면 그가 건설하는 아파트 단지나 상가를 보여 주곤 한다. 부부가 고급 벤츠를 몰고 다니고 바둑계를 많이 돕고 있다. 그는 바쁜 와중에도 중국계가 휩쓰는 속에서 한국바둑의 존재를 알리느라고 바둑대회만은 계속 출전하고 있다.
 ▲ 박창규사범 , 김 북한단장 , 필자 , 신명길 7단 (2008년 11월 항주 ) |
바둑협회 참여도도 한국인이 높다. 1978년 이래 호주 바둑협회 이사직을 계속 맡아 온 내가 1993년에는 회장에 출마하여 당선된다. 그러나 3년 후 한국으로 영주귀국하기 위해 사임한다. 나의 회장취임은 한국인이 외국에 이민 가서 그 나라 문화단체의 총수가 된 최초의 사례로 회자(膾炙)되었다. 이후 호주 국립과학연구소 연구원인 공학박사 진양일 4단이 2002년부터 부회장으로 있다가 2004년에는 회장이 된다. 한국인이 처음으로 회장이 된 내 경우도 특별한 일인데 호주에선 한 명이 더 회장을 역임하게 된다. 매년 200명쯤이 참가하는 정기총회에 20여 년 동안 한국인은 나와 진 박사 두 명만 참석해 왔다. 다른 한국인들은 영어로 하는 회의라 잘 참석을 하지 않았다.
 ▲ 왼쪽 앞에서 무얼 마시고 있는 사람이 진양일 박사 (2008 년 11 월 ) |
그 후 2006년에는 신명길 7단이 AGA 부회장을 맡는다. 한국세가 호주에서는 유달리 극성을 부렸다. 다른 나라는 캐나다에서 치과의사며 ‘입단연가’ 작가인 고(故) 홍성화 5단이 부회장을 맡았던 일이 있다. 나와 진 박사가 호주에서 공부를 했고 홍박사도 캐나다에서 공부를 해서 현지인들과 문화격차가 적었던 공통점이 있다.
호주 국가 사범이었던 중국인 오송생 9단이 세상을 떠나고 그 빈자리에 한국인 안영길 6단이 2008년 8월 호주에 상륙한다. 안사범은 바둑도 영어도 오 9단 보다 상수다. 안사범이라면 새로운 한국 붐을 기대해 볼만 하다. 호주 바둑계의 새로운 지각 변동이 일어날 조짐이다. 그의 얘기는 뒤에 다시 하겠다.
 ▲ 인류 건축사상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라고 불리는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
 ▲ 오페라하우스 내부 (Concert Hall). 큰 홀 두 개와 중소형 홀 15 개가 있다 . |
역대 호주 오픈 챔피언(AGA Open Champions)
연도 |
이름 |
연도 |
이름 |
연도 |
이름 |
연도 |
이름 |
1978 |
H. Masuda (마쓰다) |
1986 |
Chi-Moon Park (박치문) |
1994 |
Yufei Wang (왕우비) |
2002 |
Chengliang Wang (왕진량) |
1979 |
I. Hou (허인) |
1987 |
Choon-Sik Moon (문춘식) |
1995 |
Andrew Chi (지보근) |
2003 |
Yiming Guo (곽이명) |
1980 |
Sang-Dae Hahn (한상대) |
1988 |
Yufei Wang (왕우비) |
1996 |
Andrew Chi (지보근) |
2004 |
Yiming Guo (곽이명) |
1981 |
Sang-Dae Hahn (한상대) |
1989 |
Sang-Dae Hahn(한상대) |
1997 |
Andrew Chi (지보근) |
2005 |
Kevin Chen (첸 케빈) |
1982 |
Sang-Dae Hahn (한상대) |
1990 |
Yufei Wang (왕우비) |
1998 |
Andrew Chi (지보근) |
2006 |
Raphael Shin (신명길) |
1983 |
Kwang-Ho An (안광호) |
1991 |
Sang-Dae Hahn (한상대) |
1999 |
Andrew Chi (지보근) |
2007 |
David He (허 데이빗) |
1984 |
Sang-Dae Hahn(한상대) |
1992 |
Yoon Huh (허윤) |
2000 |
Yiming Guo (곽이명) |
2008 |
Miao Zhao (자오 먀오) |
1985 |
Sang-Dae Hahn(한상대) |
1993 |
Sang-Dae Hahn (한상대) |
2001 |
Yiming Guo (곽이명) |
2009 |
10월에 결정 | *호주 오픈챔피언도 30년 동안 한국인이 19회나 우승을 한다. 이 중에는 원로 강자 허윤씨 이름도 보이고 중앙일보 관전필자 박치문씨도 보인다. 1994년 이후에는 1인자 왕우비(王宇飛)가 지병으로 안 나타나고 몇 년 후 지보근도 타계하자 중국계 2인자였던 곽이명(郭以明)이 호주 1인자로 올라 선다. 특히 2000년부터 호주대회는 중국인이 휩쓸고 한국인 우승은 2006년 신명길 7단 한 번뿐이었다.
2005년에는 멜본의 1인자 13세 중국소년 첸이 우승을 한다. 2008년에는 호주인으로 첫 프로기사가 탄생한다. 브리스베인에서 태어난 중국계 혼혈 14세 소녀 미싱엄(Joanne Missingham)이 대만에서 바둑훈련을 받고 중국에 가서 여류 프로기사로 입단했다.
1970~80년대 호주를 주름 잡던 한국 바둑인들은 다 연로해 지고 그나마 취미도 바둑에서 골프로 바꾼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2세들에게는 바둑을 안 가르친다. 중국이민자는 자꾸 늘어나고 바둑인구도 그 만큼 늘고 있다. 조금씩 들어 오는 한국 이민자 중에는 바둑 인구가 거의 없다. 젊은 사람들이 바둑을 못 두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서양 국가면 거의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호주 바둑지도자들은 순수 호주 백인 중에 강자가 나타나길 기대하고 있다.
 ▲ 2008 응창기배 호주 결승 곽이명과 미싱엄 |
 ▲ 호주국기 : 영국 유니언 잭과 남십자성 별자리를 혼합 |
 ▲ 호주 국장 . 호주에서 가장 많이 눈에 띄는 캥거루와 이뮤 ( 타조과 ). 두 동물의 특징은 후진을 못 한다 | |
| | |
|

▲ 호주 원주민 기 ( 旗 ) 노란 태양, 붉은 흙, 검은 피부의 3색 |

▲ 원주민 춤 . 1788년 1월 26일 백인이 처음 호주에 이주한다 |

▲ 붉은 캥거루 (Red Kangaroo) |

▲ 회색 캥거루 (Grey Kangaroo) | 1. 호주의 바둑 광 나는 호주에서 살면서 바둑을 통해 많은 친구를 만났다. 그들과 만나고 바둑을 두는 일은 호주생활의 큰 기쁨이었다. 나는 바둑만 두면 민족을 가리지 않고 친구가 되었다. 지금 돌아다봐도 그 때가 그립고 그 친구들과 다시 어울리고 싶을 뿐이다. 서양 바둑인 중에는 마음 약한 지식인이 많다. 지적(知的) 능력은 있으나 사회 적응력은 좀 문제가 있다. 그들은 어떤 구속에도 얽매이지 않고 이 세상을 살아간다. 어쩌면 그들이 진정한 자유인인지도 모른다. 자기네 본성이 가리키는 대로 인생을 맡기고 있다. “혹시 그들이 바둑을 통해 무위(無爲)사상을 실천하는 현대판 도인(道人)들은 아닐까?” ^^ 호주의 바둑광들(Go Freaks). 그 중 나와 친한 몇 사람을 소개한다.
1) 톰 포인튼(Tom Poynton) 1975년 어느 날. 나는 멜본 식물원공원(Botanic garden) 잔디밭에 앉아 한국에서 온 ‘월간 바둑’을 보며 복기를 하고 있었다. 그 때 누가 지나가다가 나에게 “바둑 두는 사람이세요? (Are you a Go player?”)하고 묻는다. 그렇다고 했더니 자기는 7급인데 한판 두어달라고 한다. 9점을 깔라고 하니 흠칫 놀라는 눈치다. 9점에 두 판을 지고 나서 그가 “나는 바둑을 배우기 전까지는 동양인은 백인에 비해 머리가 단순한 줄 알았다. 이제 보니까 영어 때문에 표현이 단순했지, 머리가 단순한 게 아닌 걸 깨달았다”며 바둑이 자기를 개안(開眼)시켰다고 한다. 그는 즉석에서 우리 부부를 주말에 자기집으로 초대를 한다. 그의 집은 바닷가 브라이튼(Brighton) 부자동네에 있는 큰 저택이었다. 점심식사 후 당시 70대였던 그의 어머니와 나는 크로케(Croquet)라는 잔디 밭에서 하는 게임을 하며 놀았다. 그의 차림이 허름해서 이렇게 부자 집 외아들인 걸 몰랐다.

▲ 나와 톰이 처음 만난 곳 . 이 공원을 다 보려면 2~3 시간이 걸린다 |
톰은 나에게 자기는 원래 대학교 불어교수인데, 일본어를 계속 공부해서 대학에서 일본어교수로 자리를 바꾸었다고 한다. 한 나라말로 교수되기도 힘든데 대단한 사람이다. 내가 일본어와 한국어가 문법은 같다고 하자 이제부터는 한국어를 공부하겠다고 한다. 당시 50쯤 된 그가 쉽게 다른 나라 말을 배우겠다고 해서 놀랐다. 그리고 몇 년 후 그가 독학으로 한국말이 어느 수준에 오른 걸 보고 다시 한 번 놀랐다. 그는 한국말 실습과 바둑을 두기 위해 한국에 다섯 번이나 찾아온다. 한번은 제프리(G. Gray)와 같이 찾아와 권갑룡도장에서 몇 달 동안 바둑공부를 하기도 했다. 그 때 바둑에 소질이 있는 알렉스란 20살 된 호주 청년을 데려와서 권도장에서 공부를 시켰다. 물론 경비는 톰과 제프리가 부담했다.
한 번은 종로 2가 근처 여관에 몇 달간 묵으면서 매일 파고다(탑골) 공원에 나가 그곳 노인들과 바둑을 두었다. “나이도 비슷하고 바둑 실력도 비슷하여 좋았다”고 한다. 점심 때면 서울시에서 나오는 트럭 앞에서 줄 서서 기다리다가 공짜 국수를 얻어 먹는다. 누가 이들이 대학교수 지식인에 백만장자라고 상상이나 하겠는가? 아마 외국 거지 정도로 알지 않았을까? 이렇게 30년을 노력한 톰은 지금 1~2단 정도다. 서양 바둑광은 우리와 차원을 달리 한다. 하는 짓이 대책이 없다. 톰이 결혼에 실패한 얘기만 들었지 그 이유는 모른다. 톰은 지금 80이 넘은 노인인데도 작년에 호주에 간 안영길 사범과 가까이 지내고 있다. 두 사람의 성분을 보아 앞으로 더 많이 가까워 질 것 같다.

▲ 안영길 사범과 톰 포인튼 |
2) 제프리 그래이(Geoffrey Gray)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제프리는 호주에 바둑을 소개한 사람이다. 그는 부자가 된 후 전 세계를 돌며 기행(棋行+奇行)을 벌였다. 1970년대 초에는 만리장성에 올라가서 바둑을 둔 최초의 호주인이 되었고, 관계자도 아닌데 미국이나 유럽대회에 자주 얼굴을 나타내곤 했다. 그도 한국을 좋아해서 위의 글대로 포인튼과 바둑 공부도 하고 한국 일주여행도 했다. 그는 바둑으로 천하를 주유하며 다른 걱정은 다 잊고 살아 온 인물이다. 최근에는 연로해서 KGS에서 인터넷 바둑을 주로 두고 주요행사 때나 바둑계에 얼굴을 내민다. 호주 바둑 초창기 시절 제프리는 명실공히 ‘호주의 조남철’이었다.
*서양인 90% 이상이 일본 사이트 KGS(Kiseido Go Server)에서 바둑을 두는데 Tygem은 언제나 영어 사이트가 나오려나? “불러도 대답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 파고다 공원 . 바둑 두는 노인들 |
3) 돈 포터(Don Potter) 나는 돈이 바둑 기인 중 세계 랭킹 1위 후보라고 생각한다. 그와 30년 간 친하게 지내면서 나로서는 도저히 상상이 안 되는 일을 그가 계속 저지르기 때문이다. 그는 동양학을 전공했고 박사 학위가 있는 사람이 바둑으로 석사논문을 또 쓴 사람이다. 피아노는 전공자보다 실력이 좋아 어려운 오페라 아리아도 초견(初見)으로 반주를 한다. 호주 바둑모임에는 그가 반주를 하고 내가 노래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도 그래이처럼 대학교수였다가 부자가 되어 조기사임을 한 사람이다. 자기 부모가 죽으면서 엄청난 유산을 물려받았기 때문이다.

▲ 돈 포터 |
세계바둑대회에 가면 프로들이 각국 아마대표가 둔 바둑을 복기해 준다. 여기에 참여해 일본어나 중국어로 마구 떠들고 거침없이 깔깔대고 웃는 서양인이 한 명 있으면 그는 분명 돈이다. 그의 목소리는 높고 카랑카랑해서 웃음 소리가 멀리서도 들린다. 그는 대회와 아무 관련 없이 선수단이 묵는 호텔에 자비로 묵으면서 바둑인과 몰려 다닌다. 그는 일본 프로기사들과도 친분이 많아 마치 대회 관계자처럼 보인다. 그는 중국계 일본기사 왕리청 9단을 저단시절에 자기 집에 몇 달간 묵게 한 일도 있다. 그는 종종 나에게 “한국 바둑이 세계최강이 될 줄 알았으면 젊어서 중국어, 일본어 대신 한국어를 배울 걸 그랬다”고 한다. 그의 중국어나 일본어 실력은 중국/일본인들이 수준급이라고 인정한다. 어디에 가서 한문 시(詩)가 걸려 있으면 돈은 중국어로 읽어 내려가며 뜻을 해석해 준다.

▲ 돈은 목장에서 아침마다 조깅을 했다고 한다 |
그가 20년 전쯤 타스마니아(Tasmania)란 섬에 500만 평이 넘는 목장을 샀다. 목장 일을 모르는 사람이 그 먼 곳에 목장을 왜 샀는지 그것조차 엉뚱하다. 다만 타스마니아에 사는 에반스 2단과 친분이 있어 그쪽으로 연관이 되었을지 모른다는 짐작만 간다. 그가 거기에서 무언가 이상한 일을 벌일 거라는 나의 예감은 적중한다. 돈이 목동을 뽑을 적에 응모자들은 서약서에 서명을 해야 고용이 됐다. 그 서약서는 목장 일이 끝나고 식사 후 두 시간쯤 돈에게서 바둑을 배운다는 약속이다. 돈은 자신이 채용한 목동들에게 바둑이 그들의 두뇌를 개발시켜 준다고 설득해서 고용인 전체가 바둑을 배우게 했다. 밤마다 자석판으로 돈이 강의한 뒤 그들끼리 바둑을 두게 했다. 3년쯤 지나 그 중 17세 소년이 2단이 되어 호주 청소년대표로 세계대회에 출전을 한다.

▲ 타스마니아 수도 호바트 (Hobart). 86년 호주대회 개최. 서봉수 9단과 박치문씨가 온다. 여기서 서사범은 오송생 9단과 5번기를 두고 박위원은 나를 꺾고 오픈 챔피언에 오른다. |
그것으로 그의 시험이 끝났음인가? 그는 목장을 팔고 시드니에 팜(Palm)비치라는 부자동네로 이사를 간다. 그가 우리부부를 식사에 초청하길래 가 봤더니 그의 집에 동네 아이들 40여명이 몰려와 바둑을 두고 있다. 웬 아이들이냐고 물었더니 “바둑을 두어 이긴 아이에게는 2불씩을 준다. 40명이면 이기는 애가 20명이 나오고 2불씩 20명이면 40불밖에 안 된다. 이 중에 벌써 바둑에 호기심을 보이는 애들이 나오고 있다”고 한다. 2불씩 받은 아이들이 아이스크림 집으로 뛰어 가는 게 보인다. 그가 창안해 낸 독특한 방법의 바둑보급이다.

▲ 건너편 섬에서 본 팜 비치 (Palm beach) |

▲ 팜 비치 (Palm beach). 이 해변가에 돈이 살았다 |
돈이 착한 일만 한 것도 아니다. 그는 자기 눈에 거슬리는 사람은 바둑회에서 쫓아내는 일도 한다. 클라이브(Clive Davis)는 고졸 학력의 재향군인회 직원이다. 그는 바둑을 열심히 두어 20대 중반에 강한 3단이 되었다. 클라이브는 호주바둑협회 초대재무로 공헌도 많이 했다. 1980년에 내가 김재구 8단 일행을 초청했을 때 한 달 휴가를 내어 자기 차로 수천 킬로를 운전하며 도와준 일도 있다. 거기에다 클라이브는 잘생기고 날카로운 눈매에 자존심이 강한 만만치 않은 청년이었다.
그가 총을 갖고 있다고 수근대기 시작한 것도 그 무렵이었다. 그가 화를 내면 누구나 충돌을 피했다. 그리고 클라이브 외 또 한 명. 나이트 클럽 트럼펫 주자 글렌(Glynn Divine) 2단이 있다. 그들은 돈의 눈으로는 바둑회 회원이 되기에는 수준미달이었다. 돈은 가끔 “우리들 사이에 저 두 명이 끼어서 분위기 망친다”고 투덜댔다. 그러나 내가 그들을 감싸고 있어 어떻게 하질 못 했다.

▲ 앞줄 오른 쪽이 돈 포터 2009년 8월 8일 한국대사배 |
그러다가 한번은 클라이브가 세계대회에 나가는 결정판을 나에게 지고 화가 나서 소리를 막 지른 일이 있었다. 나는 그 해에는 어차피 못 나가기 때문에 져도 상관 없는 판이었다. 그렇다고 내 입장에서 일부러 져 줄 수는 없었다. 그 패배로 클라이브가 가장 미워하는 라이벌 쿵이 세계대회에 나가게 되었다. 승률은 같은데 스위스 제도로 꼭 1점 차였다.
조용히 바둑 두던 모든 사람이 놀랐다. 나에게 소리지른 게 아니고 자기 자신에게 화를 낸 거라고 변명했으나 나는 그를 불러 “연장자에다가 상수 앞에서 무례한 짓” 이라며 기어이 사람들 앞에서 나에게 사과를 시킨 일이 있었다. 그 때 저 멀리 앉아서 놀라움과 반가운 웃음으로 날 쳐다 보는 돈의 얼굴이 내 눈에 비쳤다. 나중에 사람들이 한국문화가 자기네와 다른 걸 그 때 나의 단호함을 보고 알았다고 했다.
클라이브의 사과를 받은 후 나는 그와 다시 친한 감정으로 돌아왔는데 돈은 내가 클라이브를 싫어하는 줄 알고 그를 바둑계에서 쫓아 낸다. 쫓아내는 방법도 좋지 않았다. 돈은 먼저 포커 판을 크게 벌였다. 돈이 클라이브에게 1500불 이상을 따게 되었다. 클라이브가 “지금 돈이 없으니 나중에 주겠다”고 하자 돈은 “그 돈을 안 받을 테니까 영원히 꺼지라”는 가장 모멸적인 방법으로 그를 그 포커 판에서 쫓아냈다고 한다. 그는 글렌도 쫓아냈다. 글렌은 잘 곳이 마땅치 않아 내가 한인회관 바둑클럽에서 자도록 해 주었다. 그는 침낭을 가져와 그 방에서 자면서 청소도 잘하고 관리도 잘 했다.
글렌은 바퀴벌레를 손으로 잡는 재주가 있다. 호주 바퀴벌레는 크고 아주 빠르다. 잡은 바퀴벌레를 왼 주먹에 쥔 채 오른손으로 바둑을 두고 있으면 마음 약한 상대는 거기에 신경을 쓰느라고 돈을 잃는다고 했다. 당시 한 판에 10불짜리 내기가 유행했었다. 그를 어떻게 쫓아 냈는지 모르지만 역시 돈이 그의 가난한 약점을 잡은 후 모멸감을 주었으리라 짐작한다. 그 후 돈은 자기가 바둑계를 정화했다며 의기양양했다고 한다.
나는 이 일로 돈에게 한 동안 화가 나 있었다. 2년 전에 시드니 공항에서 그가 날 보고 반가워 달려와서 포옹을 한다. 그 동안 그의 몸이 불어서 처음엔 내가 누군지 얼른 몰라봤다. 60대까지는 매일 조깅을 해서 호리호리했는데 70이 넘은 지금은 옛날 그만의 날카로운 분위기가 없어졌다.

▲ 시드니 한인 바둑모임 ( 앞줄 왼편 이정웅 한인바둑회장 . 다음 줄은 최해택 화백 ( 좌 ) 과 진양일 박사 |
돈은 바둑이 두고 싶어서 부자동네 팜비치에서 가난한 한인촌 캠시(Campsie)로 거처를 옮겼다. 부자인 그가 독신으로 일생을 사는 이유는 나도 모른다. 혹시 바둑 때문에? 그도 최근에 안영길 사범과 가까이 지내고 있다. 마침 안 사범도 피아노를 치고 작곡도 한다. 70대 중반의 그가 안 사범과 앞으로 무슨 일을 저지를까? 기대된다.
4) 데이빗 에반스(David Evans) 하루는 데이빗이 시드니대학 내 연구실로 장거리 전화를 했다. 자기의 어려서부터 취미가 목수 일인데 요즘 바둑판을 만들어 보면서 직업을 목수로 바꾸고 싶은 충동이 생겼다는 내용이다. 그가 은퇴를 3년 앞 당겨 바둑판 제작업자가 되려고 하는데 나에게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내용이었다. 보통 65세가 은퇴니까 그가 그 때 62세였나 보다. 당시 그는 타스마니아 국립의료원 원장으로 저명한 의사였다. 내가 말리니까 그럼 자기가 만든 바둑판만이라도 평가해 달라고 한다. 나에게 바둑판을 가져오겠다고 한다. 그것까지 말릴 수 없어서 허락했다. 사흘 후 주말을 이용해 데이빗이 2000 킬로를 비행기로 날아와 시드니 우리집에 찾아 왔다. 타스마니아에서 나오는 11가지 나무로 소형 바둑판 11조를 만들어 들고 왔다. 내가 바둑돌을 두들겨 보고 너무 딱딱하거나 부드러운 것은 빼고 몇 개를 골라 주었다.
그는 장시간 바둑판 만드는 일에 대해 설명을 했다. 한국에 보낼 판이면 한국 1년 평균 습도에 맞추어 컴퓨터 건조실에서 말린다고 했다. 그러면 한국에서 판이 휘지 않는다고 한다. 결을 따라 판을 자르는 방법도 알려 준다. 또 판을 반 쪽씩 나누어 붙여야 왜 더 좋은지도 설명한다. 줄은 컴퓨터로 1000분의 1 밀리도 안 틀리게 친다고 한다. 나무 색깔도 본인 취향에 맞게 고를 수 있다고 한다. 바둑판 밑에 코르크 판을 붙여 유리 테이블에 올려 놔도 상처가 안 나게 했다고 한다. 내가 그렇게 만들면 생산가가 높아 수지가 맞겠느냐고 했더니 명품 만드는 보람을 말하고 자기가 돈은 좀 있다고 한다. “이 사람이 아무리 목수 일이 좋아도 이렇게 까지?” 그는 이미 상태가 심각한 수준이었다.

