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첨부파일
You may download English ver. of the original article(unedited) on top.
서론
2015년 국제연합(UN)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채택한 이후, 전세계 각국의 지도자들은 농업 생산 전환을 통한 빈곤과 기아 퇴치,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촉진, 녹색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통한 기후 변화 억제 등을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1). 그러나 코로나 19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따른 농산물 공급망 교란은 세계 농업 시장의 취약성을 부각시켰으며, 전 세계인의 SDGs 달성 노력을 무력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2) 3) 4). 특히 식량 안보 측면에서 심각한 위협을 체감한 세계 각국 정부는 식량 회복 탄력성 강화와 자급자족 등을 통한 식품 시스템 거버넌스 구축을 서두르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 세계적인 현안과 직결된 실효성 있는 정책 연구의 일환으로 브루나이의 농업 생산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전망과 과제를 예측하여 식량 안보 부문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권고사항을 논의하고자 한다.
현재 브루나이의 경제는 석유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절대적이지만, 원유 발견 이전에는 농산물 생산으로 번영을 구가하던 전통적인 농업국이었다5). 따라서 농업과 식량 문제는 브루나이의 정책 입안 시 간과할 수 없는 의제이며, 농업 기업가 정신 고취, 농업 경영 확대 외에도 탈석유 경제 다변화, 국내총생산(GDP) 성장, SDGs 달성을 유도할 수 있는 농업 생산 전환에 대한 충분한 고찰이 필요하다.
농업 활성화는 SDGs의 17개 목표 중에서도 구체적으로 1(모든 형태의 빈곤종결), 2(기아해소,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발전), 3(건강 보장과 모든 연령대 인구의 복지증진), 8(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및 양질의 일자리와 고용보장), 9(사회기반시설 구축, 지속가능한 산업화 증진), 10(국가 내, 국가 간의 불평등 해소), 11(안전하고 복원력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와 인간거주), 12(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14(해양, 바다,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보존노력), 15(육지생태계 보존과 삼림보존, 사막화방지, 생물다양성 유지) 및 17(이 목표들의 이행수단 강화와 기업 및 의회, 국가 간의 글로벌파트너십 활성화) 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6).
2007년 브루나이 정부는 세계 10대 경제 대국 진입을 목표로 국가 개발 계획 ‘와와산 브루나이 2035(Wawasan Brunei 2035)’을 발표했다. 브루나이 정부는 본 계획을 통해 풍부한 석유 자원을 보유한 소규모 경제국 브루나이에게 경제 다각화는 조속히 실천해야 할 최우선 과제이며, 지속 가능한 국가 성장을 위해서는 농업 생산 혁신이 필수적이라고 천명했다7). 석유 산업 외에도 농업, 농업 기반 제조업, 건설, 관광, 정보통신기술(ICT) 및 서비스 부문으로 경제를 다각화하기 위해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금융이 어려움에 직면한 석유 의존 경제의 전략적 옵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농업 생산 혁신의 최신 동향
브루나이의 농업 생산 전환에는 정부의 정치적 의지에 더해 농업 기술 및 인력 지원이 요구된다. 브루나이는 1929년 최초의 유전 발견 이후 GDP의 약 50%, 수출 총액의 약 90%를 석유 및 가스 수출에 의존해 왔으나8), 최근에는 경제구조를 다각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브루나이의 GDP는 전반적으로는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그림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990년부터 2022년까지의 GDP 성장률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그림 1> 브루나이의 연간 GDP 증감률 추이 (단위: %)
자료: 세계발전지표(WDI,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를 참고하여 저자 작성 (2021)
한편, <그림 2>에 따르면 1960년부터 2021년까지 브루나이의 식량생산지수(FPI, Food Production Index)는 명확한 성장세를 보인다. 브루나이의 FPI는 1961년 10.98에서 1971년 15.51, 1981년 22.99로 증가하였으며, 1991년 20.14로 소폭 감소하였다가 2011년 95.88, 2021년 116.68로 반등하였다.
