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cafe.naver.com/godnjf12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dkdehd63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guriever.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Å日月眞人 明 선생님Ω
♧마지막 구세주(救世主) 황발(黃髮: 明 선생님)♧
【인천(仁川) 중앙동(中央洞) 자유공원 작은 정자 옆에 있는 큰 정자(大亭:석정루石汀樓)黃宮】
【 鄭道令 (明 선생님)은 1946년 병술년(丙戌年)(음력 12월 대한민국 수도 서울 용산(龍山)에서)
해월(海月) 황 여일(黃 汝一) 선생 후손(後孫)으로 재림(再臨)하셨다 】
【Ω】 신심시경가(信心時景歌)
어화세상(御化世上) 사람들아 이내(台乃) 노래 들어보소.
산중(山中)에 무력일(無曆日)하야 서북풍(西北風) 찬바람에 백설(白雪)이 분분키로 때가 지난줄 몰랐더니 "동남(東南)에 부는 바람 품안으로 돌아드니 아마도 살피건대 이아니 춘절(春節)인가"
때 운수(運數) 이렇기로 영주봉래【瀛洲蓬萊】 조은 경(景)의 세념(世念)을 던져두고 유수(流水)같은 광음(光陰)따라 무사한정(無事閑情) 논하다가 우연(偶然)이 잠을 깨어 오는 운수(運數) 수질(數質)하고 우주(宇宙)에 비켜서서 두루두루 살펴보니 때 운수(運數) 가관(可觀)일세.
정이월(正二月) 해동시(解凍時)가 천일생수【天一生水】 흐르는 물은 동남(東南)으로 흘러가고 벽계(碧溪)에 푸른 버들 잠시춘(暫時春)을 자랑하니 그도 또한 가관(可觀)이나 사야(四野)를 굽어보니 떼 많은 갈가마귀 수(數) 많은 의세(依勢)하고 저희끼리 작당(作黨)하여 이리 놀고 저리 뛰고 저리 놀고 이리 뛰어 두서(頭緖)없이 뛰놀더니 그 운수(運數)가 변(變)해뜬가 이 운수(運數)가 돌렸던가.
춘풍【春風】 삼월(三月) 돌아온가 삼월(三月) 삼일(三日) 이땔런가.
소상강(瀟湘江) 떼 기러기 남천(南天)의 논이다가 서북(西北)으로 돌아드니 천지궁활【天地弓活】 좋은 땐가 그도 또한 가관(可觀)이요 또 한 곳 바라보니 강남(江南)의 저 현조【玄鳥】는 천지(天地) 현황【玄黃】우로중雨露中에 주인은공(主人恩功) 갚으려고 현황제【玄黃帝】에 봉명【奉命】하고 주인【主人】집을 찾아갈제 봉서【封書】를 입에 물고 허공(虛空)에 훌쩍 날아 백운(白雲)을 박차고 흑운(黑雲)을 무릅쓰고 중천中天에 훨훨 날아 주인【主人】집을 찾아들어 고정(故情)을 설화(說話)하고 봉서(封書)를 전(傳)해주니 그 주인【主人】 거동擧動보소.
반가운 중(中) 즐거워서 그 봉서【封書】 떼여보니 그 글에 하였으되 천지정명【天地定命】 하였으니 능성대업【能成大業】 하라하고 명명明【明】이 전傳했으니 흥부(興夫)의 어진 마음 낙중우락【樂中又樂】 안일런가!!
청조전어 (靑鳥傳語)백안공서(白雁貢書)의 신장공사도(信章公事圖)
그일 저일 보자 하니 그도 또한 가관(可觀)이요
일출창명(日出滄溟) 그땔런가 만첩산중(萬疊山中) 깊은 곳이 효행(孝行)있는 저 가마귀 부모은공(父母恩功) 갚으려고 반포(反哺)뜻을 머금고서 훨훨 날아 돌아드니 떼만은 갈가마귀 봄 눈 같이 싫어져서 흔적(痕迹)없이 되는구나 양류춘(楊柳春)이 다 했던가.
