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8년 동안 제가 육아를 하다가 직장을 다닌지 8개월 정도 되었습니다.
딸은 현재 9살 초등학교 2학년입니다.
그동안 시댁에서 봐주고 있었는데 계속 친할머니가 싫다고는 이야기 했었는데 달래고 넘어가곤 했습니다. 사실 저도 결혼 초에 시어머니 잔소리로 인해 신랑과 잦은 싸움과 가정상담센터에서 상담도 할 정도로 힘들어 했었습니다. 저한테는 그럴 수 있더라도 손녀에게까지 그렇게 할 줄은 생각도 못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일하는 시간 동안 방학이라 오랜시간 시댁에 계속 있으면서부터 점점 증상이 나타나다가 1달전 부터 먹는양이 줄어들기 시작해 15일전쯤 부터는 물이나 우유, 음료수 외에는 씹고 삼키는 걸 못하고 있습니다. 물 종류 외에는 씹고 다 뱉어냅니다. 대화를 통해 이야기를 많이 나눈 결과 엄마와 함께 있으면 제일 좋겠지만 친할머니와는 있고 싶지 않다는 걸 듣고 2월말 부터는 친정엄마가 아이들을 봐주고 계십니다.
딸이 친할머니는 잔소리(딸이 과체중인데 먹으면 많이 먹는다. 안먹으면 왜 안먹느냐는 이야기를 많이 했다고 합니다. 남동생만 몰래 먹을것을 준다거나 남동생도 통통한데 유독 딸에게만 다리 굵기가 굵습니다.
얼굴이 엄마보다도 크다는 말도 하며, 동생과의 차별 때문에 너무 싫다고 이야기를 자주 하였고, 나를 싫어하는 것처럼 느껴진다고 하였습니다. 동생에 대해서도 예전보다 더 싫다고 표현하고 없어졌으면 좋겠다고 합니다. 친정엄마와는 사이가 아주 좋습니다.
그런데 보름이라는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밥을 먹지 못하는 딸 아이를 바라보고 있으려니 제 마음이 무너집니다. 딸 기분전환 시키려 그동안 코로나로 미뤄 놓았던 카페가기, 네일아트 하기. 엄마 목욕 시켜주기등 딸이 좋아하는 것들을 하며 주말 내내 시간도 보내고 있습니다. 한달 사이 살도 3kg가 빠지고 이비인후과도 데려갔지만 목에는 아무 이상이 없다는 소견이 있습니다.
엄마인 제가 가는 곳은 어디든지 함께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휴일에는 잠시도 떨어져 있는 것을 싫어해요~
아빠와는 잠시도 있으려 하지 않습니다. 일을 그만두는 것이 정답일까요? 막상 그만둔다고 이야기를 나누어보니 엄마 일하는 거 좋아하는데 괜찮다고 하는 딸입니다. 제가 딸아이를 도와주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 지 알려주면 감사하겠습니다.
A : 안녕하세요.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입니다.
아이의 문제로 고민이 많으시겠습니다. 올려주신 사례를 보면 아이는 섭식장애가 의심됩니다. 친할머니의 잔소리와 남동생과의 편애로 아이가 음식을 삼키지 못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즉, 신체적 이상으로 목 넘김을 못하는 것이 아니라 심인성인 것으로 보입니다. 가정해 볼 수 있는 원인은 친할머니로부터 받은 음식과 신체에 대한 부정적인 피드백으로 인해 음식을 삼키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제안은 아이의 마음을 편하게 하고 안정감을 찾을 수 있게 하는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먼저 친할머니와 아이를 분리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두번째는 엄마의 여건이 허락된다면 휴직을 한 후 아이와 재애착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엄마와 한시라도 떨어져 있기 싫어하는 것은 엄마가 자신에게는 가장 안전한 기지라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세번째, 아이의 상처입은 마음을 잘 읽어주시고 공감해주세요. 할머니로부터 받은 상처에 대한 공감입니다. 평가하는 말이 아니라 아이의 말과 정서를 그대로 받아주는 것입니다. "할머니가 누구에게 그렇게 말을 해서 우리 누가 속상했겠다.", "먹고 싶은데 할머니 말 때문에 못 먹었구나"로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을 권유합니다.
