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깨비>
도깨비는 한국을 대표하는 가장 유명한 정령(情靈)이다. 형태가 아예 없거나 사람, 괴물같은 모습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승된다. 도깨비는 하나의 고유한 존재를 지칭함은 물론 그에 비슷한 능력을 가진 존재까지도 통칭한다. 이처럼 괴이한 존재이지만 의외로 인간에게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지 않는다. 인간에게 씨름내기를 걸어 골탕을 먹이거나, 집 안에 들어가 아이들의 신발을 숨기거나, 밤길에 갑자기 나타나 지나가는 이를 놀래키는 정도의 행동만 일으킨다. 일부 지역에서는 인간에게 풍요를 보장하는 도깨비도 존재한다.
도깨비의 직접적인 기원은 신라의 비형랑 설화와 방이설화로 보고 있다. 민속학자들은 목신(木神) 숭배, 야장신 숭배, 용 숭배 같은 원시적인 귀신 숭배에 의해서 만들어졌지만 이후에는 문명과 풍요의 신이 되어 숭배되는 복합적인 존재로 본다. 또한 번개, 화재, 홍수 등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의인화로 보기도 한다.
도깨비의 어원에는 '돗가비'라는 말에서 기원했다는 설, 잡귀를 뜻하는 '오도깨비'에서 비롯 됬다는 설, 이해할 수 없는 형상을 뜻하는 형용사에서 왔다는 설 등이 있다. 도깨비는 덩치 큰 남성의 형태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조선초 세종치세에 발간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보상절(釋譜詳節)』의 영향으로 보인다. 도깨비 연구 전문가인 김종대(중앙대 민속학과 교수) 씨의 설명에 의하면 도깨비는 '돗'과 '애비'의 합성어로, 돗은 '불'과 '씨'라는 뜻으로서 풍요를 상징한다. 그리고 애비는 우리가 익히 아는 성인 남자를 의미하는 단어인데, 그에 걸맞게 도깨비는 우람한 남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선 싸리빗자루 등 오래된 도구에 깃든 정령의 형태를 띄고 있다.
당연한 말이지만, 도깨비의 능력은 인간의 능력을 간단히 초월한다. 무엇이든 만들어 내는 도깨비 방망이와 쓴 사람을 투명하게 만드는 도깨비 감투 설화가 이런 능력에서 비롯되었다. 비형랑 설화에선 하룻밤만에 거대한 다리를 만들어 내고, 장자마리 처럼 지방의 토착신으로 마을의 풍요를 불러일으킨다. 초인적인 괴력으로 인간을 골려먹고, 물건을 원격으로 조종하여 인간을 놀래키기도 한다.
중세에 들어서면서 중국의 이매망량, 불교의 야차가 결합하여 도깨비는 본래 갖고 있던 신적인 능력이 사라지고 잡귀신의 위치로 내려앉았다. 극한의 공포와 폭력을 상징하는 야차는 한국에 들어와 '두억시니(頭抑神)'가 되었고 잡다한 도깨비들이 숭배하는 귀왕(鬼王)으로 전승되었다. 두억시니의 등장으로 사람들은 두억시니의 성격이 도깨비의 원래 성격인 것처럼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일제때부터 일본의 오니를 한국의 도깨비로 혼동하였고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졌다. 일본에서 건너온 혹부리 영감이야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오니의 특징인 가시 돋힌 방망이, 폭력적인 성격은 오랜시간 지나면서 도깨비의 특징으로 오해받았다. 본래 오니의 방망이는 일본의 무기인 테츠보(鉄棒)에서 기원한 것으로, 생산의 상징인 도깨비 방망이와는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