춘풍【春風】 삼월【三月】 호시절【好時節】에
이리저리 낙화(落花)되어 헤지나니 양류서(楊柳絮)요 깨지나니 돌중이라.
그 운수(運數)는 그러하나
춘말하초【春末夏初】 돌아온가 성운성덕【聖運聖德】 그 가운데 운수운자(運數運子) 때를 따라 성실자【成實者】가 청림【靑林】일세.!!
두루두루 살피나니 사시성쇠(四時盛衰) 그 가운데 질대지수(迭代之數) 롭도다.
록수청림【錄樹靑林】 조은 경(景)에 은거(隱居)하던 저 선비들 십년등하(十年燈下) 근독(勤讀)하여 백가시서(百家詩書) 외어내니 무불총지(無不銃知) 안일런가.
이와 같이 어진선비 선왕고례【先王古禮】 잃지 않고 삼강오륜(三綱五倫) 밝혀내어 인의예지(仁義禮智) 베풀어서 의기이자(義氣二字) 발(發)하오니 충군효부(忠君孝父) 그 아니며 명명기덕【明明其德】 안일런가.
그는 또한 그러하나 천상오운(天上五雲) 저 노학【老鶴】은 생자장양(生子長養) 몇 일련고 비거비래(飛去飛來) 그 때 일런가 학(鶴)의소리 자주나니 신선(神仙) 볼 날 가까운가 그도 또한 의심(疑心)이요 벽상오동(壁上梧桐) 집흔 가지(柯枝) 문채(文彩) 조은 저 봉조【鳳鳥】는 오색채의(五色彩衣) 떨쳐입고 오음성(五音聲)을 고루 내어 시절가(時節歌)를 베풀어서 자주 자주 우지지니 태공선생(太公先生) 뵈려니와 주문왕(周文王)이 가까운가 그도 또한 의심(疑心)이요
만첩산중【萬疊山中(央)】 청림처【靑林處】에 지혜(智慧)조은 저 맹호(猛虎) 때를 따라 출림(出林)하니 고종풍(故從風)이 그 아니며 천사맹장【天使猛將】오실 땐가. 그도 또한 의심疑心이요
"사해운중(四海雲中) 깊은 곳이 복덕용【福德龍】이 구름 이뤄 오색단청【五色丹靑】 둘러놓고 황하수【黃河水】를 자아 올려 운행우시(雲行雨施)하랴하니 제세창생(濟世蒼生) 때가 온가." 그도 또한 의심疑心일세.
어화세상(御化世上) 사람들아
무성무취【無聲無臭】 현묘지기【玄妙之氣】 허중유실【虛中有實】 이러하니 의심(疑心)말고 깨달아서 불고천명(不顧天命) 부디 말고 순수천리(順隨天理) 하여내야 가는 운수(運數) 던져두고 오는 운수(運數) 맞춰보세.
동자【童子】 불러 잔질해서 새 봄 소식(消息) 맡게 되면 삼십육궁(三十六宮) 그 가운데 가지가지(柯枝柯枝) 꽃송일세.
때 운수(運數) 그러하니 의심(疑心)말고 파혹(破惑)해서 시킨 대로 시행(施行)하소.
이내교훈(台乃敎訓) 안 듣고서 허황지심(虛荒之心) 못 이기어 의심의자(疑心疑子) 주장(主張)타가 미래지사(未來之事) 같잖으면 수원수구(誰怨誰咎) 뉘 한(恨)하며 후회막급(後悔莫及) 어찌할꼬 많고 많은 저 사람들 닦은 대로 다 될 테니 의심(疑心)말고 가자 서라 나도 또한 이(世上)에 양의사상(兩義四象) 품기(稟氣)해서 신체발부(身體髮膚)받은 몸이 자고성현(自古聖賢) 본(本)을 받아 전수심법(傳授心法) 밝혀내어 수련성도(修煉性道) 하다가서 천원지방(天圓地方) 깨닫고서 사시성쇠(四時盛衰) 알았거든 오는 운수(運數) 모를손가 오는(運數) 알았기로 이와 같이 전(傳)해 주니 부디부디 잊지 말고 이내교훈(台乃敎訓) 생각(生覺)하소 우자천려(愚者千慮) 그 가운데 필유일득(必有一得) 되게 되면 그 아니 기쁠 손가 세상(世上)일이 이러므로 난지이(難之而) 유이(有易)하고 이지이(易之而) 난(難)인 줄을 깨닫고 깨달으소 무성무취(無聲無臭) 현묘지기(玄妙之氣) 사람마다 다 알손가 아는 사람 많지마는 지이불행(知而不行) 또 있으니 행(行)할 사람 몇몇인고 자고이치(自古理致) 그러하니 이일 저일 요도(料度)하와 부디 부디 잊지 말고 의혹지심(疑惑之心) 다 버리고 믿을 신자【信字】 주장主張하소.
