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심전도(E.D.G)
(1) 심전도란: 심근이 흥분시 발생한 활동전류의 전기적 변화를 기록한 것이 심전도이다.
(2) 심전도기록의 실제
① 어스를 확실하게 한다(인체-오른발, 기계-접지단자, 없을시 수도꼭지)
② 하나의 전원은 심전도 기록만을 위하여 사용
③ calibration이 맞는지 확인 1mv=10mm : 감도 1
-파형이 너무 높은면 1mv=5mm : 감도 0.5
-파형이 너무 작으면 1mv-20mm : 감도 2
④ 기선(base line)이 똑바로 깨끗하게 기록되어야 한다
⑤ 유도는 정확해야 한다(특히 흉부유도)
⑥ 각 유도에서 기록해야 할 심박수는 부정맥이 없을시 4-5개
단, 부정맥이 있을때는 lead를 길게 기록(특히Ⅱ유도)
⑦ 전극을 부착할 부위에는 artifact가 생길 유려가 있으므로 식염수나 jelly를 바른다
팔시계, 목걸이 등의 금속은 artifact의 원인이 되므로 제거해준다
⑧ 흉부 유도시 주의점 +-남:흉모는 artifact의 원인이 되므로 깍아줌
+-여:유방의 위체에 따라 다르므로 정확히 늑골을 천지해 유도한다
⑩ 시정수 3.2초
*시정수란 1mv의 전압이 1/3mv가 되었을때의 시간 T를 기록지상에서 측정한 것
⑪ paper speed : 25mm/sec 1mm=0.04 5mm=0.2초
⑫ 소아인 경우 올가나 움직임이 심한아이는 artifact의 원인이 되므로 약물투여등으로 잠들게 한후 측정
⑬ 지정전압 이용
Macroshock(B형기기): 누전의 헝용치 : 100 ㎂
Microshock(CF형기기): 누전의 허용치 : 10㎂-안정형
*오른발 접지 회로에 5mA의 휴즈 삽입
⑭ centering : 펜의 위치를 중앙에 오게 하는 것
⑮ Ⅰ, Ⅱ, Ⅲ, aV R, aV L, aV F, V 1 ∼ V 6 순으로 기록
(3) Artifact의 원인
1)교류에 의한 장애원인 ①단선
②접속 접촉불량
③주위에 전기기구가 잇는 경우(ex TV)
④심전계내의 교류장애 제거장치의 고장
2)근전도 혼입의 원인 ①피검자의 불안, 긴장, 공포심, 움직임이 있을 경우
(심방세동의 f파와 혼동) ②실온이 낮아 떠는 경우
③전극 부착밴드가 너무 조여 환자가 고통스러울 경우
④변의 또는 뇨의를 참고 있는 경우
⑤parkinson's disease
3)기선의 불안정 ①전극오염
②호흠운동에 따른 기선의 동요
③접속 접촉불량(전극밴드가 너무느슨)
④전압 강하에의해 증폭기가 안정되지 않는 경우
⑤심전계자체 원인
(4)심장의 구조 및 순환과 자극 전도계
판막 +-방실판+-이첨판
| +-삼첨판
+-반월판+-대동맥판
+-폐동맥판
*대순환(체순환): 좌심실→대동맥→동맥→정맥→대정맥→우심방
*소순환(폐순환): 우심실→폐동맥→폐→폐정맥→좌심방
관상순환 : 심장자체의 혈관계
3층구조: 심외막, 심근, 심내막→심근이 가장 두껍다
*자극전4도
동방결절→방실결절→HIS속→좌가,우각→Purkinje섬유→심실
심근의 흥분 전도 속도가 가장빠른곳: Purkinje섬유(2-4m/sec)
*심방출량=1회 박출량×심박동수=60∼80ml×60∼90/min
*심근층 +-특수심근계(자극 전도계) - 자동성
--고유심근계(작업심근)-심근층 대부분, 강한 수축력
*심근의 기능적특성: 흥분성, 전도성, 율동성, 자동성, 수축성
절대불응기: 강한 자극에도 무반응(QRS파)
RP간격=심박동수
보정식(Bazett의 식): QTc=QT/√RP
*심근세포의 전기현상
*특수 심전도
.Holter심전도(24시간심전도)-24시간 심전도를 check함
.부하심전도: 잠재성 관상동맥 질환의 추정
(ex 운동부하시험, 저산소부하시험, 약물부하시험)
*오른발: 환자 보호를 위해 접지-녹색과 노란색의 줄무늬
*pen압부족 : undre damping=over shoot
pen압과도 : over damping = under shoot
(5)심전도의 목적 및 중예
부정맥을 보기 위한 것(cx 기외수축-동방결절 이외의 곳에서 자극발생)
동빈맥: 심박동수가 100회 이상
동서맥: 심박동수가 60회 이하
심근경색 : 첨예한 T파→ST상승→이상Q파→관성T파(대칭성 음성 T파)
(6) 심전도의 유도
유도
|
전극위치
|
유 도 명
|
Ⅰ
Ⅱ
Ⅲ
|
왼손-오른손
왼발-오른손
왼발-왼손
|
쌍극유도
|
표준사지유도
(Eithoven유도)
|
aV R
aV L
aV F
|
오른손
왼손
왼발
|
단극유도
(기준점있다)
|
단극사지유도
(Goldberger유도)
|
V 1
V 2
V 3
V 4
V 5
V 6
|
제4늑간, 흉골 우측가장자리
제4늑간, 흉골 좌축가장자리
V2 와V4의 중간점
제5늑간, 좌좨골 중간선과의 교차점
V4와 같은 높이에서 좌전액와상
〃 좌중액와상
|
단극유도
(기준점있다)
|
단극흉부유도
(Wilson유도)
|
수
축
기
|
구출전기
|
변용기
등용수축기
|
방실판의 폐쇄(승모,삼첨판)
반월판의 개방(대동맥,폐동맥판)
|
Ⅰ음
|
구출기
|
|
심실내의 혈액이 동맥으로 구출되어 반월판이 닫힐(DN)때까지
|
Ⅱ음
Ⅲ음
Ⅳ음
|
확
장
기
|
등용이완기
|
|
Ⅱ A ∼승모판개방(OS)까지
|
급속충만기
|
|
심방에서 심실로 급속이 혈액이 유입된다
|
완속충만기
|
|
심방에서 부드럽게 심실로 혈액이 유입된다
|
전수축기
(수축전기)
|
|
심방수축에서 심실수축이 시작되기까지의 시기
|
<심전도의 기초사항>
1. 유도법
(1) 사지유도-전극을 오른손(R),왼손(L), F(왼발)에 붙이고 유도
Ⅰ,Ⅱ,Ⅲ,aVR, aVL, aVF의 6유도-심장 기전력의 변화를 전액면에서 포착
(2) 흉부유도-전극을 흉벽에 붙여유도
심기전력을 수평면의 변화로서 나타낸 것
(3) 쌍극유도-체표면의 두전극(관전극)사이의 전위변화를 상대적으로 포착
Einthoven제창. Ⅰ,Ⅱ,Ⅲ유도 속함
I: L-R간 전위차, Ⅱ: F-R Ⅲ:; F-L
∴Ⅰ+Ⅲ=Ⅱ
(4) 단극유도-체표면의 어느부위의 전위 변화만을 강하게 나타내는 유도법
단극흉부유도-Wilson의 결합 전극 이용하면 관전극을 두었던 흉벽의 전위포착
증폭단극사지유도-Goldberger체장, 사지의 단극유도
aV R , aV L , aV F 가 속하고 증폭단극사지유도 또는 Goldberger유 도. aV R =3/2V R =1.5V R
* 쌍극유도(표준사지유도)는 심장전체를 멀리서 관찰한 상대적 전위인데 대하여 증록단극사지 유도는 사지의 전위를 절대치에 가까운 크기로 나타내고 있다
2. 파형
(1) 파형의 명칭
1) P파: 심방세포의 탈분극
2) QRS군: 심실의 〃
3) T파: 심실의 재분극
4) U파: T파후에 생기는 느린파(재분극)
5) 기선(Base line): T파가 끝나면 다음의 P파의 시작을 연결하는 파
빈맥일때는 P,T파 겹체서 결정하기 어려우므로 QRS의 시작점을 연결한 선을 기선으로 간주
6) PQ(PR): P의 시작에서 QRS군의 시작까지 부분-방실흥분전도 시간의미
7) QRS: Q의 시작∼R(S)끝까지
8) ST: QRS끝∼T파시작부분-심실전체의 흥분상태
심근의 상태반영
ST하강 또는 저하(심근허혈상태시), ST상승하면 임상적의의 큼
9) QT: QRS시작∼T파 끝까지의 부분
심실이 흥분시작∼흥분안정할때까지 시간으로 전기적 수축시간 나타냄
심박동수에 영향줌 ∴실측치를 RP시간으로 보정해 이용
* 진폭(파형의 높이)
P파 : 0.2mV 이하 T파 : 0.5mV∼1.0mV
QRS극파 : 0.5mV∼2.5mV U파 : 0.2mV이하
3 기록법
. 표준측정조건: 심전계의 유도 전환손잡이를 STD에 두고 감도 1(10mm/mV)
종이 이동속도 25mm/sec, filter OFF로 한다
. Centering: 펜의 위치를 기록지 중앙에 오게하는 것
. (열펜의 온도) stylus온도가 너무 내려가면 선이 긁혀 선명하지 않고 높으면 선이 번져서 두껍다
. 통상기록의 길이는 5심박동 정도기록한 다음 CAL을 단시간 눌러 교정파형을 T와 P파 사 이에 넣고 제Ⅰ유도 마친다
. Ⅰ,Ⅱ,Ⅲ, aV R , aV L , aV F , V 1 ∼V 6 순으로 기록
4 특수 기록
. 보조유도필요로 하는 경우: 12유도만으론 판독 할수 없을 때
5 근전도 혼입
.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불규칙한 진동 불규칙한 깔쭉깔쭉한 파
. 심방세동의 f라와 혼동된다
.원인-피검자의 불안, 긴장, 실온이 낮기 때문에 떨림, 전극 부착밴드의 너무조임
.해결책-원인의 반대로 생각
.Parkinson증후군, Basedow병과 같이 떨림 있을 시는 전극의 위치를 경골이나 척골상에 또는 손발의 상반부에 두어 어느정도 근전도의 혼입 예방
6 부하 심전도: (관상동맥)질환을 발견할 목적으로 안정시의 심전도에서는 명확한 변화를 알 수 없는 경우에 심장에 일정한 부담을 주어 잠재되어 있는 관상동맥질환을 찾는것
방법)운동부하시험, 저산소부하시험, 약물부하시험
목적) 잠재성 관상동맥 질환의 유무와 그 정도 진단
관상동맥질환의 치료 효과의 평가
심근 경색의 재활에 따른 모니터를 함
종류- Master의 2계단 시험법, tread mill법, 자건거 ergometer법
1) Master의 2계단 시험
①1회를 5step으로
②single부하시험-해당횟수를 90초안에 승강
double부하시험-해당횟수를 3분간
③미리 안정 상태에서 표준 12유도 심전도 찍고-운동-운동후 즉시 기록-ST-T(심근 허혈)의 변화, 부정맥의 출현, 심박동수의 변화 관찰
④주의: 부하직후 drift생기기 쉬우므로 일시 호흡 정지후 기록
(drift 있으면 ST-T의 변화 보기 어려움)
운동부하의 심전도-부하직후, 3분후, 6분후 한다
부하후의 유도부위-심근허혈상태 반영하는 좌심실쪽의 유도를 원칙으로하고
부정맥 경우 P파를 보기쉬운 V1등에서도 기록
2) Tread-mill법: Master법보다 부하크다. Master시험에서는 이상이 발견되지 않지만 허 혈성 심장질환을 생각하는 경우 또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치유후에 일상 생활에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는가 하는 허용범위 측정할 때 이용
방법) tread mill이라하는 전동으로 회전하는 벨트위 보행시켜 부하준다.
