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살림 농부들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함께짓는農生農死 스크랩 잠두콩 재배기술
농부시형 추천 0 조회 171 11.12.06 17:05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잠두란?

 잠두란?

중국어로 잠두는 꼬투리가 작을 때는 누에 모양을 하고 있고 누에가 고치를 지을 때쯤에 익어간다고 잠두라고 한다. 
잠두는 그 원산지가 북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이며 재배기원이 가장 오래된 작물 중 하나이다.

잠두는 당질이 많아 감미롭고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과 회분 그리고 비타민 A, B, B2, C가 골고루 함유되어 영양도가 높은 식품의 하나이다. 종실은 제과용, 제분, 통조림, 안주용으로 이용하고 있고, 미숙상태 또는 녹색의 콩은 채소로 이용하고 있다. 또, 약용으로도 이용되는데 종자와 잎은 지혈제, 이뇨제, 해독제 등으로 쓰여진다. 
잠두는 두류중 내한성이 강하여 고온 건조 지대보다는 냉랭한 기상에 적합하고, 한발에는 매우 약한 작물이다.

<사진> 잠두

 잠두의 가치

잠두는 다른 두과 작물이 생산되지 않는 시기에 생산되는 특수작물로서 남부 지방에서는 답리작 재배로 5∼6월 출하할 수 있고, 또 재배지역이 내한성 관계로 국한 되어 앞으로 소득작물이란 차원에서 각광 받을 수 있는 작물이라고 할 수 있다.


 성분특성

잠두는 당질이 많아 감미롭고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섬유질과 회분 그리고 Vitamin A, B1, B2, C 등을 다량 고루 함유하고 있어 영양가가 높다.

영 양 분

생 것

말 린 것

에 너 지(Kcal)

124

348

수 분(g)

68.1

13.3

단백질(g)

12.5

26.0

지질(g)

0.2

2.0

당질(g)

16.9

50.1

섬유질(g)

0.8

5.8

회분(g)

1.5

2.8

칼슘(mg)

25

100

인(mg)

250

440

철(mg)

2.7

5.7

나트륨(mg)

1

1

칼슘(mg)

510

1100

레티놀(㎍)

0

0

카로틴(㎍)

50

90

비타민B1(mg)

0.35

0.5

비타민B2(mg)

0.23

0.2

나이아신(mg)

1.7

2.5

비타민C(mg)

15

0

(가식부 100g당 영양분석)

 분류

잠두는 종실을 목적으로 할 경우 보통 작물인 두과작물로 취급되지만 미숙한 종실을 식용목적으로 재배되는 풋용은 채소로 분류하기도 한다.

잠두의 학명은 Vicia faba L.인데 식물분류학상 콩과(Leguminosae), 접형화아과(Papilionoideae)에 속하고 영명은 faba bean,broad bean, field bean, tick pea, English bean, Europenn bean, Windsor bean 또는 horse bean 등 다양하게 불리는데 근래에는 아종이나 변종들을 모두 포함한 통칭명으로 faba bean을 주로 쓴다. 한자로는 잠두로 표기하고 일본어로는 ンラマナ라 한다. 이전에는 Faba 속으로 분류하여Faba bona, Faba vulgaris 등으로 분류하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Vicia 속으로 분류하고 있다. 염색체수는 2n=12또는 14인데V. faba var. minor 와V. faba var. mauor 로 구분한다.
그러나 학자에 따라서는 V. faba subsp. paucijuga Mur.와V.faba subsp. eufaba 의 2개 아종으로 구분하고V. faba subsp. eufaba 는 다시 V. faba subsp. eufaba var. minor Beck(둥근 소립종. field bean. tick pea), V. faba subsp. eufaba var. major Harz.(납작한 대립종, broad bean),V. faba subsp. eufaba var. equina Pers.(중립종. horse gram)의 3가지 변종으로 구분하기도 한다.V. narbonensisV. galilaea 등이 재배종과 분류학적으로 유사하나 아직까지 이들간 교잡을 성공시키지 못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 재배되는 잠두의 대부분은 만생종이고 조생종, 중생종은 거의 재배되지 않고 있으며, 이들의 품종적 내력에 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다. 뿐만 아니라 잠두의 이용방법이 극히 단조롭고, 이에 대한 인식도 낮았기 때문에 잠두의 품종에 대한 중요성에는 그다지 관심이 돌려지지 않았다. 분포적지는 온대지방에 한정되며 품종 분화는 많지 않다. 잠두는 성숙해서 수확하고 건조 자실로서 이용하는 종실용과 미숙시에 수확해서 청과로서 이용하는 청실용으로 나눌 수 있다. 청실용은 대립종과 조생종이 여기에 속한다. 잠두는 서늘하고 습도가 적당한 기후에 순응하므로 유럽에서는 채소용, 주식대용, 녹비용, 사료용 등으로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조생종은 조숙 및 억제재배에 적합하고 만생종은 보통기에 재배하는 것이 적합하다.


