례성강
황해북도 수안군 언진산에서 발원하여 황해남도 배천군과 개성시 사이에서 강화만에 흘러드는 강이다. 북한에서는 두음 법칙이 없으니 당연히 '례성강'이라고 적는다. 발음은 [레성강].[1]
길이 약 187.4km, 유역면적 약 3,916.3km²이다. 본래 상류는 곡산천이었으나 제4기에 신계곡산용암대지가 형성되면서 물길이 막혀 대동강의 지류 남강으로 흘러들게 되었다. 아호비령산맥과 멸악산맥 사이 예성강단열대를 따라 북동에서 남서방향으로 흐른다.
개성시 개풍구역과 황해북도 금천군, 평산군, 신계군, 수안군, 곡산군, 황해남도 봉천군, 배천군 지역을 흐른다.
주요 지류는 구연천, 지석천, 누천(루천), 위라천, 신계천, 남천, 오조천 등이다.
고려의 수도였던 개경과 가까운 강이었고 폭은 한강이나 대동강에 비해 훨씬 좁지만 대신 물의 수심이 상당히 깊어 크고 작은 배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었기에 고려시대 무역의 중추지가 되었다. 강 하구에는 고려시대 대표적인 무역항이었던 벽란도가 있다. 조선 이후 예성강 하류 지역은 경기도와 황해도의 도계(道界) 중 일부를 이루었다.
후삼국 시대에는 이곳에서 백제의 수군이 기습하여 고려의 수군에 심대한 피해를 입히고 개성 일대를 휘저었던 예성강 전투가 펼쳐졌다.
남북분단 이후 예성강 상류지역은 북한, 하류지역까지는 개성시 시가지와 더불어 잠깐 대한민국의 영역에 속했으며, 6.25 전쟁 당시 개성의 송악산과 함께 전쟁 당시 연합군의 회복목표로써 서부전선 최종 진격선으로 꼽혀졌다. 안타깝게도 수복은 실패하고, 결국 현재 북한이 다스리고 있다.
첫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