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구간 : 의정부 가좌동(가금교)~천보산(2보루)~한북정맥 마루금~축석고개(축석교회)
산행일시 : 2018. 12. 08. 12:45 ~ 15:56(3시간 11분 소요, 휴식 포함)
세부내용 : 의정부 가좌동(가금교) 산길초입(12:45)~소림사(13:26)~천보산1보루(13:33)~천보산2보루(정상, 13:42~50)
~탑고개(14:04)~헬기장(14:14)~천보산6보루(14:16~25)~한북정맥 마루금(14:40~50)~백석이고개(15:22)
~천보산3보루(285.7m 헬기장,삼각점 15:31)~왕방지맥 갈림길(15:36)~축석고개(15:56)
거 리 : 8.46km(13,783보)
날 씨 : 금년 겨울들어 제일 추운 기온(영하 13도 정도)
동행여부 : 대락님과 함께

(클릭하면 확대됨)

금년들어 제일 춥다는 날(12.08)에 때 마침 양주시 만송동 부근에 업무차 들릴 일도 있고 하여,
이참에 업무 끝나면 오래 전부터 미루어 두었던 의정부 천보산(336.8m) '보루성길'을 다녀오기로 한다.
지난 한북정맥 시절(2007.12) 축석고개(43번국도)를 지나 양주 샘내고개(3번국도)로 향하던 기억도 되살려 볼겸..
마침 양주시 백석읍에 있는 대락님과 만나 차량으로 이동하여 의정부시 가좌동의 가금교를 지난 천보산 입구에
주차를 하고 천보산을 향한 발걸음을 옮긴다.

12:01 양주시 만송동에서 본 한북정맥 마루금 뒤의 의정부 천보산(336.8m)
2018년 12월 08일 12시 45분, 의정부시 가좌동(가금교) 천보산 입구

12:47 의정부시 가좌동에서 천보산 오름길 초입

12:47 지맥길 이후 오랜만에 만난 양주에 계시는 대락님과 출발합니다.


좌측의 부대도로를 잠시 따르면..


흔적이 지워진 돌무더기 형상도 지나고


12:56 군부대 입구 갈림길에서

우측의 천보산 약수터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12:57 천보산약수터

조망처 한 곳에서 보는 진행할 천보산(2보루)

의정부 송산지구 아파트 단지와 주변의 시계도 맑아 시원스럽기만 합니다.

뒤돌아 본 서울과 의정부 및 남양주 경계에 위치한 수락산(638m)

이쪽은 서울과 의정부 및 양주 경계에 위치한 도봉산(739.5m)이 수려함을 드러내네요.

마루금을 차지하고 있는 군부대 정상

다시 고개를 돌리면 진행방향 좌측으로 의정부시 녹양동 일대 뒤로 보이는 한북정맥 줄기가 시원스럽습니다!

우측 호명산(423m) 부근에서 작고개로 고도를 낮추는 한북정맥

13:11 잠시 부대철망을 만나고

13:13 도상의 215.2봉 지점의 헬기장


호젓한 숲지대도 만나고~

13:19 양주시와 의정부시 경계를 따르는 양상

의자가 놓여있는 안부

13:26 소림사절을 잠시 감상하면서 지납니다.

소림사 대웅전



암반대슬랩 뒤로 수락산

수락산(좌), 도봉산(우) 사이에 자리한 의정부시가 모습

조금전 올라온 방향을 잠시 짚어 보고..

13:33 고구려 유적지인 '천보산1보루'에 이릅니다.

천보산의 보루군은 주로 양주시 일대에 6개로 나누어져 고개와 길목을 통제하는 요충지에 위치 한 것으로..
1보루의 둘레는 90m, 높이 3m 가량의 방형 석축단이 조성되었고, 고구려토기편과 기와편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천보산1보루를 내려서며 본 진행할 천보산 정상(336.8m)

막힘없는 시계를 드러내는 양주벌 일대.. 중앙 불곡산 뒤로 도락산과 멀리 감악산과 마차산이..

