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제가 차려 준 밥은 먹을 시간 없다고 안 먹고 가요. 그런데 꼭 화장은 1시간씩 하고 학교는 가는데 참 잔소리도 한 두 번이지 속상해요.” 화장하는 자녀 때문에 걱정하시는 부모님들을 주변에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학교 갈 때 뿐만이 아니라 외출 할 때 1시간 이상씩 화장을 하고 성인들이 하는 화장을 하는 아이를 볼 때면 걱정과 한숨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려옵니다. 어른들은 청소년들이 화장하지 않아도 예쁜 얼굴들인데 풋풋한 학생다운 모습으로 학창시절을 보내기를 바랍니다.
>> 외모가 경쟁력이 되는 시대
오늘날 현대사회가 산업화되고 서구화됨에 따라 외모를 중요시하고 ‘외모도 경쟁력이다’ 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외모가 그 사람의 이미지나 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또한, ‘얼짱’,‘몸짱’,‘동안’이라는 말이 열풍이 불면서 타인에게 비춰지는 외모의 사회적 인상과 외모의 중요성을 반영한 결과이며, 이런 현대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비판의 목소리도 높지만 역설적으로 경쟁사회에서는 능력뿐만이 아닌 자기관리에서 오는 외향적인 모습도 중요하게 여긴다는 의미가 포함된 것이라 합니다.(정민정,2010)
화장이란 자체는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단정한 몸가짐이자 아름다워지고 싶은 미적본능의 자연스러운 표현이며, 개인 특유의 개성적인 자아상의 표현일 뿐만 아니라, 자신의 결정은 보완하고 피부보호라는 물질적인 측면을 비롯한 생리적, 사회적,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그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기도 하기 때문에 화장 문화를 다루는 것은 그 시대의 사회구성원의 의식구조와 사회문화적 특성을 탐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집니다.(이현희,2010)
>> 화장하는 청소년 실태
이제까지 성인 여성에게만 해당된다고 여겨지던 여성들의 외모 관리는 현대 소비문화 사회에서 본격적인 시작을 지점으로 10대 여자 청소년들에게로 옮겨왔습니다.(황혜미,2011)
여자청소년들이 화장을 하기 시작한 계기를 조사한 결과 34%로 ‘피부결점을 보완하기 위해’가 가장 높았으며, 두 번째는 28.1%로 ‘타인에게 예쁘게 보이기 위해’이며, 세 번째로는 17%로 ‘친구들이 하기 때문에’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청소년기에는 사춘기 여드름이라 불리우는 트러블이 많이 일어나는 시기이기 때문에 이러한 피부결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커버력이 있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같은 또래의 아이돌이나 얼짱들이 인기를 끌면서 비슷하게 화장을 함으로써 타인에게 더 돋보이게 하려는 심리가 작용하였으며, 이성친구나 또래친구들과의 관계가 중요시 여기는 시기이기 때문에 타인의 시선에 민감하여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서울, 경기에 거주하는 여자청소년 중, 고등학교에 재학 주인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무성의한 응답을 제외한 257명의 설문지를 분석결과를 보면 여자청소년의 화장행동은 ‘동조성’, ‘심미성’. ‘유행성’, ‘흥미성’,‘예의성’의 6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습니다.
