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법관 임명의 법원행정처 및 서울대 편중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새누리당 김도읍 국회의원(부산 북·강서을)이 10일 법원행정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987년 이후 임명된 56명의 대법관 중 27명이 법원행정처 출신이다. 검찰, 변호사 및 학계출신 12명을 제외하면 법원행정처 출신 대법관의 비중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특정 대학 출신 편중 현산은 더욱 두드러졌다. 법원행정처 출신 대법관 27명 가운데 26명이 서울대 출신이다. 법원행정처 고위직의 서울대 독점 현상이 어느 정도인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서울대를 제외한 나머지 대학은 모두 '기타대학'인 셈이다. 고등법원 부장판사 이상 고위 법관의 서울대 독식 현상도 도를 넘고 있다. 고위 법관 153명 가운데 125명이 서울대 출신이다. 나머지 9개 대학 출신은 28명에 그쳐 사법부의 서울대 독점 현상이 우려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법 부장판사 이상 고위 법관을 출신 대학별로 보면(올해 7월 4일 기준) 153명 중 ▷서울대 125명 ▷고려 김도읍 의원은 "서울대 출신이라는 이유로 역차별을 받아서는 결코 안 되겠지만, 비서울대 출신이라는 이 고법 부장판사 이상 고위 법관 서울대 125명 고려대 9명 한양대 4명 연세대 1명 |
역대 법무부장관
고대 12명 >>>>>>>>>>>>>>> 연대 0명
1대 이인 니혼대학 법학부 메이지대학 법학부
2대 권승렬 쥬오대학 법학부
3대 이우익 경성법학전문학교
4대 김준연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독법과
5대 조진만 경성법학전문학교
6대 서상환 니혼대학(전문부) 법학부
7대 조용순 경성법률전수학교
8대 이호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9대 홍진기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10대 권승렬 쥬오대학 법학부
11대 조재천 대구사범학교(경북대학교) 쥬오대학 법학부
12대 이병하 메이지대학 법학부
13대 고원증 경성법학전문학교
14대 조병일 보성전문학교 법과 육군사관학교
15대 장영순 보성전문학교 법과 육군사관학교
16대 민복기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17대 민복기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18대 민복기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19대 권오병 와세다대학 법학부
20대 이호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21대 배영호 교토제국대학 법학부
22대 신직수 전주사범학교(전주교대) 한국대학(국제대학) 법학과 [외대가 아님]
23대 이봉성 경성법학전문학교
24대 황산덕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25대 황산덕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26대 이선중 서울대학교 법대
27대 김치열 쥬오대학 법학부
28대 백상기 보성전문학교 법과
29대 오탁근 메이지대학 법학부
30대 오탁근 메이지대학 법학부
31대 이종원 전주사범학교(전주교대) 고려대학교 상학과
32대 정치근 서울대학교 법학과
33대 배명인 서울대학교 법대 행정학과
34대 김석휘 서울대학교 법학과
35대 김성기 서울대학교 법학과
36대 정해창 서울대학교 법학과
37대 정해창 서울대학교 법학과
38대 허형구 부산대학교 법학과
39대 이종남 고려대학교 법학과
40대 김기춘 서울대학교 법학과
41대 이정우 고려대학교 법학과
42대 박희태 서울대학교 법학과
43대 김두희 서울대학교 법학과
44대 안우만 서울대학교 법학과
45대 최상엽 서울대학교 법학과
46대 김종구 서울대학교 법대 행정학과
47대 박상천 서울대학교 법학과
48대 김태정 서울대학교 법학과
49대 김정길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50대 안동수 서울대학교 법학과
51대 최경원 서울대학교 법학과
52대 송정호 고려대학교 법학과
53대 김정길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54대 심상명 서울대학교 법학과
55대 강금실 서울대학교 법학과
56대 김승규 서울대학교 법학과
57대 천정배 서울대학교 법학과
58대 김성호 고려대학교 법학과
