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성군 주요명소
운암정

횡성읍 읍하리 산7-2번지에 있는 운암정은 횡성읍내에서 춘천방향으로 가다가 횡성교(橫城橋) 건너 바로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횡성 근교에 있는 주민의 휴식처로서 아랫쪽으로 섬강이 내려다 보이는 아름다운 경치가 절경을 이루고 있다. 운암정은 횡성 출신 김한갑(金漢甲),이원직(李元稙) 두 사람이 1937년에 세웠는데 다음과 같은 정자 건축에 관한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횡성에서 어려서부터 한 동네에서 살아온 김한갑(金漢甲),이원식(李元植)은 무척 가난하게 살아 왔는데, 이 두 사람은 잘 살아 보자고 굳은 결심을 하고 가난을 이기기 위하여 피눈물나는 노력을 계속하여 마침내 부자가 되었다. 그들이 40대가 되었을 때는 횡성에서 제법 부자가 되었고, 50대가 되었을 때는 수 백석의 지주가 되어 품었던 꿈을 이루게 되었다. 회갑이 되어 두 사람은 자신들의 입지(立志)를 기념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이롭게 하고자 산자수명(山紫水明)한 이곳에 정자를 세우기로 하고, 공사비를 두 사람이 반분하여 1937년에 완공하였다고 한다.
정자의 명칭은 김한갑의 아호(雅號) ‘운수(雲水)’와 이원식 아호 ‘청암(靑巖)’에서 한 자씩을 택하여 ‘운암정(雲巖亭)’이라고 하였다고 전한다. 운암정은 오늘날까지 횡성의 명승으로 많은 산책객이 끊이지 않고 있어 근면과 성실로 살아오고 또 땀흘려 모은 재산으로 사회에 이바지한 갸륵한 정성을 길이 간직하게 되었다. 이 정자는 단층 목조기와집으로 정면 3간, 측면 2간의 팔작집이다. 정자에는 1944년에 ‘운암정기(雲巖亭記)'가 걸려 있다. 운암정은 1984년 6월 2일에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호로 지정되었다
횡성군 횡성읍 읍하리 산 7-2 기업관광도시과 033-340-2544
태기산 양구두미재(겨울)

강원도 산골은 11월 중순이면 이미 산자락이 몇 차례 내린 눈발로 하얗게 덮이기 시작한다. 강원도 횡성군 둔내에서 봉평으로 넘어가는 양두구미재를 내려다보고 있는 태기산은 11월 서설이 쌓여 이듬해 4월까지 간다.
태기산의 유래는 태기왕의 전설로부터 비롯되었는데, 옛날 삼한시대말 태기왕이 이곳에 와서 성을 쌓고 신라군과 대적하였다는 전설이 있으며 지금도 산 중턱에는 그 당시에 축성한 성터가 허물어진 채 남아있고, 이같은 태기왕의 전설이 담긴 "태기산성" 표지석이 세워져 있기도 하다. 높이 1,261m로 육중한 모습을 보여주는 태기산은 산세도 웅장해 멀리 대관령부근의 오대산, 원주의 치악산 등지에서까지 그모습을 뚜렷이 가늠해 볼 수 있다. 횡성군 둔내면소재지에 이르면 멀리 북동쪽 방향으로 웅장한 자태를 뽐내고 있는 태기산의 전경이 바라보인다. 그 산자락을 구비구비 돌아오르는 고갯길도 시야에 들어오는데, 바로 횡성에서 평창으로 넘어가는 태기산 양구두미재이다.
양구두미재는 강원 영서 내륙의 고개답게 높이도 꽤 높은데 고갯마루의 정상은 대관령보다 높은 해발 900m정도의 고지를 통과한다. 하지만 횡성땅 둔내면 일원이 해발 500m이상의 고원지대라서 둔내면에서 바라본 태기산은 그리 높다는 느낌이 들지 않고, 잘 다듬어진 고갯길은 누구나 쉽게 넘을 수 있다. 고개 정상에는 송신 중계소가 있고 신기하게도 고개 정상에 솟는 샘이 수질이 뛰어나 이 길을 지나는 차량들이 물을 길어 간다. 12월로 접어들면 날씨가 더 내려가면서 아침 일찍 고갯길을 넘거나 구름이라도 덮히는 날은 온산이 하얗게 설화로 장식되어 환상적인 모습으로 장식되는 장면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양구두미재와 연계한 여행지로 고개너머 피닉스파크가 사계절 휴양지로 자리잡혀 있고, 봉평면으로 들어서면 마을 한가운데 이효석 기념공원과 소설의 무대들이 복원되어 잠시 들러 볼 만하다.
횡성군 둔내면 기업관광도시과 033-340-2544
횡성테마랜드

