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천성경 인용.
A. 하나님은 무형의 하나님입니다. B. 무형의 하나님이 유형의 하나님으로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C. 유형의 하나님이 뭐예요 ? 타락 하지 않은, 우리가 말 하는 참부모입니다.
< 천성경. P.51. 우. 하. 13 초 ~ 우. 하. 9 말. >
2. 위 인용 본문의 원리적 이해.
A. 하나님은 무형의 하나님입니다.
성서는 하나님이 < 영적 실체 >를 보유 하시고, 그 체의 외적인 표시로 < 형상 >을 소유 하신다고 증언 한다.
<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 ( 창 1 : 26 )
하나님이 자기의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 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 ( 창 1 : 27 ) >
B. 무형의 하나님이 유형의 하나님으로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천성경의 다른 부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 하셨다.
* ~ 영원한 무형 세계의 하나님의 형상을 대신 입고 ~ < 천성경. P. 52. 좌. 상. 15 중 ~ 상. 16 말. >
* 하나님의 형상적 실체 부모가 된 아담과 해와가 ~ < 천성경. P. 50. 좌. 상. 6 중 ~ 상. 7 중. >
< 하나님의 형상을 대신 입고 형상적 실체 부모가 된 아담 해와 ~ >
위 인용 말씀과 같이 창조 원리에 의하면 완성 아담과 완성 해와는 영적 실체 하나님의 본래의 고유 본성상과 본형상의 원형을 형상적으로 대신 입고 형상적인 영육 실체 대상의 자녀 ( 성전 ) 의 위位로 오셨어야 하였다.
예수님 ( 생령체 )도, 재림주님 ( 생령체 )도 영적 실체 하나님의 본래의 본성상의 원형을 형상적으로 대신 입고 형상적인 영육 실체 대상 아들( 성전 )의 위位로 오셨다.
< 유형의 하나님 > 또는 < 횡적인 하나님 >, < 보이는 하나님 >은 비 기독적인 비약으로서 기독론에 위배 되는 개념이며,
상징과 비유의 표현으로 이해 하는 것이 원리적인 관점이다.
영적 실체 하나님의 본성상과 본형상의 원형을 형상적으로 입고 형상적인 영육 실체 대상의 개성 진리체로서의 자녀의 입장이 메시아와 복귀 완성 된 성도들의 위치이다.
위 인용 말씀은 < 영적 실체 >의 하나님이 < 형상적 영육 실체 자녀 >로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라고 고쳐 설명 되어야 창조 원리에 부합 되는 개념의 표현이 된다.
그러나 예수님과 재림주 이외에는 완성 인간 ( 생령체 )을 이루지 못 하여 성전이 되지는 아니 하였으나, 그 형상만은 하나님의 본연의 고유 본성상과 본형상의 원형을 형상적으로 닮아서 피조 된 형상적 영육 실체 대상의 자녀들이다.
C. 유형의 하나님이 뭐예요 ? 타락 하지 않은, 우리가 말 하는 참부모입니다.
영적 실체 하나님이 < 형상적 > 영육 실체 자녀의 모습으로 지상에 현현 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원리에 의한다.
창조 원리에 의하면
완성 된 인간, < 생명 나무 완성인(생령체 : 성전 ) >뿐만이 아니라 모든 인간이 하나님 본연의 본성상과 본형상의 원형을 형상적으로 닮도록 피조 되었다는 것이다.
아담 해와가 완성( 생령체)로 되었더라면 ( 성전 ) 인류 역사 상에 맨 처음으로 하나님 본성상과 본형상의 원형을 < 형상적 >으로 대신 입고 지상에 형상적 영육 실체 대상의 자녀 로 현현 하였을 것이었으나 타락 하여 생령체 (성전 )을 이루지 못 했을지라도 그들과 후손들의 모습은 하나님 본연의 본성상과 본형상의 원형을 형상적으로 닮아서 형상적 영육 실체 대상의자녀 로 피조 되었다.
