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도
1. 기도의 형태를 다채롭게 하자.
2. 기도 노래, 복창 기도, 묵상 기도, 교사가 대표로 하는 기도.
3. 어린이가 대표로 하는 기도, 성가대가 노래로 하는 기도, 다같이 암송하는 기도.
4. 기도의 말은 어린이가 이해하는 말, 오늘날의 어법에 맞는 말을 쓰자.
<하시옵소서> <하나이다> <하시사> 따위 보다, <주십시요> <기도합니다> <주셔요> 등이 좋다.
5. 몸가짐은 가장 정성스럽고 경건하게 가지자.
* 찬송
1. 찬송가 연습 시간을 꼭 가지고, 곡조 뿐 아니라 가사에 대한 설명도 충분히 해주자.
2. 일반 동요를 예배 시간에 사용하지 않도록 하자.
3. 예배 시간에 윤창을 부르는 것은 피하자.
4. 설교와 공부에 맞는 찬송을 미리 골라서 부르자.
5. 좋은 찬송이나 성곡을 듣는 기회도 주자.
6. 괘도를 쓸 때에는 뒤에서도 넉넉히 볼 수 있도록 크게 쓰자.
* 헌금
출석을 부르며 마구 받는 형식을 지양하고 헌금의 본 뜻을 살릴 수 있는 보다 무게 있는 순서로 만들자.
* 설교
1. 설교의 뜻
그 옛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전해진 하나님의 뜻을 어린이가 사는 지금의 세계에 맞도록 새겨서 다시 전하는 것이 설교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동화나 훈화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선포하는 행위이다.
2. 설교자는 이런 사람이다.
하나님의 사자로서 권위와 자신을 가진 사람이다. <생활, 말, 복장, 강단에서의 태도 등 모든 면에서> 항상 하나님의 뜻을 담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공부하는 사람이다.
설교 듣는 대상(어린이)의 세계, 심리, 문제 등을 아는 사람이다.
3. 설교 준비는 이렇게
-.평소에 메모책을 준비하여 가지고 다니며 자료들을 모은다.
-.설교집이나 예화집을 참고한다.
-.설교 작성은 제재를 결정하는데서 출발한다.
A. 교리적인 제재 - 하나님, 그리스도, 성령, 교회, 죄 등
B. 생활적인 제재 - 사랑, 인내, 용서, 협동, 친절 등
C. 절기 중심의 제재 - 자연계절, 교회절기, 일반절기 등
-.제재를 택한 후 성경 본문을 찾고 그 말씀이 나타내는 하나님의 뜻을 연구한다.
-.다음 설교 구성의 방법을 결정한다.
A. 제목을 중심으로 그것을 설명해 나가는 제목설정.
B. 성경을 조목조목 해석해 나가는 성경해석 설교.
-.예화는 중요하므로 신중히 다루어야 한다.
A. 예화를 동화와 혼동하지 말것.
B. 성경이야기, 어린이의 생활 경험, 교사의 체험담, 교육적 혹은 종교적 동화, 위인의 전기 따위에서 예화를 찾아낼 수 있다.
* 예배에 있어서의 사회
1. 사회자는
-.먼저 예배를 위한 정신적인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문단속, 통풍상태, 좌석정리, 사회자의 복장 등 예배를 위한 정돈을 미리 철저히 해둔다.
-.모든 순서에 차질이 없도록 사전에 확인해 둔다.
2. 사회할 때에는
-.필요 이상의 말은 하지 않는다.
-.가능한 무언사회를 한다.
-.강단에서는 될 수 있는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말은 부드럽게 사랑에 넘친 음성으로 한다.
* 예배의 주제
1. 예배는 중심 주제가 있어야 한다.
2. 교회절기나 일반절기에는 그날의 뜻을 주제로 삼는다. { 신년 예배라면 [새 마음을 가지자] 등 }
3. 평상시에는 그날의 성경공부의 제목으로 주제를 정해도 좋다.
4. 찬송, 설교, 기도도 주제에 맞추어 준비한다.
5. 주제는 연말에 신년도 계획 작성시 다음 해 52주일 분을 미리 정해두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