<그림 2> 브루나이의 연간 FPI 증감 추이 (단위: 포인트)
자료: 세계발전지표(WDI) 를 참고하여 저자 작성 (2021)
최근 10년 간의 농업 발전 동향을 살펴보면, 브루나이의 농업 및 농식품 부문 산출 가치(output value)는 2013년 3억1,482만 브루나이 달러(한화 약 3,063억 7,337만 원)에서 2022년 5억 7,571만 브루나이 달러(한화 약 5,602억 로 약 82.9% 증가하였다9). 그러나 거시적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사항은 브루나이 경제에서 농업, 임업, 어업의 부가가치(add value)는 극히 낮은 수준으로 정체되어 변동이 없다는 점이다.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GDP 대비 농업, 임업, 어업의 부가가치는 1974년 1.34%에서 1984 년 1.07%로 감소하였으며 1994년 1.2%, 2004년 1.13%, 2014년 0.86%, 2021년 1.26%, 2022년 1.1%로 꾸준한 하락세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지난 반 세기동안 브루나이의 농업, 임업, 어업 부문이 국가 GDP에 기여한 비율은 2% 미만에 불과하며, 이는 1929년 석유 발견 이전에는 농업 중심이던 브루나이의 국가 산업구조가 나이지리아처럼 원유 산업 중심으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림 3> 브루나이의 연간 농업, 임업, 어업 부가가치 증감률 추이 (단위: GDP 대비 %)
자료: 세계발전지표(WDI) 를 참고하여 저자 작성 (2022)
브루나이 정부는 상업 농가가 과일, 채소, 허브 등과 같은 다양한 식량 및 현금 작물(Cash Crop)을 재배하도록 권장하고 있는데, 이는 농업 생산량을 늘리고 생산품의 질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는 식품의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식량 안보를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브루나이의 농업계는 농업 효율성과 생산량 증가 외에도 지속가능한 자원 활용에 도움이 되는 정밀 농업(precision farming), 수경재배, 수직농법(vertical farming) 등과 같은 현대 농업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강조되고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브루나이는 기존의 농산업에 사물인터넷(IoT), 드론, 센서 등의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는 스마트 파밍(smart farming)을 사용하여 작물 관리 시스템을 개선하고 실시간 농업 데이터 분석 및 의사 결정에 활용하고 있다10).
한편, 브루나이 정부는 농업 종사자들이 신기술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현대 농업 전문가들과 농부들 간의 워크샵, 세미나 등의 협력 기회를 제공하여 첨단 농법 기술과 지식을 보유한 인재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11). 또한 영국을 비롯한 기타 선진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브루나이 정부는 지속가능한 농업 관행에 대한 인증 프로그램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환경 친화적이고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농업 관행을 준수하는 농부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업계의 지속가능성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2). 브루나이는 이렇게 생산된 농산물로 국내 수요를 충족하고 국제 시장에도 진출하기 위해 다양한 무역협정 및 경제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경제구조 다각화에 기여하며 국가 경제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 기대된다. 이와 같은 브루나이 정부의 농업 장려 정책은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며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첨단기술 농업 시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브루나이 농업의 미래 전망
브루나이 정부는 농업 생산 전환과 농산물 수출 기회 창출로 국가 산업 다각화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실제로 브루나이는 석유 및 석유화학산업 외에도 대규모 상업 농업, 농업생산업, 식품 가공 포장업, 보건의료기술, 정보통신기술(ICT), 이슬람 금융 및 할랄(halal) 식품업 등의 다양한 부문에서 외국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브루나이의 고품질 지역 생산 농산물은 새로운 농가 소득원으로 부상할 잠재력이 충분하며 국제시장에서 추가적인 외화 획득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13).
농업 생산 전환의 또다른 긍정적 파급 효과는 농촌 지역 고용 창출을 통한 실업률 감소이다14). 최근 브루나이의 실업률은 우려스려운 수준으로, 2021년 4.91%, 2022년 5.2%, 2023년 4.9%를 기록했다15). 브루나이는 2021년 인간개발지수(HDI, Human Development Index)16) 51위국으로 교육 수준이 높은 인력이 풍부하기 때문에 숙련된 노동력이 필요한 정밀 농업 장려, 재배 작물 다양화 등의 농업 생산 전환 노력과 실업률 감소의 상생 효과가 기대된다17).