이치이자(理致理字)이러므로 자고성현【自古聖賢】어진마음 명명기덕【明明其德】 하올 적의 삼강오륜【三綱五倫】 그 가운데 붕우유신【朋友有信】 마련(磨鍊)하여 인의예지【仁義禮智】 나타날 때 믿을 신자【信子】 주장(主張)일세.
이치이자(理致理字) 그렇기로 대장부(大丈夫) 지혜범절(智慧凡節) 염치중(廉恥中)에 있었으니 예(禮)없으면 어디 나며 대장부(大丈夫) 의기범절(義氣凡節) 신(信)없으면 어디 날꼬 이와 같이 전(傳)했으니 믿을 신자【信字】 주장(主張)일세.
작심(作心)으로 불변(不變)하고 일심(一心)으로 믿게 되면 내성군자(乃成君子) 안일런가.
부디부디 잊지 말고 믿을 신자【信字】 주장(主張)하소.
어화세상(御化世上) 사람들아 이내교훈(台乃敎訓) 잃지 말고 믿을 신자【信字】 주장(主張)삼아 오는 운수(運數) 비(比)해 보소.
춘풍【春風】 삼월【三月】 호시절【好時節】에 만물화창(萬物和暢)한다 해도 잎에 동풍(東風) 소소(蕭蕭)치면 석자세치 땅이 타네 많고 많은 그 나무 가지가지(柯枝柯枝) 꽃이 피고 잎이 핀다 이름하되 동삼삭(冬三朔)에 병(病)이 들어 음기(陰氣)에 삭은 가지(柯枝) 꽃이 피며 잎이 필까 무가내(無可奈)라 할 길 없네 광풍(狂風)에 누운 나무 봄 비와도 썩느니라.
봄 소식(消息)은 갔건마는 어떤 나무 화창(和暢)한데 어떤 나무 저러하며 한 나무 가지(柯枝)건만 어떤 가지(柯枝) 무성(茂盛)하고 어떤 가지(柯枝) 삭았는가.
『믿을 신자【信字】 주장(主張)하고 자세자세(仔細仔細)살펴서라.
때 운수(運數)좋거니와 닦아야 도덕【道德】이라』
일선생【一先生】 한 제자(弟子)로 동동학미(同同學味) 같거니와 불신지의(不信之意) 전(專)여 두고 교훈시행(敎訓施行)아니하다 자작지얼(自作之孼) 모르고서 날로 보고 원망(怨望)할가 그도 또한 염려(念慮)오나 수원수구(誰怨誰咎) 할 곳 없다 자고이치(自古理致) 일반(一般)이니 너의 심량(深量) 다시 하여 허중유실(虛中有實) 깨닫고서 당당정리(當當正理) 살핀 후(後)에 믿을 신자【信字】 주장(主張)하면 만혹파거(萬惑罷去) 될 것이니 만혹파거(萬惑罷去) 되게 되면 교훈시행(敎訓施行) 못 할손가 일심一心으로 믿었어라 교훈시행(敎訓施行) 잘 하오면 밝아 오는 이 운수(運數)에 어느 누가 안 밝을까 이런 운수(運數) 모르고서 교훈시행(敎訓施行) 아니하고 자행자지(自行自止) 하다 가는 부지하경(不知何境) 될 것이니 깨닫고 깨달아서 믿을 신자【信字】 지켜내어 후회(後悔) 없게 하였어라.
