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꾸눈에 외다리이면서
난쟁이 몸을 가진,
자존심(열등감)이 아주 강한
왕이 있었다.
어느 날,
그 왕이 그 나라 제일의 화가를 불러
자신의 초상화를 그리게 했다.
화가는
왕의 의중을 자기 생각으로 추측하곤
다리 둘에, 두 눈에,
보통 키의 정상인을 그렸다.
이를 본 왕은
우롱 당한 듯한 모욕감을 느끼고
그 화가를 처형해 버렸다.
다음에 불려온 화가는
먼저 왔던 화가의 운명을 알았기에
현실의 모습 그대로 왕을 그렸다.
애꾸눈에,
다리가 하나밖에 없는
난쟁이가 그려진 그림을 보고
왕은 낙심했고,
그 절망이 분노로 변하여
결국 화가의 목을 베어버렸다.
세 번째로 불려온 화가는
도무지 살아날 방도가 없었다.
그렇지만,
침착하게 심호흡을 하면서
살아날 방도를 곰곰이 생각했고,
그 화가는
왕이 말을 타고 사냥을 하고 있는
옆모습을 그렸다.
다리 하나는
말의 반대편에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았고,
총을 겨냥할 때는
성한 사람도 한 쪽 눈을 감기에
이상하지 않았으며,
등을 굽힌 채 말을 타고 있으니
키가 작아 보이지도 않았다.
자연스럽게 정상인처럼 그려졌다.
왕은
이 그림을 보고 크게 기뻐하면서
그 화가에게 큰 상을 내렸다.
첫 번째 화가는,
사실을 기만하는
거짓을 그려 아부하다 목숨을 잃었고,
두 번째 화가는
첫 번째 화가가 거짓을 그려
죽임을 당했으니
사실을 그렸지만,
자존감이 부족한 왕의 열등감과
트라우마를 헤아리는
혜안의 자비가 없어 목숨을 잃었고,
세 번째 화가는
두 화가의 죽음을 보고 진실을 드러내되,
배려가 함께하는 혜안을 깨우쳐
목숨을 구했다.
너무 직설적이거나,
정반대로
잔꾀로 가득한 극단적이거나
기만적인 태도보다,
배려심을 동반한 지혜가
이 세상을 따뜻하게 한다는 교훈을 헤아리는
글이 아닐 수 없습니다.
첫댓글 정말 지혜롭네요. 지혜의 바탕이 배려였군요..
결론이 멋지네요...
정말 지혜롭네요. 과연 그 화가가 제일 처음 왔어도 그렇게 그렸을지 궁금하긴 하지만, 남을 배려하는 그림이 멋집니다.
남을 존중하고 배려해야 함을 가르쳐주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