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미라지의 콤프방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임영한
    2. 대괴수
    3. 이태욱
    4. 태건
    5. 전창균
    1. 기다리는정거장
    2. llskyll
    3. 현연진-코팩앤금하
    4. 황성용
    5. 바보곰
 
 

최근 댓글 보기

 
 
 
 
 
카페 게시글
Ⅱ 정보 & 자료실 [사진자료] F-22A RAPTOR 사진 자료들 #1
mirageknight [왕성국] 추천 0 조회 410 10.12.22 00:33 댓글 1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12.22 07:24

    첫댓글 콕핏 밑부분 랜딩기어 수납창 부분이 좀만 더 샤프하면 더 멋진 기체였을텐데요..머 제 느낌이지만요.......여튼 묘한 매력의 곡선라인을 지닌 랩터 ..잘 보고 갑니다~!

  • 작성자 10.12.22 08:20

    나름대로 항공기 기술자들이 매우 신경쓴 디자인이라는데요... 1세대 스텔스기인 F-117A 에 비하면 대단한 발전이죠 그넘은 시커먼게 꼭 다리미 닮아서.. 디자인이나 비행성능이나 대단한 발전의 기반을 세운 기체임에는 틀림이 없져.. 추후 나올 6세대 전투기는 디자인이 좀 더 나아질듯.. 어쩜 정말 마크로스에 나오는 발키리가 나올지도 ^^

  • 10.12.22 15:38

    발키리처럼 로봇으로 변신은 안되더라도 가워크 정도는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ㅎㅎ

  • 10.12.22 22:22

    잔짜 발키리가 날올지도 모르죠....

  • 작성자 10.12.22 22:32

    ㅋㅋㅋ 랩터 이후의 전투기는 무인기 입니다. 고기동에 필요한 G를 사람이 버틸수 없죠..랩터만 해도 사람이 버틸수 있는 최고의 비행기동을 할수 있는 기체고요.. 그래서 랩터를 최후의 유인기라고도 말하고 있습니다. 현재 항공기술과 전자기술의 발전으로 더이상 사람이 조종하는 유인기가 아닌 무인전투기를 우선 개발하고 있습니다. 물론 당장은 아니지만 한 30여년후에 전투기들은 무인기로 지금보다 더 작고 빠른 기동이 가능하면서 조종사들은 수천킬로 떨어진 기지에서 조종간을 잡고 대신 조종하겠죠.. 아님 마크로스에 나오는 고스트 처럼 자체 프로그램밍으로 운용되던지..터미네이터의 이야기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 10.12.22 09:27

    기체도장색이 사진마다 다르니 헷갈리네요~~사진 노출에 따라 달라지는게 색인데~~흐~~도장은 대충 비슷한 색으로 하면 될 것 같네요~~그나저나 랩터는 새기체인데도 아래부분은 좀 지지 하네요~~ㅎㅎㅎ

  • 10.12.22 13:00

    상당히 독특하게 생긴것 같습니다!
    멋이 있는것 같기도 하고 별 매력이 없는것 같기도 하고..

  • 작성자 10.12.22 22:37

    랩터의 디자인은 레이더에 걸리지 않게하면서 최대한 항공역할을 잘 반영한 첨단의 기술이 도입된 디자인 입니다. 사실 최초의 스텔스기체인 F-117은 레이더에만 걸리지 않기 위해 항공역학적으로는 도저히 말도 안되는 기체였습니다. 뜨는것 조차 신기할 정도로 불완전한 기체로 이것이 나이트호크를 조기퇴역시킨 이유 입니다. 반면 랩터와 같은 5세대급 전투기는 레이더의 걸리는 면적을 최소화 하면서 항공기로서의 높은 기동성을 얻도록 특별히 설계된 기체로 위에서 봤을때 다이야몬드 형태를 하고 있는 완벽한 디자인의 기체입니다. 사실 항공역학적으로는 YF-23 블랙위도우 가 더 나았다죠..다만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라

  • 10.12.22 19:17

    한장 한장 사진을 보다보니 아름답다는 표현이 어떨지 모르지만 ....묘한 매력에 빠져드는거 같습니다. 이런 전투기 보고 있으면 인정하기 싫어도 미국이 세계의 경찰이 될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ㅠㅠ 우리도 어여 빨리 우리손으로 전투기 만들수 있는날이 오길 기대해 봅니다~~

  • 작성자 10.12.22 22:40

    미국이 요새 한물간 느낌이 들긴하지만 아직까지는 저력이 있는 국가죠... 미국의 시스템은 철저하게 로마식을 따르고 있는데 로마 역시 당대의 최고의 시스템과 무기개발 능력을 가진 국가였습니다. 일단 땅덩이가 크고 인구가 많으니.. 우리도 선진국으로 가기위해서는 지금의 인구로는 사실 힘듭니다. 1억명 이상은 되야 뭘해도 기를 펴는데...

  • 10.12.22 21:30

    러시아 박빠도 그렇지만 스텔스기 들은 그 특성때문에 참 못생겼다는 느낌 지울 수가 없네요. 분명 실기 사진이지만 몇몇은 그냥 CG를 보고 있는 거 같기도 합니다. 여튼 훌륭한 자료사진 감사드리며 잘먹겠습니다. 우걱우걱...

  • 작성자 10.12.22 22:38

    스텔스 기체들은 레이더의 폭로면적을 최소화 하기위해 디자인에 제한을 둘수 밖에 없습니다. 보통 그래서 위에서 봤을때 정사각형 혹은 다이야몬드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 개발중인 러시아 스텔스기체도 비슷한 형태 입니다. 자료야 얼마든지 있습니다. 모자르면 더 드리죵~~

  • 10.12.22 23:18

    이번에 새로나온 아카데미는 위기체처럼 무장창을 열고다닐필요가 없을것 같네요. 무려 투명부품이 들어있으니 말이죠. 48은 너무커서 부담되었는데, 72는 기대됩니다. 어서 하나 구해야겠군요.

  • 정말 멋진 사진들입니다. 제작에 참고가 많이 되겠네요~~~

  • 11.01.10 19:03

    지금 제작중인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초보라서 맘만큼 표현을 해낼수 있을지...ㅜㅜ
    그림 잘 봤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