후아담 되신 예수님도 완성 된 제 2아담(생령체)으로 지상에 오시어서 ( 성전 )
하나님 본성상의 원형을 대신 < 형상적 >으로 입으시고 인류 역사 상 맨 처음으로 지상에 형상적 영육 실체 대상의 아들의 모습으로 현현 하셨던 것이며,
재림 메시아, 제 3 아담 ( 생령체 : 성전 )도, 하나님 본성상의 원형을 대신 < 형상적 >으로 입으시고 인류 역사 상에 두 번째로 지상에 형상적 영육 실체 대상의 아들로 현현 한 모습이 되었다는 것이다.
결코 < 유형의 하나님 > 또는 < 횡적 하나님 >, < 보이는 하나님 >의 개념은 기독론에 반하므로 상징과 비유로 이해 하는 것이 원리적인 관점이다. < 생명 나무 완성자(생령체) >, 메시아(성전)는 영적 실체 하나님의 본성상의 원형을 형상적으로 입고 형상적 영육 실체 대상의 개성 진리체 자녀의 위치가 원리적인 위치이다.
창조 원리에 의하여 생각 한다면,
완성 된 제 1차 아담의 외형과, 제 2차 아담 ( 예수님 )의 형상 및 제 3차 아담 ( 재림주님 )의 형상은 완전 일치 되지 아니 한다.
창조 원리는 통일 교회의 교주 되시는 문총재님의 형상만이 하나님의 < 형상적 > 지상 영육 실체 대상의 아들이 되는 것으로 미리 예정 된 것이 아니고,
누구든지 하나님의 말씀을 실현 한 < 완성 생명 나무 ( 생령체 ) >로 지상에 현현 한다면 ( 성전 ),
완성 인류는 하나님 본연의 본성상과 본형상의 원형을 < 형상적 >으로 대신 입고 지상에 형상적 영육 실체 대상의 자녀로 현현 한 모습이 되었을 것이었다는 것이 창조 원리적인 관점이다.
재림주와 그 이후의 완성 생령체 생명 나무와의 차이는 인류 복귀 섭리역사 상에 첫 번이냐 그 이후이냐의 차이일 뿐
그 가치에 있어서는 창조 원리적으로 < 완성 생명 나무 >의 가치로서 동일 하다는 것이 원리적 관점이다.
복귀 완성 된 이후의 이상 세계에서 완성 된 인류 ( 생령체 )는 모두 < 생명 나무 ( 성전 ) >가 되어 하나님 본연의 고유 본성상과 본형상의 원형을 < 형상적 >으로 대신 입는 형상적 영육 실체 대상의 자녀가 된다는 것이다.
80억 완성 인류가 복귀 완성 ( 생령체 )된 창조 본연의 < 완성 생명 나무 ( 성전 ) >로 창조 이상 세계에 존재 한다면,
그 형상은 모두 고유한 하나님의 본연의 본성상과 본형상의 원형을 형상적으로 닮되 각 개인은 형상적 영육 실체 대상의 개성 진리체 자녀의 표현 모습으로 현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영적 세계에서도 하나님은 인류 역사 상 맨 처음 복귀 완성 된 ( 생령체 ) 첫 번째 < 생명 나무 ( 성전 : 참부모 ) >의 모습을 통하여 공공의 형상으로서 대표적으로 현현 하시지만,
육계나 영계에서나 모든 < 완성 생명 나무( 생령체 : 성전 ) >는 하나님의 고유 본성상과 본형상의 본연의 원형을 형상적으로 닮고 형상적 영육 실체 대상의 개성 진리체 자녀의 형상적 외형으로 현현 한 모습이다는 것이
창조 원리에 부합 되는 개념의 이해이다.
결코 < 횡적 하나님 >이나 < 형상적 하나님 > 또는 < 보이는 하나님 >의 개념은 비 기독론적인 개념으로서 창조 원리에 혼동을 초래 하는 개념이므로 상징과 비유의 개념으로 이해 하는 것이 원리적인 관점이다.
3. 결론.
창조 원리에 의하면 < 완성 생명 나무 ( 메시아 : 생령체 : 성전 ) >는 육적 세계에서나 영적 세계에서도
영적 실체 하나님의 고유한 본연의 본성상의 원형을 형상적으로 닮되 형상적인 영육 개성 진리체 대상의 자녀의 형상적인 모습으로 현현 한다는 개념의 이해가
창조 원리에 부합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