 기원 및 재배내력
잠두의 기원식물과 원산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불명확하다. 다만 서부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일 것이라는 견해가 중심이 되나 동부 중앙아시아로 보는 견해도 있다(Bond 등). 또한 유럽, 아프리카 및 스페인 해안, 나일강변과 이디오피아, 메소포타미아에서 인도까지 등 4개지역을 1차 원산지로 보는 견해도 있다. 2차적인 분화 중심지는 아프가니스탄과 이디오파아로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잠두의 야생형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특히 렌즈콩, 병아리콩, 완두 등 다른 콩과작물과는 달리 잠두는 고고학적 유물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고 있어 그 재배연대가 이들보다는 훨씬 이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신석기시대에 이르러 작물화되었을 것이며 기원전 3,000년 경에 이르러 지중해 연안에 널리 퍼졌고 북부 유럽에도 알려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잠두는 지중해와 근동지역 고대 문명국가들의 공통적인 식량작물이었다. 또한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에 의해 강낭콩류가 유럽에 도입되었는데 그 이전에는 잠두가, 곡류 및 사료용으로 널리 재배되었던 유일한 콩과 작물이었다. 초기에는 나일강을 따라 이집트로 전파되었고 동쪽으로는 아프가니스탄과 인도 북부 히말라야산맥 인근지역으로 전파되었다. V. faba var. minor가 중국에 전파된 것은 기원전 100년경이며, 반면에 V. faba var. major는 비단무역이 정착된 AD 1,200년경에 이르러서야 도입이 되었다.
운남통사(雲南通史, 1691)에 송대(宋代, 979~1270)에는 중원일대에 보급되지 않았고 사천(四川)지방에서만 재배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왕정의 농서(1313)에도 완두의 별명으로 기록되어 있고 구황본초(1400~1425)에는 각 지방에서 널리 재배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 중국의 중부지역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답리작 또는 보리 수확전의 식료품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다식편(多識篇, 1630)에 기록되어 있는 것이 최초라고 한다.
신대륙으로의 전파는 콜럼브스 이후의 일로서 스페인인과 포르투갈인들에 의해 16세기에 중미 및 남미로 전해졌다. 현재는 이집트가 가장 재배면적이 많고 이디오피아, 중국, 모로코, 튀니지. 이탈리아 등이 주요 재배국가인데 생산량은 중국, 이디오피아. 이집트 순으로 많다.