중앙부 멀리 소요·왕방지맥의 산줄기들..

양주시 불곡산(우)에서 좌측의 호명산 방향으로 이어지는 한북정맥의 역동적인 모습

지나온 천보산1보루 뒤로 보이는 도봉산과 사패산

13:42 양주와 의정부 경계의 천보산(336.8m) 정상부의 모습
13시 42분, 의정부 천보산(336.8m)
「의정부 천보산은 갈립산, 빡빡산으로도 불리고 있으며, 경기도 의정부시 자일동(自逸洞)과 양주시
만송리(晩松里) 경계에 있는 보루성(堡壘城)이다. 화룡골 분지 인근에 있는 보루성(堡壘城)으로,
둘레는 약 88m이며 긴 타원형 모양이다. 부분적으로 성돌이 노출되어 있으나 대부분 무너진 상태이다.
성벽의 높이는 약 3m 정도로 내부는 평탄하다. 내부의 중앙에는 군용 헬기장이 조성되어 있었으나
송전탑이 세워져 그 원형을 알 수 없다.」
* 보루라 함은 하늘밑 보배로운 산이라는 뜻으로 주위를 경계하기 좋은 낮은 봉우리에 쌓은 소형 석축산성으로
산성에 비해 규모가 작은 군사시설을 말한다.

천보산2보루는 천보산 최고봉에 위치하여 주변 통제하기에 적합한 입지로 성벽의 석축 일부도 남아있고, 많은 양의 고구려토기편이 발굴되다고 한다.

13:43 천보산 정상(336.8m)


의정부시 가능동, 녹양동 뒤로 보이는 한북정맥 마루금

양주시 불곡산(우)에서 백석읍을 지나 호명산으로 이어지는 한북정맥

불곡산(좌)~도락산 너머 멀리 감악산과 마차산의 감악지맥 흐름

양주벌 뒤로 보이는 소요·왕방지맥 산군들..

양주시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흘러드는 지세가 역력합니다.^^

죽엽산(중앙)을 지나 국사봉으로 이어지는 한북정맥

주금산~철마산~천마산의 천마지맥..


막힘없는 시계를 보면서 마냥 머물고 싶은 심정이네요.~

천보산 내려서는 곳


의정부시 송산동 아파트단지 뒤로 보이는 수락산


13:55 갈림길 탑고개 방향으로~

등로상의 삼각점

철탑을 지나~

14:04 양주시 마전동과 의정부시 금오동 경계의 탑고개


14:14 헬기장

14:16 부용(양주)터널 위에서 본 의정부 금곡동 방향

14:16 천보산의 주축을 형성하는 천보산6보루에..
14시 16분, 천보산6보루
「천보산 6보루는 2006년 5월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에 의한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유적은 경기도 의정부시 자일동과 양주시 만송동 사이의 양주터널이 통과하는 해발 260m 정상에 위치한다.
유적의 서쪽으로 천보산1·2보루가 북동쪽에 천보산 3보루가 배치되어 있다.
보루성의 전체 둘레는 264m로 추정되며 정상부에서는 적갈색과 흑회색의 고루려 토기편이 수습되었다.」

천보산 6보루는부용(양주)터널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토기편이 일부 수습되었다고 함

금오능선 표식

천마지맥 능선..


죽엽산(616m)으로 이어지는 한북정맥 흐름~

조망암에서 보는 불곡산(466m)과 도락산(440m)

중앙부 뒤로 칠봉산(507m)과 좌측 멀리 해룡산(661m)과 왕방산(736m)

전면 285.7봉(중앙부 오똑한 곳)에서 우측으로 내려선 축석고개를 지나 죽엽산으로 이어지는 한북정맥

유난히 하얀 흙길은 이어지고~

14:33 첫번째 만난 한북정맥 마루금에서는 빗겨나 있지만 레이크우드CC쪽으로 우회하여 내려설 수 있는 철조망 갈림길(1안)
이곳에는 다녀간 리본 흔적도 보여 제 리본도 걸어 두었네요.

