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독일의 전설에 이런 게 있지요. 독일 바덴 지방의 어느 젊은 백작이 덴마크를 여행하다가 아름다운 성의 정원에서 놀고 있는 오라뮨데 백작 부인을 보고 한 눈에 반합니다. 그는 그 성에 머물며 남편을 잃고 아이들과 살아가던 오라뮨데 백작 부인과 깊은 사랑을 나눕니다. 고국으로 돌아가야 할 시간이 왔을 때 그는 “네 개의 눈이 있는 한 당신을 바덴으로 데려갈 수 없다오. 네 개의 눈이 사라지면 반드시 당신을 데리러 오겠소”라는 말을 남기고 떠납니다. 네 개의 눈이란 자신의 부모를 뜻하는 말이었지요. 집으로 돌아간 그는 수개월 뒤 반대할 줄 알았던 부모로부터 의외로 쉽게 허락을 받자 기쁨에 들떠 덴마크로 갑니다. 그런데 그곳에서 그는 오라뮨데 백작 부인이 아이들을 살해한 뒤 죄의식에 몸져 누운 채로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광경을 목격합니다. 백작 부인은 ‘네 개의 눈’이 새로운 사랑에 방해가 되는 아이들인 걸로 오해해 끔찍한 일을 저질렀던 거지요. 자초지종을 알게 된 독일 백작은 말을 타고 필사적으로 도망칩니다. 그를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한 그 처참한 사랑으로부터 말입니다.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은 대학생 츠네오가 다리를 쓰지 못해 집에만 틀어박힌 조제를 우연히 만나면서 시작됩니다. 판자촌에서 살아가는 장애인 조제와 사랑을 나누다가 서로 다른 처지 때문에 헤어지게 된 츠네오는 조제의 할머니가 죽자 다시 그녀에게 돌아가 함께 삽니다. 결혼까지 염두에 두고 멀리 떨어져 사는 부모에게 소개시키기 위해 조제와 자동차를 타고 떠난 츠네오는 도중에 마음을 바꿔 갈 수 없게 됐다고 전화를 합니다. 전화를 받던 동생은 “형, 지쳤어?”라고 되묻지요. 그 여행 후 결국 츠네오는 조제와 헤어집니다. 영화 속 이별의 순간은 의외로 너무나 깔끔합니다. 조제는 담담히 떠나보내고, 츠네오는 별다른 위로의 말 없이 그냥 일상적인 출근이라도 하는 듯 신발을 신고 집을 나섭니다. 집 밖에서 기다리고 있던 옛 여자친구는 그를 만나자마자 이런저런 이야기를 쉴 새 없이 합니다. 묵묵히 들으며 함께 걷던 츠네오는 갑자기 무릎을 꺾고 길가의 가드 레일을 잡은 채 통곡합니다. 그 순간 츠네오의 독백이 낮게 깔립니다. “담백한 이별이었다. 이유는 여러가지 댈 수 있지만, 사실은 단 하나 뿐이었다. 내가 도망쳤다.” 결국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은 우리가 도망쳐 떠나온 모든 것에 바치는 영화입니다. 한 때는 삶을 바쳐 지켜내리라 결심했지만 결국은 허겁지겁 달아날 수 밖에 없었던 것들에 대한 부끄러움이 담겨 있는 작품이라고 할까요. 처참한 결말을 논외로 두고 사랑 자체의 강렬함만으로 따지면 오라뮨데 백작 부인 만큼 온 몸을 던지는 사람도 없겠지요. 정서적으로든 경제적으로든 조제만큼 절박하게 사랑이 필요한 경우도 드물 거고요. 공포 때문일 수도 있고 권태나 이기심 탓일 수도 있겠지요. 동생이 되물었듯, 츠네오는 그저 지쳤던 것일 수도 있고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누군가는 다른 누군가를 떠나갑니다. 모든 이별의 이유는 사실 핑계일 확률이 높습니다. 하긴, 사랑 자체가 홀로 버텨내야 할 생의 고독을 이기지 못해 도망치는 데서 비롯하기도 하지요. 그런데, 그게 어디 사랑에만 해당되는 문제일까요. 도망쳐야 했던 것은 어느 시절 웅대한 포부로 품었던 이상일 수도 있고, 세월이 부과하는 책임일 수도 있으며, 격렬하게 타올랐던 감정일 수도 있을 겁니다. 우리는 결국 번번이 도주함으로써 무거운 짐을 벗어냅니다. 그리고 항해는 오래오래 계속됩니다. 그러니 부디, 우리가 도망쳐 온 모든 것들에 축복이 있기를. 도망칠 수 밖에 없었던 우리의 부박함도 시간이 용서하길. 이 아름다운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의 마지막 장면에서 처음으로 머리를 깨끗하게 묶은 조제의 뒷모습처럼, 결국엔 우리가 두고 떠날 수 밖에 없는 삶의 뒷모습도 많이 누추하진 않기를. #옛글 #조제호랑이그리고물고기들 #시네마레터 #새삼돌아보니10년이정말훌쩍지나갔네요
요즘 내 상황에 많은 위로가 돼서 여시들에게도 도움이 되고자 글 가져왔어. 게다가 센치한 새벽.. 무맥락 혐오 무맥락 댓글 절대 금지 X
현실에서 짝사랑할때 봤던 영화였는데 난 이 영화 보고 정신 많이 차렸었음... 넘 현실적이라서... 4년째 비연애중인데 그래도 가끔 사랑이 찾아오면 좀 힘들고 감정이란게 잘 안 참아지더라고... 상대방 쓰레기같은거 알면서도 괜히 흐린눈하게되고, 나도 판단 흐려지고 누군가에데 매달리면서 내 자아를 잃는 느낌? 근데 이 영화보고 마지막에 조제 모습 보면서 많은 생각하게 되더라.... 훌훌 털고 자아 찾아가기에 좋았음
첫댓글 내용 궁금하다..리메이크는 많이 다를려나ㅠ좆본거말고 한국꺼 보고싶은데..
