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가감리로 일을 할 사람이 한전에 가서 인터뷰를 할 때 100개의 문항에 대한 답을 척척 잘 해야 하는데, 그 중 하나가 아래에 있는 문제입니다.
50. 345kV 옥외GIS형 변전소에 필요한 유수 유출방지설비 소요용량과 자연배수 구조일 경우의 소요용량을 계산한 것으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단, 변압기 내장유량은 33,000[ℓ], 초기 소화용 방수 소요량은 3[㎥]이며 자갈깔기 층의 자갈사이의 공적률은 30%로 본다.)[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 반올림]
A. 45[㎥], 35[㎥]
B. 35[㎥], 45[㎥]
C. 50[㎥], 60[㎥]
D. 60[㎥], 50[㎥]
정 답 : D 난이도 : 상
정답이 왜 D가 되는가에 대해 해설은 아래와 같습니다.
<해설>
설계기준 DS-2930 (소방대책)에 따르면 된다.
<DS-2930 인용 시작>
3.3 유수 유출방지 설비
3.3.1 설계 기준
유수 유출 방지 설비의 소요 용량은 다음 식에서 구한 값 이상으로 한다.
Q = Q1+ Q2+ Q3[㎥]
Q : 유수 유출방지설비의 소용용량
Q1: 변압기 사고시의 분출유량(변압기 내장유량의 50%)
Q2: 초기 소화용 방수 소요량
Q3: 공공 소방차의 방수량 (40[㎥] 이상)
(1) 자갈깔기 층의 자갈사이의 공적률(유수점적률)은 30%로 본다.
(2) 자연배수 구조일 경우에는 Q2, Q3는 변압기 내장유량의 50%로 한다.
<DS-2930 인용 끝>
따라서
변압기 내장유량 33,000[ℓ] = 33[㎥]
Q = 33 × 0.5 + 3 + 40 = 59.5[㎥] ==> 60
Q` = 33 × 0.5 + 33 × 0.5 + 33 × 0.5 = 49.5[㎡] ==> 50
상기 해설에 대해 아래와 같은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1]
DS-2930을 보면 유수유출방지설비=유수유출방지턱 + 오일피트라고 되어 있습니다.
<원문 인용 시작>
3.2 유수·유출방지 설비
154kV 이상 주변압기를 대상으로 유수·유출 방지설비를 설치한다.
3.2.1 유수·유출 방지턱
(1) 주변압기의 분출유 및 소화용수의 확산방지를 위해 주변압기 주변에 콘크리트 벽체를 설치하고 유지, 운전의 편리를 위하여 상부는 그레이팅을 설치한다.
(2) 턱의 높이는 정상적인 유지보수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높이로 한다.
(3) 바닥은 자연배수 및 배유를 위해 적정 구배를 두어야 한다.
3.2.2 오일피트
유수·유출 방지턱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 자연배수가 가능한 지역에 2뱅크당 1개소~2개소로 오일피트를 설치하고 유수·유출 방지턱과 연결한다. 오일피트 유수가 지하로 스며들지 않도록 하되 기름과 물을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여야 한다.
<원문 인용 끝>
그런데 “3.3 유수 유출방지 설비”에서 용량을 산출하는데, 유수유출방지턱으로 형성되는 저장 장소의 용량만 산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오일피트에 대한 용량은 산출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Q = Q1+ Q2+ Q3[㎥]
Q : 유수 유출방지설비의 소용용량
이 공식에서
Q = 유수유출방지턱으로 형성되는 저장 장소의 용량
이라고 수정해야 되지 않을까요?
[질문 2]
DS-2930을 보면 Q의 정의가 유수유출방지설비의 용량이라고 되어 있는데 DS-2221을 보면 Q의 정의가 오일피트의 용량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DS-2930이 틀린 것 아닐까요?
DS-2221(기초 및 덕트)을 보면 아래 내용이 나옵니다.
<인용 시작>
<본문>
6.2 오일피트(Oil Pit)
(1) 용량산정시 고려하는 변압기 사고 분출 유량은 단상 변압기 1상(3상일 경우 1Bank를 기준)
내장유량의 50%로 한다.
(2) 오일피트의 바닥은 크랙(Crack)으로 인한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해 두께 10cm 이상의 철근
콘크리트 처리한다.
<해설서>
9. 오일피트(Oil Pit) 용량 산출
오일피트의 유효 용량은 사고시의 변압기 유출 유량(Q1), 초기 소화용으로서 포소화전 설비(Q2) 및 공공 소방차 소요수량(Q3)의 합계 이상으로 산출한다.
Q = Q1 + Q2 + Q3 (㎥)
∙ 사고시 변압기 유출 유량(Q1) : 변압기 사고시의 분출 유량은 단상 변압기 1상(3상일 경우 1Bank 기준) 내장 유량의 50%로 한다.
∙ 초기 소화용으로 소요수량(Q2)
Q2 = Sigma(i) yi × ni × T
yi = 옥외 소화전 설비, 포소화전 설비, 노즐 방수량(㎥/min)
ni = 최대의 동시 방수 노즐 개수
T = 소화 활동의 방수시간(min)
∙ 공공 소방차의 방수 소요수량(Q3) : 40m3 이상
<인용 끝>
[질문3]
DS-2930에서 말하는 오일피트는 배유수조라고 고쳐서 말을 해야 하지 않을까요?
제가 이해하기로는 오일피트는 유수유출방지턱으로 형성되는 저장 장소와 같은 뜻이고
별도의 시설물이 변압기 부근에 설치되는데 이것이 바로 배유수조라고 생각합니다.
배유수조를 오일피트라고 부르는 경우가 가끔 있는데 이는 착오라고 봅니다. 정답은 무엇인가요?
아래 링크가 도움이 좀 될 것 같습니다.
http://www.eom.co.kr/3.engineering/2.elec/2.source/5.machinery/1.transformer/kitarsahang/tr_oil.outdoor_outflow.prevention.htm
[질문4]
DS-2930에 나오는 문장
(2) 자연배수 구조일 경우에는 Q2, Q3는 변압기 내장유량의 50%로 한다.
자연배수 구조가 뭐길래 이렇게 했을까요? 자연배수 구조 아닌 오닐피트가 있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