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당]
양향자 “드라마 같은 일…
여야협치 새 모델”
與 반도체특위 첫 회의 주재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 제1차회의에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양향자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국회사진기자단 >
국민의힘 반도체특위 위원장인 무소속
양향자 의원은 28일 첫 회의에서
“대한민국 헌정사 최초로 여당의 특위 위원장을
야당 인사가 맡는 드라마 같은 일이 벌어졌다”
며
“죽을 각오로 뛰겠다”
고 했다.
양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반도체 특위’
1차 회의를 주재하면서
“이 자리는 정당을 초월하고, 기업을 초월하고,
세대를 초월하고 모든 것을 초월한 자리”
라며
“정파와 이념을 초월한 여야 협치의 새로운
모델이 되겠다”
고 했다.
이어
“며칠 전 누리호 발사가 성공하며 대한민국의
과학 기술이 우주로 론칭했듯이 특위가 시작되는
오늘이 대한민국과 한국 정치가 미래로 론칭하는
역사적인 날이 되기를 바란다”
며
“훗날 대한민국이 과학기술 패권 국가로 우뚝 설 때,
많은 사람이 오늘을 그 시작으로 기억할 수 있었으면
여한이 없겠다”
고 했다.
양 의원은 향후 특위 활동과 관련,
“반도체를 통해서 국가가 화합하고 국민이
함께하는 특위를 만들겠다”
며
“‘제2의 반도체 기적’을 만들겠다”
고 했다.
그러면서
“특위가 만들 정책 방향은 크게 3가지”
라며
“첫째는 규제 개혁,
둘째는 세액 공제,
셋째는 인재 양성”
이라고 했다.
양 의원은
“이 시대의 반도체는 경제이자 외교이며 안보”
라며
“미·중 패권 경쟁을 관리하는 가장 효율적 외교
수단이 반도체 산업이며, 한미 안보 동맹의 핵심
또한 일명 ‘반도체 방패’로 바뀌고 있다”
고 강조했다.
이어
“부민강국, 백성이 잘살아야 나라가 강해진다는
그 원천이 바로 반도체”
라고 했다.
----양향자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 위원장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 제1차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국회사진기자단 >
양 의원은
“우리가 경쟁해야 할 것은 상대의 정파가 아니라
미국, 중국, 대만, 유럽, 일본 등 반도체 산업에
있어서 우리와 경쟁하는 세계적 국가”
라며
“그들보다 모든 것이 앞서가야 한다”
고 했다.
그러면서
“정책 결정 속도가 그들보다 더 빨라야 하고,
지원의 의지와 규모가 더 담대해야 하고 정책의
구체성 또한 현장에 맞도록 높아야 한다”
고 했다.
양 의원은 광주여상 졸업 이후 삼성전자에 입사해
반도체 사업부에서 30년 근무하며 임원으로
승진했다.
이후 2016년 문재인 당시 민주당 당대표의
‘인재 영입’ 7호 인사로 민주당에 입당하며
정치에 입문했다.
당시 문 대표는 양 의원에 대해
“우리 사회 수많은 차별을 혁신하는 아이콘”
이라고 했었다.
민주당 출신 무소속인 양 의원은 지난 4월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법안을
공개 비판하면서 민주당 주류 인사들과는 다른
목소리를 냈다.
그래선지 이날 회의에 참석한 국민의힘 의원들은
양 의원에게 먼저 반갑게 악수를 청하는 이들이
많았다.
양 의원을 사이에 두고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성일종 정책위의장 등 지도부가 둘러앉았다.
권 원내대표는
“천군만마를 얻은 느낌”
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향후 ‘반도체 특위’에 민주당 의원들도
포함시켜 초당적 기구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김민서 기자
[출처 : 조선일보]
[100자평]
김진구
이게 협치고, 이런 모습이 대한민국의 미래다.
애매하게 겉모양만 협치하자고 하는 민주당과는
차원이 다르다.
나정철
금태섭도 중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