▲ 내가 갖고 있는 에반스 바둑 판 . 바닥에 코르크를 붙여 유리 위에 놔도 긁히거나 움직이질 않는다 . |
데이빗이 나에게 한국에 언제 가느냐고 묻길래 다음 달 방학에 간다고 했더니 자기가 따라가도 되겠느냐고 한다. 수천 년 바둑판을 만들어 온 한국 명인들의 바둑판 제작의 노하우를 알아보고 싶다는 것이었다. 다음 달 내가 그와 같이 한국에 와서 한국기원에 데려갔다. 한국기원은 데이빗에게 직원 한 명과 함께 한일바둑판 수원공장에 견학을 갈 수 있도록 주선해 주었다. 나는 그가 다녀올 동안 기사실에서 바둑도 두고 양재호, 유창혁 두 사범과 식사도 하면서 시간을 보냈다.

▲ 데이빗이 수원에 간 동안 양재호 , 유창혁 사범과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필자(관철동 어느 카페) |
저녁 무렵에 돌아온 그는 실망한 태도가 역력했다. 나에게 “한일바둑 공장엘 갔더니 대패질, 줄로 가늠해서 나무를 자르고 줄을 치는 모든 게 너무 원시적 방법이라 놀랐다” 고 한다. 한국이 자동차와 컴퓨터를 만드는데 왜 바둑판은 아직도 그렇게 만드느냐고 한다. 자기 예상과 너무 달랐다고 쓴 입맛을 다신다. 바둑판 제작에 미쳐 일찍 은퇴한 데이빗은 결국 이혼을 당한다. 그의 바둑판은 거의 안 팔렸다. 그가 나에게 1986년에 준 ‘자라’라는 나무로 만든 바둑판은 20년 이상 쓰자 줄이 희미해졌다. 줄은 똑바로 쳤어도 물감은 잘못 선택한 것 같다. ^^

▲ 줄이 희미해진 자라 나무 바둑 판 |
홀아비가 된 데이빗은 시드니로 돈 포터를 찾아가 일생 그의 꿈이었던 슈베르트(Schubert)의 연 가곡 ‘겨울 나그네(Winterreise)’ 전 24 곡을 독일어로 외워서 불렀다. 완창(完唱)하는데 1 시간 반쯤 걸린다. 돈의 반주로 6개월간 맹연습을 했다고 한다. 그의 발표회에 갔던 사람들은 그의 목소리가 너무 안 좋아서 부르는 본인 외에는 아무도 못 즐겼다고 한다. 그의 목소리는 작고 달달 떨기까지 한다. 그리고 보니까 에반스가 한국 룸살롱 술자리에서도 성곡(聖曲)을 불러서 분위기를 망친 기억이 난다. 그는 타스마니아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단에서는 오보를 불었다.

▲ Franz Schubert 와 그의 친필 악보 |
데이빗은 이 무렵 주위의 권고와 도움으로 호주바둑협회(AGA) 회장 자리에 오른다. 그는 회장직에 전력을 다 했다. 그러나 열성하고 능력은 조금 달랐다. 그가 3년간 회장을 하고 났을 때 내가 회장직에 출마를 하자 그가 당혹해 하던 걸 생각하면 지금도 미안하다. 그가 나에게 선거에서 지자 실망감을 노골적으로 나타내었다. 내가 일본 바둑클럽과 교류전에서 호주바둑인을 대표해서 그에게 인사말도 시키고 전임회장 예우를 계속 잘 해주자 나에게 마음을 풀고 협조하기 시작한다. 잘 나가던 의사가 이혼을 당하고 타향에서 작은 방을 하나 얻어 살고 있는 데이빗을 보는 내 마음은 착잡하다. 그러나 그가 좋아하는 바둑을 두며 천진난만하게 웃고 있는 모습을 보면 “지금이 저 사람에겐 일생에서 가장 행복한 때일지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행복은 주관적인 거니까.

▲ 세계대회 동포챔피언 좌 (左): 정의선(스웨덴) 이학용(한국) 홍성화(캐나다) 김인(한국단장) 에반스(호주단장) 신흥수(미국) 한상대(호주) |
5) 데본 베일리(Devon Baily) 3년 전인가 우리집 사람이 호주에 세미나 참석차 가게 되었다. 내가 간 김에 호주바둑협회 회장 데본을 만나 몇 가지 일에 대해 상의하고 결과를 알아오라고 했다. 시드니에 도착한 집 사람이 데본에게 전화를 했더니 목소리에 힘이 없어서 이상하게 생각했다고 한다. 그가 “오늘은 힘이 들고 내일쯤 만나도록 노력해 보겠다”고 하길래 집사람이 “나도 내일은 캔베라에서 회의가 있는데 오늘은 안 되느냐”고 했더니 데본이 “사실은 심장수술을 받고 어제 퇴원했다. 의사가 나더러 여러 날 침대에서 꼼짝 말고 있으라고 했는데 바둑 일이라면 무리를 해 보겠다”고 했다. 놀란 집사람은 “중요한 일이 아니니까 다시 연락 하겠다”고 하며 얼른 전화를 끊었다고 한다. 집사람은 지금도 “그때 데본이 나와서 저와 얘길 하다가 쓰러지기라도 했으면 어쩔 뻔 했어요?” 하며 아찔해 한다. 진정한 바둑 쟁이는 바둑이라면 목숨도 건다?

▲ 데본 베일리 |
데본은 대학에서는 물리학을 전공했으나 교육자로 풀려 고등학교 물리교사, 교감을 거쳐 교장이 되었다. 시드니 남부에 있는 명문 사립고 교장이었다. 호주–뉴질랜드 국가대항전이 그의 학교에서 주말을 이용해서 열렸을 때다. 대회장이었던 내가 “내일 블루마운튼(Blue Mountain)에 피크닉을 가는데 우리가 오후 6시경에 바비큐(Barbeque)를 하니까 점심은 샌드위치로 먹으려고 한다. 30인 분이 필요한데 자원자를 찾는다” 고 했더니 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데본이 손을 든다. 내가 “몇 명분이나 해 오겠느냐”고 했더니 “30인분을 다 해오겠다”고 한다.

▲ 호주 - 뉴질랜드팀이 피크닉을 간 불루 마운틴 (Blue Mountains) 의 세 자매봉 (3 Sisters) |
나는 그때 대학생 딸과 같이 서있던 그의 부인이 그를 노려보는 눈빛을 보았다. 죽일 것 같았다. 단상에서 얘기를 하고 있는 나만 다 볼 수 있었다. 교장관사가 학교 바로 옆이라 데본 가족이 총출동하여 행사를 도와주고 있었다. 내가 “다른 사람과 나누어서 하면 어떻겠느냐”고 했더니 “내 아내와 딸이 샌드위치를 맛있게 만든다”며 “다 만들겠다”고 한다. “이 사람이 가정에서 수읽기가 제대로 되고 있는 거야?” 나는 걱정이 되었다. 다음 날 샌드위치 30인 분은 해 왔으나 그로부터 몇 개월 후 데본은 이혼을 당한다.
그는 교수들이 주축이 된 바둑협회 집행부와 코드가 안 맞아 이사직 한번 안 한 채 시드니 바둑클럽 회장만 20년 가까이 하고 있었다. 한인촌에서 가까운 애쉬필드(Ashfield)에 있는 웨스트리그 클럽(West League Club)에 방 하나를 얻어 시드니 바둑클럽(Sydney Go Club)을 운영했다. 데본은 항상 제일 먼저 나와 바둑판 세트를 제 자리에 놓고 끝난 후에도 끝까지 남아 정리를 했다. 오랜 세월 꾸준히 봉사하는 데본을 보면서 나는 존경심까지 생겼다. 데본도 자존심이 세어서 섣불리 타협을 안 하는 성격이다.
그가 시드니 바둑클럽 이름으로 1990년에는 일본 기성전 도전기를 시드니에 유치한 적이 있었다. 가토, 고바야시, 다케미야, 임해봉 등이 오고 해설은 레드몬드가 맡았다. 호주 문화성장관과 일본대사, 국회의원도 여러 명 참석한 자리에서 데본이 호주챔피언인 나는 자세히 소개하면서 바둑협회 회장단 소개는 한마디만 슬쩍 하고 지나갔던 기억이 난다. 데본과 사이가 별로이었던 집행부가 다 물러가고 10여 년 후에야 회장이 되더니 그는 오랫동안 그 자리에 머무른다.
호주대회가 시드니에서 열렸을 때다. 대회장인 내가 애들래이드에서 온 짐(Jim Bates)을 데본 네 집으로 배정했다. 조금 있다가 짐이 나에게 혼자 찾아 와서 “다른 집은 없느냐?”고 한다. “왜 그러느냐?”고 했더니 자기와 데본은 사이가 안 좋다고 한다. 내가 “2년 전에도 그 집에 묵지 않았느냐?”고 했더니 “그 때 서로 말을 한 마디도 안 했다”고 한다. “그 집에 닷새를 지냈는데 어떻게 한마디도 안 할 수 있나? 내가 같이 차를 타고 다니는 걸 봤다”고 하자 “차 안에서도 한마디 안하고 그 집에 가서도 지정해 준 침실로 들어가고 아침에 부엌에 가서 먹을 걸 먹고 그의 차를 타고 대회장을 왔다 갔다 했으나 서로 말은 전혀 안 했다”고 한다. “이런 변태들 봤나?” 나는 할말을 잃었다. 할 수 없이 짐을 한국인 집으로 보냈다.
데본은 스위스제도 진행전문가이고 짐은 랭킹점수제 전문가다. 내가 머리를 굴려 둘에게 대회진행을 맡겼다. 서로 의논과 협력을 안 하면 대회 진행을 할 수 없게 만들었다. 드디어 기적이 일어났다. 둘이서 진행도표를 테이블 위에 놓고 앉아 서로 대화를 한다. 서로 쳐다보고 웃기까지 한다. 내가 한국인들에게 그들을 가리키며 “저 두 명이 서로 원수인데 내가 저렇게 친하게 만들었다”고 자랑을 했다. 그런데 웬 걸 대회가 끝나자 마자 다시 원수로 돌아 간다. 공과 사가 분명했다. 나는 서양에 그렇게 오래 살면서도 그들이 자기 감정과 책임을 명확히 구분하는데 문화충격을 받았다.

▲ 양사범에게 지도 받는 데본 그 옆은 돈 포터 ▲ 호주 팬에게 사인해 주는 조훈현 9 단 |
1990년대 후반 어느 날. 강남 법원 건너편 한일바둑판 근처 중국식당에서 나는 데본 베일리와 오송생 9단을 만나고 있었다. 호주바둑협회(AGA) 전임회장, 현 회장, 국가사범 3인이 서울에서 회동한 셈이다. 그 자리에 데본은 루(Lou)라는 자기의 새 부인을 데리고 나왔다. 전 부인은 교장 부인 같았는데 비해 루는 젊지만 분위기가 달랐다. 데본이 나에게 “루는 나의 바둑활동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해서 결혼했다”고 그녀 앞에서 말한다. 거기다 오 9단은 한 술 더 뜬다. 한국말로 “내 처는 호랑이 띠고 나는 닭 띠라 서로 안 맞아. 그래서 이혼했어” 한 사람은 바둑활동에 협조한다는 조건으로 결혼하고 한 사람은 띠가 안 맞는다고 이혼했다. “이 거 결혼과 이혼이 이렇게 쉬운 거야?” 내가 좀 혼동되어 있는데 오 9단이 “이거 내 새 와이프(Wife)입니다” 하며 사진을 보여준다. 그 당시 그는 존댓말과 반말을 혼용하고 있었다. 하얼빈 여자라는데 딸이 하나 있고 나이는 오 9단 보다 20여 년이 아래였다. 미인이라 모델처럼 보였다. 그들의 전처들과 잘아는 나로서는 젊은 부인을 얻은 이 두 명에게 무슨 말로 어떻게 축하를 해 주어야 할지 몰라 한 동안 헤맸다.

▲ 앞줄 오른쪽이 데본 베일리 . 한국대사배 시드니(2009년 8월 8일) |

▲ 톰 , 데본, 돈 3명이 함께 모였다. 2009년 8월 |
6) 네블 스마이스(Neville Smythe) 네블은 호주 바둑계에서 비중으로는 가장 큰 인물이다. 그는 초대 호주 바둑회장을 맡아 10년간 회장으로 호주 바둑계를 이끌었다. 그를 지금에서야 소개하는 이유는 그가 기인(Weirdo)이 아니어서 사고를 안 치기 때문이다. 그에 대해서는 재미있는 얘깃거리가 없다. 네블은 다만 조심성이 너무 많아 나를 답답하게는 만들기는 한다. 그러나 언행이 언제나 모범생다웠다. 예를 들어 내가 북한에 간다니까 그렇게 말리더니 내 결심이 굳은 걸 보고는 “그럼 호주팀 단장을 맡지 말고 숨죽이고 바둑만 두고 오라”고 한다. 호주팀 단장은 북한에 잘 안 알려진 신명길 7단을 시키라고 한다. 네블이 “국제적으로 알려진 당신이 단장을 맡아 어쩌다가 발언을 잘 못해 북한에 억류되면 어떻게 할 거냐”며 국제전화로 걱정걱정을 한다. “북한에 가는 나는 걱정을 안 하는데 왜 자기가 난리야?” 나는 평양에 가서 호주팀 단장을 맡았다. 그리고 무사히 돌아 왔다.

▲ (좌) 네블 스마이스, 안영길 사범, 이정웅 한인바둑회장, 이세나 7단, 신명길 7단, 최태진 총무(2009년) |
내가 1993년 회장이 됐을 때다. 신임 총무를 지명해야 하는데 내 마음에 꼭 드는 사람이 안 보인다. 그 때 네블의 얼굴을 보니까 스치는 생각이 있었다. 내가 단상에 올라가서 “네블 스마이스 교수가 10년 이상은 회장직을 안 하겠다는 약속을 지켰다. 그러나 그의 능력을 썩히기에는 호주 바둑계를 위해 너무 아깝다. 네블이 총무직을 맡아 나를 도와주길 바란다”고 하며 네블을 총무로 지명했다. 참석자들이 모두 놀랐다. 그는 호주 바둑계 대부로서 최고의 거물이었기 때문이었다. 사람들이 숨죽이고 있는데 네블이 일어나더니 “총무로서 신임회장 한교수를 도와 열심히 일을 하겠다”고 하자 다들 또 한 번 놀란다. 그래서 네블이 호주 바둑협회 총무가 되었다.
그 무렵 호주 야당인 자유당에서는 당수와 부당수가 의견 충돌을 빚었다. 그들은 임시전당대회를 열어 투표로 대결했는데 부당수가 이겨 새로운 당수가 되었다. 그러자 그가 곧 퇴출 당한 당수를 부당수에 지명하자 어제까지 당수였던 사람이 그걸 수락한다. 두 명이 자리만 바꿔 앉았다. 예비내각(Shadow Cabinet)에서 야당의 당수는 수상, 부 당수는 외무상을 맡는다. 전직 당수인 새 부당수는 외교문제를 열심히 공부해서 국회에서 여당의 외교정책을 공격하며 그 방면에 전문가가 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나는 그 때 살아있는 민주주의를 직접 목격했다. 3년 후 전당대회에서 그가 이겨 다시 당수로 돌아온다. 바둑회 사람들은 네블이 총무가 된 걸 “바둑계의 자유당 사건”이라고 했다.
내가 멜본에서 8년을 산 뒤 켄베라로 옮겨갈 적에 네블 부부가 나서서 내가 살 집을 구해 주었다. 자기네가 약 20군데 후보를 미리 찾아 놓고 국립대학 행정직 높은 자리에 있던 그의 부인 모우라가 우릴 안내하고 다녔다. 나는 네블 집에서 약 5분 거리에 집을 샀다. 그 후 내가 시드니대학 교수가 되어 시드니로 이사 갈 때까지 5년간 이웃으로 우리는 가깝게 지냈다. 내가 네블이란 사람을 알기 때문에 그를 총무로 지명할 수가 있었다. 네블은 현재 국제바둑연맹(IGF) 오세아니아 이사로 있다. 돌이켜 보면 누가 회장이 되든지 네블은 언제나 호주 바둑계의 실질적 지도자였다.

▲ 나와 네블이 살던 동네 Red Hill. |

▲ 앞줄 : 안영길사범, 이정웅회장, 네블 스마이스 교수 뒷줄: 2009 한국대사배 각 조 입상자들 |

▲ 캔베라 신 , 구국회의사당(앞 건물) |

▲ 캔베라 타워 . 오른쪽 산 (남산타워와 똑 같이 생겼다 . 캔베라가 1년 먼저 세움 ) |

▲ 캔베라의 밤. |

▲ 600미터 고원에 들어선 호주 수도 캔베라. |

▲ 저녁에 골프장에 모인 야행성 동물 캥거루. |

▲ 백인들이 5백만명이었던 원주민을 노예로 쓰고 거의 다 죽였다. 현재 인구는 47만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