 한국의 잠두재배

 잠두의 우리 나라 도입과 재배내력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1930년에 청과용과 종실용 등 3개품종이 도입되었고, 제주도에서는 가을에 파종하여 월동 재배하여 왔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에 남부 해안지역을 대상으로 재배지역이 증가하였으나 다시 소비 감소되어 재배면적이 축소되었고 1994년부터 경남 남해군 및 사천 지역에서 일본과 수출계약체결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잠두의 특성해설
 
형태적 특성

종   실

 

  잠두 종실의 배꼽은 크고 성숙하면 흑색으로 변한다. 이것은 성숙의 지표이기도 하다. 하지만 배꼽이 품종에 따라서는 흑색으로 변하지 않는 것도 있다. 모양은 편평하고 신장형이며 크기는 품종에 따라서 다르다. 종자의 색깔은 흑색, 갈색, 적색, 자색, 황색, 백색, 회색 및 혼색이 있다.

줄   기

 

  줄기는 네모지고 표면에 털이 전혀 없으며, 마디가 많고 마디마다 특징적인 탁엽이 있는데 뒷면에는 자색의 작은 반점으로 보이는 퇴화된 꿀샘이 있다. 잠두의 초장은 일반적으로 90∼130cm 정도이나 큰 것은 180cm에서 작은 것은 30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밑쪽의 마디로부터 4∼15개의 곁가지가 발생한다.

잎

 

  잎의 모양은 긴 계란형이고 대립종은 크고 소립종의 잎은 작다. 잎은 마디마다 나고, 5매의 소엽으로 구성되는 복엽이 호생하며, 긴 잎자루를 가진 2∼3매의 소엽 호생하지만 선단의 소엽은 대생이다.

꽃

 

  잠두의 꽃은 꽃받침, 꽃잎, 수술 및 암술의 4부분으로 구성된 나비꼴의 완전화이다. 꽃은 엽액 사이의 짧고 작은 꽃자루에 달리며, 짧은 총상화서를 이루고, 여기에 보통 2∼6개의 꽃이 달리지만 많은 것은 9개까지 달리기도 한다. 그러나 꽃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1∼2개의 꽃만 꼬투리가 맺히게 된다. 꽃의 색깔은 백색, 자색, 암갈색, 담갈색, 분홍색, 적색, 황색 및 혼색 등이 있고 개화시간은 4월초 맑은 날씨의 경우에는 오전 11시에서 오후 5시경, 흐린 날씨에는 12시에서 오후 5시 사이에 대부분 핀다.

꼬투리

 

  꼬투리는 크게 외층부와 해면상(海綿狀)의 내층부로 구성되어 있다. 내층부는 종실이 비대해짐에 따라 점점 엷어진다. 꼬투리의 크기와 길이는 품종에 따라 다르고, 매 꼬투리에는 일반적으로 2∼4립이 들어있으며, 많게는 6∼7립이 들어있기도 한다.


 
생리 및 생태특성

발 아 온 도

 

  잠두의 발아 최저온도는 3∼4℃이며, 발아 적온은 20℃ 내외이며, 10℃ 이하 또는 35 ℃이상에서는 발아율이 떨어진다.

개 화 특 성

 

  잠두는 장일성 작물로 일조조건에 대한 반응이 비교적 민감하다. 전 생육기간 중 충분한 햇볕을 요구하며, 재식밀도가 높으면 개화결협기에 포기사이의 해가림이 심해져서 이로 인해 꽃과 꼬투리가 많이 떨어지게 된다. 파종을 넓게 하며, 잎이 좁은 품종을 선택하고 합리적인 시비와 순지르기 등의 재배기술적인 면에서의 방법을 선택하면 합리적인 군락구조가 되어 잠두의 포기사이 투광이 좋아지고 엽면의 광합성 작용을 높여서 소출이 좋아진다.

생 육 온 도

 

  잠두는 따뜻하고 축축한 기후를 좋아하는 아열대와 온대의 작물이다. 추위에 강한 면을 가지고 있으나 다른 작물에 비하여는 약한 편이어서 -4℃에서 한해(寒害)를 입을 수 있고 -5℃에서는 고사한다. 그리고 꽃봉오리가 달린 후에는 0℃에서도 한해를 입을 수 있다. 잠두는 유묘기에는 저온에서도 견디지만 생육이 진전되면 추위의 피해를 받기 쉽고 초봄 생육재생기 이후에 신장된 경엽은 가벼운 서리에도 피해를 받아 생육, 수량에 영향을 미친다.

