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부천재활병원 원문보기 글쓴이: 진달선생
신경계 주요약물
약품처방은 의학적 치료방법이다. 그러나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사정하고, 좀더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투약에 관하여 즉, 환자를 교육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약품에 관한 지식을 알고 있어야한다. 간호사들은 때때로 약물투여 여부를 즉각적으로 결정해야 할 때도 있으며, 투약을 지시하는 기준에 따라 어떤 특정 상태 하에서만 투약하는 경우도 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투약의 주입 속도를 자주 조절해야 한다. 따라서 간호사는 투약에 관한 충분한 지식과 기준이 필요하므로 신경과 환자를 치료하는 데 흔히 쓰이는 약품(경련, 중추 신경계 부종에 사용하는 약물, 해열제, 진통제, 치매치료약물, 인지기능 치료약물 및 신경과 주요약물의 종류와 부작용)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Ⅰ. 경련에 사용하는 약물
1.Phenytoin
1) 상품명: Dilantin, 페니토인
2) 적용
화학적으로 phenytoin은 barbiturate와 비슷하다. 이 약은 전신성 강직성-간대성(generalized tonic-clonic),복합부분(complex partial), 단순부분(simple partial) 발작에 흔히 사용된다.
3) 약리학적 작용기전
phenytoin은 뇌신경으로부터 나트륨의 유출을 조장한다. 이 효과는 세포의 흥분역치의 평형을 유지시켜 주고 근육 수축 후 신경연결부의 흥분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피질 주위조직 자극의 전이를 방해한다.
4) 투여방법
phenytoin의 치료적 혈중 농도는 5~20ug/ml이다. 치료적 농도를 유지하는 데에는 4~3mg/kg/day의 투여가 필요하다. 안정된 상태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5~10일이다. 이는 성인의 경우 300~600mg/day을 한번에서 두 번으로 나누어 복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감기가 24(±12)시간이므로 하루 한번만 복용해도 된다. 캡슐이나 물약 형태로 되어 있다. 비경구적으로 근육주사와 정맥주사 모두 가능하다. 정맥투여는 발작이 지속되는 경련중적(status epilepticus)상태 시에 이용된다. 150~250mg을 분당 50mg을 초과하지 않게 주어야 한다. 24시간 동안 혈관으로 줄 때 최대 250 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근육주사는 불규칙하게 흡수된다. 흡수시간은 대개 15~20시간이다.
5) 간호적용
환자에게 다음 내용을 교육해야 한다.
(1) 투약은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반감기가 24시간이기 때문에 약물복용을 거르는 경우에도 경련이 즉시 생기지는 않는다.
(2) 혈중 농도가 치료적 범위 안에 있는지 규칙적인 혈액검사가 요구된다. 용량의 적은 변화라도 혈중 농도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추가로 혈액검사를 통해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는 혈관질환을 찾을 수 있다.
(3) 구강위생이 중요하다. 잇몸 비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칫솔질에 주의를 기울인다.
(4) 소변이 분홍색, 적색, 또는 갈색으로 변색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환자는 놀랄 필요가 없다.
(5) phenytoin 대사는 다른 투약의 영향을 받으므로, 다른 투약이 처방되면 환자는 신경과 의사에게 이 사실을 알려야 한다. 그리고 혈중 농도검사를 더 자주 해야 한다.
(6) 약물독성의 증상으로 안구진탕, 복시, 졸리움, 피부발적, 혈액응고장애, 간염, 저칼슘혈증, 골연화증이 나타난다.
phenytoin을 정맥내로 투여할 때는 분리된 주입선을 사용해야 하는데, 다른 약이나 용액과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근육주사는 통증이 있으므로 습열 찜질로 통증을 감소시킨다. 흔한 부작용으로 다모증이 나타나며, 이것은 사춘기 소녀에게 특히 심각한 문제가 된다.
제산제, phenobarbital, carbamazepine, ethanol, valproic acid, aspirin, disulfirain, warfarin, corticosteroids, 먹는 피임약 등은 phenytoin의 혈중 농도에 영향을 준다. 이런 약물들은 쉽게 매약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시킨다. 간호사는 처방된 용량의 약을 복용한 경우에도 경련이 일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아야 한다.
2. Phenobarbital Sodium
1) 상품명 : Luminal Phenobarbital
2) 적용
Phenobarbital은 작용이 지속적인 barbiturate이며, 진정제, 최면제이다. 이것은 전신성 간대성 강직성, 단순부분, 복합부분, minor motor발작에 이용된다.