59대 정성진 서울대학교 법학과
60대 김경한 서울대학교 법학과
61대 이귀남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서울대학교 34
-법학부23/법전5 성대6
고려대학교 12(법학4 정외2 행정2 상학1 보전 3)
메이지대학 4
쥬오대학 4
도쿄제국대학 3
육사 2
전주교대 2
니혼대학 2
이런 게 바로 개넘사벽
역대 검찰총장
고대 8명 >>>>>>>>>>>>>>>>> 연대 0명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399
서울대 17명
고려대 9명
경찰대 2명
이화여대 2명
성균관대 1명
연세대 1명
2013년 고법부장판사급(출신대학현황)
고등법원부장판사 153명 중 125명이 서울대 출신서울대 독점 현상 심각... 고대 9·한대 4·성대 3·부산대 3·건대 3·연대 1
대법관 임명의 법원행정처 및?서울대?편중?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새누리당 김도읍 국회의원(부산 북·강서을)이 10일 법원행정처로부터?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987년 이후 임명된 56명의 대법관 중 27명이 법원행정처?출신이다. 검찰,?변호사?및?학계?출신 12명을 제외하면 법원행정처 출신 대법관의 비중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특정?대학?출신 편중 현산은 더욱 두드러졌다.법원행정처 출신 대법관 27명 가운데 26명이 서울대 출신이다. 법원행정처?고위직의 서울대 독점 현상이 어느 정도인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서울대를 제외한 나머지 대학은 모두 '기타대학'인 셈이다.고등법원?부장판사?이상 고위 법관의 서울대 독식 현상도 도를 넘고 있다. 고위 법관 153명 가운데 125명이 서울대 출신이다. 나머지 9개 대학 출신은 28명에 그쳐?사법부의 서울대 독점 현상이 우려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법 부장판사 이상 고위 법관을 출신 대학별로 보면(올해 7월 4일 기준) 153명 중 ▷서울대 125명 ▷고려대 9명 ▷한양대 4명 ▷성균관대 3명 ▷부산대 3명 ▷건국대?3명 ▷전남대?2명 ▷영남대?2명 ▷연세대 1명 ▷경북대1명 등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848664
◇판사 '둘 중 하나' 서울대 = 3일 대법원이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사법연수원 출신 법관(813명)의 출신대학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 출신이 전체의 절반이 넘는 50.55%(411명)를 차지했다.
이어 고려대를 졸업한 판사가 18.7%(152명)였고 연세대가 7.6%(62명)로 뒤를 이었다.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3개 대학 출신이 전체의 77%를 차지했다.
이어 성균관대 5.4%(44명), 한양대 3.8%(31명), 이화여대 3.2%(26명), 경찰대 2.2%(18명), 부산대 1.1%(9명) 등의 순이었다.
<표1> 최근 5년 간 사법연수원 출신 법관 출신대학
│ 구분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인원 │ 비율 │
│ 서울대 │ 85 │ 83 │ 85 │ 75 │ 83 │ 411 │50.55%│
│ 고려대 │ 30 │ 27 │ 28 │ 39 │ 28 │ 152 │18.70%│
│ 연세대 │ 11 │ 14 │ 9 │ 19 │ 9 │ 62 │7.63% │
│ 성균관 │ 7 │ 13 │ 9 │ 9 │ 6 │ 44 │5.4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847826
3일 법무부가 민주통합당 이춘석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신규 임용된 검사는 365명(2012년 임용된 로스쿨 출신 42명 제외)으로 이중 3분의 2 가량인 235명(64.4%)이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출신이었다.
서울대 출신이 118명(32.3%)으로 가장 많았고, 고려대 68명(18.6%), 연세대 49명(13.4%) 등이었다.
서울대 출신 신규임용 검사 비율은 2010년 전체의 36.9%(52명)를 차지했지만 2011년 26.9%(36명), 2012년 30명(33.3%) 등으로 약간 낮아졌다.
고려대 출신은 3년간 19.9%(28명)/19.4%(26명)/15.5%(14명), 연세대 출신은 12.1%(17명)/15.7%(21명)/12.2%(11명)였다.