사례를 읽으면서 워킹맘의 어려움이 느껴졌습니다. 아이가 안정을 되찾고 엄마도 일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식이장애 및 애착 트라우마를 어떻게 해결하는가?
애착외상 또는 애착 결핍이라는 환경적 촉발요인 때문이다.
환경적 촉발요인이란 ?
돌보는 사람, 특히 양육자의 잦은 교체를 의미한다. 양육자가 자주 바뀜으로서 아동은 과거에 맺었던 애착 대상을 자주 상실하게 되고, 그 결과 불신과 두려움 및 우울 정서가 형성됩니다.
아동이 신체적 욕구를 표시하고, 안락함이나 애정욕구를 나타내도 양육자가 이를 지속적으로 무시하고 받아주지 않게 되면, 아동은 처음에는 양육자의 방치나 무관심에 저항하다가 나중에는 실망과 좌절 상태에 빠지고, 이후 다시 거부당하는 일이 일어날까봐 두려워하면서 회피적 반응이 나타나게 됩니다.
음식섭취와 관련되어 심각한 문제가 초래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먹는 행동과 관련하여 부적응적 증상들이 나타나서 개인의 신체저 건강과 심리사회적 기능을 심각하게 손상시키는 경우 급식 및 섭식장애로 진단된다. 아동이 먹어서는 안될 것을 먹거나 먹은 음식물을 토하거나 되씹는 행동을 반복하거나 음식과 먹는 것에 전혀 관심이 없고 회피를 하는 것이 해당한다. 섭식은 음식을 먹는다 식사한다의 의미이기 때문에 주로 청소년기나 성인기에 흔히 섭식행동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심리적 장애를 의미합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치료 ?
1. 아이들의 음식섭취를 통해 체중을 늘리는 것에 있고, 퇴원후에도 정상적인 체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심리치료가 효과적입니다. 행동치료는 체중증가 행동에는 강화를, 체중감소 행동
에는 부적인 처벌을 사용해서 스스로 평소의 체중 관리에 힘쓰도록 하는 것에 있습니다.
2. 식사 전후에 느끼는 감정과 음식섭취를 기록하는 음식일지를 작성해서 스스로 모니터링 하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증상을 악화시키는 스트레스 사건도 평가해야 합니다. 자신의 신체상에 대한 둔감화와
함께 비합리적 신념 및 왜곡된 인지에 도전하는 인지행동치료도 효과가 있습니다.
3. 우리들의 외모가 자신의 가치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고, 외모 때문에 사랑받지 못하고 사랑할 수 없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일깨워주어야 한다. 가족치료도 병행해야 한다.
4. 인지행동치료로 자기관찰, 자극조절 및 문제해결, 인지재구조화 같은 기법을 통해 잘못된 섭식 습관을
변화 시키는 것이 있습니다.
5. 정서적 고통이나 부정적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폭식행동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애착의 치료 ?
1. 아동의 욕구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관심과 애정 및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1명의 양육자에 의해 아동이 깊이 있는 애착관계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양육자는 사랑과 관심을 가지고 아동의 행동이나 언어를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온화한 대화법으로
다가가야 합니다. 아동에게 애착반응을 증진시키는 지지적 환경이 주어지면 상당한 호전과 회복이 있고,
장애가 심하지 않을 경우 거의 정상에 가까운 상태까지 호전될 수 있습니다. 양육자와 함께하는 놀이치료,
미술치료 등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한 가지 물건에 집착/교우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학생
[상담 후기] >> 개별 및 사회성 치료 초등 저학년 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4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29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 참고문헌 :
- DSM-5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김 청 송 저)
- 거식 행동과 폭식 행동에 자기 평가의 신체 비중, 신체 불만족, 완벽주의, 충동성이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수련인턴 안 춘 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