3) 약리학적 작용기전
경련역치를 올리거나 정확한 기전은 확립되지 않았다.
4) 투여방법
치료적 혈중 농도는 10~30ug/ml이다. 1~3mg/kg/day 투여로 이 농도를 유지한다. 성인의 경우는 100~300mg/ml의 용량이 주어진다. 반감기가 96시간으로 길기 때문에 하루에 한번 투여를 기본으로 한다. 14~20일 후면 안정된 상태에 도달한다. 근육으로도 투여가 가능하며 흡수도 빠르다.
5) 간호작용
환자에게 다음 내용을 교육한다.
(1) 자주 졸리므로 매일의 활동이나 일에 주의를 요한다. 잠자기 전에 약을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신경독성의 증상으로 노인의 경우는 혼돈, 어린이의 경우에는 과행동 등이 올 수 있다. 가족에게 이런 가능성을 알린다.
(3) 다른 독성 증상에는 혈액질환, 저칼슘혈증, 골연화증이 있다.
(4) 대사에 영향을 주는 다른 약에는 warfarin, phenytoin, carbamazepine, corticosteroids, digoxin, doxycycline, phenylbutazine, valproic acid 와 효소작용을 촉진하는 약 등이 포함 된다.
(5) 규칙적으로 혈액검사를 하여 치료적 범위의 혈중 농도를 유지한다. 내성이 생길 수도 있으며 반응은 환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약을 중단하려면 용량을 천천히 줄여가야 한다. 갑작스런 중단은 경련을 야기한다.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임신부의 경우는 의사에게 임신 사실을 알려야 한다.
3. Primidone : (과거에는 수입하였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사용하지 않음)
1) 상품명 : Mysoline
2) 적용
Primidone은 Phenobarbital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화합물이다. 이 약품은 주로 전신성 강직성-간대성 발작과 복합부분 발작의 치료에 많이 사용된다.
3) 약리학적 작용기전
세포의 발작에 대한 역치를 높인다.
4) 투여방법
치료적 혈중 농도는 5~15ug/ml이다. 혈중농도의 반감기가 12(±6)시간이기 때문에 Primidone을 분복할 필요가 있다. 처음에는 125mg/day로 시작한다. 이것을 0.75~1.5g/day로 증가시킬 수 있다. 적정 수준에 도달하는데 4~7일이 걸린다. Primidone은 경구로만 투여한다.
5) 간호적용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환자에게 알려 줄 필요가 있다.
(1) 약을 규칙적으로 같은 시간에 복용한다. 갑작스럽게 투약을 중단하면 발작을 유발시킬 수 있다.
(2) Primidone에는 Phenobarbital이 들어있어 졸리운 증상이 오기 쉬우므로 일상생활에서 이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4) Primidone과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약품은 coumarin과 ethanol이다
4. Carbamazepine
1) 상품명 : Tegretol
2) 적용
진통제로 사용되었으나 항경련작용도 있다. 이것은 복합부분, 단순부분, 강직성,간대성 발작의 치료에 사용된다.
3) 약리학적 작용기전
약리학적 작용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4) 투여방법
Carbamazepine의 치료적 혈중농도는 5~15mg/ml이다. 이 수준을 유지하려면 보통 10~30mg/kg/day를 투여해야 한다. Carbamazepine 의 반감기는 8~18(±3)시간이다. 그러므로 분복이 필요하다. 처음에 보통 200mg/day로 시작하여 혈중 농도가 치료적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서서히 올린다. 통상 800~1200mg/day를 사용한다. 2~4일 정도 후에 치료적 수준에 도달한다. Carbamazepine은 경구로만 투여한다.
5) 간호적용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환자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
(1) 약의 반감기가 짧으므로 8시간마다 복용하여야한다.
(2) 약품에 의한 독성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자주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독성을 의미하는 증상은 오심, 구토, 현기증, 졸리움, 재생불량성 빈혈, 간독성, 피부발진, 그리고 부적절한 항이뇨호르몬의 분비 등이다. 만일 환자가 이러한 증상을 경험하면, 곧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한다
(3) Carbamazepine 은 phenytoin, primidone, warfarin, doxycycline등의 약품과 상호작용하므로 새로운 약품을 쓰기 시작하는 경우 고려해야 한다.