횡성테마랜드는 SBS 대하드라마 "토지" 의 오픈세트장이 있는 곳으로 총 8만5천여 부지를 3차 개발에 걸쳐 2008년도까지 온천스파, 참숯불가마, 펜션, 연수원, 실버타운등을 완공할 예정으로 있으며, 현재는 토지 세트장, 호수공원, 허브.생태공원, 농생활사 전시관이 준비되어 있어 옛날의 향수와 더불어 아이들에게 좋은 교육현장이 되고 있다. 아울러 전체 테마랜드가 완성되면 온 가족이 함께 휴향할 수 있는 편안한 휴식처로 자리 잡아 갈 것이다
횡성군 우천면 두곡리 545번지 전화 033-345-5691
횡성온천

횡성온천 실크로드는 어답산기슭의 지하 700m에서 솟아나 온천수로 탕안에서 시원하게 호숫가가 바라다보이는 곳에 위치해 있다. 실크로드는, 황토사우나, 옥이슬사우나, 적외선석침상과 안마탕 그리고 냉폭포탕에 그림벽화가 그려져 있어 아늑한 분위기로 시욕을 즐기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노천탕에는 각종만물상을 그려내는 돌조각 동산과 어답산 천년의숲이 한눈에 들어오며 동굴 숯가마와 냉폭포수탕, 요일마다 바꾸는 이벤트탕, 그리고 남녀가 함께 물을 쓰는 낙원탕도 갖춰져 있다.
특히 수질이 뛰어난 알카리수온천으로 부드럽고 매끄러워 시욕감을 더해주며 유리탄산 역시 높아 청량감이 뛰어나다. 온천주변에는 연인들의 산책로와 등산로가 있으며 편의시설로 숙박시설과 스넥코너와 매점 및 200명 수용이 가능한 실크 로드가든과 카페가 들어서 있다.
횡성군 갑천면 삼거리 95-6번지 횡성온천 실크로드 033-344-4200~1
새말관광농원

원주의 진산인 치악산 서북쪽 자락 매화봉 아래 자리잡고 있다. 새말IC가 내려다보이는 12만평 넓은 농원은 밤나무숲 사이로 이어지는 각종 편의시설과 사슴목장, 염소방목장 등이 어우러져 자연 그대로인 농촌 풍광이 펼쳐지고 있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주인 부부가 농원개원과 함께 설립한 임마누엘 수도원이란 집회장소가 마련되어 있어 교회단체 행사가 자연스런 농원이기도 하다. 편리한 시설과 함께 음식도 평화로운 농장 분위기와 유기농산물로 지은 소박한 메뉴도 가족이나 단체식으로 무난하다. 봄, 가을 야유회와 여름 휴가철 행사는 연초에 미리 예약을 해 놓아야 사용에 무리가 없다.
* 특징 - 가족나들이, 유치원 및 교회학교 야유회, 교회 단체수련회, 교회별 야외집회 중소
기업 및 부서별 야외행사와 연수모임
횡성군 우천면 오원 1리 256번지 033-344-2378, 6248
우리별 천문대

