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전기기능사 한번에 합격하기
카페 가입하기
 
 
 
 

지난주 BEST회원

다음
 

지난주 BEST회원

 
 
 

카페 통계

 
방문
20240625
46
20240626
40
20240627
32
20240628
23
20240629
31
가입
20240625
0
20240626
1
20240627
0
20240628
0
20240629
0
게시글
20240625
3
20240626
3
20240627
3
20240628
2
20240629
1
댓글
20240625
1
20240626
0
20240627
0
20240628
0
20240629
0
 
카페 게시글
Q&A게시판 2단 셀렉트스위치에 대한 제 이해가 맞는지요?
하늘개비 추천 0 조회 4,046 19.08.05 20:51 댓글 1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9.08.05 21:15

    첫댓글 2단 셀렉터의 경우는 하늘개비님 말씀대로 a,b가 나뉠거 같고 실선에 b, 점선이 a접점이 된다에 한표요. ^^.

    미처 생각 못했는데, 실선을 b접점으로 생각해야겠네요.

    그럼 SS나오면 뒷면 확인도 해야되겠네요.

    감사합니다. 하늘개비님.

  • 19.08.05 21:47

    저도 배우는 입장이지만. 말씀드립니다.
    셀렉터스위치가 나오면 일단. 도면을 보세요.
    지금 상기 도면의 예를 듭니다. M수동에 스위치가 가 있지요????

    그러면 님이 할것은 단 하나 입니다.

    셀럭터스위치 내부단자 벨테스터 눌러서 b접점 찾으시고....
    찾으시면 그중 한단자와 나머지 한단자(b접점 아닌단자) 이어주세요... 그것이 SS 입니다.

    그다음에 벨스터가 울렸던 나머지 b접점 단자가 바로 도면에 주어진 M 수동 단자입니다.
    그리고 나머지 a접점 단자가 A 자동 단자의 주인입니다.

    이때...아 이 회로도의 모양에서는 이것이구나라고 외지 마시고....

    앞서 말씀드린 b접점 찾은후에 절차가 도면의 그림에 맞추어 찾아주면 됩니다.

  • 19.08.05 21:50

    도면상 그림이 수동 M에 스위치가 있지 않고 A 자동에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셀럭터스위치 내부단자 벨테스터 눌러서 b접점 찾으시고....
    찾으시면 그중 한단자와 나머지 한단자(b접점 아닌단자) 이어주세요... 그것이 SS 입니다.

    그다음에 벨스터가 울렸던 나머지 b접점 단자가 바로 도면에 주어진 A 자동 단자입니다.
    그리고 나머지 a접점 단자가 M 수동 단자의 주인입니다.

    결론은. 도면이나 결선도에 의해서 이렇구나 할 것이 아니고....
    주어진 도면의 모양에 따라서 정해주면 끝입니다....


    혹시 제 설명이 틀렸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저도 2019년 3회차 실기준비하는 사람으로서... 고수님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 작성자 19.08.05 22:45

    말씀 감사합니다. 추가 질문드립니다.
    그렇다면 셀렉터 스위치 도면상 그림이 주어지지 않고 회로도만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간혹 도면그림은 제공되지 않고 회로도만 제공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있거든요..
    제 생각엔 도면 그림만으로 오토의 b접점 a접점을 정할수는 없습니다.
    도면은 있어도 없어도 그만인 부연설명에 불과합니다.
    회로도에서 오토가 b접점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도면상의 오토 위치가 우측에 좌측에 있던 상관없이
    오토는 b접점으로 연결하는것으로 알고 있고요.
    도면상으로 그 b접점을 11시 방향에 위치시키라고 하면 셀렉트레버가 11시 방향에 위치했을때 소리가
    나게 되면 맞게 결선한 겁니다.

  • 19.08.06 02:12

    가는 A접점일때 오토
    나는 A점접일때 수동
    가 와 나 의 경우 A접점은 반대 인데
    수험생은 선만 연결 제대로 하면 끝입니다.

    가와 나가 달리 작동되어지게 하는건
    시험시
    셀렉터 스위치가 만드는회사??에서.....작동되어지게 만들어져 나오겠죠?

    합격들 하시기 바래요 화이팅~~!!

  • 작성자 19.08.05 23:27

    음... 잘 이해가 안되는데요..
    회로도에 b접점으로 표시되어 있는 Auto쪽이 a접점이라니요..
    그렇다면 아래의 경우는 어떻게 연결해야 할까요?

    M이 회로상 b점점으로 되어 있는데요..
    실제 시험에 나왔던 회로로 알고 있는데 도면은 제공되지 않고 있습니다.
    일단 감독관이 오토를 1시방향에 위치시키세요라고 가정한다면
    어떻게 결선해야 하는 걸까요?

  • 19.08.06 01:52

    위 그림과 감독관 지사사항에 맞춰 해본다면..

    1. 핀 번호를 맥입니다. (예로 c3 c4 c5 로 맥였습니다)
    2. 감독관지시에 따라 ss스위치를 사진과 같이 조립을 합니다. (1시방향오토)
    3. ss스위치 1시방향에 맞춰놓고 뒤집어서 벨테스터기로 찍어 소리 나는곳에 c3 c5를 하나씩 물립니다
    4 ss스위치 11시 방향으로 맞춰놓고 뒤집어서 벨테스터기로 찍어 소리나는곳에 공통은 c3을 점프해서 연결하고 나머지쪽에 c4를 연결합니다.

  • 작성자 19.08.05 23:39

    그리고, 제가 지금까지 봐온 2단 셀렉터 스위치 결선방법을 가장 잘 설명한 글은 아래의 블로그 글입니다. 참조 바랍니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hk9503&logNo=221396804283&parentCategoryNo=&categoryNo=18&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 19.08.06 02:16

    위 동그라미와 아래 동그라미의 차이는 뭘까요?

    윗쪽그림은 M에 선이 연결되어 있고
    아래쪽 그림은 A에 선이 연결되어 있고

    셀렉터 스위치가 중립이 없는 2단 (A 와 M)짜리라면
    스위치 방향을 어느 한쪽에 둬야 하지 않을까요? (A 나 M)

    전원 차단기 올리기전에
    위 동그라미 로 작업한다면 스위치 방향을 M 에 둬야 하는걸테고
    아래쪽 독그라미로 작업을 한다면 스위치 방향을 A 에 둬야 할꺼 같네요.

    그게 접점 구분 아닐까요?
    위동그라미는 A접점일때가 수동(M)일때고..... 아래동그라미는 A접점일때가 오토(A)일때고 ......

    A접점은 무조껀 오토일때라고 배운적은 없거던요.
    (배운거 50% 나머진 추측입니다)

  • 19.08.06 07:14

    구형박스에 ss스위치 고정할때 오토방향이 1시방향에 고정이되고 핀번호 먹인대로 결선해서 위그림핀번호라면 c3와c5가 도통되면 끝 아닌가요
    11시방향으로 돌아오면 수동c3 c4가 도통되겠지요

  • 19.08.06 13:13

    마자유

  • 19.08.06 10:13

    '가' 는 셀렉터 스위치를 '자동'에 맞춰 놓고' 나' 는 '수동'에 맞춰 놓으라는것 같은데요
    어느방향이 자동 수동인건 따로 나오던지 없으면 감독관께 물어보면 될듯요

  • 19.08.12 01:25

    A접점 B접점으로 구분이 아니고 수동 자동 개념으로 접근해야 될것 같고 11시방향 수동 1시방향 자동으로 구분하고 단순히 지정된 핀번호로 연걸만하면 될것같은데요....아닌가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