녹내장이 있는 환자는 이 제품을 사용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환자가 녹내장 사실을 의사에게 말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간호사가 이것에 관심을 두고 사정해야 한다.
5. Valproic acid
1) 상품명 : Depakene, 오르필
2) 적용
이 항경련제는 주로 결여발작(absence seizure)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간대성, 전신성 강직성- 간대성, 복합부분 발작에도 사용된다.
3) 약리학적 작용기전
이약의 정확한 작용기전은 모르나 Valproic acid가 gamma-aminobutyric acid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켜 발작에 대한 역치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투여방법
치료적 혈중 농도인 50~100ug/ml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15~30mg/kg/day를 투여하여야 한다. 평균 성인용량은 1500mg/day이다. Valproic acid의 반감기는 12(±6)시간이다. 그러므로 하루에 3~4회로 분복하여야 한다. Valproic acid는 캡슐이나 시럽 형태로 사용된다.
5) 간호 적용
환자에게 다음과 같은 주의점을 알려 줄 필요가 있다.
(1) 약은 규칙적으로 복용하여야 한다. 1회만 복용을 중단하여도 발작이 있을 수 있다.
(2) Valproic acid는 위에 자극적이므로 식사 직후나 식사와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다.
(3) 독성 증상으로 설사, 소화불량, 오심 ,구토, 위경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4) 이 약의 혈중 농도를 수시로 검사할 필요가 있다. (독성 수준은 100㎍)
Valproic acid 는 기형아 발생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임여성인 경우는 이 가능성을 알려 주어야 한다. 이 약의 부작용으로는 대머리, 피부발진, 췌장염, 위장관장애 등이 있을 수 있다. 대머리는 특히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기 쉬우므로 미리 이 사실을 알려 줌으로써 공포를 줄일 수 있다. 다른 항경련제clonazepam, phenytoin, 그리고 primidone 등의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 여러 개의 항경련제가 같이 처방되었을 때는 각 약품의 혈중 농도를 자주 검사하여야 한다.
6. Ethosuximide
1) 상품명 : Zarontin
2) 적용
주로 혼합형 발작(결여발작이나 강직성-간대성 발작)을 치료할 때 phenytoin이나 phenobarbital과 같이 사용된다.
3) 약리학적 작용기전
Ethosuximide는 대뇌 운동중추의 작용을 억제하여 발작에 대한 역치를 높인다. 이것은 결여발작의 경련성 스파이크와 파동을 줄인다.
4) 투여방법
치료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혈중내의 Ethosuximide의 농도가 40~60㎍/ml은 유지되어야 한다. 일일 용량은 20~40mg/kg/day인데 1g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이 약의 혈중 반감기가 30(±6)시간이므로 하루에 한 번만 복용한다. 경구용으로 캡슐이나 시럽이 있다.
5) 간호적용
환자 교육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1) 투약은 규칙적으로 한다. 특정한 시간에 투약하는 것이 다른 항경련제의 경우처럼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매일의 용량을 거르지 않도록 해준다.
(2) Ethosuximide는 위에 자극을 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식사 때 복용하는 것이 좋다.
(3) 독성의 증상은 피부발적, 복시, 졸리움, 운동실조 등인데 문제가 생기면 의사에게 알린다.
(4) 정규적인 혈액검사로 혈중 농도를 측정하고, 혈액질병을 발견한다.
(5) Ethosuximide는 특히 tricyclic계 항우울제와 상호작용을 한다. 다른 약을 복용할 때는 의사와 상의하고 Ethosuximide가 전신성 강직성-간대성 발작의 빈도를 증가 시킬 수 있다. 간호사나 가족이 환자 가까이서 관찰하는 것이 투약 시작시 필요하다. 투여시 처음 얼마동안은 조심스럽게 활동을 계획해야 한다.
부작용에는 오심, 구토, 두통, 불안, 혈액질환, 우울, 빈뇨, 혀의 팽윤 등이 포함된다.
7. Diazepam
1) 상품명 : Valium
2) 적용
항불안제인 benzodiazepine 유도체는 경련증적 상태 때 항경련제로 널리 쓰인다.
3) 약리학적 작용기전
Diazepam은 망상활성계(reticular activating system)와 변연계(limbic system)를 억제시키고, 골격근을 이완시킨다.