브루나이 농업 전환의 숙제
성공적인 농업 생산 전환을 위해서 브루나이에 주어진 선결 과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브루나이는 국토가 좁고 경지면적이 작아 대규모 농업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수직 농업이나 토지 이용 최적화 농법 등을 적극 활용하는 기술 집약적 농업으로의 변혁 조치를 모색해야 한다18).
또한, 브루나이의 국토는 무분별한 산림 벌채로 인해 기후 변화에 취약한 특성을 보이므로19) 날씨 변화, 특이 강우량 등의 기상 이변이 농지와 임업 부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2010년 기준 브루나이의 삼림 면적은 2만 9,300 헥타르(전체 국토의 55%)에 달했으나, 2022년까지 탄소흡수량 규모로 9만 5,100톤에 해당하는 151 헥타르가 벌목되었다. 2002년부터 2022년까지 브루나이에서 벌목된 삼림의 24%는 탄소 포집 능력이 뛰어난 습윤림(moist forest)으로 구분되는데, 이 기간동안 전체 습윤림의 약 14%에 해당하는 1.46 헥타르가 파괴되었다20). 대규모 삼림 벌채는 숲의 온실가스 흡수력을 감소시켜 기후 위기를 가속화하고 벌목된 토지는 기후 변화의 영향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브루나이 정부는 각 부문의 이해 당사자와 협의하여 농지와 임야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 기후 변화 회복력 확보는 브루나이의 농업 생산 전환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21).
결론: 정책 권고 및 향후 추진 방안
이와 같은 브루나이의 농업 생산 동향과 전환 현황 및 과제 분석을 근거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농업 생산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브루나이의 식량 안보 불확실성, 산업구조 다각화 필요성, 코로나 19와 같은 범세계적 유행병의 영향을 고려할 때 농업 생산 전환은 긴급하고도 필수 불가결한 수순으로 보인다. 이에 브루나이 정부는 UN SDGs의 12번째 목표인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달성을 위해 와와산 브루나이 2035을 보완하는 ‘와와산 개발 계획 2030(Wawasan Development Plan 2030)’을 발표하고 농업 생산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토 면적이 작은 브루나이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수직 농업에 중점을 둔 포괄적 토지 이용 계획 시행과 경지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혁신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 또한 기후 적응력이 뛰어난 작물 품종을 식별하고 재배 및 생산 기술 연구를 지속하여 기후 변화 대응 농업을 실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보조금과 세제 혜택 등의 금융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며, 효과적인 정책 이행을 위해 정부·농업 종사자·민간 부문 간의 협력도 추진되어야 한다. 첨단 농업 기술 촉진, 농업 종사자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지속가능한 농업 관행 인증 이니셔티브 시행 등도 중요하다. 지역 농산물 수출을 위한 국제 시장 탐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브루나이가 농업 생산 전환을 통한 경제 다각화와 장기적 국가 발전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것은 언론의 대대적인 광고나 문서상의 개발계획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투자 자금 조달이라는 것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브루나이가 상기 언급된 정책 권고사항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농업 생산 전환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협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브루나이 정부는 관련 연구와 모니터링을 계속하여 시행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고, 농업 전환 흐름에 맞춰 정책 세부사항과 목표를 조정하는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 각주
1) Sher, A., Mazhar, S., Zulfiqar, F., Wang, D., & Li, X. (2019). Green entrepreneurial farming: a dream or reality?.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20, 1131-1142.
2) Allam, Z., Bibri, S. E., & Sharpe, S. A. (2022). The rising impacts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Russia–Ukraine war: energy transition, climate justice, global inequality, and supply chain disruption. Resources, 11(11), 99. https://doi.org/10.3390/resources11110099
3) Glauben, T., Svanidze, M., Götz, L. J., Prehn, S., Jaghdani, T. J., Djuric, I., & Kuhn, L. (2022). The war in Ukraine exposes supply tensions on global agricultural markets: Openness to global trade is needed to cope with the crisis (No. 44e). IAMO Policy Brief.
4) Dyson, E., Helbig, R., Avermaete, T., Halliwell, K., Calder, P. C., Brown, L. R., ... & Boyle, N. (2023). Impacts of the Ukraine–Russia Conflict on the Global Food Supply Chain and Building Future Resilience. EuroChoices, 22(1), 14-19.