우리별 천문대는 공근면 상창봉리에 위치한 사설 천문대로서 해발 300m 계곡의 수려한 자연환경 속에 위치하고 있다. 공해와 도시불빛이 거의 없어 대도시에서는 볼 수 없는 은하수를 비롯하여 보석같이 빛나는 별들이 무수히 쏟아지는 듯한 생동감을 생생히 즐길 수 있는 곳이다. 프로그램의 경우 소규모 관람객 및 가족 단위를 중심으로 실시되는 다양한 별자리 강의가 슬라이드를 이용한 시청각 교육과 더불어 진행되며 당일코스와 1박2일, 2박 3일 코스로 나뉘어져 있다.
횡성군 공근면 상창봉리 264-4 우리별 천문대 033-345-8471
장송모 도자연구원 [도예체험]
![장송모 도자연구원 [도예체험]](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korean.visitkorea.or.kr%2Fcms%2Fresource%2F93%2F148893_image2_1.jpg)
무형문화재 호봉 장송모씨가 개설하여 전수생을 육성하고 있는 도자연구원으로 학생, 사회단체, 부녀단체, 회사원 등에게 도자기의 역사와 시대를 구분하는 방법, 도자기의 기법 등을 무료로 강의해 주는 연수장이다.
일반교육생들은 번성했던 도자기 역사와 변천사 및 선조들의 얼이 담긴 옛 도자기와 재현한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으며 자유롭게 제작과정을 실습하여 쉽게 도자 예술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본인이 제작한 도자기는 1주일 후 집에서 받아볼 수 있다.
횡성군 공근면 창봉리 533 장송모 도자연구원 033-342-0011
천문인 마을

강원도 횡성 치악산의 끝자락 해발 650m에 자리잡은 천문인마을은 높은 하늘과 맑은 공기 속에서 순수한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우주와 맞닿은 곳으로 광해 없는 밤하늘에서 수많은 별이 흐르는 것을 보실 수 있다. 국내외의 많은 아마추어 천문인들이 관측장소로 이용하고 있으며 아마추어 천문가모임이나, 천체사진 동호회 및 학교 교사들의 관측과 연구의 고정장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어린이 캠프, 가족 캠프등을 통해서 일반인들이 별과 우주를 접하는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별과 우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비디오, 슬라이드를 포함한 사진과 서적등을 구비 하고 있으며 계절별 별자리와 별자리에 얽힌 아름다운 이야기를 보고 들으실 수 있다.
14인치 대구경 천체망원경으로 밤하늘을 관측하실 수 있고, 다양한 천체사진 또한 감상하실 수 있다. 천문인마을은 별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는 마음의 고향으로써 아마추어 천문인들에게는 최적의 관측장소로 일반인들에게는 아름다운 밤하늘을 가슴 속에 간직할 수 있는 장소로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것이다.
횡성군 강림면 월현리 352-2 천문인마을 033-342-9023
홀로세 생태학교

『Holocene의 약어(略語)』 신생대 제 4기를 지칭하는 단어로 빙하기 이후부터 현재까지를 이른다. 현재의 생태학적 위기를 알리고 자연과 생명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이름 지었다. 완만한 구릉지와 심강의 원류가 되는 계곡이 산재한 해발 400 ~ 450m의 다양한 식물상을 갖추고 있는 강원도 횡성군 갑천면 하대 2리 새골에 위치하고 있다.
* 설립목적 홀로세 생태학교는 응용생태학의 일종으로 자기유지를 할수 있는 소생태계(Biotope) 를 조성하여 각종 곤충의 life cycle을 관찰하면서 그들의 생태를 정확히 알고 자연에 대한 외경심 뿐만아니라 지적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하며 자연 환경 보전에 관한 기초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체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 조성방법 환경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인위적 구조물을 자제하고, 자연 그대로의 온전한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주변의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Biotope)을 마련하여 먹이 사슬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하고 연구와 미적인 기능을 충족 시키도록 조성했다.
* 홀로세의 character 이 지역의 자연물중 대표성이 있는 꼬리 명주나비를 상징화 하였다
횡성군 갑천면 하대리 594번지 홀로세 생태학교 전화 033-345-2254
숲체원