4) 투여방법
경련증적 상태 때는 Diazepam을 혈관으로 투여하고 처음 용량은 5~10mg을 넘지 않도록 준다. 30mg에 도달할 때까지 이 용량을 10~15분 간격으로 반복하여 복용한다. 이 치료는 2~4시간마다 반복할 수 있다.
5) 간호적용
Diazepam은 단독으로 혈관으로 투여되어야 한다. 다른 약물과 결합되면 결정이 생길 수 있다. 큰 정맥혈관을 사용하면 자극을 줄일 수 있다. 혈관 밖으로 약이 새면 조직에 부종이 생긴다. 호흡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필요 시 활력징후를 점검한다. Diazepam 사용시 전신성 강직성 ,간대성 발작의 빈도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 최근 개발된 항경련제로 clonazepam(리보트릴), gabapentin(뉴론틴캅셀) 등이 있음
Ⅱ. 중추신경계 부종에 사용하는 약물
1. Dexamethasone
1) 상품명 :Decadron
2) 적용
Adrenocorticoid 복합체로서 glucocorticoid 작용은 가장 중요한 효과이다. 이것은 적은 mineralcorticoid의 작용이 있다.
3) 약리학적 작용기전
중추신경계의 부종을 줄이는 정확한 기전은 알려지지 않으나 다음과 같은 기전이 추측되고 있다.
(1)혈관에서 중추신경조직으로의 체액의 흐름을 감소시켜 혈관투과성의 평형효과를 이룬다.
(2)대사과정을 자극하여 과도한 조직액의 제거를 촉진한다.
(3)중추신경계 세포의 통합을 증진하여 세포내액에서 세포외액으로의 흐름을 촉진한다.
(4)Lysosome의 파열과 cellulolytic lysosomal enzymes의 유출을 예방한다.
4) 투여방법
Dexamethasone의 경구적(정제, 물약) 또는 비경구적(혈관, 근육)으로 투여된다.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10~12mg을 혈관으로 준다. 그 다음에 3~4mg을 6~8시간마다 투여한다.
Dexamethasone은 부신피질의 기능을 억제하기 때문에 약을 중단하기 전에 용량을 천천히 줄여야 한다. 환자의 상태가 좋아지면 투여경로를 경구로 바꾼다.
5) 간호적용
이 약은 얼굴과 가슴에 발적을 일으킬 수 있다. 발적이 생기면 acetic acid로 적시는 것이 효과적이다.
약의 작용은 혈중과 소변 중의 당을 증가시키고 혈중 나트륨의 양을 증가시킨다. 이 사실은 당뇨가 있는 환자에게 중요하다.
Dexamethasone은 위자극을 야기하므로 환자가 약을 복용할 때는 잠혈이 있는지 확인한다.
환자에게 corticosteroids를 투여할 때 cimetidine도 투여한다.
2.Mannitol
1) 상품명 : Mannitol, Osmitrol
2) 적용
이 hexahydroxy alcohol은 삼투성 이뇨제이다.
3) 약리학적 작용기전
Mannitol은 사구체 여과 시 삼투농도경사를 올린다. 따라서 세뇨관에서의 물과 용질의 재흡수를 방해하므로 결과적으로 이뇨가 빠르게 된다. 혈액의 높은 삼투압은 조직으로부터 체액을 끌어낸다.
4) 투여방법
비경구적 투여 시 용량은 체중 kg당 2.5~3kg이다. 60~90분에 걸쳐 투여한다.
5) 간호적용
저장 시 용액에 결정이 생길 수 있다. 환자에게 약병을 연결하기 전에 이런 가능성을 확인한다. 용액을 데우면 결정이 녹는다.
결정이 혈액으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혈관주사선에 여과기를 첨가하기도 한다.
Mannitol은 다른 투약과 분리된 주사선으로 투여해야 한다. 환자에게 심장의 문제가 있다면, 투여시 주입속도를 늦추면서 세세히 관찰해야 한다. 이 약은 강한 이뇨제이기 때문에 소변량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정체도뇨관을 사용하면 정확한 관찰이 가능하고, 정상적으로 소변을 보지 못하는 환자의 방광정체도 예방할 수 있다.
Mannitol투여 시 전해질불균형이 뒤따를 수 있다. 특히 반복 사용 시 주의한다.