▲ 4만년 전으로 추정되는 동굴 속 원주민 벽화 ▲ 속이 빈 통나무 관(棺) |

▲ 원주민 발명품. |
| | |
세계바둑사 |
호주 바둑이여, 영원하라 ③ |
호주바둑 협회 현황 및 역대 사범 소개 | | |
2009-09-03 오전 1:24:15 입력 / 2009-09-03 오후 1:15:14 수정 |
| |
 ▲ 코알라(Koala) |
 ▲ 로젤라 (Rosella). 내가 아침에 우리 집 베란다에 나가면 이 놈들이 날라 와서 내 머리와 어깨에 앉는다 |
 ▲ 쿠카바라(Kookaburra) 웃는 소리가 사람 같은 새(Laughing bird) |
 ▲ 항구 베란다에 온 코카투(Cockatoo). 훈련시키면 말을 잘 한다. 고기 맛이 없고 우는 소리가 시끄럽다 |
 ▲ 멜본 시내 한 복판으로 흐르는 야라(Yarra) 강 |
○…한인 바둑회
호주 첫 한인 바둑회는 멜본에서 생겼다. 1976년에 내가 조직했다. 3 형제가 태권도 사범으로 수 천명의 제자를 두어 국위를 선양한 “Rhee’s Taekwondo” 맏형 이종협 사범이 초대회장이 되었다. 나는 사범이 되었다. 그러나 멜본 한인바둑회는 회원이 20 여명 밖에 안 되는 작은 클럽이었다. 내가 멜본대학 대학원에 있으면서 같은 해 멜본대학 바둑클럽도 만들었는데 이 클럽은 아직도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한인동포 인구가 제일 많은 시드니에서 한인바둑회는 1985년 8월 15일 광복절기념 바둑대회를 계기로 창립되었다. 교민신문 ‘대한신보’ 편집인이었던 내가 산파역을 맡았다. 초대회장은 원로 바둑인 안광호 5단이 맡았다. 그는 많은 기행과 일화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 멜본대학 클럽(Melbourne Uni Students Playing Go, 15 May 2009) | 1) 안광호 초대회장 황해도가 고향인 안 선생은 서울대학교 재학 시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군대에 나가 장교가 된다. 전쟁 중 총탄부상도 당하고 대위로 육사교관 시절엔 전두환과 노태우 생도를 가르치기도 했다. 월남전에 기술자로 진출하여 17만 재월 한국인 중 바둑챔피언을 지냈다. 그는 1974년에 호주로 들어 와서 가족과 함께 시드니 중심부에서 약 40분 떨어진 쿠링가이란 외곽에 살았다. 내가 전화를 하여 “안선생님, 바둑 한판 하실 시간 있으세요?” 하면 30킬로나 떨어진 우리 집에 금방 나타난다. 연로하신 분이 시내를 평균 100킬로로 달리기 때문이다. 그는 과속으로 운전면허가 취소 되기도 했다. 그는 자존심이 엄청나게 강하면서 누구보다 겸손하다. 그는 내기바둑 판에서는 언제나 좌장이었다. 그래서 젊은 사람들이 함부로 행동을 못 했다. 그의 고집과 칼날 같은 성격 때문에 수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 내기도 했다. 안 5단을 주인공으로 바둑소설을 쓰려는 시도도 몇 번 있었다. 안 선생(5단 1930년생)은 이제는 연로해서 활동이 뜸해지고 집에서 자적하고 있다.
 ▲ 초기 시드니 바둑회 중심인물: 앞줄 왼쪽 신7단, 가운데 필자 오른쪽 끝 최화백 그 뒤 안회장 | 2) 초기 바둑인의 애환 나는 바둑을 통해서 너무 많은 걸 얻었다. 그러나 바둑을 통해 많은 걸 잃은 사람들도 있다. 1970~80년대에는 시드니에 사는 한인바둑 회원들은 모일 장소가 없어 주말이면 이 집 저 집으로 몰려 다니면서 바둑을 두었다. 내기 바둑의 속성상 걸핏하면 밤을 새우는 등 민폐가 심했다. 한국에선 고학력자자들이 당시 시드니에선 청소, 택시운전 등 노동을 하며 살고 있었다. 그들이 주말에 모여 바둑으로 웃고 떠들 때가 이민생활의 스트레스를 푸는 시간이었다. 그러나 대부분 부부가 단순 노동으로 맞벌이를 하던 시절 음식대접 등 온갖 심부름을 해야 하는 부인네들에겐 못 할 짓이었다. 점점 바둑 기피증-혐오증 가정이 생기더니 드디어 바둑 두는 남편 때문에 우울증 증세를 나타내는 부인들까지 생겼다. 사방에서 부부싸움도 잦아졌다. 한번은 H씨집 부인이 바둑을 아주 싫어하는 걸 알면서도 수순상 그 집에서 바둑모임을 가졌을 때 일이다. 바둑을 한참 즐기고 있는데 방 문이 벌컥 열리더니 그 집 부인이 눈에 초점을 잃고 실성한 표정에 손에는 도끼를 들고 서 있었다. 그 표정과 도끼가 너무 섬찟해서 다 숨도 못 쉬고 있었다. 그런데 그 부인이 갑자기 뭐라고 소리를 지르며 뛰어들어와 자기 남편이 두고 있던 4촌 두께 바둑판을 도끼로 몇 차례 찍었다. 바둑 알이 사방으로 튀고 아수라장이 되었다. 10여명이 바둑을 두다가 말고 허겁지겁 신발을 찾아 신고 뺑소니를 쳤다. 사실 그 집 남편은 바둑을 너무 좋아해서 절제는 없었다. 내가 1978년 초대 호주챔피언이 되었을 때 그가 “한상대 바둑은 관전해 봤는데 별거 아니야. 내가 가서 혼을 내 주고 오지” 하고 1000킬로가 넘는 멜본 우리집에 와서 치수고치기 바둑을 두기 시작했다. 치수가 더 벌어지자 그는 본전이라도 찾으려고 사흘 밤을 새우게 된다. 방학 때라고 해도 우리가 계획한 일이 많았는데 그 분 때문에 포기해야 했다. 나보다 한참 연상인 분이라 어떻게 할 수도 없었다. 새벽 두 시쯤 그가 “아주머니 출출한데 밤참 좀 내 오세요” 하고 소리를 지르면 자고 있던 우리집 사람이 벌떡 일어나서 부엌으로 가서 음식을 차리곤 했다. 그는 또 바둑을 두며 쉬지 않고 노래를 한다. 그 것도 가곡만 부른다. 내 원래 전공은 정치학이지만 음대에서 정식으로 성악공부도 한 나에겐 괴로운 시간이었다. 우리 집 사람도 그 때부터 그를 미워하기 시작했다. 하물며 자기 아내에게는 어떻게 했을지 짐작이 간다. 그 후 그 부인 증세가 점점 나빠진다는 소문이 들리더니 스트레스가 암으로 발전했다는 소리까지 들린다. 그래도 남편은 계속 바둑을 두었다. 몇 년 후에 우리는 그 부인의 사망 소식을 들었다. 사실 그 부인을 바둑인들은 용서를 못하고 기회만 있으면 뒤에서 비난을 하고 있었다. 나도 그 중에 한 명이었다. 사망 소식이 들려오자 그 비난이 멈추었다. 바둑광이던 남편도 바둑을 끊었다. 그는 그 후 신앙생활에 몰두하고 있다는 소문만 들린다. 최근 내가 시드니에 전화로 물어 봤더니 현재도 바둑 때문에 우울증을 앓고 있는 부인들이 있다고 한다. 서양인 같으면 남편을 집에서 쫓아내고 이혼이라도 할 수 있을 텐데. 나는 이 글에서 한국인 바둑광 얘기는 생략할 생각이다. 조금 써보려니까 나도 연루 된 일이 많고 감당 못할 내용이 많아서다. 3) 최해택 회장 안 5단 뒤를 이어 정광철, 최종옥씨 등 바둑계 원로들이 차례로 회장을 역임했다. 1988년에는 시드니로 이사간 필자가 회장을 맡았다. 2004년 한인바둑회 창립 20주년 기념식에서 호주바둑협회(AGA) 데본 베일리 회장이 축사를 했다. 그는 축사 에서 “한인 바둑역사 20년 중 첫 10년간은 한상대교수를 구심점으로 돌아갔고 그가 귀국한 후 다음 10년은 최해택 화백이 중심이 되어 움직였다”고 했다. 호주문인협회 윤필립 회장은 신동아에 기고한 글에서 최화백이 ‘바둑의 낭만시대를 열었다’는 평을 했다. 대구 계명대학에서 미술강사였던 최 5단은 화풍이 미국의 천재화가 폴록(Jackson Pollock)을 많이 닮았다. 그래서 내가 그를 “최폴록” 이라고 부른다. 그는 1991년 자기 화실을 기원으로 꾸며 ‘시드니 기원’을 차렸다. 당시 시드니에는 한국인 유단자가 7~80명에 5단만 2~30명을 헤아렸다.
 ▲ 잭슨 폴록(1912~1956) 작품 | 모일 자리가 생긴 바둑인들은 시드니 기원에 모였다. 더 이상 ‘도끼사건’은 생길 일이 없어졌다. 친화력이 좋은 기분파 최회장은 회원들과 자주 어울려 술집에도 가고 노래방도 다녔다. 특히 카페 ‘템테이션(Temptation)’이 아지트였다고 한다. 바둑인들은 여행도 같이 가고 내기 바둑으로 야통(夜通)도 하고 한-중-일 3국 바둑클럽 대항전도 주선했다. 한국에서 온 중앙일보 전문위원 박치문 7단 VS 왕우비 8단, 세계일보 기자 이승현 6단 VS 지보근 7단과 내기 바둑 3번기도 성사 시켰다. 이 시기에 바둑인들은 최화백의 주도로 낭만을 만끽하면서 바둑을 즐길 수 있었다. 나에겐 없는 능력이다.ㅠㅠ
 ▲ 박치문위원과 이승현기자 시드니기원 방문(1991). (내 옆 안경)왕우비 VS 박치문 3번기. 왕우비 2대 0 승. 나는 이 바람에 50불을 잃었다. 그 옆 대국은 지보근 VS 이승현. 플래카드는 원장인 최화백이 썼다. | 안영길 사범이 호주에 오자 최화백은 시드니에서 500킬로쯤 떨어진 탬워스(Tamworth)란 내륙도시에서 열리는 컨트리 뮤직 페스티벌(Country Music Festival)에 그를 데려갔다. 멋쟁이 아니면 엄두를 못 낼 일이다. 그는 그림소재를 찾는다는 핑계로 평소 여행을 많이 다닌다. 추상화를 그리는 사람이 소재를 찾으러 그렇게 자주 여행을 할 필요가 있을까? 내가 보기에는 그의 ‘방황성의 발로’인 것 같다. ^^ 그는 가끔 안사범을 자기 모텔에 데려가 재우기도 한다. 최화백과 안사범. ‘둘만의 낭만시대’를 열기 라도 한 건가?
 ▲ 탬워스 골든기타 앞에 선 안사범, 최화백, 허사범(모자에 반바지는 호주식 차림) 그런다고 호주사람처럼 보일까? ㅎㅎ | 4) 창립 20주년 행사 2004년 시드니 한인바둑회는 창립 20주년을 맞는다. 기념행사의 하나로 한국에서 3명을 시드니에 초청한다. 조훈현, 양재호 9단과 나다. 나는 바둑회 창립공신으로, 조국수는 유명해서, 양사범은 친호파라 불렀다. 내가 1993년 호주바둑협회(AGA) 회장이 되자 호주대회 심판으로 양사범을 초청했다. 호주대회를 전 후하여 약 한 달을 나는 양사범을 데리고 여행을 다녔다. 양사범은 그 때 호주에 반해서 나중엔 식구들만 데리고 세 번인가 호주를 더 찾았다. 사람이 겸허하고 진지한 그는 교포 바둑인들과 친해지며 양 9단은 친호주파가 되고 호주에는 ‘양재호 팬클럽’이 생긴다. 조훈현 9단의 경우 ‘위대한 챔피언의 방문’이라며 호주 바둑계 전체가 들썩였다.
 ▲ 필자와 조국수 | 한인바둑회 20주년 행사 때 나는 마침 폴란드에서 열린 유럽대회(EGC)에 한국팀 단장으로 가 있어서 못 왔다. 바르샤바에서 전화로 축하 인사말만 전했다. 이런 일을 계획하고 경비를 확보하고 지휘한 최화백의 열정과 능력은 알아 주어야 한다. 회장이 누구이던 간에 이런 행사의 “추진체(Driving force)”는 최화백이었다. 그러다가 최화백이 시드니 북쪽 100킬로쯤에 있는 엔트런스(The Entrance)란 관광지에 모텔을 사서 이사를 가버린다. 그러자 그런 분위기도 바뀌었다. 바둑계에 구심점이 없어진 것이다. 최화백이 바둑행사 때마다 시드니로 와서 돕기는 하나 모텔경영이 바빠서 ‘낭만시대’를 계속 끌고 가지는 못한다. 시드니에서 떨어진 곳에 모텔을 산 것이 나는 혹시 최화백 부인의 묘책이 아니었나 의심도 된다. 그래야 남편이 시드니와 바둑을 떠날 테니까.
 ▲ 야생 펠리컨(Pelican). 최화백네 모텔서 걸어 가는 거리에 있다 | 내가 바둑팀을 인솔하고 호주에 갈 때마다 최화백은 앞장서서 도움을 준다. 친선교류전의 플래카드 붓글씨는 꼭 본인이 쓰고 대회를 준비하는 모든 일에 도움을 준다. 그의 모텔에 우리가 단체로 묵으면 그는 돈을 받지 않으려고 한다. 내가 “공금에서 내는 거니까 받으라”고 강제로 주면 기어이 반 값만 받는다.
 ▲ 바둑영어교실 2005년 팀과 시드니 팀의 친선대회. | 5) 신명길 회장 1985년 멜본 한인바둑회가 10주년을 마지 한다. 교민 인구가 늘면서 그 동안 많이 성장했다. 황용기 바둑회장이 내가 설립자라고 모든 경비를 대주며 우리 가족을 멜본에 초청했다. 내가 공로 패를 받고 난 후 나와 멜본 최강자 신명길 7단과 특별 3 번기가 마련 되었다. 1대1이 되자 호주 챔피언인 내가 질 까봐 그랬는지 황회장이 그만 하자고 한다. 그때 나의 연세대 후배이며 사람이 성실한 신7단이 나와 친해진다. 그가 시드니에 이사온 다음 내가 회장인 단체에는 신명길 사장이 단골 총무였다. 내가 그의 능력과 사람 됨됨을 믿기 때문이었다. 당시 시드니에는 내가 8년 동안 매 월 주도하던 교양모임이 있었다. 원래 이 모임을 시드니 사람들이 “한상대 사단”이라고 불렀는데 시인 고은선생이 참가해 본 후 “밤에 모여 웃는 모임” 이란 뜻의 “야소회(夜笑會)” 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 거기 총무도 신사장이었다. 모임은 먼저 교양강좌를 1시간 갖고 그 후에 BBQ를 곁 드려 각 집에서 가져 온 반찬을 함께 먹는다. 그 다음 여흥 시간에 재미로 회원들을 노래 잘하는 순서를 매기는 프로그램이 가끔 있었다. 여기서 신총무의 순위는 12~3위였던 걸로 기억한다. 그는 자기가 10위 안에 들은 적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회원들에게 물어 보면 “희망사항이겠지요” 하며 웃는다. 순위가 10위 밖으로 나간 가수들 노래는 참고 들어 주기도 힘든 수준이었다. 그런 신 7단에게도 일생 딱 한번 앵콜 곡을 부를 기회가 찾아 온다. 자기 약혼식에서 신랑 노래순서가 있었는데 노래가 끝난 후 누가 실수로 “앵콜!” 하고 외쳤다. 신랑 자리로 돌아가던 신사장이 “앵콜?” 하고 뒤 돌아 보더니 부리나케 마이크로 돌아와 한 곡을 더 부르고 말았다. 주례를 보던 나도 손쓸 틈이 없이 순식간에 벌어진 참극이었다. ^^ 신 7단은 2006년 한인바둑회장을 지냈다. 그는 한인 바둑계를 소리 없이 돕는다. 예를 들어 한국대사배 바둑대회를 치를 때면 몇 천불 경비가 발생하는데 대사관에서는 이름만 걸고 지원금은 천불 미만으로 나온다. 그러면 신사장이 조용히 자기 돈으로 나머지 경비를 메우곤 한다. 실질적으로 그 대회는 “신명길 배(杯)”나 다름 없다. 한국인 중 최강자인 신 7단은 호주챔피언도 지내고 지난 해엔 국무총리배에 호주대표로 참가했다. 나와는 호주팀으로 평양에도 다녀 왔다 그러나 그는 사업이 바빠 바둑공부를 할 시간이 없어서 중국 강자들에게 추월 당하고 있다. ☞ 평양 기행문 바로가기6) 한인 강자들 신7단 다음으로는 송관섭 6단이 강한데 그는 뉴질랜드에서 거주하다가 1년 반 전에 시드니로 왔다고 한다. 호주나 뉴질랜드 시민권자는 두 나라 간에 거주지를 옮기면 자동으로 영주권을 받는다. 송 6단의 연배는 신 7단과 비슷하다. 정석은 거의 모르지만 오직 수읽기 하나로 2인자 자리에 올랐다. 내가 “깡패 바둑”이라고 명명한 최해택 5단이 3위인데 60대 중반에 들어선 최화백이 요즈음은 실수가 잦다는 소문이다. 그리고 지난 2년 동안 바둑회 총무를 맡은 최태진 5단은 서열 4위다. 그는 이번 2009년 8월 8일 열린 한국대사배에서 호주 최강 궈이밍 7단을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 바둑에 대한 열정이 남다르다고 한다. 지난 선거에 차기 회장으로 추천 되었으나 본인이 “가정을 지키기 위해서” 라는 이유로 고사했다고 한다. 2년 째 연임하는 현 이정웅회장은 사람이 겸손하고 틀림 없어 바둑계를 위해 많은 일을 하리라고 기대한다. 그러나 이회장이 교회 일로 너무 바빠서 바둑에 전력투구하지 못 하고 있다는 소문이 들린다. 마지막으로 서학범 4단은 조훈현 9단과 양재호9단이 호주를 방문하였을 때 회장이었다(2003~2004). 그는 최해택 회장 때 총무로 열심히 일을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어서 내가 기억 하고 있다. 지금도 자기가 힘이 닿는데 까지 바둑계를 위해 공헌하고 있다고 한다. 초기만 빼고 한인바둑회 회장은 바둑회 총무출신이 대부분 하고 있다. 나도 그래야 좋은 회장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호주에 살면서 한국에서 바둑인을 여러 명 초청했다. 1980년대까지는 초청장이 있어야 호주엘 올 수 있었다. 1980년에 김재구사범 일행, 1981년에 강철민사범 일행, 86년에는 서봉수사범과 박치문씨가 왔는데 박치문씨는 그 후 몇 번 더 온다. 그들이 호주에서 저지른 기행도 책 한 권 분량은 나올 거다^^ 박치문씨 외에 관전필자로는 이광구씨, 이승현(세계일보)씨가 왔고 93년에는 양재호 9단이 다녀간다. 98년에 35명의 어린이 팀이 올 때 서능욱 9단이 가족과 같이 온다. 이 중 통틀어 모범생은 양 9단뿐이었다.
 ▲ 2005년 호주를 방문한 바둑영어교실 팀 | ○…중국 세 약진1) 멜본 강자 내가 2005년 바둑팀을 인솔하고 멜본에 갔을 때다. 우리 팀 연구생출신 제자에게 “여기에 류둥밍(劉東明) 7단이 있는데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고근태 선수가 4위를 할 때 그는 3위를 했다. 네가 최선을 다해 두어야 할 거다” 했더니 “교수님, 제가 설마 지겠어요? 안심하세요” 하고 자신 있게 말한다. 그러나 결과는 그가 바둑이 끈끈한 류에게 참패를 당했다. 4단 이상 선수 7명이 두어 우리 팀이 1승 6패를 했다. 나하고 둔 13세의 캐빈 첸 7단은 나에게 완승을 했다. 고비마다 전투에서 나에게 이겨간다. 그는 기본기가 좋고 수 읽기도 강했다. 내 제자 김선기 6단이 “교수님, 저런 꼬마한테 어떻게 지세요? 제가 이기는 시범을 보여드리겠습니다” 하고 두더니 참패를 당한다.
 ▲ 바둑영어 교실팀과 멜본팀의 교류전 2005년 7월(내가 케빈 첸과 두고 있다-우상귀 TV 앞) | 그들이 나중에 “멜본에서 랭킹 1위는 캐빈 첸이고 류둥밍은 2위입니다” 해서 놀랐다. 우리 측은 4단 한 명이 호주 백인 4단에게 이긴 한판 밖에 없었다. 5단 이상은 다 중국 계다. 우리 팀이 상당히 센데도 고단 진에선 1승도 못 건지고 말았다. 그 날 진 우리 팀 연구생출신은 그 패배가 너무 아파 밤에 잠을 잘 못 잤다. 이튿날 비 공식 게임이지만 연구생 출신 박종욱이 캐빈을 이겼다. 류둥밍은 바둑 두기를 거절하고 관전만 했다. 그 다음해는 우리 팀이 조금 더 분발해 멜본팀과 5단 이상이 둔 10 게임 중 3승 7패를 했다. 그 7 패는 다 중국 계에게 당했다. 이 것이 서양바둑계의 현주소다. 서양 어느 나라에 가거나 강자는 거의가 중국인 들이다. 호주의 메이저대회 결승대국은 거의가 중국인끼리 치러진다.
 ▲ 멜본 시내 거리 카페. 이 근처에서 교류전을 가졌다. | 2) 시드니 중국 강자 현재 호주 최강자는 시드니에 사는 궈이밍(郭以明)이다. 그는 2000년 이후 호주대회 네 번 우승을 비롯 2009년 8월 한국대사배에서도 우승하여 오는 11월에 전주에서 개최되는 국무총리배 세계대회에 호주대표로 출전한다. 그는 58년생으로 한 살 위인 신명길 7단과는 친구 사이다. 그는 중국에서 치과의사 자격을 땄으나 호주에서 인정을 못 받자 무역업으로 방향을 바꿨다. 항주가 고향인 궈 7단은 지난 11월에 열린 항주국제친선대회에 참가한 나에게 자기 고향친구들을 소개해 주었다. 나와는 30년 전부터 알았고 신사장 소유의 항주기원 식당에도 투자를 하여 공동경영을 하고 있다. 사람이 싹싹하며 기풍은 정통파이면서도 쉽게 무너지질 않는다. 지난 번 항주호텔에서 나에게 자기가 천야오예(陳耀燁) 9단과 호선으로 둔 바둑을 복기하며 다 이긴 바둑을 끝내기 실수로 졌다며 아까워했다. 자기 바둑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한 친구다. 궈 7단 외에 시드니 중국계 강자를 꼽으라면 데이빗 허, 먀오쟈오, 그리고 구위리우가 있다. 데이빗 허(David He)는 40살이고 애쉬필드에서 핸드폰(Mobile phone) 가게를 경영하고 있다. 바둑은 두텁고 힘이 좋지만 정교함이 부족하다. 2007년에 호주대회(AGA) 우승을 차지했고, 2008년 NSW 대회에서도 우승했다. 먀오쟈오(Miao Zhao)는 27살의 청년으로 현재는 시드니 북쪽에 있는 뉴캐슬에서 컴퓨터 관련 업종에서 일하고 있다. 바둑은 끈끈하고 잔 바둑을 잘 둔다. 2008년에 호주 오픈과 캔베라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구위 리우(Guyu Liu)는 25살로 현재 호주의 강자들 중에 가장 어리다. 그는 호주시민권을 한달 전에 받았는데 역시 컴퓨터 관련 일을 하고 있다. 올 해 NSW 대회와 캔베라 대회에서 우승했다. 위에 언급한 세 명의 중국인들은 토요일마다 시드니기원에 와서 안영길 사범과 다면기를 두고 복기를 하며 기력을 연마하고 있다. 바둑에 대해 열성적이고 기풍은 다 다르지만 모범적인 사람들이라고 안영길 사범은 전한다. 이들이 시드니 중국인 강자들이다.