부하량-벨트의 회전속도와 경사에 따라 정해짐
운동후 12유도로 측정
3) Ergometer법: 자전거 페달 밟아 부하 주는 방법
부하량-회전수와 바퀴의 저항에 따라 변화
7 특수유도법
1) CCU, ICU의 심전도 유도법
흉벽의 2점에 전극을 붙여서 흉부의 쌍극유도를 하는 경우 많다
이 유도는 Halter나 telemetering 심전도에도 응용
2) Nehb유도: 흉부의 쌍극유도롤 심근경색의 진단에 이용
3) 고위유도: 흉부유도의 표준부위에서 1늑간 혹은 2늑간 올려 기록하는 방법
내려 기록하는 방법 - 저위유도
4) 식도 유도 심전도
① 식도강에서 단극유도 이용
② P파 명확히 기록, 상실성(심실윗부분)부정맥의 감별 진단에 유용, 전문의가 실시
③ 누전이 적은 심전계(CF형) 사용하는게 좋다
5) His속 심전도
.우심 catheter를 사용한 심강내 유도에서 히스속 부근에 catheter전극을 두소 히스속 전위 기록
.최근체표면에서 비관혈적으로 히스속 전위를 기록하는 방법, 개발
.인공pace maker가 적응되는 유무의 판정에도 이용됨
<판독>
1. 비정상심전도: 심전도에서 알 수 있는 것: 부정맥, 심방or심실의 비대나 확장, 심근장해
1)부정맥 심전도: 심전도가 부정맥 여부 판정하는 경우 우선 동조율의 존재여부조사
.심장전체의 pace maker가 동방결절에 있는가 없는가
.동방결절의 자극생성빈도 60∼100회/분으로 규칙적인자
.방실간의 전도시간이 규칙적인가: 모든P파가 QRS수반, PQ시간 일정하여 0.12∼0.2초 .심실내 흥분전도의 정상여부: QRS 0.04∼0.10초
⇒이들 조건 만족하는 심전도는 정상 동조율이고 하나라도 만족치 않으면 부정맥
①부정맥 분류
A.자극생성이 이상인 것
a. 정소성 자극 생성이상(동.결에서 자극이 일어나지만 이빈도가 60∼100회/분의 범위 밖 or 리듬 부정기적인것)--동빈맥, 동서맥, 동부정맥
b. 이소성 자극 생성이상(동.결이외의 부분에서 자극일어나고 이것에 의해 부정맥 생기는 것)--기외수축(심방성, 방실성, 심실성)
발작성 빈박동(심방성, 방실성, 심실성)
세동, 조동(심방, 심실), 보충수축, 보충조율
B.흥분 전도 이상: 자극전도계의 어딘가에서 흥분전도가 장해받는 것
동방블럭(차단), 방실블럭(제1,2,3도)
각 블록(좌각,우각)
C.자극생성이상과 흥분전도 이상의 합병: 방실 간섭해리, WPW증후군, LGL증후군, 부수축
②부정맥 이외의 기타 심전도: 심방부하(우좌심방), 심실비대(우심,좌심실), 인공pace maker,
심근장해, 심근경색, 전해질이상, 저전위차, 우흉심(우심증)
<심전도 증예>
1. 동조율: 동방결절 자극 발생에 기인하는 심장의 리듬
①동빈맥 - ·P-P(R-R)간격이 좁아진다
·심박동이 매분 100회 이상일때(-160)동빈맥이라함
·P파 폭, 형태 정상, PQ시간 정상
·정상파형이 단지 빠른 빈도(짧은 간격)로 보인다
·심전도 기본파형-완전히 정상
②동서맥 - ·심박수가 배분60회 이하일 때
·기본파형은 정상, P파정상 일정
·P파(R극)의 수가 감소, P-P(R-R)간격 길어짐
③ 동부정맥 - ·동방 결절에서의 자극이 일어나는 방식이 일정하지 않은 것이고 맥으로서는
불규칙. 그러나 맥박 간격이 고르지 않은 것 제외하면 동조율 기본따름
·맥박 간격 불규칙
·호흡성 부정맥‥호흡주기에 일치하여 심박이 빨라지거나, 느려지거나 한다
(원인-교감.미주신경 긴장항진)
비호흡성 부정맥‥호흡주기와 상관없이 심박수가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것
(∵심장질환)
④ pace maker의 이동 - 정상 p.m은 동.결에 있으나 자극 발생 장소가 다른 쪽으로 이동
하는 경우
·동.결 내부에서의 이동
·동.결에서 방실 접합부로 이동하는 것
→PR간격의 변동,P파의 형태변화가 명확 (P파양성→P파음성)
2. 기외수축(조기수축)
: 어떤 심박다음에 당연히 일어날 것이 예상되는 정상 심박의 시기보다도 빠른시기에 동.결 이외의 부위(심방,방실접합부,심실)에서 자극이 일어나는 것
: 부정맥 중에서도 가장 빈도가 많은 부정맥(30∼40%)
고령자일수록 많다. 연소자에게도 보인다
(1) 심실성 조기수축 - 심실에서 자극 발생 (PVC)
① 부정맥 중 가장 빈도 높다
② 특징-·폭넓은 변형된 QRS군 (0.12초이상)
·P파없다
·QRS와 반대방향의 ST,T파
·이상QRS와 다음의 QRS와의 사이를 대상성 휴지기
·이상QRS를 포함한 R-R간격은 정상R-R-R간격의 2배→기회수축 다음의
정상수축은 대상 휴지기를 거쳐 R-R간격의 2배간격으로 이어진다
(2) 심방성 기외수축
① 심방의 일부에서 흥분이 이상하게 높아져 동.결에서 일어나는 자극보다도 조기에
심방수축이 일어나는 것
② 이상한 심방수축에 의해서 모양,폭이 정상과 다른 이상P파가 조기에 출현
③ QRS: 정상동조율과 거의 같음
※ 이상QRS와 다음의 QRS와의 간격을 비대상성 휴지기
※ 기외수축 다음의 정상 수축은 비대상성 휴지기 다음에 생김
(3) 방실(접합부)성 기외수축
① 방실접합부의 흥분이 이상하게 높아져 심방의 역행성 흥분에 의해 흥분이 전도된다 ② P파: 역전도성 P파(음성P)가 동성P파보다 QRS파 앞에 있다. 조기에 출현
③ QRS: 정상QRS와 거의 같다. 다소성변화
3. 세동 및 조동
:동방결절 이외의 부위에서 자극 발생이 발작성 빈박동보다 빨라지고 이것에 의하여 심장
흥분이 지배되는 것을 세동,조동이라한다
세동에서는 불규칙한 심장수축-------+발작성 빈박동과
조동에서는 규칙적 심장수축 -------+혼동
(1) 심방세동
① 심방이 규칙적으로 흥분하지 않고 심방벽의 각부분이 빈번히 무질서하게 흥분하여 이것에 맞추어 심실의 수축도 불규칙한 경우 빠르고 불규칙한 리듬 형성하는 상태
② 조기수축 다음으로 많은 부정맥
③ 심실 수축도 전혀 규칙성이 없으므로 절대성부정맥의 모양을 취한다
(심박동,맥박 모두가 불규칙)
④ P파: 동성P파의 결여
⑤ F파존재: 기선이 불규칙하게 동요하고 P파 대신 빠른 리듬의 세동파
⑥ QRS간격 완전히 불규칙
(2) 심방조동
① 심방이 어떤 정해진 빠른 빈도로(규칙적) 흥분하는 상태
② P파: 동성P파 없다
③ F파의 존재: 기선이 연속적 동요(수평아님)를 나타낸다
P파 대신 거의 일정한 모양을 나타내는 톱니형 or sine curve와 같은
조동파보임
F파빈도-250∼350(300)/분
④ QRS: 심방흥분의 일부가 심실로 규칙적으로 전달된다
심실로는 2:1, 3:1, 4:1 등의 비율로 전달된다
※ 불순조동 or 심방세조동-심방세동과 조동의 중간형 모양이고 심박수가 불규칙한 것
(3) 심실 세동.조동
: 부정맥 중 가장 위험
: 심실근이 완전히 무질서하게 작은 흥분을 일으키고 있는 상태이고 펌프로서의 기능을 완수 할 수 없어 혈액이 구출되지않아 수분이상 계속되면 사망. 이 부정맥은 치명적
① 심실세동
·모양, 진폭, 수가 완전히 불규칙한 진동파만 150∼300/분의 빈도로 출현
심하면 사망
·P파, QRS, T파는 전혀 구별 할 수 없다
·원인-사망직전의 심전도로 심실성 기외조동, 심실성 빈박동이 선행한다
② 심실조동
·발작성 심실 빈박동과 구별하기 어렵지만 매분 200회 정도의 크기,형태가 비슷한 파가 규칙적으로 보이고 QRS파와 ST-T파의 구별이 어려운 hair pin과 같은
파형 나타냄
(4) 발작성(상실성) 빈맥(빈박동)