14:38 두번째 만난 한북정맥 마루금에서는 다소 빗겨나 있지만 레이크우드CC쪽으로 우회하여 내려설 수 있는 철조망 갈림길(2안)
잘못 안내된 '출입금지' 표식으로 잠시 머뭇거리면서 조금전 지나온 갈림길(1안)을 다녀오기를 반복합니다.
한북정맥하면서 저도 이곳에서 우왕좌왕하며 내려선 기억이 가물가물....


14:50 세번째 만난 한북정맥 마루금이 지나는 지점.. 이곳에서 내려서야 하지만 철조망으로 막혀있어 조금전에 지나온
첫번째, 두번째 길로 내려서야 할 듯..(3안) " 후에 지나시는 후답자님께선 아래 내용 참조하세요!! "

사진에서 보듯 3안이 마루금이지만 철조망으로 막혀있고, 레이크우드CC로는 1, 2안을 택해 내려서야 할 듯 싶네요.
저도 한북정맥 진행당시 1안, 2안 두곳을 오가면서 헤메던 기억이 가물합니다.~

한층 가깝게 보이는 양주 칠봉산(중앙).. 좌측 뒤로 해룡산(좌), 왕방산(우)


내려설 한북정맥이 지나는 축석고개(우)도 가까워 졌네요..

암봉처에서 본 지나온 천보산 통신탑 뒤로 도봉산과 희미한 북한산이..

15:17 좌향의 백석이고개로 내려서는 갈림길

15:22 백석이고개 표식

뒤돌아 본~

여전한 자태의 불곡산(466m)

수락산(좌), 도봉산(우)

천보산3보루 오름길

역광이긴해도 거듭 뒤돌아 볼수록 멋진 광경입니다.^^

15:31 오늘 마지막 보루인 천보산3보루에 다가섭니다.

양주시 만송동과 의정부시 자일동 경계의 천보산3보루는 포천과 양주가 잘 조망되어 고개를 통제하기 위한 곳을 점하였고,
유적의 형태는 동서로 긴 타원형으로 삼국시대 토기편이 소량으로 수습되었다고 함.

15:31 천보산3보루가 위치한 헬기장(285.7봉)

285.7봉 삼각점

15:36 왕방지맥 갈림길.. 축석고개의 한북정맥은 우향으로 내려섬



지난 추억을 되살려 주는 축석교회 뒷 마당이 반깁니다.

15:54 축석고개에 이르면서 산행을 마무리합니다. 감사합니다.
15시 56분, 산행 날머리 축석고개(축석교회)
한북정맥길 따라 43번 국도변의 축석고개에 이르면서 산행을 마무리합니다.
고구려 유적지인 의정부 천보산 보루성길 따라 오랫동안 미루어두었던 답사를 하게 되니 흐뭇한 심정입니다.
금년 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 속에 양주벌의 시원스런 조망을 만끽하며 또 하나의 추억을 새깁니다.
8.46km, 13,783보를 걸으며 3시간 11분 가량 걸렸네요.
축석고개의 축석교회를 지나 정류장에서 버스편으로 의정부 시내로 이동하여 선약으로 인해 간단한 식사를 마치고,
가좌동 가금교 부근의 출발 기점에 세워둔 차량을 회수하여 대락님과 헤어지면서 귀로에 오릅니다.

15:55 축석교회(43번국도)의 날머리


(파란색 한북정맥 마루금, 붉은색은 진행했던 트랙)
의정부 가금교~천보산~축석령__20181208_1243.gpx
첫댓글 수고하셨습니다
한북정맥 진행중인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대길운영자님 곧 지나실 길이라 흔적 남기고자 했는데...
철조망 우회길 1,2안을 놓고 몇번 리본회수하러 왔다리 갔다리 하면서~ ㅎㅎ
결국 생각해 보니 1안과 2안은 결국 골프장도로에서 만나더군요.
1안에 리본을 걸기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후답자분들께서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