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0년 세밑에 화제를 뿌린 문제의 주인공은 김성오(金成五·45·가명)씨와 이순자(李順子·27·가명)여인. 아내를 빼앗긴 김성오씨는 아내를 빼앗아간 남자의 아내 이순자여인과 아픈 슬픔을 씹어 삼키며 내일의 밝은 새 아침을 기약한 것이다. 이 결혼식에는 축복하는 이 하나없이 달아난 요부(妖婦) 어머니 대신 어진 새엄마를 맞는 어린 5남매가 있었다.
김성오씨는 일본「히로시마」에서 공업고등학교를 졸업, 해방과 함께 귀국, 춘천에서 알아주는 자동차의「베테랑」정비사. 이곳에서 22년전 윤문희(尹文姬·37·가명)여인과 결혼, 지금까지 2남3녀의 자녀를 거느리면서도 고생이라고는 모르고 지내온 중류 이상의 가정을 꾸렸다. 춘천시 소양로2가에서 조그맣게 정비공장을 차리고 있던 김씨가 지난 65년부터 인력 수출에 힘입어 월남행 비행기를 탔다. 떠날때 정비공장을 정리하여 지금 사는 사농동으로 살림집을 옮겼다.
김씨는 파월 1년도 못돼 당시 고용회사였던「필코」회사가 망해 그대로 귀국했다. 월남「투이호아」에서 그렇게 고된 일을 하면서도 매일 남십자성 아래 듬뿍 내리는 이슬을 맞으며 아내와 자식들에게 알뜰한 사연을 보내는 것이 즐거움의 전부였다. 윤여인도 하루도 거르는 날 없이 편지를 보냈다. 꿈에도 그리던 월남가신 임이 예상외로 빨리 귀국하자 중년의 부부는 더없이 다정했다. 이때만해도 이웃 누구하나 이들 부부를 부러워않는 사람이 없었다. 이 가정의 행복은 영원한 것인 것처럼….
남편이 돈벌러 월남가자 가정교사와 눈맞아 도피
그러나 이 집안에도 불행의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우기 시작했다. 김씨는 지난 68년 가을 가족들의 만류도 뿌리치고 돈을 벌겠다며 재차 월남기술자로 떠났다. 1년후의 뿌듯한 해후를 위해 비지땀을 흘려 번돈 일금 7백「달러」를 매달 꼬박꼬박 부인앞으로 송금했다. 경제적으로는 풍족했으나 윤여인은 항상 가슴 한구석이 허전했다.
이럴때 국민학교 4학년짜리 맏아들 경호군(10·가명)의 가정교사로 이웃에 있는 모 고등학교 국어교사 박관호씨(34·가명)가 집에 들어왔다. 서울 모대학 국문학과를 나와 6년째 한학교에서만 줄곧 교편을 잡고있는 박교사는 퍽이나 이지적이고 얌전한 축에드는「인텔리」였다. 이곳에 부임하던 해 이여인과 결혼, 1남1녀의 두자매까지 뒀다.
매일 한숨으로 지새던 생과부 윤여인은 아이들이 공부를 끝내고 잠든후면 박선생을 붙들고 하소연을 가득 담은 대화를 밤깊도록 했다.
세월이 흐름에따라 이들은 밀회를 즐기는 사이가 됐다. 꽉 막힌 방대신 야외를 찾아다니며….
한번 허물어진 여자의 성은 장마비에 보터지듯 겉잡을 새가 없었다. 분별없는 사랑은 그래도 현직교사라는 위치때문에 남의 눈을 피했다. 이때 생각해낸 것이 사랑의 도피행. 박교사는 지난 2월 대학원을 다닌다고 속인후 처자식까지 내팽개치고 윤여인과 함께 어디론가 떠나간 것이다. 사련에 눈이 먼 윤여인은 젊은 정부를 따라 어린 자식들까지 버리고 간후 매달 송금때만 찾아와 몽땅 현금으로 찾은후 아이들에게는 2만원만을 생활비로 남겨주고 모두 가지고 갔다.
이웃이 창피해 쉬쉬해오던 아이들이 급기야 월남에있는 아버지에게 어머니의 불륜을 알렸다.
하지만 선량하기만한 김씨는 눈에 넣어도 아프지않을 만큼 사랑스러운 아내가 부정을 저지르다니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일이기에 일절 믿지않았다.
그동안 송금한 돈은 아내가 다 써버렸다고 해서 김씨는 귀국을 연기했다. 최소한의 생활비라도 벌어오기위해 7개월을 더 머물렀다가 지난 10월 귀국했다. 한편 박교사의 처 이여인은 전북 이리에서 부정한 생활을 하고 있는 남편을 두차례나 찾아가 이성을 되찾으라고 애원했다.
잃은자끼리 서로 상처달래주다 정들어
그러나 한번 빠져든 박교사를 돌이킬수는 없었다. 남편을 빼앗긴 이여인은 어린 두 남매를 데리고 호구지책으로 삯바느질과 고등학교때 익힌 편물로 겨우 생계를 이어왔다.
귀국한 김씨는 아내를 빼앗아간 박교사를 증오하면 증오하는만큼 이여인에 대한 동정이 컸다.
남편을 연상의 정부(情婦)에게 빼앗긴채 돌봐주는 이 없이 단간셋방에서 아비잃은 두남매를 부둥켜안고 슬픔을 짓씹던 이여인을 찾아가 위로했다.
『모두가 내처의 방탕한 생활 탓』이라고 용서를 빌었다.
이여인 역시 남편의 눈먼 사련으로 부인을 빼앗긴 김씨를 위로했다. 두 사람은 증오대신 서로의 아픈 상처를 감싸주었다. 김씨는 고생하는 이여인에게 쌀과 연탄등도 사줬다. 그러다 보니 김씨 자신이 이여인을 좋아하게 됐다.
거의 매일 찾아가 함께 도와가며 살자고 졸랐다.
이여인도 어질기만한 김씨를 끝까지 뿌리치지 못했다. 서로가 서로를 너무나 잘아는 이들 새 부부는 자식들을 위해 결합하기로 했다. 이여인은 부산에서 숨어사는 불륜의 남녀를 찾아가 이혼서류에 도장을 받고 또 찍어줬다.
법조계에서도 바람직하다거나 권장할 일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이같이 해서 법없어도 산다는 김씨는 정말 법없이 사는 본보기가 됐다.
[선데이서울 70년 12월 27일호 제3권 52호 통권 제 11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