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시멘트 산업은 18년을 기점으로 수입량이 수출량을 월등이 앞섬-
- 특히 산동성은 전체 중국 시멘트 수입량의 36%에 육박하는 상황 -
□ 중국 시멘트 시장동향
○ 2018년 3분기(누적기준) 중국 시멘트산업 매출액은 1,094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8% 증가하여 2017년 시멘트산업 매출액을 초과했으며, 기존 최대 매출액인 2011년의 1020억 위안 기록이 깨지고 신기록을 달성함
○ 치안쯔안산업연구원 통계에 따르면, 2018년 2분기 중국의 시멘트 생산량은 큰 폭으로 증가하여 1분기 대비 70%까지 성장했으며, 2018년 3분기 중국의 시멘트 생산량은 소폭 감소했지만 1분기 대비 60.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2018년 1-12월 중국의 시멘트 생산량은 217,666.8만 톤으로 전년대비 3% 증가함
- 2019년 1-3월 중국의 시멘트 생산량은 39,160만 톤으로 전년대비 9.4% 증가함
2018년-2019년 3월 중국의 시멘트 누적 생산량 및 증감률
자료: 치안쯔안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 중국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8년 중국의 시멘트 전용설비 생산량은 549,229.9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10.1% 증가했음
- 2019년 1-3월 중국의 시멘트 전용설비 생산량은 105,198.1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18.8% 줄었음
2018년-2019년 3월 중국의 시멘트 전용설비 누적 생산량 및 증감률
자료: 중국국가통계국(中国国家统计局)
□ 중국 시멘트 시장, 18년을 기점으로 수출국에서 수입국으로 전환
○ 중국은 세계 최대의 시멘트 시장으로서 과거에는 수출량이 수입량에 비해 월등히 앞서 있었으나 18년을 기점으로 수입이 수출을 추월하는 현상이 발생함
- 2018년 시멘트 및 클링커 수입량은 1363만 톤으로 수출량에 비해 459만 톤이 많음
- 중국의 시멘트 및 클링커 수출량은 2006년 최고점인 3,612만 톤을 달성한 이후 현저한 감소추세에 있음
- 특히 2018년 수출량은 904만 톤에 그쳐 2005년 이후 처음으로 1000만 톤 아래로 떨어진 상황임
2014-2018년 시멘트 및 클링커 수출 및 수입량
자료 : 치안쯔안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 중국 시멘트 산업의 주요 수출품목은 포틀랜드 시멘트, 흰색 시멘트, 물시멘트, 알루민산염 시멘트, 시멘트 클링커로 나뉘는데 이 중 포틀랜드 시멘트와 시멘트클링커의 수출량이 가장 많음
○ 중국의 시멘트 수출지역은 상하이시, 광둥성, 장쑤성에 집중돼 있으며, 2018년에는 3개 지역에서 87%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2018년 중국의 포틀랜드 시멘트 주요 수출 지역
자료: 치안쯔안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 2018년 중국 클링커 및 시멘트 수입량은 각각 1,263만 톤과 100만 톤에 달함
- 클링커 주요 수입국은 베트남으로 총 수입량의 75.94%를 차지했고, 뒤이어 태국과 한국이 각각 총수입량의 8.62%와 7.12%를 차지함
- 중국 지역별 클링커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산둥성이 총수입량의 36%를 차지하며 1위를 차지했고, 뒤이어 상하이, 저장성, 장쑤성의 합계가 35% 수준이며, 푸졘성, 하이난성의 합계가 1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2018년 중국의 시멘트클링커 주요 수입국
자료: 치안쯔안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 허난성 시멘트 시장동향
○ 중국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환경보호 강화로 허난성 시멘트 생산량 증가폭은 크지 않음
-2019년 8월 허난성의 시멘트 생산량은 1059.6만 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10.36% 줄었으며, 9월에 시멘트 생산량은 830.59만 톤으로 20.97% 감소했음
- 2019년 1-9월 허난성 시멘트 누적생산량은 8480.42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22% 하락했음
2019년 1-9월 허난성의 시멘트 누적생산량 및 증감률
자료: 중국국가통계국(中国国家统计局)
□ 시사점
○ 중국은 과거 시멘트 수출량이 수입량에 비해 월등히 앞서 있었으나 18년을 기점으로 수입량이 수출량을 앞서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시장동향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성이 있음
○ 한국은 중국 시멘트 수입시장에서 베트남과 태국에 이어 3위를 기록하고 있고, 최근 추세로 볼 때, 수입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많아 산둥성, 상하이 등 수입량이 큰 지역을 중심으로 진출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음
○ 하지만, 최근 중국에서도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이 점차 강화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친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 증대 가능성이 높음
자료: 치안쯔안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중국국가통계국(中国国家统计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