 ▲ 한-중 친선 바둑대회. 앞 줄에 궈 7단(모자), 신명길 7단, 이세나 7단 등이 보인다 | 2009 유럽대회(EGC)에 우리 바둑영어교실 학생 5명(김은국, 황인성, 김준상, 오치민, 전상윤)이 참가 해서 1~5위를 휩쓸었다. 미국대회(USGC)는 프로 김명완 8단이 작년에 이어 2연패를 했다. 이런 일들이 서양인에게 “한국 바둑은 세다”는 인상을 심어 준다. 중국의 인해전술에 밀릴 땐 우리는 소수의 엘리트를 파견하여 이런 효과를 보는 일도 괜찮은 방법이다. 그러나 더 좋은 방법은 안사범처럼 현지에 살면서 그들을 가르치는 거다. 시드니에서 한국 바둑전성기 시절 교민이 5만 명 정도였다. 지금은 시드니에 교민이 약 10만 명이 사는데도 한인 바둑인구는 눈에 띄게 줄었다. 모든 원인이 국내 바둑인구가 줄면서 나오는 현상이다.
 ▲ 김은국 황인성 김준상 오치민 전상윤 | ○…프로 사범1) 오송생 사범 1985년 오송생 9단이 이민을 왔다. 전 호주 바둑인이 그가 오면 호주바둑계가 크게 발전하리라 기대했다. 9단이면 구름 위에 사는 신선쯤 생각했다. 그러나 호인(好人) 형인 오 9단은 호주에 와서 바둑만 열심히 두었다. 교실을 열고 바둑을 가르치고 하는 일은 생각도 안 했다. 언어 장벽도 이유 중 하나였다. 그가 이민 와서 2년쯤 됐을까? 내가 아직 캔베라에 살고 있을 때다. 오 9단이 4시간 동안 기차를 타고 시드니에서 3백킬로 이상 떨어진 우리 집엘 찾아왔다. 그는 나와 3일 밤을 새면서 바둑을 두었다. 그런 후에야 캔베라 구경에 나섰다. 나는 그 때 “프로도 이렇게 바둑을 좋아 할 수 있구나” 하고 놀랬다. 내가 시드니로 이사를 가서 그와 자주 만나면서 그가 물 떠난 물고기라는 걸 알았다. 결국 나의 주선으로 오 9단은 1989년부터 한국에서 기사생활을 하게 된다. 객원기사로 10년을 한국에 머문 그가 청도 바둑학교 교감으로 중국으로 돌아 갔다가 몇 년 지나 다시 호주로 돌아 온다. 먼 여로였다. 그러나 오 9단은 심장이 나빠 건강상 문제로 바둑사범 역할은 거의 못 하고 타계한다. 호주는 프로기사를 국가사범으로 갖고 있었으나 실제로 그의 지도는 많이 받지 못 했다. ☞ 오송생 9단 바로가기
 ▲ 2005년 시드니에서 나에게 오 9단이 자기 저서에 서명을 해 주고 있다. 이 게 마지막이 될 줄이야…… | 2) 안영길 사범 신명길 7단이 하루는 나에게 전화를 했다. “오송생 9단 빈 자리에 교수님 제자 중 한 명 안 보내세요?” 한다. 나는 그 때서야 “맞아, 그 자리가 비었지. 내가 왜 그 생각은 한번도 안 했지?” 나는 곧 안영길 사범을 추천했다. 나의 제 2의 고향인 호주에 내가 아들처럼 사랑하는 안사범을 보낸다고 생각하니까 흥분이 된다. 곧 호주 바둑협회 집행부에 편지를 쓰고 안사범을 서둘러 보냈다. 2008년 8월이었다. 안사범은 아주 매력적인 청년이다. 그는 성실하고 근면하다. 성격도 달콤하고 남에게 절대로 무례한 법이 없다. 그래서 가는 곳 마다 인기가 좋다. 바둑성적도 군대 가기 전에는 우리나라 톱10에 들곤 했다. 내가 내 바둑영어교실에서 2년쯤 가르쳤는데 공부도 잘 한다. 총무를 맡아 리더쉽을 발휘해 교실을 잘 끌고 나갔다. 그가 명지대 바둑학과생이었을 때도 공부를 잘했다. 다른 프로기사들에 비해 일반상식도 많고 문화적 호기심도 많아 그를 데리고 여행을 하면 심심치가 않다. 그는 호주에 사는 같은 또래의 내 아들을 대신하여 한국에서 우리부부를 잘 돌봐 주어 우리 부부에게는 아들과 같은 존재였다. 그는 호주에서 기회가 오면 대학에서 공부할 꿈도 갖고 있다.
 ▲ 결승국 해설 지도다면기 | 지보근 7단이 처음 호주에 왔을 때다. 내가 그에게 한국 2세들에게 바둑을 가르쳐 보라고 권했다. 교실이 시작된 후 2주쯤 지나 지사범이 나에게 전화를 했다. “교수님, 저는 안 되겠습니다. 아이들이 걸핏하면 그거 영어로 설명해 주세요! 하는데 제 영어가 그렇게 안 됩니다” 한다. 나도 그제서야 새삼 그가 영어로 강의가 안 되는 걸 깨달았다. 그러나 안사범은 영어로 강의를 잘한다. ‘브리스번 바둑 캠프 2009’에서 안사범 영어강의는 훌륭했다고 하디 회장이 나에게 전해 왔다. 그는 피아노도 잘 친다. 자기가 직접 작곡한 곡을 치기도 한다. 바둑대회장에 피아노만 있는 곳이면 그의 반주로 내가 노래를 불렀다. 안사범의 호주진출로 호주바둑이 “새로운 전환기(Turning Point)”를 맞이 하고 있다.
 ▲ 안사범 반주로 내가 노래하고 있다. 2007 영국 런던 한국대사배 | 3) 허기철 - 이세나 부부 2년 반전쯤 우리 바둑영어교실에서 공부하던 허기철사범이 호주로 왔다. 허사범 보다 이세돌 9단의 누나이며 여류강자인 이세나 7단이 더 잘 알려져 있다. 허사범은 호주로 오는 결심을 하기 전에 사전답사 차 나를 따라 두 번이나 호주에 다녀간다. 호주에 온 그가 시드니 북쪽 한인 집거지인 이스트우드(Eastwood)에 기원을 열었다. 그 동안 이세나 7단은 중국계 강자 속에서 2006년 도요타 덴소배에서 우승을 하고 지난 2008년 한국대사배에서도 우승을 했다. 그러나 이세나 7단은 평소에 바둑공부를 하지 않으면서 바둑대회에 나가는 것이 양심에 꺼린다며 적극적인 참여는 안 하고 있다. 그들은 기원에서 유학생과 바둑인에게 바둑을 가르쳤다. 그들은 작년에 호주에 안사범이 오자 그를 돌보아 주고 기원을 더 적임자인 안사범에게 인계하기로 한다. 현재 허기철사범은 한국으로 돌아와 바둑세계 기자로 일하고 있다. 이세나 7단은 꾸준히 영어 공부를 해 왔고 호주영주권도 신청한 상태로 알고 있다. 이 7단이 호주영주권을 얻으면 한인 바둑계는 보배를 얻게 된다.
 ▲ 2006 바둑영어교실팀 VS 한인 바둑회팀 교류전에 앞서 신명길 한인바둑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 단체사진 |
 ▲ 현재는 안사범이 원장인 시드니기원. 개업한 날 바둑영어교실 2006년 팀과 시드니 한인팀 교류전 이모저모 |
 ▲ 호주바둑협회 엠블럼(Emblem) 인구 200만의 퀸스랜드 수도 브리스번 | ○…호주 바둑협회 현 집행부(AGA Committee 2008/9)회장(President) 존 하디(John Hardy) 총무(Secretary) 데이빗 오머로드(David Ormerod) 재무(Treasurer) 래리 웬(Larry Wen) 1) 존 하디 회장 1980년대 초 골드코스트에서 가족과 휴가를 즐기던 나는 한 시간 거리에 있는 브리스번 시립도서관에 갔다. 매주 화요일마다 존 하디가 바둑강의를 한다는 날이었다. 내가 도서관에 들어서니까 고등학생 약 50명과 일반인 30여명이 존의 강의를 듣고 있다. 내가 들어서자 존이 놀라면서 “조금 전에 호주챔피언은 한국계 한상대 씨라고 했는데 놀랍게도 본인이 여기엘 왔다”고 하자 모두 일어나서 박수로 환영한다. 존은 나에게 “챔피언 앞에선 강의를 못 하겠다. 대신 강의를 해달라”고 한다. 내가 “당신 강의를 들으러 온 거니까 계속하라”고 하자 존은 하던 강의를 계속한다. 이 날도 확인했지만 초보자강의는 원어민이 하는 게 훨씬 효율적이다. 나는 존처럼 초보자들을 그렇게 웃겨가며 강의할 자신이 없다. 내가 학생들에게 초보자 교육시키는 방법을 중지한 것도 현지인이 가르치는 것과 경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존 하디는 브리스번에서 지난 30년 동안 꾸준히 바둑을 보급해 왔다. 시드니-멜본 쪽에서 주도하던 호주바둑업무를 그는 시드니 북쪽 1000킬로 이상 떨어진 퀸스랜드로 가져갔다. 그는 회장이 되고 2008년 의욕적으로 한, 중, 일 바둑강국을 돌며 바둑계 지도자들을 만났다. 2005년에는 우리 교실 바둑 팀이 브리스번에 가서 교류전이란 이름으로 그들에게 한 수 가르쳐 준 일이 있다.
 ▲ 골드 코스트 |
 ▲ 브리스번(Brisbane) 다른 나라에서는 ‘브리스베인’이라고 발음하지만 호주인들은 ‘브리스번’이라고 한다. |
 ▲ 2008년 부산방문: 김향희 부산여성바둑연맹 총무, 장명한사범, 필자, 하디(John Hardy) 호주바둑협회장 | 2) 호주의 바둑 클럽(Club Directory) 애들레이드 Adelaide Go Club Contact: Kazuya Miki, 08 8357 3328; email miki38@tpg.com.au 브리스번 Brisbane Go Club Contact: John Hardy, 0409-786050; email J.Hardy@uq.net.au 캔베라 Canberra Go Club Contact: Neville Smythe, 02 6232 7277; email Neville.Smythe@anu.edu.au 멜본 Melbourne Go Club Contact: Brad Melki, 03 9528 1149 (W); email bmelki@hotkey.net.au 멜본 일본클럽 Melbourne Japanese Go Club Contact: Yoshi Nagami, 03 9727 3388; email nagami@optusnet.com.au 멜본대학클럽 Melbourne Students Playing Go Contact: Dilshan Angampitiya; email mail@spgo.org.au 시드니 시(市) 클럽 Sydney City Go Club Contact: Robert Vadas; email ravadas@yahoo.com 시드니 카스클럽 The CASS Go Club (Sydney) Contact: Devon Bailey, (02) 9534 1321; email devonbailey@optushome.com.au 시드니 기원 Sydney Ki-Won (Korean Baduk Club) Contact: Young-Gil An (02) 9874 4843; email anyoungkil@gmail.com, 시드니 중국클럽 Sydney Chinese Weichi Club Contact: Yiming Guo; email yimingguo@optushome.com.au 커튼클럽 Curtin Go Club Contact: Adam Harley, 0402 931 807; email uizado@iinet.net.au 3) 바둑대회 (Tournaments and Events) AGA 가 주관하는 바둑대회: Toyota-Denso Cup, Brisbane, 1월 (짝수 해에 개최) Queensland State Championships, Brisbane 2월 Victorian State Championships, Melbourne 3월 NEC Cup, Melbourne, 4월 NSW State Championships, Sydney, 6월 ACT Championships, Canberra, 7월 The Korean Ambassador’s Cup 8월 Australian National Championships, 10월
이 외에도 몇 개 군소대회가 있으나 주로 위에 열거된 대회성적에 따라 점수를 획득한다. 점수가 많은 사람이 일본에서 열리는 세계대회나 다른 국제대회에 참가한다. 한국대사배 우승자는 한국에서 개최되는 국무총리배에 참가한다. 그 동안 많은 예산을 투입해 호주 바둑인들을 열광케 했던 도요타 덴소배와 NEC컵은 일본의 사정으로 올해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되었다. 세계는 이제 일본의 시대가 서서히 저물고 중국세가 몰려 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나아갈 길은? (호주는 여기서 마치고 다음은 뉴질랜드 편)
한상대(전 호주바둑협회(AGA) 회장, 시드니 대학 교수) (sdhahn@gmail.com) 017)276-5878
 ▲ 호주 바다에 많은 거북이 아래: 호주 북부에 사는 7미터짜리 악어. 사람도 잡아 먹는다. |
 ▲ 세계에서 제일 아름다운 해안 포트켐벌(Port Campbell). 멜본 남쪽으로 300킬로 |
 ▲ 2005 바둑영어교실팀 |
 ▲ 석회암 기암 절벽이 100킬로쯤 계속 된다 |
 ▲ 포트켐벌의 석양 |
 ▲ 뭍짐승 , 날짐승 , 물짐승 셋을 다 가진 플래티푸스 (Platypus) 호주동전에 있다 . 백조대신 호주엔 흑조가 있다. | | | |
TYGEM / 한상대 교수 | |
국가대항전의 낭만과 추억 |
호주 - 뉴질랜드 국가대항전 회상 | | |
2009-09-14 오전 9:39:52 입력 / 2009-09-16 오후 3:50:04 수정 |
| |
 ▲ 마오리 전사의 ‘하카(Haka)’. 마오리족 프리마돈나 키리테 카나와 | 뉴질랜드는 혐오동물인 뱀과 쥐가 없는 나라다. 환경이 깨끗하고 날지 못하는 새가 많다. 뉴질랜드는 10세기쯤 폴리네시안(Polynesian) 중 마오리(Maori)족이 하와이쪽에서 카누를 타고 내려와 살기 시작했다. 자기네 나라 이름을 “흰 구름이 기다란 나라(Aotearoa)”라고 불렀다. 1840년 백인이 마오리 족과 와이탕이(Waitangi) 조약을 체결하고 식민지로 삼았다. 나라 면적이 한반도보다 남한의 반만큼이나 더 큰데 2009년 현재 인구가 430만 명이다. 이 중 백인이 78%, 마오리가 14.6%다. 북 섬에 인구의 75%가 살지만 경치는 남 섬이 훨씬 좋다. 마오리 노래 ‘Pokarekare ana’는 우리나라에 ‘연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노래 듣기 집사람이 1975년 오클랜드 대학원에 다닐 때 뉴질랜드의 한국인은 대사관 직원까지 합해 20명 정도였다. 지금은 교민이 3만 여명이 살고 있다. 유학생도 1만 5000명 정도가 있다. 이 나라 바둑인구는 1000여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뉴질랜드는 호주와 가까워서 나도 그곳 바둑계와 관련이 많다.
 ▲ 마오리 전사의 춤 1 전사의 춤 2. 혀를 내 밀어 상대를 겁을 주고 약을 올린다. |
 ▲ 마오리 전사(Warrior) 마오리 전통가옥 |
뉴질랜드에는 천적이 없어 새들이 날아다닐 필요가 없어졌다. 그 중 키위(Kiwi)는 뉴질랜드의 심볼이다. 뉴질랜드 사람을 ‘키위’라고도 부른다. 바둑대회 중 내가 “우리 중 키위가 몇 명이냐?”고 물어보면 NZ사람들이 다 손을 든다. 또 대표적 과일 이름도 키위다. 내가 어릴 때 미제 구두약 겉에 있는 주둥이가 긴 새 같은 동물 그림이 있었다. 그 게 이상해서 우리 아버지에게 물어본 기억이 난다. 그 게 키위였다. 그러나 내 관심을 더 끄는 새는 모아(Moa)다.
 ▲ 날지 못하는 새 키위(Kiwi). NZ의 심볼 뉴질랜드 과일 이름도 키위다 | 세계에서 가장 큰 폴리네시아 박물관이라고 하는 오클랜드 박물관에 갔을 때다. 유리관 안에 있는 엄청나게 큰 새를 보고 놀라서 가 봤더니 이름이 모아(Moa)다. 평균 키가 3.7미터에 무게가 230kg쯤 됐다고 적혀 있다. 다리 길이만 해도 내 키 보다 크다. 세상에서 가장 큰 새였는데 멸종되었다고 한다. 나중에 키위(NZ 사람)에게 들은 얘긴데, 마오리 남자가 성년식을 치르기 위해서는 이 놈을 한 마리 잡아와야 했다고 한다. 그래야 온 마을이 잔치를 할 수 있었다. 그렇게 해서 약 100년 전쯤 다 잡아 먹어 멸종을 시켰다고 한다. 10여 년 전에 누가 숲에서 모아를 봤다고 해서 수색대와 헬리콥터를 동원해서 찾았으나 못 찾고 만 사건이 있었다. 호주에서 모아가 멸종이 안 됐을지도 모른다는 뉴스를 듣고 나도 흥분했던 기억이 난다. 지금은 박물관에 박제만 있지만 혹시 앞으로는 DNA로 복원시킬 수 있지 않을까?
 ▲ 멸종된 세계 최대의 새 모아(Moa). 오클랜드 박물관. | 1. 호주 – 뉴질랜드 국가대항전 1980년 호주-뉴질랜드 양국은 정기 국가대항전을 갖기로 합의를 본다. 격년제, Home & Away, 4명씩 풀 리그로 총 16 국, 주최측 룰(Rule)을 따르고, 네 명이 합한 단수(段數)는 양측이 2단 이상 차이가 안 나게 하고 주최국 바둑인 집에서 숙식을 제공한다는 조건이었다. 1) 제 1차 전 1981년 내가 호주 팀 주장으로 팀을 짰는데 한인 강자들은 생계형 이민자들이라 갈 사람이 없었다. 항공료의 반을 바둑협회가 지불하는 조건인데도 지원자가 없다. 할 수 없이 방학이라 시간이 많은 캔베라 국립대 회원들 중심으로 팀을 구성했다. 우리 팀은 시드니에서 합류한 후 뉴질랜드로 갔다. 4일간 격전 끝에 첫 국가대항전은 비기는 걸로 끝났다.
대회가 끝나고 바둑캠프를 오클랜드 서북쪽 어느 해안으로 갔는데 모래 색이 까맣다. 그런데 모든 게 너무 깨끗하다. 바위마다 홍합(Mussel)으로 완전히 덮여 있는데 아무도 안 따먹는다. 뉴질랜드 홍합은 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나도 호주에서 홍합은 주로 뉴질랜드 산을 사 먹는다. 우리는 그들과 바둑만 둘뿐 아니라 그들 안내로 관광도 하고 피크닉도 갔다. 많은 대화를 통해 양국 바둑인들은 빠른 속도로 가까워졌다. 나는 컴퓨터 전문가 레이(Ray Tomes)의 집에서 묵었는데 특히 중, 고생인 그의 두 아들과 친해졌다. 탁구도 치고 같이 놀아 주니까 내 옆에 많이 따라 다닌다.
 ▲ 검은 모래 해변 |
 ▲ 홍합 | 하루는 양국 선수 전체가 점심을 먹으러 시내로 나갔다. 바로 옆에 어시장(魚市場-Sea Food Market)이 보인다. 나는 내 손바닥 보다 더 큰 전복(Abalone) 두 마리를 샀다. 우리 돈으로 1000 원이 조금 넘었다. 근처에 있는 ‘Fish & Chips’에서 이걸 알맞게 튀겨 식당으로 가져와 소금에 찍어 먹었다. 너무 맛있다. 그런데 분위기가 이상해서 보니까 바둑인들이 전부 얼굴을 찌푸리고 나를 쳐다본다. 한 사람이 나에게 “마오리가 전복을 먹는 다는 얘길 들었는데 한국인이 먹는 걸 몰랐다”고 한다. 또 한 명은 “꼭 고무를 씹어먹고 있는 것 같다’ 며 웃는다. 내가 “먹어 보겠느냐”고 했더니 다 사양한다. “이 좋은 맛을 모르다니, 쯧쯧.” 하긴 그때까지만 해도 호주 정육점에서는 쇠고기 갈비가 무료였다. 갈비 한 짝을 사는데, 손질 해 주는 값 2불만 주면 되었다. 갈비 파티가 돈이 전혀 안 들 때였다. NZ 전복 껍질은 무늬가 화려해서 장식품으로 많이 쓰인다.
 ▲ NZ 전복 껍질 장식 품(목걸이) |
장소 : 오클랜드. NZ 룰(중국식) NZ 선수 : G Parmenter, R Tomes, R Talbot, J Blair 호주선수 : 한상대, J Chen, N Smythe, B Holliday 결과 : 8 대 8 무승부
2) 제 2차 전 1983년 2차전은 시드니에서 열렸다. 뉴질랜드에서 5명이 왔다. 한 명은 후보선수다. 나는 캔베라에 살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집에 뉴질랜드 선수를 묵게 할 수가 없었다. AGA회장인 네블도 마찬가지였다. 호주에 강자가 훨씬 많았으나 양팀의 단수(段數)를 맞추기 위해 약자들을 섞어서 팀을 짜고 나니까 힘을 못쓰겠다. 국가대항전 결과는 1차전처럼 또 비겼다. 비공식이었으나 시드니 교민들이 뉴질랜드 선수들과 대국을 많이 하면서 한국 ‘힘바둑’의 위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한국인 중 내 연배의 김정일 3단은 서양인이면 누구에게나 호선으로 두어 전부 만방으로 이겼다. 그 중에 5단도 몇 명 있었다. 서양인들은 김 3단을 가리켜 “세계에서 가장 강한 3단일 것”이라며 혀를 내 둘렀다. 그 김 3단도 한국인 속에서는 성적이 좋지 않았다.