(중략)
법무부는 "대학 간 학력 편차에 관한 오해를 유발해 공정한 검사 선발 업무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어 로스쿨 출신 검사에 대해서는 출신대학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436668
◇역대 여성 수석 8명 전원 법관 진출
역대 여성 수석은 총 8명으로 전원 법관으로 진출했다. 첫 여성 수석은 21기 여미숙 판사다. 그는 현재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 48부 부장판사로 근무 중이다. 뒤를 이은 두 번째 여성 수석으로 31기 출신인 조원경 서울서부지법 판사(법원행정처 기획조정심의관 겸임) 역시 서울지법 판사로 첫 부임해 현재까지 법관으로 재직 중이다.
32기 수석인 최계영 서울대 교수 역시 사법연수원 수료 후 서울지법 판사로 진출했다가 법관 4년차 되던 2007년 서울대 법대 교수로 임용됐다. 최 교수는 역대 여성 수석 중에서는 유일하게 법원 외에서 근무하고 있다.
이와 함께 37기 수석 이경민 판사(청주지법), 38기 수석 정현희 판사(춘천지법), 40기 수석 강인혜 판사(서울서부지법), 41기 수석 허문희 판사(서울남부지법)도 모두 법관으로 진출해 현재 법원에서 근무 중이다.
출신대학으로 보면 서울대가 37명으로 가장 많다. 이어 고려대 3명, 연세대와 성균관대, 한양대가 각각 1명씩이다.
2015년 사법시험 1차 순위
법무부는 지난 17일 사법시험관리위원의 심의를 거쳐 제57회 사법시험 제1차시험 합격자 347명을 결정, 발표했다.
최근 사법시험 합격자가 대폭 감축되면서 주요대학의 편중현상이 다소 완화되고 있는 가운데 올해도 이같은 추세를 이어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법률저널이 올해 1차 합격자를 분석한 결과, 올해도 서울소재 대학의 비율이 감소하고 지방대학의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1차 합격자 347명 중 법률저널 예측시스템에 참여한 합격자 141명의 출신대학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가 19.2%로 예상대로 가장 많았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해 서울대의 최종합격자(19.6%)보다 소폭 낮지만 최종합격자에서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대에 이어 고려대가 12.5%로 뒤를 이었다. 최종합격자에서 최근 2년간 고려대를 앞질렀던 연세대가 올해 1차에서는 7.8%로 고려대에 밀리면서 3위에 랭크됐다. 연세대가 올해 최종합격자에서도 2위 자리를 수성할 수 있을지 아니면 고려대에 자리를 내 줄지 또 하나의 관심거리다.
이들 상위 3개 대학의 합격자는 39.1%였으며 지난해 최종합격자 비율(39.2%)과 비슷했다. 하지만 최종합격자에서는 지난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1차 합격자 가운데 로스쿨이 설치된 대학은 22개 대학에서 84.4%(119명)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非)로스쿨 대학은 12개 대학에서 15.6%(22명)를 차지했다.
소재지별로는 서울소재 대학의 경우 17개 대학에서 74.5%(105명)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으며 지방소재 대학은 18개 대학에서 25.5%(36명)였다. 지난해 최종합격자에서는 서울소재 대학이 82.8%를 차지했으며 지방의 대학은 17.2%였던 점을 고려하면 올해도 지방대의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명 이상 합격자를 배출한 대학의 수는 서울(17개)과 지방(18개)을 모두 합쳐 35개 대학이었다. 지난해 최종합격자의 경우 1명 이상 배출한 대학은 서울(17개)과 지방(12개)을 모두 합쳐 29개였다.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400
최근 6년간(2009~2014) 서울대 로스쿨 입학자 출신 대학 현황
1위 서울대 606명
2위 고려대 124명
3위 연세대 80명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325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21
| ||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325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21
2013학년 제5기 입학생 2,099명의 출신대학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고려대 출신이 사상 처음으로 서울대 출신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사법시험 합격자 배출에서 상위를 차지했던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한양대, 이화여대 ‘빅6’ 대학 출신의 비율 역시 매년 감소했다.