나도 또한 이(世上)에 잔견박식(淺見薄識)없이 남아 이내(台乃)좁은 소견(所見)으로 운수관계(運數關係)하는 법(法)은 전후사적(前後事蹟)없는 고(故)로 졸필졸문(拙筆拙文)지어내어 이와 같이 전(傳)해 주니 만단호의(萬端狐疑)두지 말고 숙독상미(熟讀詳味)하여내어 교훈시행(敎訓施行)잘하시오.
이글 저글 살펴보면 글도 역시(亦是) 무궁(無窮)이오
말도 역시(亦是) 무궁無窮이니 무궁(無窮)한 그 이치(理致)를 일일一一이 알고 보면 의심의자(疑心疑字) 있을손가의심의자(疑心疑字)없게 되면 "믿을 신자【信字】" 그 안인가 믿기만 믿을 진대 그 아니 운수을(運數乙)는가
자고성현【自古聖賢】 말한대도 신지이자【信之二字】 주장主張일세.
믿을 신자【信字】 이와 같이 소중【所重】키로 붕우유신【朋友有信】 하자하고 일일효유(一一曉諭)하거니와
아는 사람 믿을게요 모른 사람 모를게니 그도 또한 운수(運數)로다
많고 많은 그 사람들 “명명기운【明明其運】 각각【各各】 명【明】을” 한(恨)할 것이 없거니와 천지정위(天地定位) 갱명지운(更明之運) 수명간천(受命于天) 먼저 하여 원형이정(元亨利貞) 안 연후(然後)에 시운시변(時運時變) 밝혀내어 이와 같이 전(傳)해 줌은 경천순천(敬天順天) 그 가운데 선각자(先覺者)의 행실(行實)이라.
사람 행실(行實) 그러키로 천지신령【天地神靈】어진마음 호생지덕(好生之德) 봉명(奉命)하와 광제창생(廣濟蒼生) 하자하고 “고성현【古聖賢】의 본【本】을 받어 붕우유신【朋友有信】 먼저 두고” 진선진미(盡善盡美) 효유(曉諭)하여 일일근학(一一勤學) 하거니와 호호망망(浩浩茫茫) 넓은 천지(天地) 많고 많은 그 사람들 성쇠지운(盛衰之運) 뉘 알손가 성운성덕(盛運盛德) 그 가운데 운수(運數)있는 그 사람은 운수(運數)따라 믿을게요 성(盛)한 운수(運數) 다 진(盡)하고 쇠(衰)한 운수(運數) 오는 사람 믿으라니 믿을 손가 이일 저일 보게 되면 한탄(慨歎)할 것 없지마는 위선(爲先)에 보는 도리(道理) 애달(愛怛)하기 측량(測量)없네 날로 믿고 그러한가 나는 도시(都是) 믿지 말고 하늘님만 믿었어라
네 몸의 모신 마음 유일집중(惟一執中) 못하고서 믿을【信字】 다 버리고 교훈시행(敎訓施行)어기오니 그런 도리(道理) 어디 있나 옛일을 본다 해도 요지일언(堯之一言) 순(舜)이 집중(執中) 하여있고 순지삼언(舜之三言) 우(禹)가 집중(執中) 하였으되 믿을【信字】 주장主張일세.
믿지 않고 집중(執中)할가 이치이자(理致理字) 이러므로 자고이래(自古以來) 인도중(人道中)에 믿을【信字】 주장主張일세. 이러한 줄 모르고서 어찌 그리 못 깨닫누
“생이지지(生而知之) 공부자(孔夫子)도 헌장문무【憲章文武】 하셨다고 명【明】 명【明】이 전【傳】한 말씀 그도 또한 믿을【信字】안일런가”
그 말씀이 지금(至今)까지 전(傳) 했으니 문자시행(文字施行) 아니할까 문자시행(文字施行) 믿지 않고 안 행(行)하면 상률천시【上律天時】어찌하며 하습수토【下襲水土】어찌할꼬.
