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피해 문제가 불거지는 상황에도 수도권 외곽 및 지방의 소형 중심으로 무자본 갭투자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부동산 정보업체 아실의 조사결과 올 2~4월 갭투자 거래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경기 평택시(47건)로 조사됐다.
이어 경기 화성시(39건) 충남 천안시 서북구(35건) 경기 시흥시(33건) 경기 성남시 분당구(32건)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도 마포·송파·강동구에서 17건의 갭투자가 발생했다.
인천 부평구 부평동 스타빌 전용 17㎡의 경우 지난 2월 6000만원에 팔린 뒤 4월에 8170만원에 신규로 세를 놓았다. 매매가와 전세가 차이가 2170만원에 이른다. 부평동 카리스뷰 전용 49㎡ 역시 최근 매매 1억2300만원, 전세 1억3000만원에 갭투자 이뤄졌다.
사진=이혜영 데일리한국 기자
경기 시흥시에서도 자기자본을 거의 들이지 않은 갭투자가 적지 않았다. 3개월간 매매가와 전세가 갭이 2000만원 이하인 거래는 6건 체결됐는데 모두 정왕동·월곶동 등의 아파트 단지에서 나왔다.
충남 천안시 백석동 백석마을아이파크 전용 84㎡의 경우 4월1일 2억6900만원에 매매계약 후 같은 달 3억1000만원에 전세계약을 갱신했다. 두정동 극동늘푸른 전용 59㎡도 1억4500만원 매입한 뒤 1억5550만원에 전세를 놓아 무일푼 계약이 성사됐다.
충남 아산시에서도 2156가구 대단지인 배방삼정그린코아에서 무자본 갭투자가 집중됐다. 전용 38㎡의 경우 최근 매매 8000만원, 전세 7500만원에 갭투자가 이뤄졌다. 500만원에 집주인이 된 셈이다. 최근 해당 단지에서 자기자본 2000만원 이하 갭투자 거래가 4건 이뤄졌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최근 깡통전세로 갱신계약 시 보증금 일부를 돌려주는 집주인이 늘고 기간 만료임에도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임대인까지 발생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거래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