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는 바야흐로 저번주 금요일(12년 12월 21일...)
에 한국철도공사 인재개발원에서 관제사교육 교육인 저는 오전에 인천교통공사 관제센터 견학을 마친후
오후에 영종도로 이동하여 자기부상열차 시험선에 탑승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됩니다.
정확히는 모르겠으나 철저한 예약제를 통해서 시험승차가 가능하다고 들었는데,
저희는 50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사전연락없이 떼거지로 몰려가는 형태(-_-)로 되버려서
인천공항역에서 한없는 기다림으로 있던 중 순서가 와서 드디어 탑승하게 됩니다.

#01. 자기부상열차입니다. 2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현재 최고속도는 110km/h까지 가능하며 지면으로부터 약 9mm정도 떠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급전방식은 레일옆면의 궤조에서 공급받는 방식으로(제3궤조방식) 현재는 양쪽 운전실에
인천교통공사 소속 기관사님2분이 1명씩 배치되어 수동운전을 하였습니다.
최고속도까지 점진적으로 증속하여 시험운행할 예정에 있습니다,

#02. 깨알같은 조정중....이랄것도 없지만서도...

#03. 제1역 통과 중
시험선은 인천국제공항역을 출발하여 총 5개의 역과 차량기지가 구비되어있는.
시험운행선 길이가 약3km라고 들엇는데 가물가물합니다 ㅠㅠ
시험운행방식은 궤도는 복선궤도지만 한쪽만 사용하여 1개의 차량만 움직이는 단선형태의 운행방식을 취하며
관제쪽에 통과한 역과 이상현황 들을 무전으로 보고하는 방식으로 운행합니다.
그리고 기관사 이외에 로템직원분과 인천교통공사 관계자가 탑승하는 것으로 기억하고있습니다.

#04. 옆면에 전기가 통하는 궤도가 있습니다. 이것을 통해 차량은 전기를 공급받게 됩니다.
현재는 3역-4역간 직선선로구간에서 최고 80km/h의 속력까지 냈다고 했습니다,
제가 탑승할 떄는 이 구간에서 70km/h수준을 넘지않는 속도로 최고속도를 냈습니다.
일단 차륜이 없는탓에 지면과 닿는 부분이 없어서 승차감면에서는 훨씬 더 부드러운점을 느낄 수 있었고
무엇보다 의자가 푹신푹신~하였습니다 ㅋㅋㅋㅋ
간이 운전대의 사진을 찍어놓은게 있는데 아직은 시험중인 것을 찍어놓은지라
쉽사리 업로드하질 못하겠습니다. 이건 조용히 간직하고 가렵니다.

#05. 자기부상열차 입환 기관차 입니다.
쪼고마한게 겁나 귀여운데 이놈도 전기로 굴러가는것 같습니다 헤헤
저희가 탔던 차량이 인천공항철도 용유차량기지 직원셔틀관계로 차량기지안까지 들어가보는 흔치않은 경험을 해보았습니다.
비록 차 밖에는 나갈순 없었지만 그래도 선로가 방향이 바뀌며 움직이는것도 보고
차량기지 내부도 훑어보고 다른사람들이 보지못한 것들을 보았다고 생각하니 가벼운 들뜸이 느껴졌습니다.

#06. 차량기지 앞에서.
시험이다 보니 일부분은 공사중인것도 있고 나름 어수선하다...라는 느낌은 지울 수 없었습니다,
본선에서 차량기지 입출고선사이에 구배가있는데 2량1편성의 위엄이라 그런지몰라도
출력은 꽤좋았습니다. 역행 3단에서도 사람 그리많이 태웠는데 잘 올라간것을 느끼면서
때론 기술력이 많이 왔고 앞으로도 갈길이 멀구나.. 라는 희비가 동시에 교차합니다.

#07. 용유차량기지에서 이래저래 열심히 일하시는 관계자분들과 입환기관차 오홍홍

#08. 직선구간
이 구간이 최고속도를 낼 수 있는 유일한 직선구간으로 생각없이 찍은 사진인데 그래도 뭔가 도움이 되긴 합니다-_-

#09. 제 1역에서 장차중 찍어보는 인천공항
기관사님이 특별히 포토타임(-_-ㅋㅋ)으로 잠시 정차하고 인천공항을 배경으로 사진찍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역시 이래보니 멋있긴 합니다만 앞에 저 습기찬건 ㅠㅠ

#10

#11. 나가기 전에 찍어보는 플랫폼의 사진들.....
아직은 시험운행중이지만 경전철의 특징을 많이 가진 탓에
급구배와 작은 곡선반경에서도 뛰어난 운행성능을 보여준다고 하니
고속용이라면 다른 기술이 더 필요하겠지만 이곳의 자기부상열차 정도면 충분히 도심주행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게 저의생각입니다만...
아직은 초기비용이 무지무지무지많이 비싼탓도 있겠지요.
지금은 9mm정도만 떠오르지만 현재 기술로는 2배로 더 올려도 약 3배이상의 연구비가 들어간다니....
나중에라도 안정화되면 지면과의 마찰이 없음으로 가장편안한 승차감제공이 가능하지 싶으니
충분히 활용가능한 기술이라고 생각합니다.

