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처구니’라는 말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어처구니는 ‘상상 밖으로 큰 물건이나 사람을 가리키는 우리말’이다.
20세기 초까지에는 어처구니는 ‘엄청나게 큰 기계나 물건 혹은 그와 같은 사람’을 일컫는 말로 쓰였다.
그보다 관용적으로 맷돌을 돌릴 때 쓰는 나무 손잡이, 혹은 바위를 부수는 농기계의 쇠로 된 머리 부분을 가리킨다..
궁궐 전각의 추녀마루에 올려 놓은 다양한 형상의 흙으로 된 조각물도 어처구니라고 한다.
약속이나 한 듯 나란히 줄지어 앉아 먼 하늘을 바라보기도 하고 고개를 들거나 숙이고 있는 물상들을 조선시대 국가 문서에서는 잡상(雜像)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우리나라 건축물에서 언제부터 잡상이 활용됐는지 확실한 기록은 없지만 고려 불화 속의 궁전 건물에도 잡상과 유사한 물상이 등장하는 것으로 미뤄 고려시대부터로 추측한다.
조선시대에는 기와 제조관서인 와서(瓦署)에 기와를 만드는 와장(瓦匠) 외에 별도로 잡상장을 두어 잡상 제작에 힘을 쏟았다. 장식적인 기능은 물론 궁궐 지붕 경사진 추녀마루의 기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궁전의 나쁜 기운을 물리치며 건축물을 수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여겼기 때문이다. 장인들이 궁궐 공사의 마무리로 어처구니를 올리는데, 이걸 실수로 잊어 버리면 그게 바로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2013. 4.17. 서울신문 함혜리 논설위원의 글에서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