10~12시간 후에 반동부종(rebound edema)이 나타날 수 있다. 이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blood-brain barrier의 이상으로 Mannitol이 손상부위로 들어가기 때문이거나, 뇌압이 낮아져서 뇌척수액의 생성이 자극된 때문이다.
삼투성 이뇨제의 다른 종류로 urea와 glycerol이 중추신경계 부종의 조절에 사용된다.
Ⅲ. 해열제
1. Aspirin
1) 상품명 : Aspirin
2) 적용
Acetylsalicylic acid는 해열제, 진통제, 항염제이다.
3) 약리학적 작용기전
Aspirin은 체온조절 중추인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체온을 낮춘다.
4) 투여방법
Aspirin은 구강과 직장좌약으로 투여된다. 보통 650mg을 하루에 4~6번 투여한다.
5) 간호적용
지속적인 체온 상승이 있으면 혈액 배양이 필요하다. 배양은 Aspirin 투여 전에 한다. Aspirin은 PRN으로 처방한다. 간호사는 체온변화를, 예민하게 관찰하고 대처해야 한다. Aspirin은 prothrombin 합성에 관여하고, 혈소판의 응고를 방해하여 출혈경향을 증가시킨다. 항응고제를 이미 투여 받는 환자의 경우 Aspirin은 항응고 효과를 증가시키므로 주의해야 한다. Aspirin은 항응고요법으로 단독으로 처방될 수도 있다.
Aspirin의 부작용으로는 위자극을 들 수 있다. 음식이나 식사와 함께 복용하면 자극을 줄일 수 있다. Corticosteroids를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는 둘 다 위자극효과가 있기 때문에 함께 투여하지 않는다.
독성의 증상으로 이명, 저트롬빈(thrombin)혈증 등이 있다.
2. Acetaminophen
1) 상품명 : Tylenol
2) 적용
이 약은 para-aminophenol의 유도체이고, phenacetin의 활성유도체이다. 이것은 해열제와 진통제로 쓰인다.
3) 약리학적 작용기전
Acetaminophen은 시상하부의 체온조절에 관계한다.
4) 투여방법
이 약은 구강과 직장좌약으로 투여된다. 용량은 대개 325~650mg을 3~4시간마다 투여한다. 일일 총용량은 2.6g을 초과하지 않는다.
5) 간호적용
신장과 간에 이상이 있는 환자에게는 주의를 요한다. 조혈기관에 영향을 주어 혈액질환을 야기할 수도 있다.
Ⅳ.진통제
앞의 두 가지 약, aspirin과 Acetaminophen은 흔히 사용되는 진통제이다. 특히 morphine 같은 마약제는 의식상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뇌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는 주의를 요한다. 흔히 사용하는 마약제는 codeine이다.
1. Codeine
1) 상품명 : Codeine
2) 적용
Codeine은 진통효과를 가지는 opium alkaloid로 마약이다.
3) 약리학적 작용기전
Codeine은 피질하부 수준의 통증 전달에 관여한다. 따라서 통증으로 인한 불안과 당혹감을 억제한다.
4) 투여방법
Codeine은 경구, 비경구투여가 모두 가능하다. 용량은 대개 3~4시간마다 15~60mg을 투여한다. Codeine은 aspirin, ascriptin, tylenol과 혼합하여 정제로도 사용한다.
5) 간호적용
Codeine은 호흡과 연동운동을 억제한다. 환자가 Codeine을 복용할 때는 폐활량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다. 장기복용한 경우에는 흔히 변비가 생긴다.
Codeine은 중독이 생길 수 있다. Codeine과 상호작용하는 약은 알코올, 중추신경억제제, tricyclic계 항우울제, 항콜린제, 골격근이완제 등이다. Codeine을 처방받고 퇴원하는 환자에게는 Codeine이 졸리게 하므로 이 약을 복용하고 운전을 하면 위험할 수 있다는 사실을 경고한다.