수 정  및  결 실

 

  잠두의 꽃눈은 저온에 의해서 분화하는데, 저온에 대한 감응은 품종간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고온기인 8∼9월에 파종하는 억제재배에서는 개화기를 앞당기기 위해서 종자를 저온처리 한다. 또 등숙기에 저온처리를 하면 다음 세대의 개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월동이 가능한 제주도에서는 추파 재배하면 겨울동안 꽃눈 형성에 필요한 저온 경과로 초봄부터 개화한다.

 

 

재배기술

 

 난지에서는 10월 상순 파종하여 5월에 수확하는 재배법이 있으며, 답리작에서 조기재배의 경우 육묘이식으로 조기출하 할 수 있고 보통재배는 10월 중하순 파종하여 5 ~ 6월에 수확하는데 이때 조기파종은 웃자람을 유발하는가 하면, 만파의 경우 저온에 의한 발아 부진으로 월동전후 생육이 떨어져 수량이 낮아진다.

 

ball03e.gif 육묘와 정식

  파종에서 육묘까지의 소요 일수는 20 ~ 25일 정도 되고, 육묘장은 비옥하고 배수가 양호한 곳으로 육묘면적은 정식면적 300평당 6평 정도(조간 9㎝㎝, 주간 6㎝) 소요되며 파종방법은 파구당 1립씩 종자눈이 아래로 향하게 파종후 복토한다. 직파재배시 파종시기는 월동이 가능한 남부지역에서는 10월 상순에서부터 하순경이며, 내륙지방에서는 월동율이 낮아 비닐터널 또는 하우스 재배가 요구된다.

  정식은 발아후 10 ~15일경 본엽 2 ~ 3매일 때에 이랑넓이 60㎝에 포기사이 30㎝ 간격으로 1포기씩 심는 것이 알맞다.

육묘장면(옮겨심기 알맞은 묘) 
육묘장면(옮겨심기 알맞은 묘)    

 

ball03e.gif 시비 및 관리

  콩과 작물중에서는 비료를 비교적 많이 요구하는 편이므로 부족하지 않도록 주어야 한다. 300평당 인산 12㎏, 카리 12㎏, 퇴비 1,000㎏을 전량 밑거름으로 시용하고, 질소는 6㎏으로 밑거름으로 50%, 추비로 생육 재생기에 50% 시용하는 것이 알맞다.

  관리는 3월경 곁가지가 많이 나오므로 정지를 해야 하며, 곁가지 1개당 꼬투리수는 초세에 따라 아래쪽에 4 ~ 6개 정도 남겨두고 위쪽은 제거하는데 많이 남겨두면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단계별 생육 상황
단계별 생육 상황  

 

ball03e.gif 수확

  종실용은 성숙기가 되면 줄기 및 꼬투리가 검어지는데 10일 정도 소요된다. 수확은 날씨가 좋을 때는 꼬투리가 완전히 검은색일 때, 계속 비가 올 것 같으면 70%정도 검은색으로 변한 꼬투리를 맑은날 수확하는 것이 좋다. 비를 맞고 수확하면 건조과정에 곰팡이가 생겨서 품질이 저하된다. 수확한 꼬투리는 하우스 등 비가 맞지 않는 곳에서 4 ~ 5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종자를 탈립하여 반드시 그늘에서 수분함량 12% 이하 되게 5 ~ 7일 정도 말린다. 종자를 햇볕에서 건조시키면 종자가 붉은색으로 변색되어 품질이 저하된다.

 

ball03e.gif 작부형태

  잠두는 내한성에는 강하나 고온건조에서는 약하기 때문에 작부형태를 다양화 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각 지역의 기상조선을 적절히 이용하고 용도를 다양화시키면 조숙재배, 보통재배, 작부형태로 주년재배를 할 수 있다.