영동고속도로 둔내IC에서 15분거리에 위치한 숲체원은 교통환경이 편리하며 자작나무숲과 아늑한 잣나무 숲길이 있는 청태산(해발850m) 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의 휴양 및 청소년들을 위한 숲체험 전문 교육ㆍ연수 시설이다.
숲가꾸기, 비오톱만들기, 창작공예활동, 천연염색 등 다양한 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고 모든 숙소가 자연목을 사용한 별장식 목조주택으로 지어졌으며 특히 능선을 타고 올라가는‘휠체어데크로드’ (편안한 등산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산 정상까지 약 1km의 완만한 경사의 데크로드가 설치되어 있어 노약자, 임산부, 장애인 등 누구라도 편안하게 숲을 체험하며 즐길 수 있다.
숲체원은 숲체험의 새로운 명소로서,휴양과 더불어 교육 및 체험 등 녹색교육의 장으로 청소년 수련은 물론 일반인, 기업체와 단체의 연수 및 교육 활동에 필요한 최적의 조건을 갖춘 곳으로서 숲탐방로, 등산로, 식물원 등 자연생태학습장에서 사계절의 아름다움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횡성군 둔내면 삽교리 산 1-13 033-340-6300
망향의동산

2000년초 횡성댐이 완공되어 담수를 시작하면서 갑천면 구방리, 중금리, 화전리, 부동리, 포동리 등 5개리 258세대는 영원히 물속에 잠기게 됐다.고향이 물속에 잠기게 된 수몰민들은 고향을 떠나면서 고향에 대한 정을 잊지 않기 위해 구방리 옛 화성 초등학교 옆 야산에 망향의동산을 만들었다. 수몰민들의 애환이 깃든 가구와 수몰되기전의 흔적들을 전시해 놓은 공간이다. 망향 의 동산에는 기념비와 더불어 중금리 탑둔지에 있던 중금리 3층 석탑 2기와 화성정이 건립되어있다
횡성군 갑천면 구방리 512 기획감사실 033-340-2223
횡성 태종대

태종대는 강림면 치악산 국립공원 매표소 바로 위에 위치한 곳으로 태종 이방원과 스승이었던 운곡 원천석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고려 말 4처사의 한 사람이었던 운곡 원천석은 조선조 태조인 이방원의 스승이었다. 운곡은 태조가 고려를 전복시키고 조선을 세우고 또한 그의 아들들의 피비린내 나는 왕권다툼에 실망과 분노를 느낀 나머지 모든 관직을 거부하고 개성을 떠나 이곳 강림리에 은거하고 있었다.
험한 산골이었던 이곳에 방원이 임금으로 등극하기 전인 1415년 옛 스승인 운곡을 찾아 다시 관직에 앉히고 정사를 의논하고자 이곳을 찾았다. 그러나 강직하고 절개가 곧았던 운곡은 방원과의 만남을 꺼려 일부러 치악산 골짜기로 몸을 숨겨 만나주지 않았다. 방원이 자기를 찾아다니는 것을 안 운곡은 개울가에서 빨래를 하는 노파에게 자신을 찾는 사람이 오거든 횡지암 쪽으로 자신이 갔다고 일러 주라고 신신당부를 하고는 운곡은 반대 방향으로 피신했다. 방원은 노파가 가르쳐주는 곳으로 스승인 운곡을 찾았으나 끝내 운곡을 찾지 못하고 돌아갔다.
그 당시 방원이 머물던 곳을 ‘주필대’라고 불러오다가 나중 방원이 태종으로 등극하자 ‘태종대’로 부르게 되었다. 나중에 태종이 임금이 되어 다시 운곡을 부르자 차마 어명을 어길 수 없던 그는 상주 차림으로 옷을 갈아입고는 대궐에 들어가 태종의 형제간 살육의 비인도적인 처사에 대해 무언의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또한 임금인 줄 모르고 거짓을 아뢰었다가 나중에 그분이 지엄하신 임금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노파는 죄책감에 자신이 빨래하던 바위 아래 소에 몸을 던져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 후 이 노파가 빠져 죽은 소를 사람들은 ‘노고소’라 불렀으며 이곳 마을에서는 매년 이 노파에 대한 제를 올렸다고 한다. 부근에는 방원이 만나지 못한 스승을 향해 돌아가면서 예를 갖춰 절을 했다는 ‘배향산’이 있고 임금님의 수레가 넘었다는 ‘수레넘이’ 고개가 부근에 있다. 그리고 치악산 기슭에는 운곡이 머물렀던 ‘변암’이 그 당시 대쪽같던 운곡의 굳은 절개를 오늘의 우리들에게 이야기해 주고 있다.
횡성군 강림면 강림2리 2116
횡성군청 기획감사실 033-340-2223 강림면사무소 033-340-2609
횡성대교