① 빠른 빈동의 이소성 심박동이 돌연발생하고 갑자기 끝나는 것
② 발작성 방실 접합부 빈맥
P파는 Ⅱ, Ⅲ, aV F 에서 음성(역전도성P파)
음성P 분명치 않아 심방빈맥과 구별 어렵다
③ 발작성 심방빈맥
P파는 Ⅱ, Ⅲ, aV F 에서 양성
(5) 심실빈맥
① 치사적 부정맥-심실세동.조동, 고도의 서맥 일으키는 것(고도의 동방.방실차단,
고도의 동서맥), 심정지
② 치사적 부정맥으로 바뀌기 쉬운 것-심실조기 수축(R on T현상, 쇼트런형, 다원성, 다발성), 심실빈맥
(6) 흥분 전도 이상 -- 병적상태로서 block
-- 생리적상태로서 interference
: block생기는 장소-동방간, 방실간, 심실내
① 동정지
·동.결에서 심방이하의 흥분을 불러 일으키는데 충분한 자극의 발생이 없는
경우로 R-R간격은 생명유지를 위한 방실성 조율로 되어있다 (P파없다)
② 동방 block (S-A block)
·동.결과 심방과의 사이에 장해 있어 동.결의 자극 발생이 심방에 도달하지 않아 흥분을 불러 일으킬수 없다(P파 만들지 않음)
·R-R간격의 연장 (정상R-R간격의 정수배 or not)
③ 방실 block
·방실결절 히스속의 이상에 의해 심방과 심실사이의 전도가 장해 받는 경우
㉮ 제1도 방실b : PR시간(정상0.12∼0.20sec)이 0.24초 이상으로 연장됨
㉯ 제2도 방실b : 심방흥분 가끔 심실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
┌─Wenckebach형(Mobitz Ⅰ형)
│ 흥분전도 시간이 주기적으로 점차증대하여 결국 전달되지 않게됨
│ PR연장, P파만으로 그것에 대응하는 QRS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 Mobitz Ⅱ형
심실수축(QRS)의 탈락이 주기성아니 갑자기 발생
PP간격, PR시간 일정, P파보이지만 QRS파가 탈락
RR간격 연장 보임
㉰ 제3도 방실b(완전방실b)-방실전도가 완전히 중단된경우
심방과 심실은 각각 별개의 리듬으로 흥분
P와QRS는 관계없이 존재, PR간격은 부정형(완전히 독립하여 있다)
④ 각 block
·각의 장해에 기인한 것
·우각 block-우각의 장해에 의한 것
좌각 block-좌각의 〃
·각 block은 부정맥을 만들지 않지만 심전도에서 QRS의 폭이 넓어지고 QRS가 0.12초이상→완전 각 block
0.10∼0.11초→불완전 각 block
※ ┌─우각 block- V 1 : QRS 분열(rSR', rSR')
│ V 5 ,V 6 : 폭이 넓어진 S파
└─좌각 block- V 1 ,V 2 : 폭이 넓고 깊은 S파(rS)
V 5 ,V 6 : 폭이 넓고 분열 or slur동반한 R파
→완전좌각 block : 깊은 S파, QRS폭 넓어짐, slur동반R파,분열결절 있다
⑤ WPW 증후군(Wolff-Parkinson-White syndrome)
·흥분의 전도 이상이지만 리듬이나 자극 생성에 이상은 없다
·Δ(델타)파, QRS폭의 증대, RP시간단축
※ 전류에 따른 생체반응
전 류 치
|
생 체 반 응
|
0.01㎃(10㎂)
|
micro shock의 허용전류치
|
0.1㎃(100㎂)
|
직접심장에 흐르는 심실세동(micro shock)을 일으킴
macro shock의 허용전류치
|
1㎃
|
삐리삐리하는 전류(최저 감지 전류)
|
10㎃
|
근육을 자유롭게 움직이는 전류(이탈전류)
|
100㎃
|
체표를 통해 체내로 유입되어 심실세동 일으킴
|
※ 우흉심(우심증) dextro cardiac
: 심장이 우흉곽안에 있는 선천성 기형
: 판정기준(심전도 소견)
a.Ⅰ유도의 P,QRS군 T파 모두 음성
b. aV R -양성P파, QRS군, T파
c. aV L -정상심전도의 aV R 과 비슷한 파형(음성P,QRS,T)
d. 흉부유도-V 1 →V 6 갈수록 진폭이 감소
V 3R ∼V 6R 에서는 정상심전도의 V 3 ∼V 6 에서 보이는 파형이
나타남
e. Ⅱ,Ⅲ유도, aV R 과 aV L 이 뒤바뀐 상태의 심전도 나타남
※ 비정상 심전도
a. 정상 소아 심전도-소아는 우심실이 우세
V 1∼4 의 T파 역전→ 젊은 사람 T라 함
b. 우흉심 (우심증)
c. 심실비대 (우심실비대=RVH)
·우측편위
·V 1 에서 R≥S I-깊은S파(증고) V 5 ,V 6 -깊은S파
d. 좌심실 비대 (LVH)
·V 1 -큰S파 V 5 (V 6 )-깊은S파
·V 1S +V 5R =35㎜(3.5㎷)이상일때→좌심실비대
·Down slope형의 SFT변화
e. 심근경색
·전벽중격, 광범위전벽(전벽측벽), 고위측벽, 하벽(횡격막면)
·ST상승, 이상Q파, 관성T파, 경색
f. 심방부하
·우심방부하 (우심방비대)
+-폐성P파-Ⅱ,Ⅲ에서 첨예하고 증고된 P파
+-(우심성)P파-후반부가 깊은P파, 변족한 P파
·좌심방부하 (좌심방비대)
+-승모성P-Ⅰ,Ⅱ에서 2봉성P(M형)
+-좌심성P-V 1 에서 P파 후반부분이 커다란 음성
→2상성(양.음성)P파
g. 관상부전
·ST하강,(수평,분상하강), 협심증, 심내막하허혈
h. ST-T변화
원인-심막염, 심근염, digitalis약물에 의한 영향
·심막염-하향 대칭성T파, 이상Q파 확인 안됨, ST상승
·Digitalis(강심제)에 의한 영향-ST하강, T평저, QT단축, PR연장
ST하강은 볼록(쟁반모양)한 분상하강
·전해질 실조
+- 저K혈증: T파평저, 더욱 감소시 역전, QT연장
| U파출현, (V2∼V4), 현조
+- 고K혈증: T파 증고 첨예된 텐트형T, QRS폭 넓어짐
+- 고Ca혈증: ST단축, QT단축, T파평저, P파소실
+- 저Ca혈증: ST연장, QT연장
※ EPR 시스템
a. 심전계 구성- 압력, 증폭, 기록, 전원부
b. 교류전원- 50∼60㎐ 많이 사용
c. 기록기- 열펜(stylus) 직기식, 교원전원식 많이 사용
d. 금속전극 붙일시 분극전압 발생→aging로 해결(전극:포화식염수에 담금)
e. Buffer 증폭기- 피부 인피던스에 의해 파형의 휨 방지
저항을 낮추어 준다
h. 차동증폭기- 교류장해나 전극의 분주등에 영향 제거
i. 시정수 회로(CR결합회로)- 교류증폭기의 작용, 분극전압, drifft제거하는
역활
j.안정스위치(인스트스위치)-심전계에 급하게 큰 신호가 들어가거나
기선이 안정치 않은경우, 유도 전환시에 사용
k. 저영역의 주파수 특성-시정수로 표시
고영역의 주파수 특성-종합주파수 특성표시(증폭기의 특성만이 아니라
기록기의 성능도 포함한 특성으로 표시
l 시정수는 낮은 주파수를 어디까지 감쇠없이 통과 시키느가 하는 저영역
특성을 규제하는 간접적 지표
m. S/N-신호중에 어느정도 잡음이 혼입되어 있는가 표시
S/N ↑ → 잡음 ↓
n. 안전심전계(CF형기기)-누전이 심장을 통하여 접지로 흐르느 경로차단 위해 floating방식(압력외로 전원부에서 띄우는)
누전을 10㎂ 이하로 억제→누전허용치
o. 안전위한 접지저항- 0.2Ω 이하
p. 텔레메타 심전계- 운동부하, 스포츠의학, 장시간의 monitoring사용
q. 홀터메타(24시간심전계)-휴대하고 있기에 일과성부정맥, 일상생활에서의
허혈성 심질환의 추적(ST-T이상)에 유용
r. B형기기-환자의 체표면 or 체내에 적용(부착)하는 기기
직접심장에 대한 적용×, 누전허용치 100㎂
s. BF형기기-입력부 floating한 B형 기기, 누전허용치 100㎂
