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구벌
달구벌은 대구의 옛 이름임은 모두가 아는 바다. 그러나 달구벌의 말뜻을 바르게 아는 사람은 드물다. 달구벌이란 고유어가 대구(大丘)라는 한자어로 바뀐 것은 경덕왕의 한화정책(漢化政策)이 시행된 이후다. 우리가 지금 속칭이라고 부르는 고유 지명이 이 시기를 즈음하여 대부분 한자어로 바뀌었다.
달구벌은 문헌에 達伐, 達弗城, 達句伐, 達句火 등으로 적혀 있다. 이로 보아 달구벌은 ‘달’과 ‘벌’이 말 뿌리가 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면 ‘벌’의 뜻부터 살펴보자. 伐, 火는 다 같이 ‘벌’을 표기한 것이다. 伐은 음을 빌린 것이고 火는 뜻을 빌려 적은 것이다. 伐은 음이 벌이고 火는 옛말이 ‘블’이었기 때문이다. 이 ‘벌’은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벌판의 ‘벌[原]’이다. ‘벌이 넓다’는 말을 지금도 쓰고 있다. 신라 서울 ‘서라벌’이나 ‘서벌’의 ‘벌’도 같은 뜻이다.
이 벌을 표기하는데 쓴 글자는 伐, 火 외에 原, 夫里, 林, 京 등이 있다. 鐵原, 所夫里, 鷄林, 東京 등은 글자는 다르지만 모두가 ‘벌’을 표기한 것이다.
그럼 ‘달’은 무슨 뜻일까? 종래의 주장을 보면, 달(達)은 원(圓), 주(周) 등 곧 넓은 공간의 뜻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는 설득력이 없다. 왜냐하면 ‘달’ 뒤에 이어지는 ‘구’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달’은 ‘닭[鷄]’의 뜻이다. 닭을 경상도에서는 아직도 ‘달’이라고 한다. 닭을 단독으로 발음할 때는 그 끝소리 ‘ㄱ’을 묵음화하는 것이 경상도 곧 신라 말이다. 닭을 뜻하는 일본어 tori도 신라말 ‘달’이 건너가 이루어진 것이다.
다음으로 ‘구(句)’에 대해 살펴본다. ‘구’는 닭의 끝소리 ‘ㄱ’에 관형격 조사 ‘우’가 결합된 말이다. ‘우’는 표준어의 관형격 조사 ‘-의’에 해당하는 경상도 말의 조사 ‘우’다. 대구지방에서는 ‘남의 집’을 ‘남우 집’이라 한다.
경상도 말에서 ‘닭’이란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는 ‘달’이라 하지만, 뒤에 명사가 이어질 때는 관형격 조사 ‘우’를 붙여 표현하는데, 이때 묵음화되었던 ‘ㄱ’이 나타난다. 즉 ‘닭의 똥’, ‘닭의 통’을 말할 때는 ‘달구 똥’, ‘달구 통’과 같이 표현하는 것이다. 또 ‘닭의 대가리’는 ‘달구 대가리’라고 하고 ‘닭의 볏’을 ‘달구 비실’이라고 한다. 이처럼 ‘ㄱ’과 ‘우’가 합해져 ‘구’가 되는 것이다. 달구벌의 ‘구’도 바로 그러한 ‘구’다.
그리고 조사 ‘우’를 생략하고 그냥 말할 때는 ‘달 날개’, ‘달 대가리’ 등과 같이 말한다. 즉 조사 ‘우’를 개입시키지 않을 때는 그냥 ‘달벌’이라 하는 것이다. 문헌에 줄여서 達伐, 達弗이라 기록한 것은 바로 그것을 반영한 것이다.
요약하면, 달구벌은 ‘닭의 벌’이란 뜻이다. 대구가 위치한 벌[原]에 ‘달[鷄]’이란 이름을 붙여 지명으로 삼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