 ▲ 오세아니아의 뉴욕 시드니 | 뉴질랜드 선수들은 거의가 시드니엘 와봤다고 한다. 시드니가 그들에게 자기네 도시처럼 익숙하다. 시드니는 오세아니아의 뉴욕 같은 도시다. 뉴질랜드 선수들이 호주 TV드라마도 나보다 더 잘 알고 있어 놀랐다. 또 대부분이 친구나 친척들이 시드니에 살고 있었다. 알고 보니 그때 시드니에 뉴질랜드 인이 80만 명이나 살고 있었다. 당시 370만 명의 뉴질랜드 인구를 생각해 보면 높은 비율이다. 시드니가 오클랜드 다음으로 두 번째 큰 NZ 도시다. 그러나 뉴질랜드에도 폴리네시아 섬에서 온 사람들이 80만이나 산다고 한다. 오클랜드는 세계에서 가장 큰 폴리네시아 도시다. 바둑 피크닉은 시드니 북부 해안지대가 한눈에 보이는 웨스트 헤드 전망대(West Head Lookout)로 갔다.
 ▲ 양국 선수단이 BBQ 피크닉을 간 웨스트헤드 전망대(West Head Lookout-Kuringai Chase 국립공원 내). | 장소 : 시드니 - 호주 룰(일본식) NZ선수 : G Parmenter, R Tomes, J Blair, M Unwin 호주선수 : 한상대, J Power, C Davies, N Smythe 결과 : 8 - 8 비김
3) 제 3차 전 1985년 해프닝 한 토막. 나는 뉴질랜드에 가기 위해 내가 사는 캔버라에서 300km떨어진 시드니 국제공항으로 왔다. 당시 인구 35만의 캔베라는 국제공항이 없는 세계에서 유일한 수도이다. 시드니 공항에서 체크인을 하는데 카운터 아가씨가 날보고 여권을 잘못 가져왔다고 한다. 보니까 시효가 지난 구 여권이다. 내가 집사람에게 짐을 싸라고 했을 때 서랍 속 여권 중 위에 있는 것은 구 여권이니까 조심하라는 얘기를 해야 했는데, 깜박했다. 이 비행기를 놓치면 나는 뉴질랜드에 가지 못하고 1회전에 호주 주장이 기권패 하는 상황이 나온다. 나는 마음이 급해서 카운터에게 “누구와 얘기하면 되느냐”고 물었더니 “공항 매니저와 얘기해 보라”고 한다. 나는 2층 매니저 사무실로 뛰어가 매니저에게 “내가 호주 바둑(Go) 챔피언인데 오늘 뉴질랜드에 못 가면 호주가 진다”고 했더니 매니저가 반가워 하며 자기는 핸디가 12라고 한다. 내가 ‘Golf’가 아니라 ‘Go’라며 보드게임이라고 바둑을 간단히 소개했다. “이건 지적인 두뇌 게임이라 대학 중심으로 두어진다”고 했다. 그가 “내 아들도 대학생”이라며 뽐낸다. 그가 “바둑은 처음 들어본다”면서도 내 상황에 동정적이다. 뉴질랜드와 관계기관에 전화를 해 보더니 나에게 “잘 뛰느냐”고 묻는다. 내가 “잘 뛴다”고 하자 무전기로 활주로로 나가고 있는 비행기에 연락하여 “호주의 명예가 걸린 일로 한 사람이 더 타야 한다”며 비행기를 세운다. 나와 그는 아스팔트 위를 한참 뛰어서 달렸다. 500미터는 확실히 넘는 거리였다. 매일 조깅을 한다는 덩치가 큰 그가 내 가방을 들고 뛰었다. 우리가 뛰어가는데 비행기에서 사다리가 내려온다. 나는 매니저에게 “너무 고맙다(Thank you too much!)”고 인사하고 비행기로 올라갔다. 내가 땀 범벅이 되어서 들어서니까 기내에 있던 모든 사람들이 박수를 친다. “나 때문에 지연이 됐는데 왜 박수를 치지?” 어리둥절했으나 나는 웃으며 절을 했다. 3시간 반 만에 뉴질랜드 남 섬 크라이스트처치(Christchurch) 공항에 도착하니까 내 이름이 방송에 나온다. 입국심사관에게 가니까 나를 그냥 통과시켜 준다. 나는 여권 없이도 국경을 통과한 희귀한 경험을 했다. 우리나라 공항에서 그런 상황이 발생하면 어떤 반응이 나올까? 공항에 뉴질랜드 바둑인 몇 명이 기다리고 있다가 나를 차에 태우고 국가대항전이 열리는 해머스프링 온천 관광호텔로 이동한다. 내 방에서 조금 쉬었다가 전야제행사 시간이 되어 볼룸으로 내려 갔다. 서양인들 리셉션은 각종 드링크와 오더보(비스켓 위에 올리브나 해산물을 조금 넣는 안주 감)가 있고 주로 서서 대화를 많이 한다. 순서는 양국 선수단 소개와 피크닉 프로그램 안내 정도였다.
 ▲ 이런 곳을 내가 뛰어가서 호주항공 콴타스(Qantas)를 탔다. | 이번 국가 대항전은 남 섬의 온천 휴양지로 유명한 해머스프링(Hammer spring)에서 열렸다. 주변 경치가 환상적이다. 뉴질랜드에서 가장 유명한 온천인데 유황 수에 게르마늄 포함 량이 많다고 자랑한다. 주최측에서 그 곳 관광호텔을 숙소로 잡는 등 최선을 다 한다. 호텔 무도장(Ball Room)을 빌려서 대국장으로 쓰고 있다. 바둑은 하루에 한 판만 둔다. 한 사람 당 제한 시간이 3 시간씩이다. 거기에다 초 읽기 1분이니까 마음만 먹으면 하루 종일 끌 수가 있다. 하수가 말도 안 되는 곳에서 한 없이 들여다 보고 있으면 나는 답답해서 몸이 뒤틀린다. 호주 팀엔 내가 넉 점 접는 멜본의 필립 힝스턴과 캔베라의 스티븐 라이가 있어서 우리 팀 전력이 약했다. 둘 다 지금은 교수지만 그 때는 박사코스 학생이었다. 당시 뉴질랜드 선수 중 친절한 청년 콜린(Colin Grierson)이 나에게 자기 차(Laser Ford 1.5)를 이용하라고 열쇠를 주어서 가끔 그 차를 몰고 주위를 돌아 다녔다.
 ▲ 유황 온천탕(Thermal pool & spa) |
 ▲ 해머 스프링 관광호텔 앞에 전개되는 오염 안 된 자연. 태초의 모습을 갖고 있다. | 바둑 피크닉은 아서령(嶺 Arthur’s Pass)이라는 곳엘 갔는데 차로 한 시간 이상 달려서 갔다. 남 섬의 가운데를 질러 흐르는 산맥을 동서로 넘는 고개다. 해발 천 미터쯤 되는 이 곳에는 마을도 있다. 공기가 냉랭하고 조금 더 올라가니까 빙하호수(Glacier)들이 보인다. 너무 아름답다. 이 산맥의 최고봉은 쿡 산(Mt. Cook 3,764미터)을 비롯해 3천 미터가 넘는 봉우리가 27군데나 된다. 산 맥이 너무 높아서 태평양에서 불어 오는 수분(Moisture)이 다 걸려 동쪽으로 못 넘어 간다. 그래서 남 섬의 동쪽은 벌거벗은 황량한 광야가 계속되고 서쪽 해안은 정글을 방불케 하는 숲이 계속된다. 산맥 양 쪽의 전혀 다른 아름다움을 비교하며 자동차 여행하는 맛이 색다르다. 이 바둑 광들이 경치 좋은 여기까지 바둑 세트를 들고 와 바둑을 둔다.
 ▲ 아서령에서 내려다 보는 우리가 차로 올라온 길 |
 ▲ 쿡 산(3,764m) 마오리 語-Aorak | 장소 : NZ 남 섬 해머 스프링 온천 - 뉴질랜드 룰 NZ 선수단 : B Phease, R Tomes, C Grierson, D Coughlin 호주선수단 : 한상대, G Parker, P Hingston, S Reye 결과 : 10대 6 뉴질랜드 승
호주 캔베라 - 일본 룰 NZ 팀 : R Tomes, D Coughlin, C Grierson, A Guerin 호주 팀 : J Chen, C Davies, S Reye, J Trevethick 결과 : 13 – 3 뉴질랜드 승
5) 제 5차전 1992 5차전은 1989년 뉴질랜드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항공료 반을 지불하는 조건이 없어져서 그랬는지 호주 팀이 결성이 안 되어 취소 된다. 5차전도 92년에 와서야 시드니에서 열린다. 이 번 NZ 팀은 피스 부부 중 부인인 유콩이 주장이다. 내가 보기엔 부부가 실력이 비슷하다. 나와 친한 콜린과 데이빗을 우리 집에 묵게 했다. 컴퓨터 전문가인 그들은 우리 집에 1주일간 묵으면서 우리 가족과 친해 진다. 자기네가 부속을 사와서 고장 난 내 컴퓨터를 고쳐주고 백업까지 해준다. 특히 우리 아들 옆 방에 묵으면서 아이와 많이 친해 진다. 우리 아들 놈이 좋아할 만한 농담을 계속해 주어서 아래층에서 오람이가 웃는 소리가 항상 들린다. 호주 팀은 나와 강찬수 5단의 전승에 힘 입어 이 번엔 압승을 한다. 피크닉은 시드니에서 1 시간 가량 떨어진 불루 마운튼(Blue Mountains)으로 갔다. 다음 날 11시에 60 km 떨어진 카툼바(Katoomba) 전망대 앞에서 모이기로 하고 제 각기 알아서 찾아 오라고 했다. 그런데 수 십 명 중 지각한 사람이 한 명도 없다. 서양인의 시간엄수(Punctuality)는 알아 주어야 한다(호주 2. 데본 베일리 샌드위치 사건 참조)
 ▲ 불루 마운틴 산 속 우리가 걷던 고사리 나무 숲 |
 ▲ 우리가 바비큐를 한 고벳리프 전망대(Govett’s Leap Lookout) – 내 단골 장소 | 호주 시드니 - 일본 룰 NZ 팀 : Y Phease, B Phease, C Grierson, D Milne 호주 팀 : 한상대, 강찬수, J Bates, N Smythe 결과 : 11 – 5 호주 승
6) 제 6차전 1993년 지연 됐던 대회를 당기는 의미로 1년 만에 대회를 다시 열었다. 나는 NZ 수도 웰링턴에서 열리는 이번 대회는 꼭 이기려고 2장에 안광호 5단, 3장에 베이츠 5단, 후보에 박현용 5단을 배치하고 진용을 가다듬은 후 뉴질랜드로 날라갔다. 비행기 안에서 내가 안 5단과 박 5단에게 “이 정도 강 팀이면 뉴질랜드쯤이야 백 날 된 아기 팔 비틀기죠! 하하하” 의기양양했다. 웰링턴은 인구가 약 40만 명이다. 호주 수도 캔버라와 인구는 비슷한데 분위기는 전혀 다르다. 캔버라는 인공도시인
데 여기는 자연도시이다. 캔버라는 산 속에 있는데 여기는 바닷가에 있다. 골목 안에는 흥미를 끄는 작은 가게와 음식점, 카페들이 보인다. 북 섬 끝 자락에 있어 건너 편이 남 섬이다. NZ 수도로 자리를 잘 잡았다. 이번 국가 대항전이 끝나면 일본 바둑인 2~30 명이 뉴질랜드 관광을 마치고 그 날에 맞추어 도착한다. 그리고 곧 “3국 친선 교류전”이 행사로 잡혀 있다. 웰링턴 북쪽 외곽지대에는 마오리 족과 남 태평양 사람들이 의외로 많이 살고 있는데 그 이유가 궁금하다.
 ▲ ‘바람의 도시’ 웰링턴 |
뉴질랜드 선수단 2장이 한국 이름이다. 조금 후 누가 “한교수님 안녕하세요?” 해서 보니까 어디서 본 얼굴이다. 내가 얼른 기억을 못하는 거 같으니까 그가 “몇 년 전 교수님이 방학 중 한국기원에 오셨을 때 제가 찾아 뵙고 호주 쪽으로 진출 하고 싶다고 말씀 드렸는데요. 바둑도 한 판 두고요” 한다. 그러니까 기억이 난다. 내가 “그럼, 혹시 음악 한다는?” 하니까 “맞습니다. 여기서도 밴드를 조직해서 음악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한다. 그리고 보니까 오세아니아의 두 국가 선수 8 명 중 3명이나 한국인이다. 후보까지 4 명이 모였다. 이 무렵 강인준씨는 NZ 챔피언을 몇 차례 했으나 시민권이 아직 없어 세계대회 대표로는 몇 년 후에나 출전한다. 이 무렵까지가 오세아니아 주에서 ‘한국 바둑의 전성기’ 였다.
나는 우리 팀에게 “한국인 1급(5단)이 한 명 섞였으니까 방심하지 말자” 면서도 우리 팀의 승리는 의심을 안 했다. 그런데 이 게 웬 일인가? 뚜껑을 열어 보니 우리 팀의 참패다. 나도 저 쪽 주장 카일에게 졌다. 10여 년 전 나에게 대마를 잡히고 울면서 바둑을 두던 꼬마다. 안선생도 한 판 밖에 못 이기고 나머지 두 명은 전 패를 했다. “우째 이런 일이~” 특히 카일이 날 이겼다는 뉴스에 전 뉴질랜드 인이 기립 박수를 친다. 드디어 호주를 극복했다는 박수인 것 같다. 카일은 감격하여 일어서서 계속 절을 한다. 나도 어색한 미소로 같이 박수를 칠 수 밖에 없었다. 이 날 3국 교류전에서도 호주는 꼴찌를 한다. ☞관련기사 바로 가기
 ▲ ‘벌 집(Beehive)’이란 별명의 NZ 국회의사당(Parliament House) |
장소 : 웰링턴 - 뉴질랜드 룰 NZ 팀 : Kyle Jones, 강인준, C Grierson, G Parmenter 호주팀 : 한상대, 안광호, J Bates, T Purcell, 박현용(후보) 결과 : 12 – 4 NZ 승
93년을 마지막으로 양 국간 “국가 대항전”은 중단 되었다. 95~96년에 호주에서 개최 되어야 하는데 호주 측 주동이었던 내가 한국으로 가 버리고 “Home & Away”가 생각 보다 쉽지 않아서였다. 특히 약체 NZ가 호주를 꺾자 목적의식을 잃은 것도 한 몫을 했다. 양국의 강자들이 다 중국인으로 대체 된 것도 문제다. 국가 대항전이 중국인끼리 경쟁이 될 테니까. 지금은 대회가 없어졌으나 두 나라가 서로 오가며 국가 대항전을 했던 10여 년은 우리 인생의 황금기(Golden age)였다. 그 동안 우리가 휩싸였던 열정과 흥분은 우리에게 “찬란했던 젊은 날의 추억”으로 영원히 남을 것이다. 그 동안 우리가 쌓은 “우정의 약발”은 아직도 그 효력이 듣고 있다. 요즘 세대에게도 그런 낭만을 경험할 날이 올 수 있을까? (NZ 2로 계속)
| |
뉴질랜드의 바둑 역사와 추억 |
태초의 아름다움을 지닌 곳에 사는 '바둑쟁이들' | | |
2009-09-23 오후 1:41:15 입력 / 2009-09-23 오후 3:33:41 수정 |
| |
 ▲ 숨 막히는 절경의 밀포드 사운드(Milford Sound). 뉴질랜드 남(南) 섬에 있는 피요르드(Fjord). |
 ▲ 뉴질랜드 최대 도시 130만 인구의 오클랜드(Aukland) | 1. 바둑 역사(History of Baduk in New Zealand)뉴질랜드에서 바둑이 처음 두어진 건 1912년 남 섬 더니든(Dunedin)에서 체스 (Chess) 인들이 바둑에 대해 읽고 판과 돌을 직접 만들어 두었다는 기록이 있다. 60~70년대에는 자기네끼리 바둑을 즐기는 사람들이 생겼다. 1965년 오클랜드 대학에 NZ첫 바둑클럽이 조직됐다. 그들은 색깔이 다른 네모난 돌을 사용하고 그 걸 상점에서 팔기도 했다. 1974년에 롭 톨벗(Rob Talbot)이 영국에서 함께 이민 온 사람들을 중심으로 ‘오클랜드 바둑클럽’을 만들었다. 나는 1980년 롭 네 집에서 며칠 묵은 일이 있었다. 차고로 들어가는 언덕이 45도쯤 경사졌는데 처음 후진으로 들어갈 때 겁먹었던 기억이 난다. 롭의 아들도 바둑을 잘 둔다. 1979년에는 오클랜드에 클럽이 하나 더 생긴다.
1976년 일본 여류프로 시라에(Haruhiko Shirae)일행이 수도 웰링턴을 방문한다. 이를 계기로 첫 클럽이 탄생한다. 그 해 8월에 전국대회를 열면서 뉴질랜드 바둑협회(New Zealand Go Society)가 창립되었다. 다음 해 1977년에는 오타고(Otago)대학클럽이 생기고 제 2회 뉴질랜드 선수권대회가 웰링턴에서 개최되었다. 그 해에 제 1회 중 고교 대회도 열렸는데 오클랜드에서 3개교와 해밀턴에서 1개교가 참가했다. 1978년에는 남섬 더니든 클럽이 약 10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문을 열었다. 파머스톤 노스(Palmerston North)에도 클럽이 생겨 웰링턴 클럽과 교류전을 가졌다. 이 해에 뉴질랜드는 정기총회에서 서양국가 중 처음으로 중국식 룰을 채택하기로 결정한다.
 ▲ 더니든(Dunedin) |
 ▲ 오타고 대학교와 파머스톤노스(Palmerston north) |
1979년 2월 일본에서 열린 제 1회 세계바둑 선수권대회에 NZ챔피언 그레이엄 파멘터(Graeme Parmenter)가 시드니에 가서 호주챔피언인 필자와 합류한 후 오세아니아 팀으로 도쿄에 간다. 그러나 파멘터는 대회에서 1회전에 탈락한다. 초기 3회 대회까지는 스위스제도가 아니고 녹다운 제였다. 이 해 레이 톰스(Ray Tomes)가 첫 점수제도(Rating system)를 만들어 발표한다. 같은 해 남 섬 크라이스트쳐치 (Christchurch)에서 바둑 페스티벌(Go Fest)이 열린다.
1980년에는 챔피언 그레이엄이 최초의 4단이 된다. 뉴질랜드 바둑실력은 창립된 이 후 첫 5년간은 1년에 평균 1단씩 늘어 갔다. 호주와 국가대항전도 시작했다. 일본에서 바둑용품과 책을 수입하여 전국 5개의 클럽에 분배하고 각 도시가 매년 선수권대회를 돌아가며 개최하여 NZ바둑사회가 눈부신 발전을 계속한다. 당시 뉴질랜드 바둑계는 활기에 차 있었다. 내가 80년대에 뉴질랜드에 가면 피부로 느낄 수 있었다. 90년대로 들어서면서 한국계 강인준6단이 1인자 자리를 한 동안 지킨다. 그러나 90년대 중반부터는 중국 강자들이 뉴질랜드 바둑계를 석권하기 시작한다. 그래도 서양의 다른 나라와 비교해 백인들이 그 속에서 선전하는 모습을 보인다. NZ 선수권 전을 보면 강인준, 홍명표, 김성호, 스티브 킴, 다니엘 정 등 한국인 이름이 자주 보인다. 그러나 이 중 스티브 킴 2001~2년, 강인준 1998년 NZ대표로 세계대회 출전 한 게 전부다.
2. 고바야시 치수(小林千壽)
1980년 일본기원은 당시 여성 세계최강으로 알려진 고바야시 치수5단을 오세아니아에 파견한다. 고바야시는 남편이 미국인 마테오(아마 4단 Matheo)라 일본에서 영어를 잘하는 드문 여성 프로기사였다. 일본영사관에서 그녀와 나의 특별기를 영사관에서 열어 주고 환영만찬도 베풀어 준다. 나도 바둑행사 때마다 내 차로 그녀를 데려다 주며 가능한 한 최대로 돌봐주었다. 그녀는 호주에서 강의와 지도기를 끝내고 뉴질랜드로 갈 계획이었는데 가기 이틀 전에 갑자기 맹장에 걸려 병원에 입원했다. 그녀가 나에게 자기 대신 일본기원 경비로 뉴질랜드에 가서 강의와 지도다면기 행사를 해 달라고 부탁한다. 그래서 나의 첫 뉴질랜드 행이 결정 되었다. 특히 그녀의 큰 동생(孝之)은 호주를 좋아해서 우리 집에서 3주 정도 묵었다. 그 일로 나는 고바야시 가문과 친해진다. 고바야시 4남매가 다 프로 기사인데 막내 고바야시 사토루 9단(小林覺)은 한국에도 잘 알려져 있다.
 ▲ 우리 집에 온 고바야시 치수(小林千壽) 부부 |
뉴질랜드에선 고바야시 대신 온 나를 따뜻하게 맞이해 준다. 나는 오클랜드에서 멀지 않은 교육도시 해밀튼(Hamilton)에 있는 와이카토(Waikato) 대학교엘 먼저 갔다. 내 강의 시간에 수 백 명의 학생이 강당에 모여 바둑에 대해 많은 질문을 해 온다. 그 때 열기를 보고 나는 뉴질랜드에 바둑이 빨리 확산 될 줄 알았는데 뭐가 잘못 되었는지 그 예상이 빗나간다. 오클랜드에서 열린 다면기는10 명과 두었는데 저녁식사 후 시작해서 새벽 2시까지 계속 되었다. 그 중 휠체어를 탄 뇌성마비 환자 브라이언(?)이 있었다. 그는 뉴질랜드 정부 컴퓨터 부처의 높은 자리에 있다는데 9점 바둑을 4 시간 이상을 끌었다. 본인이 너무 흥분해서 두기 때문에 독촉 할 수도 없었다. 또 한 명. 그래이엄의 제자라는 13세 소년 카일(Kyle Jones)이다. 나에게 대마가 잡히자 눈물을 뚝뚝 흘리며 필사적으로 두어 승부사 기질을 보여 주었다. 당시 뉴질랜드에서는 자기네 챔피언을 두 점 접고도 이기는 내가 엄청난 고수였다. 내가 바둑을 두면 많은 사람들이 관전을 하곤 했다. “호랑이가 없는 고을에선 토끼가 왕 노릇 한다더니” ^^ 이제는 다 “호랑이가 담배 피우던 시절 얘기”가 되었다.
 ▲ 와이카토 대학 전경과 내가 바둑 강의를 한 홀 |
나는 뉴질랜드에 온 김에 항상 가 보고 싶었던 마오리 족의 옛 수도 로토루아를 방문하기로 했다. 내가 뉴질랜드로 떠날 때 집 사람이 “로토루아는 꼭 들려 보고 오세요” 한다. 비가 오는 날 밤이라 그런지 버스에 승객이 나 하나다. 목적지까지는 3시간쯤 걸리는 거리다. 옆으로 내 몸의 두 배 정도는 되는 마오리 여자가 운전수다. 내가 그녀 옆 자리에 앉아 얘기하면서 갔다. 어느 마을 로타리(Roundabout)로 다가 가는 데 어떤 차가 갑자기 뛰어 들어 급정거를 했다. 빗속에서 큰일 날 뻔 했다. 내가 “저 거 여자 운전수(Woman Driver)가 틀림 없다”고 하자 마오리 여자 운전수가 크게 껄껄 웃으며 왼 손으로 내 등을 치는데 온 몸이 흔들린다. 호주-NZ는 차가 좌측통행이라 내가 앉은 조수석이 운전석 왼쪽이다.
서양에선 “여자 운전자”라고 하면 운전 못 하는 사람에게 하는 욕 비슷한 말이다. 자기가 여자 운전순데 내가 그런 말을 한 게 우스웠나 보다. 그러나 나는 여자가 등을 두드리는데 내 몸 전체가 그렇게 사정 없이 흔들린 사실이 쇼크였다. 나의 “남성우월주의(Male Chauvinism)”에 금 가는 소리가 들린다. 이 여자를 가만히 보니까 120~130kg은 나갈 것 같은데 두부 살이 아니다. 근육질로 힘이 엄청 세 보인다. 내가 속으로 “저 여자 하고 나 하고 방에 집어 넣고 한 명만 살아 나오라” 하면 결과가 어떻게 될까 생각해 봤더니 자신이 없다. 쓸데 없는 상념에 젖어 있는데 버스가 로토루아로 들어선다. 유황 냄새가 코를 찌른다.
▲ 로토루아 박물관(Rotorua Museum) |