t. CF형기기-직접심장에 적용, 누전허용치 10㎂
u. 오른발 접지회로에 5㎃의 휴즈넣어 micro shock방지
v. 압력저항은 5㏁ 이상인 것 사용
w. 전용접지선-10Ω이하
< Vector 심전도>
· vector란? 크기, 방향을 가진 역학적인 양을 수학적으로 나타내는 단위
cf) scalar- 크기만 있고 방향요소 없는 것
·보통심전도-심기전력에 의하여 생긴 전위(전압)의 시간적 변화를 기록(scalar심전계
·vector심전도-심기전력을 vector양으로서, 3차원적 정면도, 수평면도, 측면도로 투영해 편광판에 걸어서 루프형태의 상으로서 그려내는 것
·기준 유도법-frank법
·vector 심전계-심비대, 각블록, WPW증후군, 심근경색, 심방중격 결손증
▶심방중격결손증에서 벡터환이 Ⅰ→Ⅱ→Ⅲ→Ⅳ→Ⅴ순
·vector 심전도법은 1심박동 분을 잡는 방법으로 부정맥 대해서는 무력하다
·frank법- 7개 유도전극이용. 5늑간 흉골 가장자리 높이에 그은 수평선상
A, C, E, IM의 각 점에 둔다
2. 뇌 파
1. 뇌파(뇌전도, EEG)의 정의
: 뇌세포 집단의 미세한 전기활동을 두피에 전극을 부착하여 유도하고 이를
증폭(뇌파계로)시켜 전위를 종축으로, 시간을 횡축으로 해서 기록
2. 뇌파의 구성요소
(1) 주파수
① 일정한주기(1초간)에서 나타나는 파의 횟수, ㎐, c/s, cps
주파수=1000msec/wnrl(msec) 주기=1000/f
② 임상뇌파에서 취급되는 협의의 뇌파활동은 ㎶급 전위와 0.5㎐∼몇 백㎐의 f 이용
③ 금속 전극, 은, 염화은(Agcl)전극등의 고체전극과 시정수갖는 교류 증폭기 이용됨
δ파
|
0.5㎐∼3㎐
|
서파
|
θ파
|
4㎐∼7㎐
|
α파
|
8㎐∼13㎐
|
기본파
|
β파
|
14㎐∼30㎐정도
|
속파
|
γ파
|
30㎐이상
|
▶뇌파의 주파수 영역( 정상뇌파의 구성요소)
일반적으로 서파는 진폭↑ 속파↓
(2) 위상
① 뇌파간의 위치와 시간적 관계
② 기선에서 위-음성파, 아래-양성파
(3) 파 형 (이상파)
① 극파(spike): 파의 폭 30∼80msec, 날카로운 돌발파, 주기(지속시간)1/12초이하
② 예파(sharp wave): 폭 80msec 이상, 1/5∼1/12초
③ 다극파: 몇개의 극파가 상접해 무리져 나타나는 극파
④ 서파군발: 고진폭의 서파가 연속해서 출혈. δ.θ-burst
⑤ 극.서파복합: 극파에 연속해서서파 출현. 3㎐ spike & slow wave
⑥ 예.서파복합: 예파→서파 출현
⑦ 다극.서파복합: 다극파→서파
⑧ K복합: 경수면기에 나타나는 2∼3상성의 고진폭 서파, 방추파(spindle)동반
⑨ 14㎐와 6㎐의 양성극파: 14㎐ or 6㎐의 리듬으로 하향(양성)의 극파가 연발
⑩ 두정예파: 경면기에 두정에 나타나는 뾰족한 2상성 및 3상성의 고진폭 유파
⑪ 뇌파 출현 양식: 지속성, 산발성, 돌발성, 단발성, 율동성, 간헐성
☞ 기록중 가장 많이 우세하게 출현하는 뇌파활동(평상시에는 각성, 안정,
폐안시)을 기초활동, 배경활동이라 함
3. 뇌파검사의 기초
(1) 전극
① ┌─두피전극┌─평판전극(두피위에 부착)
│ └─침전극
└─비인두전극, 고막전극
② 전극조건: 뇌파의 파형을 변함없이 유도 할 수 있는 것
부착고정 쉽고, 잡음 들어가기 어렵고, 장시간 사용 가능
③ 전극종류: 평판(명상, 컵, 접시형), 침.귓볼전극
④ 재질: 은(Ag), 염화은(Agcl)
⑤ 전극부착제: 식염수 포함한 전극풀, bentonite paste, 녹말풀, 식염수적신 솜
⑥ 고정법: Collodin고정(가장안정, 장시간 기록, 몸움직임 심한경우), 반창고
⑦ ┌─전극전위: 접촉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 전극계면에 있어서의
│ 전기적 2중층에 의한 직류(DC)전위
│ artifact제거-도선부착부에 절연코팅
└─분극전위: 뇌파가 발생하면 미약한 전류가 흐르는데 전극과 피부의 계면
에서 전기적 이중층이 방해받아 전극전위가 변화하는 현상
⑧ 새로운 금속전극은 분극 전위가 큼→식염수에 장시간 담근다거나 장시간 사용
하여 aging되어 있는 전극을 사용해 해결
⑨ 침전극은 전극 면적작고, 분극심하기 때문에 기록전에는 절대로 저항을 측정
해선 안된다
(2) 전극배치법 : 10-20법
① 전극을 상하, 좌우로 10%와 20%로 분활하여 부착
② 활성전극(관전극) 19개 + 기준전극(불관전극) 2개 총 21개
③왼쪽을 홀수 오른쪽을 짝수로 한다
④ 전극간 거리는 3∼4㎝
<뇌파계>
구성 : 입력부, 증폭부, 기록부, 전원부
1. 입력부
두피위에 부착한 전극에서 뇌파를 유도하고 이것을 증폭부로 인도하는 부분
(1) 전극 접속기(입력상자): 접촉저항치는 낮을수록 좋다
평판전극에서 10㏀ 이하가 좋다
(2) 전극 선택기: G 1 〈G 2 일때 진폭이 상향, 음성
G 1 : 활성전극(관전극) - 두피상의 전극
G 2 : 기준전극 (불관전극) - 귓볼
(3) 교정장치: 교정전압 5㎜/50㎶
① 50㎶의 교정전압 입력될때 5㎜기록되어짐
② 교정곡선: 뇌파기록의 처음과 마지막에 넣어 증폭기의 내부점검, 기록기 상태의 검사나 시정수의 측정등이 동일한 조건에서 작동하고 있는가 보여준다
2. 증폭부
(1) +-전치 증폭기 +-차동증폭기로 구성, 교류잡음, 동상 성분억제
- 뇌파신호는 역상, 증대 기록됨
- 주증폭기: galvanometer로 움직일수 있는 전류증폭
(2) 역상성분(생체신호)의 증폭도와 동상성분(교류잡음)의 증폭도와의 비율
판별비-동상 성분 억제 판별비↑ 동상 성분 교류 장해↓
(3) 전치 증폭기
① 축전기와 저항기에 대한 휠터회로로 가짐
② 저영역 차단 휠터 or 고영역 통과 휠터로서의 시정수 정해줌
③ 직류성분 제거, 교류성분 즉, 변동부분이 증폭됨
(4) 주파수특성
① 뇌파의 주파수 성분-1∼60㎐범위
② 주파수특정곡선은 1∼60㎐범위내에서 10㎐기록의 진동을 100%로 하여
±10%이내가 기록됨
(5) 시정수
① 증폭기의 저주파 특성을 나타내는 표시
② 기선에서 정점까지의 1/3정도까지 저하하는데 걸리는 시간
(6) 고영역 차단 휠터
① 시정수회로 C와 R을 역으로 한 것
② 높은 주파수 성분 억제→저영역 통과 휠터
3. 기록부
·펜 galvanometer, timer, 기록이동장치
·기록지 이동속도 30mm/sec
·펜 저항 크면(압력크면) overdamping (끝이둥글게)
〃 작으면(압력작) under damping(끝뾰쪽)
4. 전원부: 전압은 교류 100V이용
5. 부속장치
·뇌파용 광자극 장치: 이상뇌파의 부활용의 자극으로 널리사용
→눈앞 20∼30㎝위치에 둔다
·뇌파실(차폐실, shield room) : 실내온도 20∼25℃유지
<뇌파 검사의 실시>
1. 표준 측정 조건
·감도: 10㎶/㎜, 50㎶/5㎜
·시정수: 0.3sec, 고영역차단휠터off
·기록속도: 3㎝/sec
·전극과 두피사이의 접촉저항 : 10㏀이하
<정상 뇌파>
1. 기초율동
(1) 정상뇌파의 기준: 안정, 각성, 폐안상태의 뇌파, α,β로 구성
(2) α파: 8∼13㎐범위
(3) 대부분 후두부에 α파의 진폭이 높고 율동성이 좋은 후두우세
진폭 30∼50㎶전후의 α-rhythm보임, 진폭은 점증, 점감
(4) 전두, 중심 전측두에서는 후두의 α파보다 약간 적고 20㎶이하의 β파의
혼입이 많다. 저진폭
(5) α파가 후두우세가 아니라, 전체 유도부위에서 지속해서 나타나는 것