Ⅴ. 치매 치료 약물
1. 뇌혈관 확장제 (Cerrebral Vasodilators)
- 뇌동맥경화증, 뇌경색
- papaverine, Cyclandelate, Isoxuprine, Betahistine, Vincamine 등
2. 뇌기능 촉진제 (Cerebral Metabolic Enhancers)
- 뇌 탄수화물 대사 감소 연관성, 병리 생리기전에 관여
- Dihydroergotoxine, Nafronyl, Vincamine, Pyrithioxine등
3. 뇌기능 증진제 (Nootropics)
- 선택적 뇌기능 증진, 뇌ATP 촉진
- Oxaricetam Aniracetam, Suloctidil 등
4. 콜린제 (Cholinergic Agents)
- Acetylcholine이 감소에 콜린제(Cholonergic Agents)의 투여로 기억과 인지기능을 높인다는 이론
- Cholin and lecithin, Piractam, Physostigmine, Arecoline등
5. Neuropeptides
- lysine Vasopressin 등
6. 정신증상에 관한 약물
- 항정신병 약물, 항불안제, 수면제, 항우울제(알쯔하이머형 치매에서 우울증상 흔함)
Ⅵ. 인지기능 치료 약물
뇌 속에 있는 신경세포 사이의 신호전달의 역할을 하는 아세틸콜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정상인에 비해 많이 떨어져있어 이런 상태가 인지기능 저하와 관계가 있다.
1. 아세틸콜린의 기능 증가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 (acetylcholinesterase)를 억제 시켜 분해를 막아 아세틸콜린 양을 증가시키는 약들이 가장 좋은 치료효과를 보이며 인지기능의 일시적인 호전과 병의 경과를 느리게 할 수는 있지만 병이 진행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1) Tacrine(cognex)
미국(1993) 식품안전 위생국(FDA)에서 최초로 공인.
하루에 4번 투여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간 독성 때문에 현재 사용하지 않음
(2) 아리셉트 (Aricept)
뇌에 선택적으로 작용, 하루에 1번 투여(저녁)
반감기가 70시간으로 작용시간 길음(5㎎~10㎎)
간 독성이 없어 비교적 안전하고 편리하게 투여
약을 투여한 경우 뇌 기능의 심한 저하를 4개월 정도 지연시키는 효과, 5년간 추적 관찰 시에도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남
(3) 엑셀론
기억력이나 기타 인지기능과 관계된 해마와 대뇌 신피질에만 선택적으로 작용
간에서 분해되지 않아 간 독성이 없음
혈장 단백질과의 결합이 낮고, 다른 약물과 상호작용이 낮아 여러 약물을 투여 받는 경우에도 안 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
처음에는 1.5㎎을 하루 두 번 복용, 점차 증량하여 하루의 총량을 6~12㎎으로 유지
(4) 갈란타민
가장 최근에 FDA의 사용승인을 받은 약물
다른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와는 달리 니코틴 수용체를 직접 자극하는 기능
8~12㎎을 하루 두 번 복용
2.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 약물들
1) 비타민 이 (vitamin E)
유해산소를 제거하여 세포를 보호
하루 2000U를 복용하면 알쯔하이머병 환자들의 증상이 늦어져 시설에 들어가는 시기를 늦출 수 있다고 알려져 있음
부작용: 출혈 위험, 위장장애
2) 데프레닐 (Eldepryl)
신경보호 작용, 하루 10㎎을 투여, 불면증의 부작용
3) 은행잎 추출제
혈류순환 개선제와 치매치료제로 한방에서 이용
혈소판 응집억제, 염증감소, 유해산소를 제거하여 신경 보호작용
하루 120~240㎎을 투여, 일부의 환자에게 출혈경향의 부작용
4)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폐경기 이후에 발생하는 화끈거림이나 과도한 땀 분비, 수면이상 등 의 여러 신체적 증상을 줄이고 골다공증을 예방
폐경기 이후의 여성들에게 장기간 투여 시 알쯔하이머병의 발생이 줄지만 차단 효과는 없음
신경세포의 보호작용과 신경세포 성장에 도움
알쯔하이머병이 발생한 다음에는 어떤 효과도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3. 뇌졸중 예방을 위한 약물 요법
혈소판 응집억제제와 항응고제로 이것들은 혈전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며 혈류순환 개선제나 뇌기능 개선제 등과 함께 투여로 남아 있는 뇌세포를 활성화시킴