■ 5년간 총 10,382명 중…서울대 19.3% 최다
지난 5년간, 총 대학출신 분석에서는 서울대 출신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1기~5기까지 5년간 총 입학생 10,382명 중 서울대 출신이 1,999명(19.3%)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고려대 1,603명(15.4%), 연세대 1,439명(13.9%) 순이었다.
서울대 로스쿨 입학자 10명 중 9명이 소위 ‘SKY’ 대학 출신이며 2011년 이후로는 지방대 출신이 단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대법대 서울법대 순
지금도 그렇지만 예전에 법대는 고려대 서울대가 TOP 2 양대산맥 이라고 하더만 레알이었네...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이 졸업생의 10대 로펌 합격자 수에서 연세대를 멀리 따돌리며 서울대에 이어 2위 자리를 굳혔다. 이화여대 로스쿨은 올해 처음으로 서강대 로스쿨에 앞섰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SKY’ 로스쿨 쏠림현상은 갈수록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사법시험(1959년~2014년) 56년간 대학별 합격자 수 역대 사법시험(1959년~2014년) 56년간 서울대-고려대-연세대 합격자 수 서울대 - 12059명 고려대 - 4979명 연세대 - 2892명 과거 대학별 법과대학 정원 및 사시 합격자 중 법대 비율 서울대 280명 - 사시 합격자 중 법대 비율 60% 고려대 290명 - 사시 합격자 중 법대 비율 89% 연세대 260명 - 사시 합격자 중 법대 비율 82% 1. 서울대학교 역대 사법시험(1959년~2014년) 56년간 서울대 사시 합격자 수 12059명 1년 평균 서울대 전체 사시 합격자 수 215명 1년 평균 서울대 법대 사시 합격자 수 129명 서울대 법대 정원 280명 역대 사법시험(1959년~2014년) 56년간 서울대 법대 사시 합격률 47% 2. 고려대학교 역대 사법시험(1959년~2014년) 56년간 고려대 사시 합격자 수 4979명 1년 평균 고려대 전체 사시 합격자 수 89명 1년 평균 고려대 법대 사시 합격자 수 79명 고려대 법대 정원 290명 역대 사법시험(1959년~2014년) 56년간 고려대 법대 사시 합격률 27% 3. 연세대학교 역대 사법시험(1959년~2014년) 56년간 연세대 사시 합격자 수 2892명 1년 평균 연세대 전체 사시 합격자 수 51명 1년 평균 연세대 법대 사시 합격자 수 41명 연세대 법대 정원 260명 역대 사법시험(1959년~2014년) 56년간 연세대 법대 사시 합격률 15%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8&aid=0003279766
기부금 모금액 상위 10개 대학 중 고려대가 428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연세대 375억 △이화여대 285억 △동국대 179억 △성균관대 151억 △한양대 150억 △중앙대 117억 △경희대 98억 △서강대 77억 △아주대 77억 순으로 집계됐다.
동문 등이 주로 내는 교비회계기준으로는 고려대가 1위로 총 417억9534만원을 모금했다. 고려대는 2009년 대학알리미에 기부금 규모가 공개된 이후 이 부문에서 6년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고려대 관계자는 “오랜 대학역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동문도 많고 이들이 꾸준히 기부금을 많이 내주고 있는 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연세대(373억6926만원) 이화여대(284억8518만원) 동국대(179억3310만원) 한양대(148억8217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성균관대(147억122만원) 중앙대(117억6162만원) 등도 동문으로부터 기부금을 많이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최종수정 2013.07.11 16:19 기사입력 2013.07.05 15:55
교육부, 사학연금 개인부담금 지급 대학 39곳 명단 공개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사학연금, 개인연금 등 개인부담금을 등록금 등 학교 교비회계로 지급한 사립대 39곳의 명단이 공개됐다. 이중 개인부담금을 가장 많이 지급해준 대학은 연세대로, 약 525억원이 교비회계에서 나갔다.