→광범성α파
늦은α파(서α파, α파의 주파수가 적고 8㎐전후일때)가 광범위하게 나타날때
경도의 뇌기능저하 의심
2. 좌우차
(1) α,β파는 좌우 대뇌반구의 대응부위로서 거의 같은 정도로 나타나고 좌우
대칭적이다
(2) 진폭 50%이상 주파수에서 10%이상의 차가 있으면 비정상을 의미
유아나 소아에서 좌우차 보이는 경향크다
3. α파의 출현률
α파의 출현률을 계측하여 α파 출현 백분률(% time α)이 75%이상을
α파 우세형
4. α파의 파형: 정현파(sign파), 톱니모양, arch형
5. 자극에 대한 α파의 변화
(1) α파는 개안에 억제, 불규칙한 β파로 된다
→α파의 억제(α-bloking), α파 감쇠
(2) 발작성 수면시 개안 시키면 입면시 파형의 α파가 역으로 연속출현
→역설적α억제
6. 속파(β,γ파)
(1) 정상뇌파중에 α파와 혼입되어 출현
(2) 전두,중심,측두부에서 많이 보임
(3) 불규칙적, 진폭 낮고 좌우반구의 대칭적
(4) 각성,입면시 증가
(5) 30㎶초과하는 진폭이 높은 속파, 현저한 좌우차→이상소견
7. 서파
(1) δ파-정상성인 각성뇌파에는 안 보임
(2) θ파-저진폭(30㎶이하)으로 소량 혼입
(3) 수면중의 뇌파에는 각종의 θ파나 δ파가 보임
8. 정상성인 특수 뇌파
(1) 뮤 율동(μ)-궁상파
① α파와 비슷, 7∼11㎐, 규칙적인 arch형, 빗모양, 중심부에 출현
② 개안에 의해 억제되지 않으며 지각자극이나 사지의 운동에 의해 억제됨
(2) 카파파(К)
① 6∼12㎐, 측두부, 개안.폐안 모두 출현
② 지적 정신활동때 증대
(3) 람다 파(λ)
① 개안시 후두부에 나타나는 톱니모양한 삼각형의 예파
→광자극에 대한 반응파
(4) Fmθ파(frontal midline theta activity)
① 정중 전두부를 중심 출현, 4∼7㎐의 θ율동, 암산등 정신작업과 관련
→최대증폭보임
② 두부타박 있을시 완전 각성시에도 출현, 다소병적
③ k-complex파(수면뇌파에서 보임)
: 2∼3상성의 고진폭서파 + 방추파, 수면중 소리등의 자극에 의해서 출현
경면기 (stage 2)에 잘나타남 정상파형
9. 연령에 의한 뇌파 변화
(1) 신생아기 (1개월까지)
각성시 신생아의 뇌파
·저진폭 · 0.5∼3㎐ ·비대칭성의 서파(δ)
·교대성 뇌파(고진폭의 불규칙 δ,θ의 서파군과 비교적 저진폭의 뇌파등이
교대성으로 출현)
(2) 소아기(생후 2∼3월)
① 수면방추파
② 전반성 불규칙한 저진폭 서파
③ 좌우대칭의 뇌파
(3) 영아기(1∼12개월): 진폭 점점 상승하는 파
(4) 유아기(1∼5세)
① 뇌파 기초 파의 주파수는 연령과 함께증가
δ파는 2∼3세 이후 급속히 감소
(5) 성인이후∼노년기
① 65세이상: 서파성분증가 (진폭↓,주파수 규칙적)
② 노년자: α파주파수 적어지며, 동맥경화에 따른 광범위한 α양상보임
※ 후두부에 있어서 율동성 기초파의 주파수와 연령과의 관계는 같은
연령이라도 주파수 차이 있고 개인차가 크다
<수면 뇌파>
1. 수면심도의 분류
국제분류
stage분류
|
수면단계
|
뇌파 파형의 특징
|
구분
|
stage W
|
각성
|
|
각성
|
stage 1
|
입면기
경수면초기
|
α파소실,저진폭의 θ,β,속파,억제파기,잔물결기
유파기, 두정.중심부예파, 2-3상성의 진폭높은 유파
|
비램 수면
|
stage 2
|
경수면기
|
유파, 방추파 혼합(기)
방추파(기)-중심 두정부우세, 음자극에 의해 2-3상서 의 К복합파
|
stage 3
|
중등도수면기
|
방추파, 서파혼합(기), 고진폭 서파(δ)
|
서파
수면
|
stage 4
|
심수면기
|
대서파(구파)기(δ), 고진폭서파의연속, 방추파없다
|
stageREM
|
REM수면기
|
hull stage, 저진폭θ파,속파,REM(+)
급속 안구 운동 출현, 꿈,stage 1과같은 파형
→구별: 안구운동,심박수의 증가
|
REM
수면
|
2. 각성반응
수면중 소리등의 자극에 의해 *고진폭의 2상성 대서파(k-complex)가 나타나고
각성반응 있은 후 그 후에 각성하는 경우 있다
*고진폭의 2상성 대서파(k-complex)-stage 2에 출현 쉽고
중심.두정부에서 진폭 가장 큼
수면중의 각성반응파, 비정상파아님
<비정상 뇌파>
1. 진폭 50% 이상 다르게 나타나면 비정상, 대칭성 결여시 비정상
기본파는 어느정도 불규칙, α파의 진폭이 점증 점감 하는것이 많다
진폭, 같은 주파수 장시간 연속 →광범성 α파-뇌의 심부에서 볼 수 있고
관성의 뇌기능저하 의심
2. 돌발성 비정상파- 간질과 뇌기능 실조를 의심
(1) 극파: 음성(상향)극파→간질일때 많이 보임
양성극파→대뇌, 변연계, 뇌단부 상해
(2) 극.서파 복합
신경결핍 발작성간질일때 3㎐의 극.서파 복합이 규칙적, 양측 동기성으로 분포 (3) 다극,서파 복합: 간대성 근경련 발작
(4) 3상성파: 3상성의 진폭이 큰 예파로 서파와 혼합 되 있다
3. 뇌 질환(뇌종양, 뇌농양, 뇌손상)- 서파(국재성)--+3상성
4. 뇌염증(뇌염, 수막염)-서파 ----------+서파
5. 간성혼수-3상성파, 서파
<비정상 뇌파와 부활법>
※ 뇌파부활법-비정상 뇌파를 유발시키는 방법
(1) 개.폐안-개안시 α파 억제 상태 관찰
(2) 과호흡(HV) hyper ventilation
① 가장 많이 이용하는 부활법
폐안된 상태에서 1분 동안에 20∼30회 3분 과호흡(60∼90회)
② 진폭증대, 서파혼입하는 build up(증강) 이나타나고 30초∼1분이내에
사라지면 정상
소아, 소아나 간질환자에 효과적
④ HV중에 돌발성 비정상파가 부활, 신경결핍 발작에선 3㎐의 극서파 복합출현
▶측두엽극파 검출-수면 부활법
▶인공파형에서 극파 보이면 심전도 QRS혼입
(3) 섬광자극, PS - stroboscope이용
①눈앞 20∼30㎝섬광용 램프, 3∼30㎐빛 5∼10초간
② 광원성 간질에서 비정상파의 부활이 현저
(그외 신경결핍 발작, 간대성 근경련 발작)
(4) 수면 부활법 (SA)
① 수면 중 경련 발작 일어나기 쉽고 각성시 보이지 않던 이상파가 수면 중
뇌파에 나타남
② 수면 뇌파에서 비정상파는 경수면기(stage 3)에서 잘 나타나다(측두부,
극파 출현)
∴ 심면기(stage 4)에선 안 보이므로 경면기에서 기록
<인공산물, 잡음>
(1) 교류혼입 : 누설전류, 전자유도, 정전유도, 고주파 변조잡음등의 원인
(2) 뇌파계 자체의 잡음 : 기계노후, 정비불량, 유도 코드의 불량등
(3) 심전도 혼입 : QRS성분이 극파처럼 혼입
(4) 맥파 혼입 : 기선 동요, 서파모양의 혼입
(5) 근전도 혼입 : 군발생의 파형 혼입
(6) 금속성 의치 : 날카로운 극상의 잡음 혼입→의치 제거, 입을 가볍게 벌림
(7) 기타 : 안구운동, 호흡운동, 발한등
3. 초음파 ECHO
(1) 고주파 초음파의 특성
① 장점 : 분해능 및 지향성이 좋다
② 단점 : 파장이 짧아 생체내에서 흡수되기 쉬움(감쇠)→투과성이 떨어짐
∴ 체내의 심층부까지 도달하지 못함
∴ 어른한테는 잘 사용하지않고 소아용으로 주로 사용
※ 의학용 초음파 진단장치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주파수범위
: 1㎒∼10㎒ (주로2∼5㎒)
※ 거리 분해능은 파장이 짧을수록(고주파일수록) 좋아진다
※ 인체내 통과속도 : 약 1.500m/sec
(2) 초음파 진단장치의 분류