  ⑴ 조숙재배 : 하우스에서 8월 상순에서 9월 중순 사이에 파종하여 12월에서 4월에 수확하는 작형은 조생종이 알맞고, 10월 상순에서 10월 중순 사이에 파종하여 4월에 수확하는 작형은 장협이면서 대립종이 알맞는 작형으로 따듯한 지역에서 유리하게 성립될 수 있다.

  ⑵ 보통재배 : 9월 하순에서 10월 하순 사이에 월동이 가능한 적기에 직파 및 육묘 이식 재배하여 5월에서 6월에 수확하는 작형이다. 주로 남부지역으로 1월 최저기온이 -4℃ 이상 되는 지역으로 후작물로 두류, 참깨, 고구마 등의 작물과 작부조합이 가능하다.

  ⑶ 억제재배 : 따뜻한 지역에서는 8월 중순에서 9월 상순 사이에 파종하여 11월에서 2월 사이에 수확하는 작형이며, 서늘한 곳에서는 3월 상순에서 4월 상순 사이에 파종한 후 수확기를 늦추어 7월에서부터 11월에 걸쳐 수확할 수 있다. 이 작형에는 조생종이 적합하다.

 

  flo01b.gif 잠두의 작부형태

작 부 형 태

파  종  기

수  확  기

품        종

비        고

조 숙 재 배

8월 상 ~ 9월 중
10월 상 ~ 10월 중

12월 ~ 4월
4월

조 생 종
장협 대립종

답리작 가능

보 통 재 배

9월 하 ~ 10월 하

5월 ~ 6월

전 품 종

억 제 재 배

따뜻한곳

8월 중 ~ 9월 상

11월 ~ 2월

조 생 종

저 온 처 리

서늘한곳

3월 상 ~ 4월 상

8월 ~ 11월
7월 ~ 8월

  ※ 저온처리 : 15 ~ 20℃에서 싹을 내어 3 ~ 5℃의 저온에서 20 ~ 25일 처리후 파종

 

품종

ball03e.gif 방주조생 - 조생종으로 분지가 적다. 꽃의 색은 백색이다. 어린 꼬투리의 색은 녹색 이며 종실수는                   3개이다. 종실의 크기는 소립이며 껍질색은 담록색이며. 눈의 색은 백색이다.


ball03e.gif 금비라 - 중생종으로 분지가 중정도이다. 꽃의 색은 자색이다. 어린 꼬투리의 색은 농녹색이며 종실

               수는 5∼6개이다. 종실의 크기는 중립이며 껍질색은 담록색이며. 눈의 색은 흑색이다.


ball03e.gif 일촌잠두 - 만생종으로 분지가 중정도이다. 꽃의 색은 백,자색이다. 어린 꼬투리의 색은 녹색이며

                  종실수는 2∼3개이다. 종실의 크기는 대립이며 껍질색은 담록색이며. 눈의 색은 백,흑색

                  이다.

 flo01b.gif 잠두 주요품종(지방재래종 및 도입종)

품종명

조만성

분지

꽃색

어린 꼬투리

종실

모양

종실수

모양

노 예 재 래
웅 본 중 립
적      잠두
방 주 조 생
금   비   라
일 촌 잠 두

중생종
만생종
만생종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

많음
많음
많음
적음
중정도
 중정도 

자색
자색
자색
백색
자색
백색, 자색




중, 소

크고 넓음 

녹색
녹색
농록색
녹색
농록색
녹색 

2 ~ 3
2
3
3
5 ~ 6
2 ~ 3 

소립종
중립종
소립종
소립종
중립종
대립종

담록, 흑목
담록, 흑목
적갈
담록, 백목
담록, 흑목
담록, 백, 흑목

  ※ 채소대백과사전(오성출판사)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