교육부는 교직원이 부담해야 할 사학연금 개인부담금을 부당하게 교비회계로 지급한 대학 39곳의 명단을 5일 공개했다. 이들 대학이 개인부담금을 지급한 금액은 총 1860억원이다. 이중 100억원 이상을 지급한 대학은 5곳으로 연세대, 아주대, 한양대, 영남대, 계명대 등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연세대는 2000년 3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총 524억원의 금액을 지급했다. 이는 전체 적발된 금액 중 28% 수준이다. 다음이 아주대로 2002년 3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192억원을 지급했으며, 한양대 역시 같은 기간 177억원을 지급했다. 영남대는 2003년 3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135억원을, 계명대는 2005년 3월부터 2012년 8월까지 122억원을 부담했다.
2013년 07월 29일 (월) 08:27:39
연세대가 최근 불명예스런 대학관련 뉴스에 계속 오르내리면서 전통의 명문사학으로서 체면을 구기고 있다.
지난 3일 교육부가 발표한 감사결과에 따르면 교비의 연금대납액수가 524억원으로 감사대상 대학 중 1위를 차지해 도하 각 언론의 도마에 올랐다. 명문사학의 맞수인 고려대학교가 대납액이 6억원이었음에 비교하면 연세대가 여론의 뭇매를 맞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 모른다.
교육부는 올해 9월30일까지 연금대납액을 환수하라고 지시했지만 연세대는 “환수계획이 없다”며 오히려 언론사들이 교비회계와 등록금 회계의 기본개념을 이해 못하고 여론몰이식 보도를 하고 있다며 불만을 터트렸다. 그러나 연세대 총학생회마저도 “학교의 연금대납은 탈법”이라며 대납비용을 환수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에 앞서 교육부는 지난달 개방이사를 선임하지 않은 6개 사립대학에 대해 신규이사 취임을 승인하지 않기로 하는 등 행정제재방침을 발표했는데 여기에 연세대도 이름을 올렸다.
지난 3월에는 신설한지 4년밖에 안된 자유전공을 폐지하기로 했다가 여론이 빗발치자 4월자유전공 폐지를 2년간 유예하고 한국국제협력단(KOICA)와 공동으로 국제개발협력전공을 신설하기로 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마저도 양해각서를 체결한 KOICA 이사장이 물러나면서 실무협의가 진행되지 못했고 자칫 교수진과 커리큘럼도 없이 신입생을 선발해야 하는 묘한 상화에 처하게 됐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지난 5월 중앙일보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R&R)와 공동으로 전국 30개 주요대학의 2~4학년 재학생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 대학생 만족도 조사’결과 전반적으로 연세대 재학생의 만족도는 타 주요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 보면 연세대 재학생 57%가 재입학 한다면 다른 대학을 가겠다고 응답해 서울대(11%), KAIST(32%), 포스텍(41%), 성균관대(43%), 고려대(55%) 등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여 대학본부 관계자들은 당혹케 했다.
지난 2010년 송도에 국제화캠퍼스를 건립했지만 국제화교육부문에서는 동국대(9위), 전남대(10위) 등에도 못 미치는 순위를 기록했으며 발전가능성부문 6위, 전공교수진 전문성 부문에서 10위, 사회적 평판 부문에서 7위를 기록하는 등 연세대의 명성에 걸맞지 않는 평가결과가 나왔다.
이같은 일련의 사태에 대해 연세대 재학생들은 물론 30만 연세대 동문들과 학부형, 대학관계자들까지도 안타까운 심정으로 지켜보고 있다.
첫댓글 아웃풋도 대학평가나 도찐개찐이지..
졸업생이 암만 잘나가봤자 본인이 합격한 고시가 아니면 걍 옆동네 엄마친구아들 얘기인걸.. ㅋㅋ
대학평가도 딱 그정도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