#12. 뜬금없이 올려보는 사진.
저렇게 표시해놓으면 비상시에 여기가 어딘지..라고 생각하는 것보다는 빨리 조치가 가능하지않을까 싶습니다^^
서울메트로 의 좋은 아이디어라 생각합니다.
자기부상열차 시승으로 저희에게 많은 추억과 도움을 주신
인천교통공사 교수님, 관계자
한국철도공사 인재개발원 교수님
인천공항공사 일부 관계자
현대로템 직원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하다 늦었지만 인사 올리겠습니다.
이상마치겠습니다.
비루하지만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틀린부분은 지적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담)
2012-04차 정기 제2종 철도차량운전면허 합격해서 면허증 수령했습니다.
운전직으로 꼭 입사하여 덕업일치(?)를 보여드리도록 약속드리겠습니다.
--------------------------------------------------------------------
20121221
Incheon Airport
in Yeongjongdo
Photo by. Oidostation
첫댓글 멋집니다. 최첨단 철도이네요^^
면허취득 축하드리며.. 이미 대전 기계연구원 시험선에서 오래전부터 공개해왔기 때문에 보안문제는 없을것으로 예상됩니다.
http://cafe.daum.net/kicha/ANn/10238
http://cafe.daum.net/kicha/ANn/10242
http://cafe.daum.net/kicha/ANn/10243
http://cafe.daum.net/kicha/ANn/10244
신선한(?) 사진 아주 잘봤습니다. Facebook이었으면 '좋아요' 수십번 눌러드리고 싶네요.^^ 어서 개통해서, 꼭 타보고 싶네요.
오이도면 인천이죠? 부산이랑 도시철도가 이렇게나 다른가요 넘 좋네요^^
오이도는 이 글 쓰신분 닉네임이고요.. 저 자기부상열차는 영종도 인천공항에 있는 겁니다...
시범노선 사업이라 아직 일반적인 도시철도로 보긴 어렵습니다. 부산에는 상용화된 4호선이나 부산김해경전철이 있는걸요.
제가 닉네님을 착각했네요^^
오호라. 사진 잘 봤습니다 ^0^
저도 사진잘봤습니다. 새마을호자유석님과 동일하게 생각을 합니다 페북에 올라와 있으면 저두 수십번 눌렀을 겁니다~~~^^
저도 잘 보았습니다. 이젠 국내 최초의 자기부상열차의 시대가 시작되는 군요.
개통일까지 무사히 시운전이 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제가 관제교육 받을 때는 인천교통공사 방문 후 인천1호선 운전실 편승만 하고 끝났는데, 이번 기수는 영종도까지 가셨군요 :-D
벌써 완공했군요?!
뱀눈이의 완전진화형이네요~! 디자인도 완성도 높고 노란색도 맘에듭니다~~아름답네요.
그러고 보니까 눈이 약간 페라리 458 이탈리아 닮았네요..
용유기지갔을때 그주변으로 고가랑 역완성한거만 봤는디 이미 시험주행까지하고 있었구만유! 그리고~ 장차라고 오타......
저도 가족하고 공항철도타고 분당판교에서 9003번버스를 타고 간적이 있습니다
그런 추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저도 공항철도를 무척 좋하하는 열혈 공항철도팬입니다
그젠 일반열차를 타고 인천국제공항역에서 내려 가는도중 옆승강이 있습니다
저는 이게 제2공항철도선로대비선로 인거 같습니다
공항철도는 추억을 선사하는 도시철도입니다
또한 내년 공항철도가 공덕역 이남 용산역 까지 추가로 연장 이에 비해 신분당선 강남역-용산역 구간이 개통하면
신분당선과 공항철도가 통합운영합니다
아직은 미정이다만 현재는 저에게 계획은 잡혀 있습니다
공항철도는 검암역행이 아직 남아 잇지만 만일에 대비하여 2020년이 되면 KTX가
오면 이젠 한국철도는 KTX중심국가 도시로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