로토루아는 온천 욕, 진흙 팩(Mud pack) 마사지가 유명하다. 지열(地熱)이 높은 지하에 마오리 족이 감자와 옥수수 같은 음식을 넣어 자연 요리하는 것도 신기했다. 그렇게 만든 음식이 더 맛있다고 한다. 유황 냄새가 나는 흰 물줄기와 증기를 뿜어내는 간헐천. 부글부글 끓으면서 개구리처럼 폴딱폴딱 뛰는 진흙 풀(Mud pool) 등이 신기했다. 간헐천은 미국의 옐로우스톤 공원(Yellow Stone National Park) 보다 여기가 더 실감 난다. 이 지역을 그들은 “지옥의 입구”라고 부른다. 마오리 목각제품 만드는 곳, 마오리 쇼 등을 봤는데 색다른 문화라 흥미만점이다. 이 근처에는 강(江)도 몇 개가 흐르고 호수가 17군데나 있어 레프팅, 카약 등 수상활동을 많이 한다. 다 화산활동으로 생겨났다고 한다.
 ▲ 마오리 옛 수도 로토루아(Rotorua). 간헐천에서 유황 연기가 항상 솟아 오른다 |
 ▲ 바둑영어 팀의 로토루아 간헐천(geyser) 방문 |
3. 바둑 강자 (세계대회 출전 선수)
초기 뉴질랜드의 1인자는 단연 그레이엄(Graeme Parmenter)였다. 그레이엄은 더니든 대학 농학과 교수인데 초기 뉴질랜드 최강자로 군림한다. 그 뒤를 같은 더니든 출신의 배리(Barry Phease)와 오클랜드의 래이(Ray Tomes)가 추격하고 있었다. 2003년에는 무슨 일이었는지 세계대회에 대표를 안 보냈다. 2006년 뉴질랜드 오픈 챔피언은 12세의 중국 소년 켄 시에(Ken Xie)가 오른다. 2008년 세계 마인드 올림픽에 선수단은 거의 중국인이다. 그 명단을 보면 중국 세의 비중을 알 수 있다. 이 중 베리 피스는 중국여자(유콩)과 결혼했는데 전 가족이 유단자라 바둑대회마다 다 참가한다.
■ 일본 세계대회에 간 대표명단
No |
Year |
Representative (대표이름) |
Placing (순위) |
1 |
1979 |
Graeme Parmenter |
unplaced |
2 |
1980 |
Graeme Parmenter |
unplaced |
3 |
1981 |
Barry Phease |
unplaced |
4 |
1982 |
Ray Tomes |
8th |
5 |
1983 |
John Blair |
14th |
6 |
1984 |
Kyle Jones |
25th |
7 |
1985 |
Barry Phease |
16th |
8 |
1986 |
Ray Tomes |
16th |
9 |
1987 |
Barry Phease |
unplaced |
10 |
1988 |
Ray Tomes |
24th |
11 |
1989 |
Kyle Jones |
25th |
12 |
1990 |
David Coughlin |
28th |
13 |
1991 |
Graeme Parmenter |
24th |
14 |
1992 |
Barry Phease |
27th |
15 |
1993 |
Yucong Phease |
34th |
16 |
1994 |
Colin Grierson |
31st |
17 |
1995 |
Barry Phease |
17th |
18 |
1996 |
Kyle Jones |
29th |
19 |
1997 |
Eric Jones |
37th |
20 |
1998 |
Injune Kang(강인준) |
25th |
21 |
1999 |
Colin Grierson |
26th |
22 |
2000 |
Shiyong Du |
26th |
23 |
2001 |
Steve Kim |
29th |
24 |
2002 |
Steve Kim |
15th |
NA |
2003 |
no contest |
NA |
25 |
2004 |
Colin Grierson |
31st |
26 |
2005 |
Roman Pozaroszczyk |
37th |
27 |
2006 |
Stanley (Ming Yuan) Wang |
39th |
28 |
2007 |
Jimmy Yuan |
19th |
29 |
2008 |
Zhou Juhua |
25th |
 ▲ 오세아니아에는 전 세계 양의 75%가 있다. |
4. 세계대회 해프닝 한 토막
1983년 도쿄에서 열린 세계바둑대회에서 일이다. 나는 같은 오세아니아 팀인 뉴질랜드 챔피언 존(John Blair)과 한 방을 쓰게 되었다. 숙소는 신주쿠 힐튼(Hilton) 호텔. 자다가 이상한 소리에 눈을 떠보니 존이 완전히 발가벗은 체 방을 뛰어 다니며 “Train is coming(기차가 온다)”를 외친다. 팔을 올리고 양 손을 위 아래로 잠자리 날개처럼 팔랑거린다. 그러더니 방향을 바꿔서 내 쪽으로 달려온다. 2미터짜리 거구가 나를 향해 나체로 뛰어 온다. 내가 “John, John”하며 소리를 지르는 동시에 얼른 침대 머리맡 램프를 집어 들었다. 쇠로 만든 거라 묵직하다. 나에게 덤벼들면 그 걸로 내려칠 생각이었다. 그 와중에 존이 내가 지르는 소리를 들었다. 눈을 번쩍 뜨는데 보니까 제 정신이 돌아온 거다. 존은 “I am sorry, sorry” 조그만 소리로 힘 없이 반복 하더니 자기 침대로 돌아 간다. 그러더니 잠이 들었는지 조용해 진다.
내가 눈을 감고 자려고 하니까 불안해서 영 잠이 안 온다. 나는 일어나서 아래층 네블(Neville Smythe) 방으로 갔다. 그는 오세아니아 팀의 단장이라 독방을 쓰고 있었다. 새벽 두 시 반에 초인종 소리에 네블이 놀란 얼굴로 나왔다. 나에게 “왠 일이냐?” 고 묻는다. 내가 “방을 바꾸자” 고 하자 나에게 “여잘 데려 왔느냐?” 고 묻는다. 내가 “마음대로 생각하고 내 침대로 올라가라”고 했다. 나에게 열쇠를 받아 들고 가면서 날 쳐다보는 네블의 표정이 영 마음에 안 든다. 이왕 청을 들어 줄 거면 좀 싹싹하게 해주면 안 되나? 아침에 일어나서 식당으로 갔더니 네블과 존이 벌써 같이 아침을 먹고 있다. 둘이 웃으며 얘기 하는 걸 보니까 별 일은 없었던 것 같다. 내가 속으로 웃으며 “초록은 동색이지” 하며 다가 갔다. 네블이 얼굴은 굳힌 체로 나에게 “Good morning” 한다. 존은 나를 잘 쳐다 보지도 못 한다.
이 날 나는 폴란드 챔피언에게 다 이긴 바둑을 실수로 졌다. 내가 평소에 두 점 접어 주던 친구다. 초 읽기에 몰린 내가 허 패감을 쓰고 1집 반을 졌다. 그 바둑을 계속 관전하던 조남철 선생이 “패를 안 했으면 이긴 바둑이고 패감만 제대로 썼어도 이긴 바둑이었는데……하곤 나에게 위로인지 구박인지 모를 말씀을 하곤 사라진다. 이겼으면 내가 세계대회 랭킹 4위나 5위가 되는 건데 그걸 놓쳤다. 나도 열 받아 있는데 네블이 나를 쳐다 보는 눈이 꼴불견이다. 내가 “왜 그렇게 보느냐?” 고 하니까 네블이 “본인이 더 잘 알 거 아니냐?” 고 한다. 그 말에 내가 정색을 하고 자길 노려보자 네블이 슬그머니 눈을 깔고 다른 곳으로 가 버린다. 존은 나에게 석 점쯤 약한 바둑인데 그 대회에서 5단들을 연파하며 14위에 올라 주위를 놀라게 했다. 존은 뉴질랜드 최대 도시인 오클랜드에서 고등학교 교사로 있다. 아주 착한 친군데 그 날 밤 이후부터는 사람이 좀 달라 보인다. 서양에선 애기가 잘 시간이 되면 혼자 침대에 놓고 부모가 매정하게 불을 끄고 문을 닫아 버린다. 그런 육아법의 부작용으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게 아닌가 하고 나는 생각한다. 나는 집 사람에게 애가 어렸을 때 항상 같이 자도록 했다.
 ▲ 마오리식 인사 법 |
 ▲ 마오리 식 환영을 받는 이명박 대통령 부처 |
5. 바둑영어교실 팀 NZ 방문
2005년. 호주를 보름 동안 순회한 후 우리 교실 팀은 뉴질랜드로 갔다. 나도 12년 만에 방문이다. 우리가 오클랜드에 도착했는데 콜린이 공항에 마중 나와서 너무 반가웠다. 16년 동안 안 본 사이에 그도 중년이 되었다. 콜린은 오클랜드 바둑클럽 회장이다. 우리 일행은 NZ 바둑회장 탈러 집에 가서 바비큐로 저녁을 한 후 숙소를 배정 받아 헤어졌다. 탈러는 부부가 교수인데 부자는 아니라도 멋지게 인생을 살고 있다. 커피를 마시며 가치의 본질을 추구하는 대화를 하는데 너무 진지하다. 그런데 나와 친한 레이가 안 보인다. 물어 보니까 지난 15 년 간 바둑모임에 안 나오고 있다고 한다.
그 날밤 김계호씨 부부가 나를 찾아 왔다. 그와는 1975년 멜본 유학시절부터 친해진 친구다. 공무원 출신인 그는 남대문 옆 도큐 호텔 아래층 커피숍을 부인이 경영했고 그 밖에도 사업체가 있었다. 그가 가족과 몇 년 전 한가한 나라 NZ로 이민을 갔다. 우리는 반갑게 만났다. 그가 NZ산 특산품을 선물로 들고 오고 포도주도 많이 사 왔다. 우리 일행은 그가 사 온 술을 함께 마시며 즐겼다. 그날 밤 늦게 김형 부부가 날 데리고 나가 관광을 시켜준다. 친구란 참 좋은 존재다. 김형 바둑은 7급인데 그 날 모인 사람들의 수준을 알더니 자기가 너무 왜소하게 느껴진다며 자기가 바둑을 둔다는 말을 꺼내지도 못 하게 한다.
다음 날 오클랜드 바둑클럽에 교류전을 하러 가니까 놀랍게도 거기 레이가 와 있다. 우리는 포옹으로 해후를 했다. 나에게 “지난 15년 간 바둑 클럽에 안 나왔는데 당신이 온 다 길래 만나러 왔다”고 한다. ‘오클랜드의 전설’ 레이가 나타난대 대해 키위들도 놀란다. 교류전 동안 우리는 바둑을 안 두고 얘기만 했다. 내가 “왜 바둑을 끊었는지 모르지만 너무 섭섭하다. 이제 나이도 들었으니까 다시 시작 해서 나와 라이벌 전도 계속해야 할 거 아닌가?” 하고 물었다. 같은 방 NZ 사람들도 안 듣는 척 하면서도 우리 대화에 관심을 쏟는 걸 알겠다. 레이가 “나도 그럴 생각이 있었는데 때가 되면 나오겠다”며 웃는다. 나중에 안 일이지만 그는 그로부터 2년 후 다시 바둑을 시작했다. 주관이 뚜렷한 그가 자기 바둑사이트에 써 놓은 글을 영어로 그대로 소개 한다.
G'day. I played go from about 1974 until about 1990 and reached 5 dan. Then I stopped playing for 17 years. I started playing again a little in late 2007 and am now 1 dan on KGS but rated a bit higher in Auckland club. I can be contacted by email to ray(at)tomes(dot)biz. When I restarted playing again I still had 0.6 WAGC point from many years before, which was enough to allow me to get selected for the First World Mind Games in China in 2008. After some soul searching concerning the Chinese Government policies, particularly concerning Falun Gong(法輪功), I decided that going to this event would be like going to the 1936 Olympics in Nazi Germany and I pulled out. I would still love to visit China and see things both ancient and modern, but not as a guest of the Chinese Government.
 ▲ 1982년 레이 톰스와 오다케 9단(왼쪽사진) 중국여자와 결혼한 콜린 집에 묵은 부산여성바둑연맹 회원 2명.(오른쪽 사진) |
내가 NZ로 출발 직전 시드니에서 일부러 박종욱과 신명길사장 간 내길 붙였다. 거기서 딴 돈으로 다음 날 오클랜드에서 종욱이가 점심을 쏘았다. 그 “내기 바둑”을 붙일 때부터 생각해 둔 내 각본이었다. ^^ 식사 후 시장에 가서 일행에게 자유시간을 주었다. 우리는 미니버스를 빌려 타고 같이 NZ 여행을 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오클랜드를 다 뒤져봐도 미니버스를 대여하는 곳이 없다. 제일 큰 게 9인 승뿐이다. 호주나 미국은 버스대여가 아주 쉬운데. 할 수 없이 두 대를 빌려 14명이 반씩 나누어 타고 3천 km의 대 장정을 시작했다. 나는 우리가 갈 코스를 지도에 표시해 놓고 “만약 사고로 헤어지면 그 다음 도시 시청 앞에서 만나자”고 했다. 우리는 오클랜드에서 이틀을 지낸 후 해밀튼을 거쳐 로토루아로 갔다. 다음 교류전은 웰링턴에서 있기 때문에 그 중간에 들리는 곳은 관광목적뿐이다.
로토루아에서 웰링턴으로 가는 도중 유명한 “타우포(Taupo) 호수”를 끼고 여행한 후 호수 아래 부분 어느 방갈로에서 잘 때 일이다. 내가 작은 통나무 케빈(Cabin) 하나에 두 사람씩 짝을 지어주고 저녁식사 후 자유시간을 주었다. 그 동안 회원들은 빨래, TV, 당구로 시간을 보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방갈로 매니저가 나에게 와서 “Someone is locked out!” 하길래 나가보니 우릴 따라온 프랑스 청년 크리스토프가 방엘 못 들어 가고 있다. 자기 룸메이트가 김선기인데 술이 취해 방 문을 안에서 잠그고 골아 떨어진 것이다. 다른 사람들까지 동원되어 소리를 지르며 문을 두드리는 바람에 이웃이 다 깼다. 그런데 선기만 안 깬다. 내가 할 수 없이 그를 내방으로 들어 오게 했다. 남반구의 8월 초면 영하10도 근처의 추위다. 크리스토프가 꽁꽁 얼어서 들어 왔다.
 ▲ 타우포(Taupo) 호수. 길이 46km. 넓이 33km의 큰 민물 호수다. |
이 날 밤 나와 크리스토프는 새벽 세시까지 얘기하고 그는 바둑학과에 들어 오기로 결심한다. 그가 똑 같은 생활만 반복하는 것 보다 젊을 때 변화를 갖고 싶다고 나에게 먼저 말해 왔다. 내가 문화가 다른 한국에서 좋아하는 바둑을 공부하고 프랑스 최초의 바둑학사(BA)가 되면 어떻겠느냐고 물었다. 그는 얼굴에 이상한 미소를 띠고 앉아 한참 장고를 하더니 내 제의 쪽으로 마음이 기울기 시작한다. 컴퓨터 전문가인 그가 파리에 있는 직장을 그만 두기로 했다.
이번 여행 직전 한국에 놀러 온 크리스토프가 내 바둑영어교실을 찾아 왔다. 그 날 마침 내가 회원들에게 호주~뉴질랜드 여행에 대해 설명하고 있었다. 나중에 크리스토프가 자기에게 영어로 다시 설명해 달라고 한다. 설명을 듣더니 자기가 가장 가 보고 싶은 곳이 호주와 뉴질랜드인데 거기에다 바둑여행이니까 너무 환상적이라며 자기 좀 끼워 달라고 한다. 그래서 키가 192cm인 크리스토프가 우리 멤버가 되었다. 그는 유럽 2단이다. 사람 운명이란 묘하다. 그 날 김선기가 문만 열어 주었어도 크리스토프가 바둑학과에 들어 오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다음 날 웰링턴으로 가면서 코린에게 전화했더니 “강자들은 다 타지에 갔고 하수만 몇 명 있어서 클럽을 열어도 한국 팀이 시간만 낭비 할 것”이라고 한다. 하수라도 바둑인이면 만나 보고 싶지만 나는 처음 NZ에 온 일행을 위해서 그런 바둑모임 보다는 관광을 택했다. 이 덕에 우리는 웰링턴의 유명한 곳들을 들러 볼 수 있었다. 다음 날 남 섬으로 가는 페리를 타러 항구로 가다가 우리 두 차는 실수로 헤어졌다. 남 섬에 가는 페리를 타러 가는 건 저쪽 차도 알고 있지만 영어 잘하는 사람은 다 내 차에 타 있어서 걱정이 된다. 젊은 사람끼리 한 차에 타겠다고 해서 그렇게 되었다. 페리호 문 닫기 3분전 나는 오늘 출발은 포기하고 내일 다시 오려고 하는데 선기가 운전하는 차가 달려 들어온다. 반 집 차이로 승리했을 때 같은 기분으로 우리는 남 섬으로 떠났다.
남 섬 크라이스처치도 강자가 없어 교류전은 안 했다. 내가 잘 아는 테일러도 북섬에 가고 없다. 이 곳도 구경만 하고 더니든으로 갔다. 더니든은 이상한 곳이다. 인구는 12만 정도로 작은 도시인데 바둑은 강하다. 이 곳에 NZ 챔피언 그레이엄과 베리가 있다. 그 두 명과 나는 반갑게 만났다. 세월이 우리를 중년으로 만들었다. 지난 날 얘길 하느라고 우리는 바빴다. 바둑친구는 오랜만에 만나도 거리감을 전혀 느낄 수가 없다. 내가 그레이엄에게 “어떻게 금년에 NZ 챔피언에 복귀했느냐” 고 묻자 그는 “운이었다” 며 계속 싱글벙글한다. 그들이 크리스토프를 보고 “저 사람은 누군데 한국 팀에 있느냐?” 고 한다. 이 질문을 받을 때 마다 나는 웃음이 나온다. 자기네 눈으로도 크리스토프는 한국인으로 보이지 않나 보다. 그래서 매 번 내가 설명을 해 주어야 했다. 이 곳의 오타고 대학도 바둑클럽이 있다. 우리는 바둑인 집에 민박을 했고 교류전도 훌륭하게 치렀다. 나는 그레이엄 집에서 잤다.
6. NZ 바둑협회 회장단 회장: 마이클 탈러(Michael Taler) 총무: 그래이엄 파멘터(Graeme Parmenter) 재무: 아이라 터비(Ira Turvey)
7. NZ 바둑클럽 명단(List of Go clubs in New Zealand)
1) 오클랜드(Auckland) 클럽 그리어슨(Colin Grierson 회장) - phone (09) 532-9996 (home) or (09) 525-7353 탈러(Michael Taler 전국회장) - phone (09) 620-9872 (home)
2) 오클랜드 대학(Auckland University) 클럽 튜텐버그(Jonathan Teutenberg) - phone (09) 373-7599 ext 87458
3) 해밀튼(Hamilton) 클럽 트릭(Len Trigg) - phone (021) 624 595, 키한(Mike Keehan) - phone (07) 843 9014 (home),
4) 매스터튼(Masterton) 클럽 운영자 톰이 크라스트처치로 이사 가서 휴업 중. 이메일 연락 가능 http://wairarapa.wikispot.org/Go_Club
5) 웰링턴(Wellington) 클럽 피스(Barry Phease) - phone (04) 9716500 레이크랜드(Corrin Lakeland) - phone (04) 5869343 or 021-467784
6) 크라이스트처치(Christchurch) 클럽 테일러(W F C Taylor) - phone (03) 379-6422 home, (03) 364-2686 (work)
7) 더니든(Dunedin) 클럽 클루난(Matt Cloonan) - phone (03) 4821348; matthewcloonan@hotmail.com
8. 바둑대회(TOURNAMENTS – 최근 대회)
1) 2009 뉴질랜드 오픈(2009 NZ Open): 2009년 9월 12~13일 오클랜드 1일 3라운드, 최강부와 일반부, 타 지방 선수에게는 숙소 제공,
2) 오클랜드 오픈(2009 Auckland Champs) 2009년 7월 4~5일 거행. 5라운드 결승국: 켄 시에 – 롱양 리. 결과는 리가 5전승으로 우승.
 ▲ 전승자 리(Li)와 켄(Ken)의 결승국 |
3) 제 30회 세계 아마추어 바둑대회 2009년 5월 일본에서 개최
4) 2008웰링턴 오픈 11월 29~30일 개최
5) 김인 컵 국제 시니어 대회(Kim-in Cup International Senior Amateur) 2008년 한국 오로미디어 주최로 강진에서 거행. 만 60세 이상 참가. EMAIL: oromedia@oromedia.co.kr
6) 제 3회 국무총리배(The 3rd Korea Prime Minister Cup) 제 3회 대회가 고양시 킨텍스에서 2008년 11월 7~12일 사이에 개최. NZ 대표는 피어슨(Ciaran Pearson)
 ▲ NZ의 쳉치(마이클) 리가 왕리청 9단과 대국. 탈러 NZ단장이 서서 관전 |
7) 제 1회 세계 마인드 스포츠 대회
중국 북경 2008년 10월 3~18일 단장: 탈러(M Taler), 임원: 피스(B Phease) 코치: 쉬용 두(Shi Yong Du) 아마추어 오픈 개인전: 롱양 리(Long Yang Li), E. 피스(Edwin Phease) 남자 개인전: 켄 시에(Kai Kun Xie), 쳉치 리(Cheng Chi Lee) B. 피스(B Phease), 레이크랜드(C Lakeland), 샤오 웨이 자오(Xiao Wei Zhao) 여자 개인전: Y. 피스(Yu Cong Phease) 남자단체: 롱양 리(Long Yang Li), 켄 시에(Kai Kun Xie), 쳉치 리(Cheng Chi Lee), 쉬용 두(Shi Yong Du), 밍유안 왕(Ming Yuan Wang) 혼성 페어: 그리어슨(Colin Grierson), 닝 후(Ning (Linda) Hu)