주사(scan): 탐촉자(probe)를 연속적으로 움직이면서 나타나는 단층상을 유도하는 것
방 법
|
방 식
|
주 사 법
|
응 용 부 위
|
펄스반사법
(pulse-echo)
|
A-mode
|
반사파의 강도를 수직으로 진폭시켜 표시
(반사파의 크기 표시)
|
두개(죄종양등)
|
B-mode
(초음파단층상)
|
linear(선상)
convex
circular(환상)
rodial(반사상)
arc(아크,원고상)
sector(부채상
|
간,췌장,담낭,갑상선,유선
간,췌장,담낭,갑상선,유선
간,췌장,담당
비뇨기영역(전립선)
갑상선, 유선
심장,
|
점촉형(법)
침수형
|
복부장기,산부인과 영역
갑상선, 유선
|
M-mode
|
심장echo도(UCG)
|
심장
|
연속파
doppler법
|
|
|
심장의 혈류속도
태아의 심박동
|
(3) 심에코도(UCG)로 판정가능한 경우
① 심실, 방실판, 반월파느이 움직임
② 심실중격의 두께
③ 대동맥의 직경, 좌심방의 직경등
④ 샘막(낭)액 저류의 유무(역류유무)
(4) 탐촉자(초음파의 송수신파 장치)의 주파수 범위
① 높을수록 고주파수(짧은파장) : 심층부(1㎒), 심장.복부(2∼3㎒), 체표면(5㎒)
② 소아용은 성인용보다 고주파 : 소아(3.5∼5㎒), 성인 (2.5∼3.5㎒)
③ 진동자 : 티탄산 바리움, 수정
(5) 주의사항
① 산부인과 검사시는 배뇨를 참게한다(투과성용이하게)
② 임신초기에는 장시간 초음파 검사를 하지않는 것이 좋다
③ 폐(기관지)검사에는 사용하지 않는다(장내가스 많은 곳은 피한다)
④ 하나의 탐촉자는(변환기)는 송,수신 겸용이다
|
투과력
|
분해능
|
성인용
|
소아용
|
고 주 파
|
|
O
|
|
O
|
저 주 파
|
O
|
|
O
|
|
< 초음파 USG >
‥ 뼈나 가스 함유한(폐) 조직은 초음파 측정 안됨
1. 초음파의 성질
(1) 물질의 내부를 진동하여 전파한다
음속(C)=주파수( f)×파장(λ) ⇒ ∴ λ = c/f
(2) 지향성이 날카롭다 즉, 주파수가 높을수록 지향성 날카롭고 해상력은 좋지만
투과력이 약해진다
(3) 음향 impedance(밀도×음속)의 차이에 의해서 반사, 글절, 투과한다
(4) 빛과 같이 렌즈로 집속, 확산이 된다
(5) 공동현상 : 산화. 발열. 교반작용
(6) 사용 주파수 : 수 ㎒∼10 ㎒, 파장 0.75㎜
(7) 짧은 파장에서 분해능력 좋다
(8) 분해능력 : 탐촉자반경 크다 +- 근거리음장-나빠짐
+- 원거리음장-좋아짐
(9) 음의 강도 : 주파수↑-흡수되어 작아지며 전파거리가 길어질수록 음의 강도는 작아짐
(10) 상접하는 매체의 밀도의 비 ↑-반사크다
2. 초음파진단 장치의 분류
(1) 깊숙한 부분 관찰-1 ㎒, 체표면 기록 5 ㎒
(2) 탐촉자-체표면에 초음파 발진기와 수신기 갖춘 것
(3) Doppler법-혈류측정, Dopple에 가까울수록 고주파수
(4) 심장 초음파시 많이 사용- Doppler단층법(2D Doppler), color Doppler
3. 펄스파를 이용한 장치
(1) B-mode : 많이 사용
M-mode : 심장 검사용
(2) Gain : 반사파(Echo)의 증폭도 조절 장치
4. 심장 초음파(심장 echo도법)
(1) 심첨부 : 제5늑간극, 심기부 : 제2늑간
판의 높이는 폐동맥판 〉대동맥판 〉승모판 〉삼첨판
(2) 심첨부 4실 기록 (4C) : 좌심실.방, 우심실.방의 4실을 볼 수 있다
(3) M-mode 심장 echo도의 정상파형
: 〃 그 기준이 되는 것은 심장의 4개판의 파형, 심실중격과
좌심실 후벽의 움직임
※ 질환에 있어서의 심장 echo특징
① 승모판 echo
·협착증: M-mode심장 전첨,후첨과 함께 확장기에 전방운동(편재위치)
움직임이 같은 방향
·일탈증후군: 후첨의 좌심방 내에의 편재위치(일탈)-pansystolic bowing
·대동맥판 폐쇄 부전증: 대동맥판으로부터의 역류파가 승모판에 부딪혀
진동초래-fluttering
·좌심방점액종: 다중 echo
② 대동맥판 echo
·대동맥판 협착증-판의 석회화 현저
③ 페동맥판 echo
·폐고혈압증: a-dip의 소실, e-f slope평판화
·폐동맥판 협착증: 깊은(증대) a-dip
④ 심막액(복수)저류: 심외막과 심막과의 사이에(복강내 전벽)
echo-freesface(심막액)보임→반사파 발생없다
⑤ 울혈형 심근증: 좌심실확대, 승모판 진폭의 저하
⑥ 심근 경색: 전중격의 심근 수축 불량
※ 산부인과 영역의 초음파 진단
① 임신 7주-태아 생존 여부 확인
② 자궁근종-초음파 진단법의 가장 좋은 응용 방법의 하나
③ 난소 낭종-초음파 진단유용성 크다(자긍암 조기 진단×)
④ 임신후기-태아 머리 직경 측정가능, 태아의 체장(정미장)관찰
※ 유선, 갑상선 초음파 진단
① 유선 종양-10㎜이상의 것은 불규칙한 echo로서 나타남
② 갑상선 echo 기록-기관을 중심으로 해 좌우로 확인한다
4. 근 전 도
1. 운동단위 or 신경,근 단위(NMU) neuromuscular
(1) 근 수축의 기능적 단위
(2) 척주 전각 세포에서 나오는 축삭돌기(운동신경)→근 섬유군등이 근수축을
할 때에 기능적 단위로 이용됨
2. 근육이나 건중에 잇는 감각 수용기 (근방추, 건방추)
3. 근 수축시 모든 NMU단위의 활동 전위가 생김
4. 골격근의 안정막 전위: -80㎷전후
5. 유도법
(1) 전극
1) 피부표면 전극
① 개개의 NMU는 분리 불가능
② 근육전체에 대한 활동전위의 측정이나 반사활동의 검사에 유효
③ 간섭파형 기록
2) 침전극
① 동심형 일심 침전극-신경,근단위의 활동전위 유도
·에나멜 구리선 봉입 고정
·근육 개개의 NMU 활동전위를 분리하여 유도하는데 좋고 가장 많이 이용
② 이심 침전극(쌍극침 전극)
·두개의 에나멜 구리선 봉입
·일심 침전극보다 국한 된 부위에서의 전위 유도
③ 미소 침전극 : 신경, 근단위(NMU) 내에서 단일 섬유근의 활동전위 유도
※ 굵은 신경섬유-역치 낮고, 활동전위 진폭크며 전도속도(체온,기온,기계적압박)빠름
6. 근전계의 특성(증폭기)
항 목
|
특 성
|
증폭도(전압증폭)
|
약 100만배(120dB)
|
주파수 특성
(5∼10㎑)
|
5∼3000㎐
(10∼1500㎐의 범위에서는 ±10%이내에서 평탄)
|
시정수
|
0.03초 이상(0.01∼0.05초)-표준화
|
판별비
|
60dB (1000 : 1) 이상
|
시각장치
|
1/10∼1/1000초
|
교정전압
|
10㎶∼50㎷
|
입력인피던스
|
5㏁
|
표준감도
|
1㎷/DIV
|
7. 근육의 활동전위(근육방전)크면 소리 크다
방전의 지속 시간이 길면 저츰, 짧으면 고음
스피커에서 근 긴장성 방전 있을 때 붕 하는 음 들림
진폭: 사지근 - 1∼2㎷ , 안면근 - 500㎶∼1㎷
8. 기록에서 필름 이동 속도: 10∼20㎝/sec : 브라운관 오시로 그래프
유발 근전도 시 전기 자극 장치 필요
침전극-전무늬 시행
9. 정상 근전도
(1) 침전극에 의한 파형
① 근 이완시 : 근방전 ×
② 수의 수축시 : ·스파이크 방전→진폭 변화 없다
·3개의 NMU방전
③ 침전극 찌를때의 전위: 자압전위(진폭1∼3㎷, 100∼200msec지속시간 갖는
일과성 전위.정상근에서 바로 없어짐)
④ 신경전위: 근육내 운동 신경의 분지를 자극해 생기는 전위
50∼200㎶, 50∼100㎐의 고빈도
⑤종판전위(종판잡음)
·전극침이 신경.근접합부를 자극해 생기는 전위
·20∼100㎶, 1∼2msec 지속시간 갖는 단상성음성파