화장행동을 조사한 결과 ‘예의성’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다음으로는 ‘흥미성,’심미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화장관심은 유행성, 외모관리, 타인지향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는데 조사 결과 외모관리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다음으로는 타인지향, 유행선도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언니가 있는 집단일수록 화장에 대한 관심이 높고, 월평균 용돈이 많은 집단일수록 화장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생활만족이 낮을수록 화장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여자청소년의 화장은 소수의 여자청소년뿐 아니라 대다수의 여자청소년들에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청소년기에 화장을 하는 부분에 있어서 바르게 볼 수 만은 없습니다. 여자청소년의 화장관심과 화장행동에 관한 연구를 통해 여자청소년이 왜 화장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이해하며 올바른 화장행동을 갖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화장하는 청소년들의 이유
1) 관심의 대상이 되고자 하는 심리적 욕구
현대 사회에서 청소년들이 타인의 시선을 끌어 관심의 대상이 되고자 하는 심리적 욕구는 심지어 연령층이 낮은 여자청소년들에게 있어서까지도 외모는 자아 표출의 주요 수단임은 물론 행복의 근원으로 인식되고 있는 추세입니다.(이명숙,2003)
또한, 청소년기의 경우 다른 시기보다 신체적 자아에 대해 가장 중점을 두는 시기로, 외모를 더 중시하고 여러 내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타고난 자신의 외모를 더 보기 좋게 변화시키고자 노력하게 됩니다.(백수진,2011)
외모에 대한 호기심이 많아지는 생물학적 연령기에 해당하는 여자 청소년들은 화장을 직접적으로 경험해 봄으로써 아름다워지고 싶은 욕구를 해결하려고 합니다.(이혜정,2011)
2) 미디어의 영향
매스미디어의 직, 간접적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청소년 즉, 여학생들 사이에서도 패션, 화장, 헤어, 성형, 피부관리 등 외모에 대한 관심이 연령층이 낮아지면서 청소년들이 화장품 시장에서 새로운 소비자로 부상하고 있으며, 화장품 제조업체들 또한 청소년을 주요 소비자로 인식하면서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황윤조,2005)
인터넷에 ‘10대 화장’을 검색하면 화장법부터 10대 화장품 쇼핑몰까지 수많은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10대 화장이 기초화장을 넘어 색조화장까지 일반화되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또한, 10대 연예인들의 한국사회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떠오르면서 10대 연예인을 모델로 내세워 10대들을 겨냥하는 화장품 회사들이 늘어가고 있어 청소년들의 화장품 소비는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3) 청소년의 문화 놀이터 SNS
인터넷의 대중화와 스마트폰, 디지털카메라 등의 보급으로 10대 청소년은 자신과 친구들의 모습을 미니홈피, 블로그 SNS등에 자유롭게 올림으로써 친구들과 공유하며 즐기는 문화가 형성되었고 인터넷과 모바일 매체 등을 통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는 등 화장은 10대 청소년 내에서 그들만의 외모관리 문화영역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양은령,2012)
이제 외모관리는 일상적인 일로 받아들여지면서 화장과 화장품사용이 성인의 전유물이 아닌 10대 청소년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그만큼 청소년에게 있어 외모 관리는 자신을 표현하고 평가하는 수단이자 삶의 양식이 되고 있습니다.(김현욱, 2011) 이러한 화장행동을 함으로써 화장을 하는 과정이나 결과가 개인에게 만족감을 주고 자신감을 갖고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지나친 청소년 화장의 부작용
여학생들이 초등학교 때부터 화장을 시작하는 것과 관련 피부과 전문의들은 이구동성으로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서대헌 서울대병원 피부과 교수는 “ 성인과 달리 청소년의 피부는 피지분비가 많아 화장을 하는 것이 좋지 않다” 며 “ 어린 나이부터 화학물질로 이뤄진 화장품을 바르면 피부를 자극해 피부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고 우려를 표했습니다. 서 교수는 “화장은 고교생이 되기 전까지 하지 말아야 한다.”며 “어릴 때부터 화장하면 30~40대 피부손상을 걱정 할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한국일보,지나친 10대 화장, 소녀 얼굴 상하게 할 수도,김치중의학전문기자,2014.09.19.)
>> 그렇다면 이런 자녀를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첫째, 비난보다는 화장하고 싶은 자녀의 마음을 공감해주세요.
자신의 외모에 대해 자신감이 없는 아이들은 놀림을 받거나 인기를 얻지 못하는 것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이런 아이의 마음을 공감하지 못하고 ”너는 왜 외모에만 신경 쓰고 다니니?“, ”지금은 외모보다는 공부에 신경 써야 할 때야“라고 하면 아이는 괴로운 마음을 표현하지 못하고 더욱 움츠려들게 됩니다.