5) Raimi, L., Olowo, R. and Shokunbi, M. (2021) A comparative discourse of sustainable finance options for agribusiness transformation in Nigeria and Brunei: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ship and enterprise development", World Journal of Science, Technolo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Vol. 18 No. 4, pp. 325-350.
6) Ibid.
7) Slesman, L., & Hoon, C. Y. (2023). Brunei Darussalam in 2022: Towards Post-COVID-19 Economic Recovery, Diversification and Sustainability. Southeast Asian Affairs, 2023(1), 52-68.
8) Department of Planning and Statistics (2020) Report of the Labour Force Survey 2020. Bandar Seri Begawan: Department of Economic Planning and Statistics. http://deps.gov.bn/DEPD%20Documents%20Library/DOS/Labour%20force%20survey_KTK/2020/RPT_2020.pdf
9) Ministry of Primary Resources and Tourism (2022) Agriculture and agri-food: Brunei Darussalam Statistics in Brief. Publication of the Ministry of Primary Resources and Tourism, Brunei http://www.agriculture.gov.bn/SiteCollectionDocuments/Statistik/Agriculture%20%26%20Agrifood%20Statistics%20in%20Brief%202022.pdf
10) Bramantoro, A., Suhaili, W. S., & Siau, N. Z. (2022, December). Precision Agriculture Through Weather Forecasting. In 202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Transformation and Intelligence (ICDI) (pp. 203-208). IEEE.
11) Ministry of Primary Resources and Tourism (2022) Agriculture and agri-food: Brunei Darussalam Statistics in Brief. Publication of the Ministry of Primary Resources and Tourism, Brunei http://www.agriculture.gov.bn/SiteCollectionDocuments/Statistik/Agriculture%20%26%20Agrifood%20Statistics%20in%20Brief%202022.pdf
12) Ibid.
13) Slesman, L., & Hoon, C. Y. (2023). Brunei Darussalam in 2022: Towards Post-COVID-19 Economic Recovery, Diversification and Sustainability. Southeast Asian Affairs, 2023(1), 52-68.
14) Raimi, L., Olowo, R. and Shokunbi, M. (2021) A comparative discourse of sustainable finance options for agribusiness transformation in Nigeria and Brunei: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ship and enterprise development", World Journal of Science, Technolo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Vol. 18 No. 4, pp. 325-350.
15) Statista Market Insights (2023) Employment (Unemployment) - Brunei Darussalam. https://www.statista.com/outlook/co/socioeconomic-indicators/employment/brunei-darussalam#unemployment
16) (역주) 유엔개발계획(UNDP)이 각국의 교육수준 등을 조사해 성취 정도를 평가하는 지수
17) Slesman, L., & Hoon, C. Y. (2023). Brunei Darussalam in 2022: Towards Post-COVID-19 Economic Recovery, Diversification and Sustainability. Southeast Asian Affairs, 2023(1), 52-68.
18) Raimi, L., Olowo, R. and Shokunbi, M. (2021) A comparative discourse of sustainable finance options for agribusiness transformation in Nigeria and Brunei: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ship and enterprise development", World Journal of Science, Technolo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Vol. 18 No. 4, pp. 325-350.
19) Manevska-Tasevska, G., Duangbootsee, U., Bimbilovski, I., Thathong, P., & Ha, T. M. (2023). A systematic scoping review and content analysis of policy recommendations for climate-resilient agriculture. Climate Policy, 1-17.
20) Gibbs, D.A., N. Harris. (2023). Primary Forest Loss in Brunei and Muara, BRUNEIhttps://www.globalforestwatch.org/blog/data-and-research/whats-new-carbon-flux-monitoring (explanation of changes to carbon flux model with 2022 TCL release)
21) Shams, S. (2023, Apri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in the Context of Brunei Darussalam: IWRM Perspectives. In SRICOENV 2022: Proceedings of the 3rd Sriwijay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Issues, SRICOENV 2022, October 5th, 2022, Palembang, South Sumatera, Indonesia (p. 256). European Alliance for Innovation.
첨부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