조제가 다른지방에 있다가 온건가? 서로 어투가 다른게들려서 조제는 사투리를 쓰고 있는거 같은데 같은지역에 살면서 왜 말투를 다르게 설정했는지 의아하더라 이유가 있을거같은데 ㅜㅜ
조제가 세상을 배우는 수단이 책이랑 할머니가 유일한 설정이니까....
아마 할머니 영향이 아닐까..?😣
ㅈㄴㄱㄷ지나가던 일시 등장!!! 조제 배경 자체가 사투리쓰는 동네야!(조제말투가 평범한거)
여기서 츠네오(남주)가 대학을 다니려고 조제네 동네에 이사온게 돼! 보면 츠네오빼고 지역주민들 다 말투 조제랑 똑같더랑
난 이거 보고 기분 이상햇어 ㅠㅠ 특히 마지막 장면이... 한번쯤 보는 거 추천
영화는 여혐 범벅인데 이 글 보면 명작같고... 글이 너무 좋아
영화 자체는 진짜 쓰레기같다 생각했거든..? 남주 진짜 너무 짜증나고 지만 생각하는거 같고 지 혼자 좋앗다 짜증냇다 싫증냇다 다 하는거 같아서 너무 싫엇는데 이 글을 보고나서 생각해보니까 또 공감이 되네....
어제 조제 보고왔는데 초중반은 지루할수있는데 결말이며 마지막은 일본보다 훨 좋더라... 마지막에 울컥ㅠ
이 글이랑 다른 평론가 글이랑 보면 이렇게 좋은 영화였나 싶어 역시 전문가는 다른가봐
난 이거 내 인생영화 완전 현실적이어서 좋았음 남자 쓰레기같지만 솔직히 현실적이야 영화 10번 넘게봄...
나도 ㅋㅋㅋㅋㅋ 중학생 때 처음 봤는데 진짜 계속 돌려봄
지금봤으면 이렇게못느꼈을거같애 10년전에 봐가지고 좋은기억으로 남아있음ㅋㅋㅋ 글도좋네
마지막에 남주가 길거리에서 우는거 .... 그 장면 너무 기억나
츠네오처럼 현실적인 이유로 헤어지는 게 차라리 더 납득이 가지, 마음이 식었다는 이유로 헤어지는 경우가 오히려 더 숱한데. 정말 영화만 보고 끝내면 안 되고 평론을 꼭 봐야 완성돠는 영화..
이동진? 저분 칼럼 너무잘씀 저번에 센과치히로 글쓴거 보고선 머리 맞은 기분이였음
여시 댓글보고 찾아서 보고 왔다!!! 너무 좋은 글이었어ㅜㅜ
중세 독일 전설도 슬프다ㅠㅠ
삭제된 댓글 입니다.
원작느낌 잘 못살렸어??
2 진심.. 나도 보고 실망함... 뭔가 전개가 뒤죽박죽 느낌?
헉 너무슬프다 ㅠ
와 글 진짜 잘 읽히고 좋다....도망쳐온것들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겠어
보고 진짜 기분재기함
ㅜㅜ....글이 너무 슬프네
평론이 다 했음 진짜
조제는 순수하고 용기있게 사랑하다 미련없이 놓아버릴 줄도 아는 사람ㅠ 영화를 다 보고나면 조제 뒤에 붙은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가 많은 생각을 하게 해 줘.. 물고기 호텔에서의 독백이 너무 먹먹해서 슬퍼
옛날에 츠마부키 사토시 좋아해서 봤는데 되게 생각할 거리가 많았어 너무 현실적이고 그 누구도 욕할 수 없는
영화는 진짜 쓰레기같았는데..ㅎㅎ 글을정말 잘 쓰셔서 고개를 끄덕이게 됨.
평론넘좋다 위로됐어 ㅜㅜ
이동진은 진짜... 최고야
와 평론쩐다.. 영화진짜별로라생각햇는데
와 이런게 바로 글잘쓴다 하는 거구나...대박..
현실에서 짝사랑할때 봤던 영화였는데 난 이 영화 보고 정신 많이 차렸었음... 넘 현실적이라서... 4년째 비연애중인데 그래도 가끔 사랑이 찾아오면 좀 힘들고 감정이란게 잘 안 참아지더라고... 상대방 쓰레기같은거 알면서도 괜히 흐린눈하게되고, 나도 판단 흐려지고 누군가에데 매달리면서 내 자아를 잃는 느낌? 근데 이 영화보고 마지막에 조제 모습 보면서 많은 생각하게 되더라.... 훌훌 털고 자아 찾아가기에 좋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