1) 혈소판 응집억제제(아스피린, 플래빅스, 크리플루잘)
혈소판 기능을 억제하여 뇌경색을 예방하는 약물
뇌졸중 재발방지 효과는 약을 먹고 있는 동안에만 지속되고 약을 끊게 되면 예방효과 가 사라지 므로 평생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필요
2) 항응고제 (플라빅스, 와파린)
심장이나 목 부위의 큰 혈관에서 혈전이 생긴 뒤 떨어져 나와 혈관이 막히는 색전증에 주로 사용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는 효과가 뛰어나나 출혈의 위험성이 있어 상태가 좋지 않거나 너무 나이 가 많은 노인들에게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함
Ⅶ. 신경과 주요약물의 종류 및 부작용
1. 항파킨슨제(Antiparkinsonian Agents)
프로이머 정(procyclidine Hcl 5㎎) 빈맥, 저혈압
마도파정 (Levodopa 200㎎) 오심, 구토, 불면
피케이멜즈 (Amantadine sulfate 100㎎) 불안, 보행실조
유멕스 (Selsgiline Hcl 5㎎) 구갈, 수면, 시야장애
씨랜즈정 (Pergolide mesylate 326㎎) 근육경련, 피로, 오심, 구토, 설사
2. 근이완제(Skeletal Muscle Relaxants)
에코시나 (Thiocolchicoside 4㎎) 오심, 구토, 설사, 혈뇨
바클로펜정 (Baclofen 10㎎) 두통, 졸음, 저혈압, 호흡
실다루스정(tizanidine hcl 1㎎) 졸음, 갈증, 위. 간장장애
3. 순환개선제(Circulatory Improvement Agents)
징코민정(Ginko bibloba extract 80㎎) 두통, 복부불쾌, 알러지
펜톡신서방정(pentoxifylline 400㎎) 발진, 소양, 혈압저하
케타스캡슐(ibudilast 10㎎) 발진, 소양, 심계항진
4. 항정신성약물 및 Major 트란퀼라이저
리스페달정(risperidone 500㎍) 불면, 현기증, 타액
자이프렉사정(olanzapine 10㎎) 정좌불능, 지속발기, 광과민
페리돌정(haloperidol 5㎎) 추체외로증상, 발한, 유즙분비
5. 정신부활약(Nootropic & Neurotonics)
니세틸정(acetyl-l-carnitin HCL 500㎎) 흥분작용
6. 항응고제 (Anticoagylants)
플라빅스정(clopidogrel 75㎎) 출혈, 설사, 복통, WBC
와파린나트륨(Warfrarin sodium 2㎎) 출혈, WBC
7. 항혈전, 혈소판응집억제제(Antithrombotics, Antiplatelet agents)
아스트릭스캅셀(aspirin enteric coated 121㎎) 이명, 현훈
티날핀(ticlopidine HCL 250㎎) 과민증, 간기능
8. 항경련제(Anticonvulsants)
리보트릴정(clonazepam 0.5㎎) 운동실조, 구음장애, 복시, 혈소판
뉴론틴캅셀(gabapintin 300㎎) 운동실조, 오심, 구토, 고혈압, 관절통
오르필서방정(sodium zalporate 300㎎) 구토, 설사, 백혈구&혈소판
페니토인정(phentoin 100㎎) 불수의 운동, 어지러움, 불면, 구음장애
9. 우울증 및 삼환계 항 우울제
트리티코정(trazodone HCL 25㎎) 발기지속, 알러지, 혈압완화
익셀캅셀(milnacipran HCL 50㎎) 다한, 안면홍조, 배뇨곤란
에트라빌정(amitriptyline HCL 10㎎) 항콜린효과, 운동마비, 기립성저혈압
졸로푸드정(sertraline HCL 50㎎) 갈증, 오심, 구토, 설사, 어지럼증, 사정지연
푸로작캅셀(fluoxetine HCL 20㎎) 불안, 신경과민, 불면, 체중감소
10. 수면진정제 및 신경안정제(Hypnotics&Sedatives, minor tranquilizer)
아졸락(alpraxolam 250㎍) 경련, 현훈 ,오심, 구토, 설사, 변비, 자율신경장애
스틸녹스(zolpidem tartrate 10㎎) 전율, 넘어짐, 야간깨어남
바스캄(midazolam 5㎎) 기관경련, 근강직, 지각이상, 복시, 언어곤란
로라반정(lorazepam 1㎎) 이명, 보행실조, 시야몽롱, 소양증
졸민정(triazolam 0.125㎎) 의존 및 금단증상, 시각장애, 빈맥, 우울
부스파정(buspirone HCL 5㎎) 흉통, 고/저혈압, 이명, 수면장애
<참고문헌>
1. 신경계간호학(간호진단적용) 김금순 외 4명, 1992년, 서울대학교 출판부.
2. 서울대학교 가정전문간호과정, 200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