횡성대교는 산악지형의 계곡부와 영동고속도로를 잇는 연장 705m, 높이 92m에 달하는 4차로 교량이다. 건설당시 경제적이고 자연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FCM(Free Cantilever Method) 공법, 슬립폼(Slip Form)공법 등 최첨단 공법이 적용되었다. 거대함과 웅장함을 자랑하는 횡성대교는 우리나라 교량 건설분야에 다양한 신기술을 선보였으며, 현존하는 국내 최고의 교량으로서 주변 풍광은 그 높이 만큼이나 시원스레 펼쳐져 마치 하늘에 떠있는 듯한 착각과 함께 보는 이들의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횡성군 우천면 상대리 (고속국도 50호선)
횡성향교

횡성읍 읍상리 산128번지에 있는 횡성향교는 횡성읍내에서 마산리 방향으로 나가다가 왼쪽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태조 7년에 창건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당시의 건립지는 알 수 없고,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기까지 수차례의 이전이 있었다가 약 260여년 전에 북천(北川)에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왔다고 한다. 한편 갑천면 중금리와 청일면 유동리에는 향교터라고 하는 곳이 있고, 특히 유동리는 일명 ‘고을터’ 또는 ‘향교말’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지명으로 볼 때 이곳에 향교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현재 이를 증빙할 뚜렷한 유물이나 유적은 없다.
향교의 건물배치는 배향 (配享) 공간과 강학(講學) 공간을 배치하는 여건에 따라 크게 전묘후학배치(前廟後學配置)와 전학후묘배치(前學後廟配置)로 나누어지고, 이외에 일부 변형된 형태를 취하고 있는 곳도 있다. 대체로 향교가 자리잡은 대지가 평지인 경우에는 전면에 배향 공간이 나오고 후면에 명륜당을 비롯한 동재 (東齋), 서재(西齋) 등 강학 공간을 두는 전묘후학 (前廟後學) 배치를 이루고 있다. 대지가 구릉이나 산기슭 같은 경사지일 경우에는 지대가 높은 뒷쪽에 배향 공간을 두고, 지대가 낮은 전면에 강학 공간을 배치하였다. 횡성향교는 산기슭에 건축되어 후면에 배향 공간을 두고, 전면에 강학 공간을 두는 배치를 하고 있다.
대성전(大成殿)을 제외한 건물과 기타 소장되고 있는 제기(祭器) 및 문헌은 한국전쟁 당시에 모두 소실되어 1954년에 동재(東齋)#8228;서재(西齋), 1960년에 명륜당(明倫堂)이 재건되었다. 대성전은 1971년에 재건하였는데,공사 당시 발견된 예전 상량문(上樑文) 에 따르면 대성전은 인조 25년(1647)에 건립된 것으로 되어 있다. 현재 대성전 10간, 중삼문(中三門), 동재(東齋) 7.5간, 서재(西齋) 7.5간, 명륜당(明倫堂) 20간, 취사당 (炊事堂), 수복실(守僕室) 3 간 등 총 48간의 건물로 되어 있다. 대성전에는 오성(五 聖)과 공문십철(孔門十哲), 송조육현(宋朝六賢), 동국십팔현(東國十八賢)이 봉안되어 있다. 1985년 1월 17일에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00호로 지정되었다.
횡성군 횡성읍 읍상1리 산 12-2
기획감사실 문화예술담당 033-340-2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