2008 뉴질랜드 오픈(2008 NZ Open) Sep 2008 오클랜드 바둑클럽 주최. 9월 13~14일 개최.
 ▲ 2006 NZ 오픈 챔피언 12세 켄 시에(Ken Xie)와 그리어슨 회장 |
제 29회 아마추어세계대회(29th World Amateur Go Championship ) 2008년 5월 28~31일 개최 우승: 하성봉(한국 - 중국에 반 집 신승!) 준우승: 궈 유젱(Guo Yuzheng - 중국) 3위: 아귈라(Fernando Aguilar - 아르헨티나. 깜짝 3위!) 25위: 조우 주화(Zhou Juhua - NZ 그래도 최근 성적 중 잘한 편)
2008 오클랜드 챔피언 전(2008 Auckland Champs) 5월 개최. 격전을 치른 대회
2007 Wellington Open 개최2008년 2월 두 째 주말. 전국 강자 거의 출전 우승: 롱양 리(Long Yang Li-오클랜드)
 ▲ 웰링턴 오픈대회와 웰링턴 전망대 케이블 카 |
도요타 덴소 컵(Toyota & Denso Cup) 제 4회 오세아니아 대회가 2008년 1월 18~20일 호주 브리스번에서 개최 우승: 조안 미싱엄(J Missingham 13세 소녀 브리스번) 준우승: 궈이밍(Guo). NZ 챔피언 켄 시에(K Xie)가 10위니까 얼마나 강자들이 많은지 알 수 있다. http://www.uq.net.au/~zzjhardy/toyotacup.html
 ▲ 남 섬 더니든 클럽과 교류전. 앞 줄: 김향희3단. 뒷줄: 박종욱 7단과 대국하는 그레이엄(Graeme Parmenter) |
 ▲ NZ를 여행하는 바둑영어 팀. 왼쪽 끝 한오람은 마오리 “하카”를 하는 중 |
호주와 뉴질랜드는 세계 문화중심지로부터 외따로 떨어져 있다. 그래서 그들은 북반구로 여행을 많이 한다. 오세아니아에는 한적하고 “시간이 정체된 평화(Timeless peace)”가 있다. 자연도 인간의 손길이 안 닿아 “태초의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북적대는 한국과는 전혀 다르다. 그 대신 “사회의 역동성(Dynamics)”은 그만큼 떨어진다. 그런 곳에도 “골 때리는 바둑쟁이들”이 살고 있다. 나는 내 인생 중 20년을 호주에서 살면서 심심한 줄 전혀 몰랐다. 직장 + 여행 + 바둑 인생에 쫓겨 시간이 항상 부족했다. 만약 그 중에서 바둑을 뺀다면 내 인생의 그림은 전혀 달라 졌을 것이다. 그러나 하나 분명한 것이 있다. 그 “바둑을 뺀 그림”은 내가 원하는 “인생의 그림”이 아니란 사실이다. ^^
바둑열기가 뜨거운 싱가포르 |
1981년 협회 결성 이후 바둑사범 초청, 보급, 국가대항전 등 왕성한 활동 | | |
2009-10-18 오후 5:23:50 입력 / 2009-10-19 오전 8:40:50 수정 |
| |
▲ 상상의동물 ‘Merlion’이 싱가포르의 상징 동물이다. |
싱가포르(Singapore) 바티칸과 모나코에 이어 가장 작은 나라 싱가포르. 말레이 반도 끝자락에 있는 섬으로 도시면서 국가다. 면적은 274킬로평방미터. 인구는 5백만 명이 체 안되나 1인당 소득은 5만불. Wikipedia 2009를 보면 세계 4위라고 나와 있다. 위치가 적도에서 가까워서 항상 더운 나라다. 인종은 중국인이 75.2%, 말레이인이 13.6%, 인도인이 8.8%가 살고 있다. 도시가 깨끗하고 유교적 전통 가치가 법으로 엄수되고 있는 나라다. 싱가포르란 말이 말레이 어로 ‘사자’란 뜻이다. ‘Mer’는 바다를 뜻한다. 이 나라 상징 동물은 “Merlion(獅子魚)”이다. 인어(人魚)는 영어로 “Mermaid”이다.
1. 싱가포르의 바둑대부 티안(田) 교수 나는 1977년부터 7년간 호주 멜본에 있는 모내쉬(Monash) 대학교의 바둑 사범이었다. 내가 받는 사범료는 매주 11불. 당시 대학클럽의 모든 사범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금액이었다. 당시는 호주 달러가 미화 보다 강했으니까 요즘 가치로 한 3만원쯤 될까? 적은 액수지만 그 때는 바둑이라면 내 돈을 들여서라도 가르치려는 열정이 있었기에 나는 만족하면서 가르쳤다. 싱가포르 대학의 티안(田银河 수학) 교수는 싱가포르 바둑협회를 결성하고 초대회장이 된 후 모내쉬 (Monash) 대학에 1년간 교환교수로 온다.
매주 화요일 내 강의가 20분 정도 있고 나머지는 회원간 리그전을 했다. 회원은 평균 30명 정도. 그 중 교수가 제일 많았고 대학원생, 학부 학생 수가 그 뒤를 이었다. 이 대학 졸업생 중 변호사 회계사들도 몇 명 있었다. 내 열성으로 당시 모내쉬 대학 바둑클럽은 ‘호주최강클럽’으로 오를 수 있었다. 이 때 나에게 바둑을 배운 회원들은 지금도 친하다. 이 중에는 완전 초보에서 2~3단까지 올라온 회원이 몇 명 있었다. 찬 교수는 1년 동안 바둑클럽에 빠짐 없이 출석했다. 그의 기력은 당시 2단이었다. 그는 탁구도 강해 나와 대학 탁구클럽 A조에서 정기적으로 만났다.
▲ ‘인간 수퍼 마켓’이라고 학생들이 부르는 모내쉬 대학 인문대 건물. 여기에 바둑클럽이 있다. |
하루는 내 강의 중 “이 곳은 기세(氣勢)로 2단 젖힘(Double hane)을 해야 한다”고 하니까 호주회원들이 무슨 말인지 잘 못 알아 듣는다. 나보고 기세와 무리수 (Overplay)와 무엇이 다른지 설명해 달라고 한다. 영어로는 기합(氣合), 기세 등이 ‘Fighting spirit’으로 번역 되어 있으나 이 말은 기세 보다 투혼(鬪魂)에 가깝다. 내가 칠판에 이 걸 한문으로 써 놓자 찬 교수가 나와 합세하여 설명 한다. 조금 후 일본 교수 한 명도 합해 동양인 3 명이 나서서 한참 설명 하니까 호주인들이 “상황 설명으로 짐작은 간다”고 했으나 얼굴 표정을 보니까 완전한 이해는 못 했다. 나중 우리 세 명은 “그 날 동서양 문화 차이를 실감했다”며 웃었다. 우리들 인간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단어들 정(情), 인격(人格), 의리(義理) 등도 영어로 설명 할 때는 애를 먹는다. 동의어가 없기 때문이다.
1983년 2월 나는 싱가포르에서 제일 유명한 거리 오차드(Orchard)에 있는 어느 호텔에 check-in 한 후 찬 교수에게 전화를 했다. 그가 곧 내 호텔로 와서 나와 반갑게 만났다. 그는 나를 뉴턴 서커스(Newton Circus)란 곳에 데려가서 저녁을 산다. 노천 식당가인 데 없는 음식이 없다. 특히 해산물이 풍족했다. 이후 내가 싱가포르에 갈 때 마다 내 단골 장소가 되었다. 저녁 식사 후 싱가포르 최강이라는 두 명이 바둑세트를 들고 내 호텔에 나타난다. 나는 세 명의 2단에게 4점 접 바둑을 새벽 4시까지 두었다. 그들이 현재 싱가포르 바둑계의 지도자들이다. 잠을 네 시간이나 잤을까? 전화로 티안 교수가 날 깨운다. “아침식사 하고 싱가포르 대학에 가서 대학 탁구챔피언과 시합이 약속이 되어 있다”고 한다. 우리는 호텔에서 부페로 아침을 하고 10시에 싱가포르 대학에 갔다. 대학 체육관에 수 십 명이 나를 박수로 환영해 준다. 그 곳 챔피언과 나는 21점 5세트 3 승제 탁구를 쳤다. 하루 종일 비행기 타고 밤새도록 바둑 두고 잠은 조금만 자고 탁구를 두 시간쯤 쳤다. 내가 그 때는 어지간히 건강했나 보다.
▲ 과수원(Orchard) 이란 이름의 오차드 거리는 싱가포르의 중심지다. |
▲ 오차드 거리 호텔이 모인 지역. |
▲ 뉴턴 서커스(Newton Circus) 노천 식당가. |
점심은 중국 촌에 가서 먹고 찬 교수는 나를 그 근처에 있는 힌두교사원으로 데려 간다. 힌두교는 인도의 종교다. 신(神)이 많은데 나는 그 중 비슈누(Vishnu)와 시바(Shiva) 정도 이름을 기억 한다. 이 종교는 창설자도, 선지자도, 교리체계도 없다. 종교보다는 인도인들의 생활신조(Creed of life)에 가깝다. 싱가포르엔 의외로 인도 사람들이 눈에 많이 띈다. 힌두교는 소를 성스러운 동물이라고 여겨 먹지를 않는다. 인도의 유명한 신분제도(Caste)도 힌두교 산물이다. 세분하면 수 천 개로 나뉜다지만 대표적인 네 계급이 있다.
▲ 시바(Shiva) 신의 명상 시바 신이 산다는 성스러운 산 카일라쉬(Kailash 티벳). |
창조의 신 브람마의 입에서 나왔다는 브라만(Braman-성직자, 학자), 팔에서 나왔다는 크샤트리아(Kshatriya-왕, 무사), 허벅지에서 나왔다는 바이샤(Vaishya-상인) 그리고 발에서 나왔다는 수드라(Shudra-농공업, 노예)가 있다. 닿기만 해도 부정을 탄다는 불가 촉(Untouchables) 천민(賤民)인 수드라가 베다 경전을 몰래 엿들으면 귀에다 끓는 쇳물을 붓고 입으로 경전을 외우다 들키면 혀를 잘라냈다. 그들은 내세에서 좋은 곳에 갈 자격도 안 되는 천민들이었다. 1947년 법으로 계급제도를 없앴으나 아직도 인도 사회에는 엄연히 존재하고 있다. 여기에 비하면 조선시대의 양반과 상민 사이는 양호한 편이다. 나는 12억 인구의 인도는 종교 때문에 발전을 못 하리라고 생각했는데 IT산업에 인도인들이 두각을 나타내며 최근 눈 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 내가 가 본 중국 촌 근처 힌두(Hindu)교 사원 지붕. |
힌두교 사원에서 나와서 찬 교수는 나를 전자시장 자기 단골 가게로 데려 간다. 당시 싱가포르는 물건이 아주 쌌다. 나는 몇 가지를 샀는데 그 중 17불에 산 네덜란드 필립스(Philips) 다리미는 집 사람이 20년쯤 썼다. 이 사람은 지금도 “다리미 중 최고”라고 한다. 내가 싱가포르에 2박 3일 있는 동안 티안 교수가 그림자처럼 따라 다니며 돌봐 준다. 바둑으로 맺어진 우정(友情)이다.
2. 바둑사범 파견 몇 달 전 다니엘(Daniel)이란 싱가포르 청년이 내 교실에 몇 번 출석했다가 싱가포르로 돌아 갔다. 그는 유창혁 도장에서 바둑을 배웠다. 얼마 전 그 곳 총무가 나에게 “혹시 이하진 사범의 바둑영어 선생이냐”고 묻는다. “그렇다”고 했더니 반가와 하며 자기가 다니엘이라고 한다. 그가 싱가포르 바둑협회 총무가 되고 자기네 명예 회장인 티안 교수와 내가 친구인 걸 알아 냈다. 얼마 후 싱가포르에서 나에게 한국 프로기사 한 명을 보내 달라고 E-메일이 왔다. 중국 말을 하면 더 좋겠다고 한다. 내가 우리 교실회원 김성룡 9단에게 부탁했더니 “아! 중국어라면 박승철 사범을 보내면 되겠네요. 가서 말해 보겠습니다” 하더니 다음 주에 와서 “승철이가 아직은 여기서 승부를 더 해보겠다고 합니다. 다른 사람을 구해 보겠습니다” 하고 몇 주가 또 지나 간다.
이 동안 나도 알아 봤으나 마땅한 사범이 얼른 안 찾아 진다. 싱가포르에는 이미 중국 프로 2명과 대만 프로 1명이 활약하고 있다. 내가 얼른 사범을 못 구하니까 싱가포르는 한국기원에도 직접 의뢰했다. 나는 이 무렵 내 학생 중 조미경 초단을 추천했다. 미경이 영어가 지난 1년 동안 눈에 띄게 늘었다. 만 20세 밖에 안된 처녀가 혼자 객지생활을 하는 게 꺼림직했으나 본인이 인도와 베트남에서 객지 생활도 해 봤고 결심이 선 것 같아 추천했다. 싱가포르 측 첫 반응은 미경이 이름을 한문으로 알려 달라는 거였다. 미경이가 한국기원에 보고했더니 기원 측이 “다른 사람들도 응모할 기회를 주기 위해 몇 주 더 기다리라”고 했다고 한다. 싱가포르와 사범 일로 요즘 E-메일을 자주 주고 받다가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고 내가 그들 바둑계에 대해서 글을 쓰기로 했다.
▲ 조미경 사범(우)과 이하진 사범. 교실에서 |
3. 공짜여행 15 년 전쯤 일이다. 방학 동안 내 아들 오람이를 데리고 시드니에서 싱가포르 경유 한국 행 비행기를 탔다. 비행 도중 기내 방송에서 “싱가포르에서 한국 행 예약이 잘 못되어 승객이 겹치게 되었다. 여러분 중에 싱가포르에서 이틀 동안 묵을 사람이 있으면 신청하길 바란다. 호텔 경비와 1인당 하루 4백 불씩 주겠다”는 방송이 나온다. 내가 제일 먼저 신청했다. 우리 옆에 앉아 있던 한국 아가씨 몇 명에게도 통역을 해 주며 “바쁘지 않으면 싱가포르 구경도 하고 돈도 벌자”고 했더니 좋아한다. 나는 자식 놈에게 싱가포르 구경 시켜 주고 싶은 마음이 있었는데 “이 게 왠 떡이냐” 하며 좋아했다. 방학이라 우리에게 시간은 얼마던지 있다. 호텔은 공짜고 주머니에 생각도 안 했던 1600불이 생기니까 횡재한 기분이다.
다음 날 우리는 하루 종일 싱가포르를 일주하는 관광버스를 타고 돌았다. 아랍인 지역, 보태닉 가든(Botanic Garden-식물원 공원), 형제가 시작했다는 “Tiger oil” 만드는 공장도 가보고 전망대와 열대 식물이 가득한 외곽지대도 다 돌아 보았다. 이렇게 도니까 싱가포르가 작은 나라라는 생각이 안 든다. 맛 있는 것도 사먹고 저녁에 백화점에 가서 오람이에게 50불을 주며 “네 마음에 드는 거 있으면 사라” 하고 선심을 썼다. 그런데 이 놈이 나에게 “아버지가 제 8백 불도 가지셨잖아요. 저 고급 진바지 하나 사게 150불쯤 주세요. 저기 봐 둔 게 있어요” 한다. “이 놈아, 너 아버지 주머니에 있는 걸 네 돈이라고 계산하고 있었니?” 하니까 이 놈이 빙글빙글 웃으면서 “150불 만 주세요” 하고 조른다. 내가 천 6백 불을 받아 넣을 때부터 이놈은 “저 중 8백불은 내 거” 하고 응큼하게 골통을 굴리고 있었음이 분명하다. 나는 할 수 없이 그 돈을 주었다. 이 놈이 영어를 못 알아 들었어야 하는 건데^^ 그 때 여행은 내가 싱가포르 전체를 확실히 알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다른 때는 사람을 만나거나 같이 간 사람이 새로운 곳에 대한 호기심이 없거나 해서 식당이나 호텔에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았다. 내 자식을 데리고 느긋하게 샅샅이 돌아 볼 때와는 사뭇 달랐다. 지난 번엔 유럽 가는 길에 싱가포르 공항에서 9시간 기다려야 했다. 창이 공항은 한 때는 아시아에서 가장 좋은 공항이었다. 지금도 분위기가 고급이다. 내가 고스톱을 시작하는 한국인들에게 “여기서 택시로 30분만 가면 싱가포르 시내인데 가서 7시간쯤 구경할 시간이 있습니다. 잘 모르시면 내가 안내를 도울 수 있습니다” 했더니 “우리는 고스톱이 더 좋아요. 그냥 다녀 오십시오” 한다. 시내에 나가서 실컷 돌아 다니다가 공항으로 돌아오니까 그 사람들은 아직도 ‘대한민국 국민게임’ 고스톱을 치고 있었다. 쯧쯧
▲ 싱가포르 시내. 최고 70층 건물은 한국 건설회사가 지었다고 한다. |
2004년 11월에 나는 스카이 바둑 TV 유럽 취재 단 단장으로 유럽에 가는 길에 싱가포르에 들렸다. 프로 기사는 윤영선 사범과 강승희 사범이 동행했다. 우리가 낮에는 총통 관저, 중국 사원, 중국 촌, 오차드 거리 등을 방문하고 저녁에는 강변 유람선을 탔다. 야경이 생각 보다 화려했다. 저녁은 해산물로 먹으면서 인생과 남녀관계에 대해 얘기했다. 영선이가 속으로는 독일 하노버에 있는 라스무스를 만날 생각에 들 떠 있으면서 나에게는 시치미를 뚝 때고 얘길 안 했다. 영선이는 나에게 오래 동안 배워서 제자지만 가깝다. “네가 아무리 프로라고 해도 앙큼하게 나에게까지 포커 페이스를?”
▲ 강변 유람선에서 보는 시내. |
▲ 싱가포르에서 저녁을 먹는 나와 영선 |
나는 베를린에 도착한지 나흘 만에 갑자기 부친상을 당해 급히 귀국했다. 내가 유럽으로 떠나면서 아버지께 인사를 드렸더니 나에게 “네가 돌아 오는 날 나는 지방에 강연하러 가 있을 거다” 하셨는데 92세를 한달 남겨두고 “오늘은 몸이 좀 안 좋다” 하시곤 그 날 밤에 돌아 가셨다. 그렇게 건강하셨는데. 나는 바둑여행 때문에 맏아들인데도 아버지 임종을 못 지킨 불효자가 되었다. 한편 유럽에선 내가 없는 일행에게 라스무스가 합류해 많이 도와주었다는 얘길 나중에 들었다.
▲ 하노버에서 만난 영선이 신랑 라스무스(키 197cm). 나와 석 점 대국. 영선이와 사귀면서 시치미를 땠다. |
4. 싱가포르 바둑 역사 1981년 일본에서 거행되는 세계아마추어바둑대회에 싱가포르가 초청되면서 모든 이야기는 시작된다. 당시에는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할 선수를 뽑을 아무런 공식 기구가 없을 때였다. 그래서 바둑인 39명이 모여서 싱가포르 바둑협회 (Singapore Weiqi Association)를 결성하게 된다. 이 모임을 주도한 티안(田银河-Tian Yin He) 박사가 초대회장이 된다.
▲ 티안 교수 부부와 오청원 선생 부부 (2009년 4월) |
5. 바둑인구 클럽 등록인원(Paid members) 1천 명. 전체 인구 약 1만 명. 독일 인구가 8천 3백만인데 바둑인구는 2만 명쯤이다. 싱가포르는 5백만 인구에 1만 명 바둑인이 있다. 역시 동양 권이라 바둑보급이 훨씬 빠름을 알 수 있다. 태국은 바둑 인구가 백만 명이 넘었다고 한다.
6. 클럽(Clubs) 현재 매주 바둑강의를 하고 있는 클럽은 비샨(Bishan)과 부기스(Bugis)가 있다. 이 중 부기스는 대만의 응창기 재단에서 후원하고 있다.
▲ 응창기 재단에서 구입한 부기스 클럽. 싱가포르 협회 보다 더 크다. |
7. 현 집행부(제15대) 회장: 커 진 장(柯金章 Ke Jin Zhang) 총무: 천 한 송(陈汉松 Chen Han Song) 재무: 카이 보 마오(蔡博茂 Cai Bo Mao)
■ 집행부 전체 명단
명예회장(Honorary President) |
Dr. Huang Shang Zhe(黄上哲) Dr. Tian Yin He(田银河) |
자문 (Honorary Adviser) |
Yao Kai Bai(姚开百) |
회장 (President) |
Ke Jin Zhang(柯金章) |
부 회장 (Vice President) |
Chen Ding Chuan (陈丁川) Fu Qi Fa (傅启发) Zhao Zhi Gang (赵志刚) |
총무 (Secretary) |
Chen Han Song (陈汉松) |
부 총무 (Assistant Secretary) |
Zheng Min Yi(郑敏怡) Huang Yong Han(黄勇翰) |
재무 (Treasurer) |
Cai Bo Mao(蔡博茂) |
부 재무(Assistant Treasurer) |
Guo Wen Jun(郭文俊) |
위원 (Committee Member) |
Dr. Tian Yin He (田银河) Dr. Gao Chu ren (高初人) Chen Jia Cheng (陈嘉成) Tang Xiao Song (唐小松) Chen Yi Rui (陈奕锐) Fu Chuan Lin (傅川林) | |
8. 바둑강자 (Strong players) 현재 싱가포르는 두 명의 6단이 있다. 한 명은 천 지아 청(Chen Jia Cheng-陈嘉成 23세)이다. 6 살 때 바둑을 배워 기력(棋歷)이 벌써17년이다. 그는 국내 대회는 물론 2009년 일본 세계대회에서 6위를 했고 삼성 마스터스에 출전권을 얻었다. 다른 한 명은 장 시앙(Zhang Xiang-张翔)으로 9세 때 시작해서 지금 20세다. 기력 11년의 그는 2007 한국 국무총리 배에서 11위를 했다.
▲ 다니엘(좌)과 최 강자 천 6단 다니엘이 군복무 중 바둑을 가르치고 있다. |
9. 프로기사(Professional players) 두 명의 중국 프로기사 양진화(杨晋华) 6단과 강잔빈(康占斌) 6단이 있다. 대만 프로 시아시엔위(夏衔誉) 2단이 싱가포르 바둑협회 정규직원으로 일하고 있다. 싱가포르협회 측은 나에게 얘길 안 했으나 들리는 말에 의하면 양6단이 중국으로 돌아 가야 하기 때문에 그 후임으로 한국 사범을 찾는 거라고 한다.
▲ 중국 프로기사 강잔빈(康占斌) 6단의 어린이 교실. |
