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불성(佛性)이 이 몸에 있다고 한다면,
이미 몸 가운데 있으면서 범부를 벗어나지 못한 것이니,
저는 어째서 지금 불성을 보지 못합니까?"
"네 몸 안에 있는데도 네가 스스로 보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면 배고프고 목마른 줄 알며, 차고 더운 줄 알며,
성내고 기뻐하는 것이 무슨 물건인가?
또 이 육신은 지(地).수(水).화(火).풍(風)의
네 가지 요소[四大]가 모인 것이므로,
그 바탕이 미련해 식정(識情)이 없는데 어떻게 보고 듣고 깨달아 알겠는가.
보고 듣고 깨달아 아는 그것이 바로 너의 불성이다.
그러므로 *임제(臨濟)스님이 말씀하기를
'사대(四大)는 법을 설할 줄도 들을 줄도 모르고 허공도 또한 그런데,
다만 네 눈앞에 뚜렷이 홀로 밝은 형상 없는 것이라야
비로소 법을 설하고 들을 줄 안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말한 <형상 없는 것>이란 모든 부처님의 *법인(法印)이며
너의 본래 마음이다.
즉 불성이 네 안에 버젓이 있는데 어찌 그것을 밖에서 찾느냐.
네가 믿지 못하겠다면 옛 성인들의 도(道)에 든 인연 몇 가지를 들어
의심을 풀어 줄 테니 진실인 줄 믿어라.
옛날 이견왕(異見王)이 바라제 존자께 물었다.
'어떤 것이 부처님입니까?'
존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성품을 보는 것이 부처입니다.'
'스님은 성품을 보았습니까?'
'그렇습니다. 나는 불성을 보았습니다.'
'성품이 어느 곳에 있습니까?'
'성품은 작용(作用)하는 데에 있습니다.'
'그 무슨 작용이기에 나는 지금 보지 못합니까?'
'지금 버젓이 작용하는데도 왕이 스스로 보지 못합니다.'
'내게 있단 말입니까?'
'왕이 작용한다면 볼 수 있지만, 작용하지 않는다면
그 체(體)도 보기 어렵습니다.'
'만일 작용할 때에는 몇 군데로 출현합니까?'
'출현할 때에는 여덟 군데로 합니다.'
왕이 그 여덟 군데를 말해 달라고 하자 존자는 다음과 같이 가르쳐 주었다.
'태 안에 있으면 몸이라 하고, 세상에 나오면 사람이라 하며,
눈에 있으면 보고, 귀에 있으면 듣고,
코에 있으면 냄새를 맡으며, 혀에 있으면 말을 하고,
손에 있으면 붙잡고, 발에 있으면 걸어 다니며,
두루 나타나서는 온 누리를 다 싸고, 거두어들이면 한 티끌에 있습니다.
아는 사람은 이것이 불성인 줄 알고,
모르는 사람은 정혼(精魂)이라 부릅니다.'
왕이 이 말을 듣고 곧 마음이 열리었다.
또 어떤 스님이 귀종(歸宗) 화상께 물은 일이 있었다.
'어떤 것이 부처입니까?'
화상은 이렇게 말했다.
'내 이제 그대에게 일러주고 싶지만 그대가 믿지 않을까 걱정이다.'
'큰 스님의 지극한 말씀을 어찌 감히 믿지 않겠습니까?'
'그것은 곧 너니라!'
'어떻게 닦아가야[保任] 합니까?'
'한 꺼풀 가리는 것이 눈에 있으니 헛꽃[空華]이 어지러이 지는구나.'
그 스님은 이 말 끝에 알아차린 바가 있었다.
옛 성인의 도에 드신 인연이 이와 같이 명백하고 간단하여 힘들지 않았다.
이 법문으로 말미암아 알아차린 것이 있다면,
그는 옛 성인과 더불어 손을 마주잡고 함께 갈 것이다."
첫댓글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