※ 신경원성 위축-방전수 감소
10. 비정상 근전도
(1) 안정시의 비정상 방전(근육 이완시 보이느 이상 방전)
1) 근 긴장성 전위
① 침전극을 찔러 넣거나 이동등의 기계적 자극에 의한것
② 100∼150㎐ 비정상의 고빈도 발사
급강하 폭격음. 경주 자동차음
근 긴장성(근 강직성) dystrophy증, 선천성 근 경직증→근긴장의 항진시 발생
2) 섬유자발 전위 (fibrillation portential)
① 진폭 20∼200㎶, 지속시간 0.5∼2msec, 2∼10㎐의 빈도로 불규칙하게 나타남
② 진폭, 주파수 낮다, 근전도로 확인 할 수 있는 최소의 전위
③ 근섬유가 신경지배를 잃은(탈신경) 상태 나타냄
④ 다발성 근염, 피부근염때, 말초 신경 손상
⑤ 탈신경 변성 정도의 지표
3) 양성 예파
① 진폭 0.1∼1㎷ 정도의 날카로운 양성파(하향파)
② 지속시간 10∼100msec
※ 고진폭 전위: 척수 전각 세포 장해(척수측색경화증), 말초신경절단이 회복시
11. 유발 근전도
: 유발되는 활동전위 - M.H.F파
: 자극하는 신경지배근의 피부상에 표면전극을 부착해 유도
: 통상 0.5∼1msec의 지속적인 방형파가 전기자극으로 이용됨
: 검사-M.H.F의 검출, 신경근육접합부의 이상 유부
말초운동 신경전도 속도 : M파
말초지각 신경전도 속도 : H
(1) M.H.F파의 검출
※ M파와 H파의 진폭과 자극 전압과의 관계: M파뒤에 H파
M파 H파의 자극 역치가 달라 약한 자극에서 우선
H파 나타나고 자극전압을 점강시키면 M파는 진폭이 증가
하지만 H파는 어느 정도 증가한 후 감소. 잠복시간 H 〉M
명 칭
|
자극하는 신경
|
역 치
|
잠복시간
|
특 징
|
M파
|
운동신경의α섬유
|
높다
|
수 m/xec
|
자극 강하게 하면 진폭커짐
말초신경 및 근의 상태잘반영
|
H파
|
감각신경섬유(GIa)
|
낮다
|
20∼30m/sec
|
자극 강→진폭 감소
상위중추의 영향이나 척수내의 질환 반영
|
※ F파 - supramaximal(최대상)자극에 의해 간신히 유발
※ M파 - 말초신경 및 근육의 상태. 신경 근접합부등의 상태반영
손상시 M파의 역치변동, 잠복시간 연장, 파형의 변화, 소실
→손상의 정도 알 수 있음
※ H파 - 구심성 Group Ia 신경, 척수내의 시냅스, 원심성 운동신경, 근섬유가
관여. 특히, 척수반사 상태의 지표
※ F파로 척수내의 지표, F, H파 이용→신경전도속도의 측정법에의해 말초신경의
중추부에 대한 전도 속도 측정
※유발 근전도의 임상적 유용성이 가장 큰 질환: 중중 근무력증
(2) 반복 자극법
1) M파를 이용한 유발 근전도, 신경 근 접합부의 이상 검사
: 중증 근 무력증 (정상인 경우, 30∼40㎐반복자극에서 M진폭변동 없다)
·아세틸콜린 방출량의 이상이 원인
·근육이 쉽게 피로
·2∼5㎐의 저빈도 자극에서도 M파의 진폭저하가 인정됨→점감(waning)현상
2) 정중신경 or 척골신경을 수관절부로 자극하고 모지구근 or 소지구근에서 M파유도
: 반복 자극에 의한 M파 진폭 상승 →점증현상
→근 무력 증후군 (Eaton-Lambert증후군)
폐의 소세포성 암 수반
|
심 전 도
|
뇌 파
|
근 전 도
|
시 정 수
|
3.2초
|
0.3초
|
0.03초
|
속 도
|
25㎜/sec
|
30㎜/sec
|
20㎝/sec
|
감 도
|
1㎷=10㎜
|
10㎶=1㎜
|
|
5. 심 음 도 PCG
1. 기본적 심음: Ⅰ,Ⅱ음-항상 청취가능
심잡음: Ⅰ음── Ⅱ음── Ⅰ음
↑ ↑
수축기잡음. 확장기잡음
※ Ⅰ-Ⅱ시간이 Ⅱ-Ⅰ음 시간보다 짧다
※ 건강인의 Ⅱ음은 대동맥 성분보다도 폐동맥성분이 늦어지는 것 볼수있다
2. 귀로 심음 청취: 60∼100㎐
심잡음의 주성분: 100∼200㎐
심음, 심잡음: 저주파수 영역에 있다
※ 승모판 개방음(OS) : Ⅱ음후에 출현
3. 심전도의 제Ⅱ유도 사용해 심음도와 동시기록
심음도-판막증, 심장혈관 기형의 진단에 이용
수
축
기
|
Ⅰ음
|
구출전기
변용기
등용 수축기
|
방실판폐쇄(승모,삼첨판)
반월판의 개방(대동맥.폐동맥판)
|
심첨부 부근서 가장 강함
평균 지속시간 0.2초, 심기부에서 약함
흉골 좌측 가장자리 하방에서 강함
|
구출기
|
심실내의 혈액이 동맥으로 구출되어 반월판이 닫힐 때까지
|
확
장
기
|
Ⅱ음
|
등용이완기
|
Ⅱ음 대동맥판성분(ⅡA)-승모판개방까지
|
Ⅱ A 는 어떤 청취부위에서도 들을 수 있으나, 심기부에서 최대. Ⅱ p 는 제2늑간 흉골 왼쪽
가장자리에서 잘 들을 수 있다
|
Ⅲ음
|
급속충만기
완속충만기
|
심방에서 심실로 급속히 혈액 유입된다
심방에서 부드럽게 심실로 유입된다
|
정상 성인에서는 통상 청취할 수없다
Ⅲ: 병적으로 증가 할 경우를 확장 조기분마음 이라 한다
감성선 기능 항진증, 빈맥등
Ⅳ:병적으로 증가 할 경우를 심방성 분마음 이라고 말하고 고혈압, 비대형심근증 등
|
Ⅳ음
|
전수축기
( 수축전기)
|
심방수축에서 심실수축이 시작되기 까지의 시기
P파 나온 후 Ⅳ음 나타난다
|
4.심장주기
5. 심음계
(1) 입력부(변환기, 마이크로폰, 피그앰프)
: 음의 진동E →전기E로 전환
(2) 증폭부 (증폭기, 여과기)
: 전자 oscillograph를 작동 시킬 수 있을 정도까지 수정과 증폭
: 교정장치-교정파 50㎐ ; 10㎷정도의 교류파
(3) 기록부
① 잉크 분사식-500㎐가지 기록(가장많이 보급)
② 열펜직기식-100㎐까지 기록(부적당)
③ 전자오시로 그래프-주파수특성이 좋다
④ Dot기록시
⑤ 종이 이동 속도-50㎜/sec or 100㎜/sec
(4) 전원부
6. 기록상 주의
: 공복시 검사 피한다
심전도와 동시에 유도시 유도 코드 붙인다. 최저5개의 심박동 기록
7. 마이크로톤의 부착부위와 각 영역
각 영 역
|
접 착 부 위
|
① 심첨부
② 승모판 영역
③ 대동맥 영역
④ 폐동맥 영역
⑤ Erb의 영역
⑥ 삼첨판 영역
|
심첨박동을 접촉하는 곳 or 제5늑간 좌측 쇄골 중간선
제4늑간 흉골 왼쪽 가장자리
제2늑간 〃 오른쪽 〃
제2늑간 〃 왼쪽 〃
제3늑간 〃 왼쪽 〃
제4늑간 〃 오른쪽 〃
|
※ 승모판성음-①,② 에서 청취 대동맥판성음-③ 일부 ④⑤ 청취
폐동맥판성음-④,⑤ 삼첨판성음-⑥
8. 부하심음도
1) Vlasalva시혐-흡기시
2) Muller시험 -호기시
3) 약제부하 +-승압제 : methoxamine(메토키사민),아드레날린-서맥됨
+-혈관확장제 : amyl nitrite(아질산아필)-혈압하강,빈박동
4) 체위변화
6. 폐 기 능 검 사 PFT
1. 흡식운동: 횡경막의 수축, 외늑간근 수축, 복부근육이완
호식운동: 〃 이완, 〃 이완, 〃 긴장
2. 성인 정상 호흡수: 안정시 13∼23회/분
3. 1회 호흡량: 500㎖(㏄), 우폐 3엽, 좌페 2엽
4. 기체표시법
기체상태
|
온 도
|
기 압
|
수증기
|
이 용 도
|
ATPS
|
실 온
|
대기압
|
포화
|
측정시의 기체상태(검사실등)
|
BTPS
|
37℃
|
대기압
|
포화
|
폐기량(폐내에 있는 가스량)
|
STPD
|
0 ℃
|
1기압
|
건조
|
산소소비량,탄산가스 배출량등
|
5. 폐기량은 측정시의 상태(ATPS)에서 체내에서의 상태(BTPS)로 환산하여 표시함 V BTPS = V ATPS × 273+37/273+t × P B -P H2O /PB-47
ATPS→STPD
V STPD =V ATPS × 273/273+t × P B -P H2O /760