10. 기도 보급(Promotion programs) 싱가포르 협회는 매 6개월 마다 3일간 바둑 보급기간을 두어 바둑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한 각 종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관심 있는 사람들은 매주 열리는 바둑 교실에 참여한다. 바둑 교실은 연령, 급수에 따라 분류된다.
11. 국가 대항전(National matches) 매년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가 돌아가며 ‘3국 정기대항전’을 주최한다.
12. 바둑 광(Baduk freaks) 바둑에 너무 열광한 회원 한 명이 자기가 바둑 돌로 목걸이를 만들어 매고 “안 벗겠다”를 선언한 후 아직 한 번도 안 벗었다고 한다. 만만치 않은 변태인 듯 ^^
13. 대회(Tournament)
승단대회 (Dan Upgrading Competition) |
청소년 대회 (National Youth Weiqi Competition) |
동 토아파요 대회 (Toa Payoh East Tournament) |
초등학교 대항전 (Shoutan Cup National Inter-Primary Schools Weiqi Tournament) |
퀴핑컵 중고생 대회 (Qiuping Cup National Inter-secondary Schools Weiqi Tournament) |
란케컵 대학생대회 (Lanke Cup National Inter-tertiary Insitutions Weiqi Tournament) |
싱가폴 토너먼트 (Singapore Weiqi Tourney) |
싱가폴 바둑리그 (Singapore Weiqi League) |
여자대회 (National Ladies Tournament) |
페어대회 (National PairGO Tournament0) |
마사고스 컵 국경일과 페스타수칸 바둑대회 (Masagos Cup National Day and Pesta Sukan Weiqi Competition) |
상청컵 대회 (Chang Qing Cup (常青杯) |
왐포아 전국대회 (Whampoa National Weiqi Championships) |
주롱그린 속기대회 (Jurong Green Weiqi Fast Game Tournament) |
|
▲ 한국에 바둑 공부하러 온 싱가포르 팀 강사 다니엘라와 디아나의 얼굴도 보인다. |
▲ 박정상 9단, 원성진 9단, 이창호 9단과 함께 |
▲ 싱가포르 항공 스튜어디스 |
▲ 단위증서 |
▲ 싱가포르 바둑협회 정문 |
▲ 바둑협회 내부. |
▲ 오자(왕좌) 전 싱가포르 대회. |
▲ 결승전과 패어 결승전 |
▲ 우리교실에 나온 바둑학과 싱가포르 입학생 신디 림(왼쪽 사진)과 이성준(좌), 조미경 사범(우) |
국기
▲ 지도 | | | | | | |
바둑역사가 깊은 나라 스위스 |
괴짜 친구 '패트리스'와의 추억 | | |
2009-09-29 오전 10:08:12 입력 / 2009-09-30 오전 11:21:22 수정 |
| |
 ▲ 알프스 산맥과 호수를 끼고 있는 마을 |
 ▲ 알프스 마을 2 |
 ▲ 스위스의 26개 주 중 2 개 주는 아직도 직접 민주주의를 실천하고 있다. |
스위스(Switzerland)
스위스가 정밀공업이 발달되었다고 잘난 체 하니까 과학이라면 자신 있는 독일이 기를 죽이기로 했다. 머리카락 한 가닥을 세로로 12 개로 나누었다. 눈에 안 보일 정도로 가느다랗게 쪼개어 스위스로 보냈다. 얼마 후 “현미경으로 잘 들여다 보시오”라고 쓴 답장 과 함께 그 머리카락이 돌아 왔다. 현미경으로 들여다 보니까 그 가느다란 머리카락에 스위스가 나사 구멍을 일정하게 뚫어 놓았다. 전 세계 시계의 반을 생산하는 스위스에 대해 내가 어려서 들은 얘기다. 스위스는 알프스 산맥을 끼고 있는 부분과 북 쪽 평야지대가 있다. 우리가 그림처럼 아름답다고 하는 부분은 알프스 쪽이다.
스위스의 1인당 국민 소득은 6만 7천불(2008 Wiki)로 세계 최고수준. 크기(41,300㎢)는 남한의 반이 안되고 인구는 770만 명쯤 된다. 영세중립국인데도 강한 군대가 있고 병역도 의무제다. 무기생산판매는 국가의 주 산업 중 하나다. 그 밖에 정밀공업, 목축, 금융업, 관광업 외에 수력발전 전력까지도 이웃 나라에 수출한다. 오스트리아 지배하에 독립 투쟁하던 윌리엄 텔(William Tell) 얘기도 유명하고 18세기 계몽 철학자이며 “사회 계약설” 저자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와 20세기 최대의 신학자로 불리는 칼 바르트(Karl Barth)가 이 나라 사람들이다. 현재 남자 테니스 세계 1위 로저 페데러와(Roger Federer) “알프스 소녀”란 별명을 가진 여자 세계 1위였던 마티나 힝기스(MartinaHingis)도 스위스 사람들이다.
 ▲ 스위스 군대 |
 ▲ 현재 남자 테니스 세계 1위인 로저 페데러(왼쪽 사진)와 여자 테니스 세계 1위였던 마티나 힝기스. |
1. 바둑 챔피언 패트리스 고스텔리(Patrice Gostelli) 1981년 도쿄세계대회가 끝나고 20 여명의 각국 챔피언들이 관서기원 초청으로 오사카에 갔다. 약 1주일 간 그 지방 도시를 돌며 우리는 교류전과 관광을 했다. 그 때 내 앞자리에 앉은 약간 뚱뚱한 친구가 왼쪽 옆 사람과는 독일어로, 오른쪽과는 불어로, 자기 앞쪽 사람과는 이태리어로 말을 한다. 그러다가 뒤로 돌아서 나에게는 영어로 한다. 여러 나라 말을 하는 사람(Multilingual 혹은 polyglot)의 얘기만 들었지 이렇게 앞에서 네 나라 말을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은 처음 봤다. 내가 “어떻게 여러 나라 말을 그렇게 잘 하느냐?”고 했더니 자기가 스위스 사람이라 그럴 거라고 한다. 스위스는 독일어 인구가 72.5%, 불어가 21%, 이태리어가 6.5%가 사용되고 고대어 로마니쉬도 0.5%쯤 된다. 그의 이름은 패트리스(Patrice Gostelli) 3단이며 스위스 챔피언이다. 그는 불어 지역에 살고 있었다.
그는 나에게 자기가 한국과 무역 건으로 가서 며칠 묵고 싶은데 아는 사람이 없어서 망설여 진다고 했다. 내가 한국엘 가면 따라 가겠다고 한다. 내가 “나는 도쿄에 사는 우리 누나네 집에서 한 일주일 묵고 서울에 갈 예정이다. 그러나 내 동생을 대신 소개해 주겠다”고 하며 동생 전화번호를 주었다. 그는 서울에 도착하여 이틀 만에 동생에게 전화를 했다. 그는 한국기원 소개로 종로 3가 운당여관이라는 곳에 묵고 있었다. 그 여관은 당시 국수전이 열리는 곳이었다. 그가 동생에게 “나는 땀을 많이 흘리는데 이 여관은 샤워시설이 미비해 너무 불편하다’고 했다. 동생이 그를 데리고 강남에 있는 ‘남 서울 호텔’이란 곳에 묵게 하고 닷새 치 돈을 내 주었다. 술과 식사 대접도 해 주었다. 바둑은 둘이 호선이라고 한다. 내가 서울에 도착하여 그를 만나니까 나에게 고마워하며 “스위스에 오면 꼭 은혜를 갚고 싶다”고 한다.
 ▲ 인터라켄(융 프라우에 가는 기차가 여기서 떠난다). |
 ▲ 인터라켄에서 보이는 융프라우 |
 ▲ 융프라우로 가는 기차. 톱니 바퀴로 올라간다. 1인당 113유로(약 20만원)다. |
2년 후 스위스 인터라켄(Interlaken)이란 곳에서 그에게 전화를 했다. “우리 가족 3명이 서봉수 사범을 대동하고 유럽 여행 중이다. 내일 융프라우(Jungfrau York)에 먼저 올라 갔다가 당신네 집으로 가려고 한다. 우리를 한 이틀 재워 줄 수 있겠는가?” 했더니 그가 “그런 걸 갑자기 통보를 하면 어떻게 하나? 나는 준비가 안 되었다” 고 한다. 그 말에 내가 열을 받았다. “서울서 전화를 시도했으나 잘 안 됐다. 불편하다면 그만두겠다” 고 화난 목소리로 말했더니 그가 펄쩍 뛰며 “거절하는 말이 아니다. 무조건 우리 집으로 내일 오라”고 한다.
다음날 라쇼드퐁(La Chaux-de-Fonds)이란 도시를 5시간쯤 차로 달려서 도착했다. 수도 베른을 거쳐 간데다가 눈이 너무 많이 와서 시간이 더 걸렸다. 프랑스와 접경 쥐라 산맥 지대라 불어사용 지역이다. 이곳은 시계산업의 중심지인데 시내가 바둑판처럼 잘 정돈되어 있다. 그가 말해 준 ‘국제시계박물관’에 도착해서 구경하고 있는데 패트리스가 나타난다. 이 박물관은 18세기 귀족 집을 개조해서 쓰고 있다. 해시계부터 첨단시계까지 명품을 다 모아 놨다. 이곳엔 시계 학교도 있다.
 ▲ 눈 덮인 라 쇼드퐁 |
 ▲ 나사(NASA)가 택한 아폴로 호에 사용된 오메가 시계(왼쪽 사진)와 국제시계 박물관에 전시된 옛날 시계. |
패트리스는 우리를 자기집에 데려간다. 아파트인데 자기네 부부는 2층에서 산다. 우리를 8층 자기 부모네 아파트로 데려가서 거기서 묵으라고 한다. 내가 “부모님은?” 하니까 자기가 8백 불을 주어 어제 지중해 쪽으로 휴가를 보냈다고 한다. 그리고 자기네 부부가 아까 청소를 끝냈다고 한다. 어제 이 친구에게 화냈던 일이 미안해지려고 한다. 저녁은 치즈를 포도주에 타서 불에 녹이며 빵을 찍어 먹는 퐁듀(Fondue)로 준비했다. 스위스 사람들은 자기네가 치즈는 세계에서 제일 맛있게 만든다는 자부심이 있다. 기타가 있길래 누가 치느냐고 했더니 자기 아내 거라고 한다. 식사 후 내 청으로 그의 부인이 기타를 치며 노래를 했다. 패트리스 부인은 20대로 아주 미인이다. 그러나 불어만 하고 영어가 서툴러 조금 불편했다. 미인이 촛불 아래 달콤하고 수줍게 노래하는 모습이 영화의 한 장면 같다. 서 사범 얼굴을 보니까 완전히 뿅 갔다(속 없기는!)
 ▲ 2006년 대회에 백발로 출전한 패트리스(왼쪽 사진)와 퐁듀(fondue) |
내가 서 사범에게 8층에 가서 뭘 좀 갖다 달라고 부탁했다. 그런데 한 시간이 지나도 안 온다. 이상해서 8 층에 올라가보려고 엘리베이터를 여니까 그 속에 서 사범이 서 있다. “왜 거기 서 있냐”고 하니까 엘리베이터가 한국에서 타 본 거 하고 달라서 어떻게 하는지 몰라 서 있다고 한다. 유럽엔 문을 수동으로 열고 그 속이 자동이 되는 다른 시스템이다. 자기가 모르니까 아무 거나 눌러 보질 않고 누가 열어 주기만 기다린 것이다. 조심성인지 인내심인지 몰라도 기가 막힌다. “혹시 이런 성격이 이 사람을 바둑고수로 만든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겨울에 한 시간을 갇혀 있어 서 사범은 완전히 얼었다. 방으로 돌아와서 내가 패트리스에게 5점을 놓으라고 하고 서 사범에게는 꼭 이기라고 했다. 정말 서 사범이 스위스의 챔피언을 5점으로 이겨 낸다. ‘현란한 흔들기”나 “묘수 한 방’ 없이 ‘정확한 행마’로만 이겨 간다. 옆에서 관전하면서 내가 느낀 점이 많았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대국 후 패트리스가 참았던 본론으로 들어 간다. 스위스에 자기 라이벌 스테판(Stéphane Safrasiantz)이라고 있는데 자기넨 바둑실력 보다 텔레파시로 승부가 난다고 한다. “이건 또 무슨 뚱딴지 같은 얘기야?” 이 친구가 내 호기심을 자극한다. “무슨 말이냐”고 하자 자기는 그와 결승국을 많이 두는데 자기네 둘은 대국을 하면서 서로 정신을 집중하고 텔레파시(Telepathy)로 상대편의 생각을 읽는다고 한다. 그러면 그가 무슨 수를 생각하는지 알 수 있다고 한다. 거기에 대처해 두면 승리한다고 한다. 패트리스가 서 사범에게 “조훈현 국수와 대국을 많이 하는데 둘이 만 방에 있을 때 상대편 생각을 읽느냐?”고 묻는다. 내가 통역해 주니까 서 사범이 “이 사람, 묘한질문을 하네요” 하며 웃는다. 보니까 서 사범은 텔레파시에 대한 관심조차 없었다.
 ▲ 라쇼드퐁 시내 트롤리 버스(전기로 감) |
이 텔레파시 경쟁을 하던 라이벌이자 친한 친구인 두 명은 우리가 패트리스 네 다녀간 지 얼마 안 되어 싸우게 된다. 왜 싸웠느냐 했더니 내가 듣기엔 패트리스 잘못이 더 크다. 세계대회 출전권과 스위스 챔피언을 가리는 결승국에서 패트리스가 흑을 잡게 되자 첫 점을 판 위에 던졌는데 그 돌이 굴러가서 변 가장자리 어디에 섰다. 그러자 패트리스가 “그게 내 첫 점”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스테판의 신경을 긁는 작전이었다. 열 받아서 두던 스테판이 그 판을 졌다. 그리고 서로 말을 안 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서로 말도 안 하고 바둑클럽에도 안 나오고 20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친구끼리 이럴 수가?”
패트리스는 옛날에 제사용 짐승을 랜덤으로 골라 신에게 바치는데 힌트를 얻어 자기가 던지는 돌도 랜덤 착 점을 하니까 신에게 바치는 뜻이 있다는 궤변을 토하기도 했다. 또 그 돌이 어디에 떨어지던지 그 돌을 좋은 수로 만드는 자기의 능력을 자랑하기도 했다. 그는 미리 돌을 손가락으로 튕겨 판에 떨어트리는 연습을 했다고 한다. 너무 세게 하면 판 밖으로 나갈 테니까. 2006년 두 명이 다 스위스 바둑대회에 출전하게 되었다. 둘 다 늙고 바둑은 약해진 채로 만난 그들은 악수를 하고 다시 옛날 친구로 돌아갔다고 한다. 공자가 말한 “무슨 일이든지 순화 시켜서 받아들인다”는 이순(耳順)의 나이 60이 넘어서였다. 내가 요즘 스위스 바둑인들에게 의견을 물었더니 “둘 다 변태인데 패트리스 쪽이 더 변태” 라며 웃는다.
이 글을 쓰고 있는데 스위스 바둑회장 루옛(Luyet)이 나에게 연락을 했다. 자기가 패트리스에게 전화를 해서 내가 세계 바둑 계를 소개하고 있고 스위스 부분에 자기 얘길 쓴다니까 너무 반가워 했다고 한다. 패트리스가 회장에게 자기가 3주 동안 여행을 하고 돌아와서 3일을 쉰 뒤 또 3주 여행을 떠나는데 중간에 나에게 연락을 하겠다고 한다. 나는 자기의 괴팍한 면에 대해 쓰고 있는데 본인은 속 없이 반가워 한다니까 좀 착잡한 생각도 든다. ^^
2. 스위스 바둑 역사 스위스에서 첫 클럽은 제네바와 바젤에서 1970년대 후반에 생겼다. 제네바 일본 영사관에서는 1950~60년대에 벌써 바둑이 두어졌다고 한다. 1973년 일본기원 영어 바둑 잡지를 보면 “스위스에는 바둑클럽이 세 곳 있다”라고 적혀 있다. 첫 바둑대회는 바젤에서 1977년 4월에 열렸다. 제네바, 로잔, 라쇼드퐁처럼 3 대 불어 사용 도시에서 주로 많이 참가했다. 1978년에는 취리히에 사는 일본인 와카야마(Junishiro Wakayama)가 취리히 바둑클럽을 창설하고 회장이 되었다. 일본이 세계대회를 개최하고 각국 챔피언을 초청하면서 유럽 바둑계에는 엄청난 새로운 파도가 밀려오기 시작했다. 첫 스위스 바둑선수권대회가 1977년 12월에 로잔에서 개최되고 1979년 10월 14일 스위스 바둑연맹이 공식적으로 출범한다.
3. 현 집행부(Board of administration) 회장(President): Jean-Luc Luyet (since 12th April 2009) 총무 겸 재무(Secretary, treasurer): Lorenz Trippel (ltrippel@swissonline.ch)
4. 바둑인구 클럽 등록인구(Paid member) 150명(10배로 치면 바둑인구는 약 1500명쯤 된다) 참고로 2008 스위스 대회 참가자는 130명
5. 지도자 두 명의 공로자가 있다. 슈바이처(Marcel Schweizer)는 라쇼드퐁 중심으로 바둑보급을 하다가 1984년에는 포렌투루이(Porrentruy)에서 유럽대회를 개최했다. 베른 출신 헬트(Alan Held)는 스위스협회 총무를 지내다가 80년대에는 유럽바둑연맹(EGF) 회장을 역임한다.
6. 바둑클럽(14 곳) Clubs in Switzerland: - 바젤(Basel - 독일과 접경도시) - 베른(Bern 수도) - 제네바(Geneva) 3곳: 코고(Kogo), 체른(Cern), 베이리어(Veyrier) Go Clubs - 라 투르드 페일(La Tour de Peilz) - 로잔(Lausanne) - 루체른(Luzern) - 니옹(Nyon) - 노이샤텔(Neuchâtel) - 레낭(Renens) - 샤우프하우센(Schauffhausen) - 빈터투르(Winterthur) - 취리히(Zürich+ 2 비공식 클럽 Yverdon and Sion이 있다) 이 외에 제네바 일본 영사관에서도 바둑모임이 있다.
 ▲ 2009 스위스 대회모습. |
7. 대회(Tournaments) 약 10 개의 대회가 있다. 각 클럽이 하나씩 개최하고 스위스대회는 각 도시가 돌아가면서 개최한다. 최근 대회
• 2009 : o 6월13-14 스위스 페어대회 [Ascona/Locarno] o 5월 2-3 바젤 대회 o 4월11-13 스위스 대회 루체른 [Luzern] o 1월31 – 2월 1일 베른 대회 [Soleure]
• 2008 : o 12월7일 제네바 대회 o 11월 29-30 루체른 대회(Lucerne) o 11월 15 빈터투르 대회(Winterthur) o 11월1-2 취리히 대회(Zürich) o 10월18-19 로잔대회(Lausanne) o 10월11-12 베이리어 대회(Veyrier) o 9월 6-7 페어대회(pairgo) [Bellinzona] o 5월 24-25 제네바 오픈(Kogoclub - Special JAL Cup) o 5월1-4 스위스 대회[Zürich] o 4월 26-27 바젤대회(Basel) o 2월 2-3 베른 대회(Bern)
8. 바둑 강자 1) 아멜 볼프(Armel-David Wolff) 4단. 프랑스에서 20년 전 이주. 스위스 바둑협회 회장을 지냈다. 2) 요세프 레너(Joseph Renner) 3단. 활발하게 여러 국제대회에 나가고 있다. 3) 존 월쉬(John Walch) 2008~9년 일본 원생 훈련을 받고 귀국. 3단 때 갔으니까 지금은 최소 5단쯤으로 추정. 4) 패트릭 그로이터(Patric Grueter) 3단. 지금 신혼이라 대회출전을 쉬고 있다.
9. 보급활동(Promotion activities) 제네바와 베른에서 매 주 1회 바둑강의. 특히 프로의 방문을 계기로 가끔 워크 숍을 한다. 2006년에는 일본 여성프로 고바야시 치수(小林千壽) 5단이 제네바에 1년간 살면서 스위스에서 보급 활동을 하고 돌아 갔다. 스위스는 자기네도 언젠가는 좋은 바둑사범을 가질 날이 오리라 기대하고 있다. 제네바에 ‘세계 게임 박물관’이 있어서 그런지 스위스 바둑 인들은 다른 종류의 보드게임 대회에도 자주 참가하는 편이다.
10. 바둑 캠프(Baduk camps) 매년 여름 1~2주 바둑캠프 개최. 유럽 강자나 프로를 초청한다. 보통 30명쯤이 참가한다. 2009년 8월 17일~22일 캠프에는 네덜란드의 궈주안 프로 5단을 초청했는데 40명이 참가했다. 금년 9월 19~20일에 열리는 취리히 대회에 유럽 강자 황인성 사범을 초청했다. 그는 대회 기간 복기는 물론 대회 전 날 취리히 바둑클럽에서 워크숍을 가졌다.
 ▲ 황인성 사범(왼쪽 사진)과 취리히. |
11. 웹 사이트 스위스 관련 메일: (http://www.swissgo.org/info/varia.html) (http://www.swissgo.org/galleries)
12. 출판(Publications) 계간지 "Bulletin Lémanique de Go"가 있었는데 현재는 휴간 중. 대신 온라인 잡지 "Suji magazine"이 있다. 바둑 블록은 http://blog.swissgo.org 가 있다.
 ▲ 베른 시내. |
 ▲ 베른(Bern) 주택가. |
`
 ▲ 바젤(Basel) |
 ▲ 제네바 레만(Leman) 호수 |
 ▲ 2009 스위스대회 |
 ▲ 우승자 요세프 3단과 리웨(Josef & Li Yue) 6단. 요세프는 한국 기사들과 친하다. |
 ▲ 리웨(Li Yue) 6단 강의 |
 ▲ 현 스위스 챔피언 요세프(Joseph Renner) 3단에게 내가(좌) 3 점 바둑을 두어 주고 있다. |
 ▲ 스위스에 기원전 44년에 로마인들이 만든 노천극장 |
 ▲ 연방위원들. 이들이 1년씩 돌아 가면서 대통령을 한다. |
 ▲ 스위스 국기와 스위스 나이프. |
 ▲ 스위스 지도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