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만물(天下萬物)이 무비선(無非禪)이요 세상만사(世上萬事)는 무비도(無非道)로다
이런 말할 때 언하에 자기 인생을 깨닫고 부처님
뜻을 척 알고 나면 전부
모든 물질이 진리 아닌게
없고 모든 일이도 아닌게 없습니다.
도(道) 속에서 항상 생활하면서도 도는 부처님이나 도하고 산골 도사님이나
도하는 줄 이렇게 착각하고 있는 겁니다.
우리도 볼 줄 알고, 들을 줄 알고, 먹을 줄 알고, 똥 눌 줄 알고, 잘 때 잘 줄
아는 이것이 바로 도입니다.
밥솥이 도를 하루 세 번씩 일러주는 것입니다.
솥한테 부끄러운 줄 알고 미안한 줄 알면 거기에
도가 있습니다.
여기 온 사람들이 다 10년, 20년 이상 30년, 50년 밥을 먹어도 밥솥한테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미안한 줄도 모르는 작자가 부처님 앞에 와서
넙적넙적 절만 하면 뭐 하겠습니까?
도(道)라는 것은 부처님 뱃속에 들어가도 도(道)가 없어요.
환경과 물질과 여건에서
도가 척척 나오는 겁니다.
내가 한 가지 예를 들어서 말하면 부산에 석암스님
이라 하면 아마
부산 신자는 다 알 겁니다.
돌아가시고 5재를 선암사에서 지낸다고 해서 석암스님한테
신세를 많이 졌기 때문에 5재에 참석하러 갔습니다.
주지 스님이 ‘스님, 오늘 5재 때 법문하나 해 주시오.’ 해서 내가 법상에 떡 올라가니까 20년 동안 걸망 메고
선방외호 하신 석암스님 생각이 났습니다.
절에서 내려가면 당감동 다리거리에 거지가 한 사람 있었는데, ‘
스님, 스님 한 푼 주시오’ 하면 스님께서 올라갈 때 주고 내려갈 때 주고 했습니다.
그렇게 그놈이 많이 컸습니다.
한 번은 석암스님이 걸망
에다 뭐를 잔뜩 지고 오니까,
그 거지가 술이 취해
진흙물에 굴러 가지고
"대사! 대사!"했습니다.
그땐 술이 취해서
"대사! 대사, 한 잔 사게." 대사가 시줏돈으로
술 받아줄 수도 없고 또 술 취한 놈 술 사줄 수도 없잖아요.
그래서 거절하니까 "대사, 자비심 어데 팔아 먹었노?
한 잔 사게." 하는 것입니다.
도저히 말을 못 따라가지만 술을 사줄 수 없는 형편이라서….
또 진흙물로 홀아비 옷을 자꾸 문대니까 빨기도 귀찮은데….
언쟁 중에 짐은 무겁게 지고 부화가 나서 "이 새끼가 왜 지랄이냐!"
고 욕을 한 마디 탁 하니까.
그 거지가 술 취한 거지가
하는 말이 "야! 대사야,
술 취한 거지도 화를
안 내는데, 부처님 제자가 거지보다 먼저 화를 내고… 부처님 앞에 너 어이 갈래?" 하는 것입니다.
거기서 눈물이 왈칵 쏟아져 가지고 앞이 가려서 엉엉 우니까 거지도
붙들지도 않고 술 사라는 소리도 않고 물러갔습니다.
시주받은 물건을 안
지었으면 석암스님은
거기서 죽었습니다.
시주물을 지었기 때문에 내버릴 수가 없어서 선암사까지 지고
올라가면서 계속 통곡했습니다.
또 시주물을 부엌에다 져다 놓고 자기 방에 들어가서 사흘을 울고 나서 석암스님 얼굴에 화를 안내고 살았습니다.
당감동 다리거리 술 취한 거지한테 한방 크게 맞고
석암스님이 사람 된 겁니다.
- 성수스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