6. 폐용적
1회 환기량(TV)
예비흡기량(IRV)
예비호기량(ERV)
잔 기 량 (RV)
|
안정 호흡시 1회 호흡량
안정흡기위치에서 최대 흡기위치에 이르기까지 양
안정호기위치에서 최대 호기 〃
최대호출상태에서 기도,폐에 남아있는 공기량
|
7. 폐용량
총폐기량
TLC
|
폐활량VC
|
최대흡기량(IC)
|
예비 흡기량(IRV)
|
2500
|
최대흡기위치
|
1회 환기량(TV)
|
500
|
안정흡기위치
|
잔 기 량
|
기능적잔기량
(FRC)
|
예비호기량
(ERV)
|
1500
|
안정호기위치
|
잔기량(RV)
|
1500
|
최대호기위치
|
8. 1) Spirogram: 폐에 출입하는 공기량과 속도를 spirometer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기록지상에 그린곡선
2) spirometry: spirogram으로 부터 폐기량이나 기류속도를 계측 or 산출해
환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
※표준-Benedict-Roth형 spirometer
9. 기록지에 기입할 것: 환자명, 성, 연령, 신장, 체중, 기압,bell내의 농도
10. 최대환기량(MVV)
1) 자발적 노력에 의해 1분간 호흡하여 얻는 최대량+분시환기량
2) 선자세에서 12초간 최대호흡의 높이 h 1 측정→1분간의 환기량 계산
11. 폐기능 검사의 종류
1) 환기 기능 검사
·1회 환기량,예비흡기량,예비호기량,잔기량,기능적 잔기량,폐활량,총폐기량
·노력성 폐활량,1초량,1초율,최대호기 중간유량
·최대환기량,환기예비량,폐탄력성,기도저항 등
2) 폐포 기능 검사
Closing volume(폐쇄용적), 폐내가스 분포 측정, 폐확산능력
3) 폐순환 기능 검사
폐동맥압, 폐순환시간, 폐순환 혈액양
7. 맥 파 = 심 기 도 MCG
(1) 심장의 박동에 따른 흉벽, 대혈관의 박동 파형→맥파
(2) 맥파의 출현 기전
1) 심장의 심실이 수축→좌심실에서 혈액이 대동맥으로 박출→대동맥압에 변동→
압변동→압맥파형성(저주파진동) 0.1∼0.2초(맥파전달시간)
(3) 용적맥파:압맥파전달됨에따라 동맥의 내압변동→용적변동생김(By 혈액×)
손가락끝에서의 혈액량의 용적 변동량 나타낸 것
실내온도: 22∼24℃, 손끝은 심장위치에 둔다
(4) 파의종류
파명
|
|
원 인
|
|
A
|
심방파
|
좌심실 확장말기의 상태를 나타냄
제Ⅳ음과 일치
|
·증가:고혈압,심근증,대동맥판협착,
좌심실비다,심방음증가
※병적A파증가: 심첨박동도의 전체
파고치와 A파의 파고치의 비율이
15%이상시
·소실or감소:심방세동시A파없어짐
승모판 협착증
|
C
|
상행되는 개시점(시 작점)
|
R일치
|
E
|
주축기파
(구출점E)
|
좌심실 수축 상태
QRS일치
|
ESS
|
수축종기파
|
C점∼ESS까지가
수축기파
|
O
|
|
E점∼O점까지가
전체파고치
|
O계곡은 승모판개방음과 일치
|
RF
|
급속유입파
|
제Ⅲ음에 일치
|
·증가: 승모판 폐쇄부전
·감소: 승모판 협착
|
SF
|
완서유입파
|
|
|
B. 경동맥파
a. 경부의 경동맥 박동 촉지해 tranducer로 기록
구출음 직후에 시작해 급격히 상행
파 명
|
원 인
|
P
|
충격파, 정점P파
|
T
|
퇴조파
|
DN
(경동맥절흔)
|
ⅡA후(대동맥판 폐쇄에 의한 Ⅱ음성분)에 대동맥판폐쇄에 의해 생김
(샐제로는 전달시간만 늦어짐)
|
DW
|
확장기파
|
b. 경동맥파의 이상파형
올바른 파형-파고치크고 절흔 명륜
·대동맥판 협착-정점 부근에 닭벼슬형(제관형)경.맥
정점에 도달전에 골짜기 형태의 잘록한 anacrotic wave
·대동맥판 폐쇄부전-2봉성파
C. 경정맥파
a) ·맥파중 가장 기록 곤란하지만 우심부전,심방중격 결손
·삼첨판 폐쇄부전에선 촉지 가능
·정면 or 가볍게 왼쪽 향해 오른쪽 내경정맥 부위에 trans된다
b) 정상파형
기록법
|
|
|
이상파형
|
a파
|
전수축기파
|
·심방의수축과 충만에 의해 그려진다
·가장 높은 정점
·a파 정점은 심음도Ⅳ 과 일치
|
증) 우심실비대,우심방 혈류량 증가
소실) 심방세동에서는 a파가 형성되 지 않고 f(세동파)와 동기한 느슨한파
|
c파
|
수축기파
|
a파 하강도중 작은 양성파 형성
|
증가)대동맥판 폐쇄부전
|
x계곡
(음성파)
|
수축기허탈시
|
우심실의 수축과 우심방의 이완에 의함
|
조기출현 - 심부전,좌심기능저하
가장 깊은 계곡
|
v파
|
확장기파
|
V파 정점: 삼첨판 개방과 일치→삼첨판 개방음의 동정에 이용
|
증) 심방 중격 결손
조기출현 - 삼천판 폐쇄부전
|
y계곡
|
확장기허탈시
|
|
감) 삼첨판협착,우심실 비대
깊은골 - 삼천판 폐쇄부전
|
h파
|
|
|
조기출현 - 수축기성 심막염의
경정맥파
|
c) ·심방세동의 경정 맥파: a파없고 x계곡〈 y계곡
·심방조동의 〃 : 심전도의 F파(조동파)와 동시에 나타남
·심방세동: 삼첨판 폐쇄부전의 경정맥파
a파 ×, x계곡 매우작고, 수축기 전체에 거의 양성파형, 깊은 y계곡
D. 손가략끝 용적 맥파
a)용적맥파측정법: 안정공복시
b)Raynaud병: 손가락끝 세동맥에 병변→손끝맥파의 형상 변형됨
c)손끝용적맥파에 영향 인자
심근 수축력,심박출량,혈액의 밀도,혈관저항,맥파전도시간
d)기록 지적온도: 22∼26℃
8. 기 초 대 사
※기초대사: 최저로 된 상태에서의 대사
※기초 대사량-인체가 정상상태에서 생명유지에 필요한 최저
에너지 상태로 되었을 때 소비되는 에너지 양
※기초 대사의 임상적 의의: 갑상선 질환의 진단에 좋다
※기초 대사량과 체표면적과는 비례 관계
※영아기, 사춘기에 급증→연령 증가하면서 저하
※호흡율(RQ) = CO2배출량 / O2소비량
지방이 연소하는 비율 (에너지↑→RQ↓)
당질(탄수화물)-1 〉단백질-0.81 〉지방-0.7
※기초대사율(BMR) = 실측-정상 / 정상기초대사량×100
기초 대사량과 정상 예측치와의 차이가 정상치의 %증감이 되는가 구하는 것
※단위: Kcal / ㎡ / hr
※BMR 계산자로 측정시 필요 요인-신장,체중,성별,연령,산소 소비량
※산소 소비량 계산자 측정시 필요 인자-기압,온도(저온시 증가)
※기초 대사율 측정
① 산소 소비량 측정치 ATPS→STPD로 환산
② 공기 누출은 안 된다
③ 탄산가스 흡수제는 Soda line 을 회로 안의 흡수실에 적당량 놓아둔 후 청자색으로 착색되면 새로운 것으로 교환
④ 탄산가스 흡수능력 저하된 soda line 사용시 산소 소비량 저하
⑤ 순수 산소취급하므로 화기에 주의
※기초 대사의 변화(기초 대사량)
|
상 승
|
저 하
|
생리
적
변화
|
①임신7∼8개월 및 수유기
②겨울
③고온환경
④근육 노동 직후
⑤음식물 섭취 후
|
①여자
②여름
③기압저하
④수면
⑤월경
|
약물의
영향
|
①갑상선 제제
②salicylic acid
③caffeine
④adrenalin
|
①항갑상선제제
②morphine
③barbital
④요소
|
병적
원인
|
①갑상선기능 항진증(Basedow병)②Cushing증후군
③말단비대증
④요붕증
⑤본태성 고혈압증
|
①갑상선기능 저하증(점액수종)
②부신기능 저하증(Addison병)
③뇌하수체기능저하증(Simmond병)
④부종.복수,비만
|
출처 : 박선희 회원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