부모나 교사는 청소년이 외모에 관심이 늘어나면서 신체적인 외모나 복장, 머리 스타일, 화장품 등에 과도하게 신경을 쓰기도 하고 때로는 그로 인해 고민에 빠지기도 합니다. 그것을 너무 지적하거나 비판하면 오히려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들어주고 자신이 소중한 존재라는 점을 인식시켜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어야 합니다.
둘째, 외모란 주관적인 평가가 더 크다는 것을 이해시킵니다.
아이들을 친구와 부모, 교사의 평가로 자신의 외모에 대해 인식합니다. 이때 부모는 다른 사람의 평가보다는 스스로 자신의 신체에 긍정적인 평가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아이와 함께 아이의 얼굴과 신체의 특징을 생각해보고, 이러한 특징이 가족 역사의 일부분임을 인식하게 돕습니다. 아이 스스로 잘 모르고 있던 자신의 장점과 매력을 인식하도록 도움을 주어 자신의 외모에 대한 자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셋째, 부모나 교사는 청소년을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봅니다.
그 방법 중에 하나는 장점을 찾아 인정해주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과도하게 칭찬을 하면 자신을 놀린다거나 실제 사실을 숨기려고 과장해서 위로한다고 인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모에 대한 칭찬은 과장된 칭찬보다는 아이가 공감할 수 있는 장점과 멋진 점을 찾아서 그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현실적인 범위 내에서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항상 인상을 쓰고 화나 있는 아이에게 살짝 간지럼을 태우거나 격려해 아이가 웃음을 지어 보이면 ’너는 치아가 예뻐서 웃는 모습이 멋지구나‘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넷째, 자녀 스스로 개성을 키워 자신감을 갖도록 유도합니다.
남들보다 잘하는 것이 있거나 또는 자신이 갖고 있는 재능이나 다른 능력을 개발하도록 격려함으로써 아이 스스로 자신감을 갖도록 돕습니다. 노래를 못하는 아이에게 ’너는 휘파람을 참 잘 부는구나‘라고 말하여 아이가 잘하는 것을 칭찬하는 것입니다.
또한, 누구나 개성 있는 외모를 가지고 있으므로 아이의 멋진 점을 찾아서 칭찬을 아끼지 말자, 외적인 아름다움은 잠시지만 마음의 아름다움은 자신이 평생 간직할 수 있는 가장 큰 보석임을 알게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섯째, 무조건 금지하기 보단, 올바른 방법을 알려주세요.
무조건적인 금지는 금지하는 부모들도 힘들고 금지를 당하는 청소년들도 힘이 듭니다. 그래서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화장품 사용법을 알려주는 것이 서로에게 좋을 것입니다.
문헌출처:
1) 청소년의 화장관심, 화장행동, 화장만족도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사회복지학과, 김도연,2012
2) 청소년의 대중매체 뷰티정보이용과 외모관심 및 뷰티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이명진,2014
3) 지나친 10대 화장, 소녀 얼굴 상하게 할 수도(한국일보,지나친 10대 화장, 소녀 얼굴 상하게 할 수도,김치중의학전문기자,2014.09.19.)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409191193263070
4) 사춘기 자녀의 외모 콤플렉스 극복법,현대모비스,2010.7 이향숙소장님 칼럼
http://1004pr.co.kr/kccp/bbs/board.php?bo_table=102c&wr_id=2&sfl=wr_subject&stx=%EC%99%B8%EB%AA%A8&sop=and
5)화장품 사용에 익숙해지는 청소년들, 어떤 영향을 받을까?,대한민국청소년의회,김민경,2017
https://youthassembly.or.kr/bbs/board.php?bo_table=B51&wr_id=41196907#c_41211740
사진출처: 구글 재사용가능
작성자: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이윤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