군의신충(君義臣忠) 한다 해도 믿을【信字】 주장主張이오
부자자효(父慈子孝) 한다 해도 믿을【信字】 주장主張이오
사제지의(師弟之誼) 말한대도 믿을【信字】 주장主張일세. ※ ― 【土 : 黃】
많고 많은 세상(世上)사람 천하만사(天下萬事) 행(行)한대도 믿지 않고 행(行)할 손가 믿을 땅에 안 믿으면 앙급기신(殃及其身) 하나니라 이 이치(理致)를 자세(仔細)알고 믿을 땅은 믿었어라.
스승 교훈(敎訓) 전(傳)한 말을 진심(眞心)으로 믿게 되면 성운성덕(盛運盛德) 그 안인가
그는 또한 그러하나 믿을 신자【信字】 말한대도 믿을 신자【信字】 여럿일세 진심(眞心)으로 아니 믿고 원형이정(元亨利貞) 모르고서 물욕(物慾)의 교폐(交蔽)되면 이도 역시(亦是) 비루자(鄙陋者)요 헛말로 믿는다 일음하고 어진친구(親舊) 유인(誘引)하면 이도 역시(亦是) 혹세자(或世者)요 안으로 불량(不良)하고 겉으로 믿는다고 꾸며내는 그 사람은 기천자(欺天者)가 그 안인가.
사장(師長)못한 차제도법(次第道法) 저 혼자 알았으니 믿을 것이 어디 있나 이 세상(世上) 풍속(風俗)됨이 각자위심(各自爲心) 안일런가 저와 같이 아는 사람 날 볼 낯이 어디 있나 애(愛)달하기 다시없다 이일 저일 깨달아서 불신지의(不信之意) 다 버리고 믿을 신자【信字】믿었어라.
동포천지(同胞天地) 많은 사람 각수기직(各守其職) 잃지 말고 차서분별(次序分別) 제차(第次)차려 교훈문자(敎訓文字) 믿었어라.
스승 교훈(敎訓) 안 믿으면 자행자지(自行自止) 되었으니 사제지분(師弟之分)있을쏜가
사제지분(師弟之分) 없었으니 오륜삼강(五倫三綱) 지킬 손가
삼강오륜(三綱五倫) 못 지키니 인의예지【仁義禮智】 있을 손가
인의예지【仁義禮智】 못 지키니 믿을 것이 무엇인고 망창한 저 소견(所見)의 인의예지【仁義禮智】 조은 법(法)이 신【信】인 줄을 어찌 그리 모르고서 스승교훈【敎訓】 다 어기고 믿을 신자【信字】무엇인고 저와 같이 믿었으니 오는 운수(運數) 제 알손가 저의 소견(所見) 그러키로 부모【父母】의 가르침을 아니 듣고 낭유(浪遊)하면 금수(禽獸)에 가깝고 자행자지(自行自止) 되나니라.
명【明】 명【明】이 전(傳)했건만
어찌 그리 못 깨닫고 저와 같이 애(愛)달한고 탄식(歎息)하기 괴롭도다.
이내교훈(台乃敎訓) 거울하여 붕우유신【朋友有信】일렀으니 신지이자【信之二字】 지켰어라.
운수(運數)야 좋건마는 어찌 그리 매몰(埋沒)한고 고성인(古聖人)의 하신말씀 유죄무죄(有罪無罪) 유아재(惟我在)는 신불신(信不信)을 일음이니 자세(仔細)보고 믿었어라.
“산하대운【山河大運】 진귀차도【盡歸此道】 온다 해도 기원(其源)이 극심(極深)하고 기리심원(其理甚遠)이라”
일렀으되 재덕(在德)이오 부재어인(不在於人)이오 재신(在信)이오 부재어공(不在於工)이오 재성(在誠)이오
부재어구(不在於求)라 불연이(不然而) 기연(其然)이오 사원이비원(似遠而非遠)이라 전(傳)한 말이 도시(都是)다.
【上帝之子斗牛星 西洋結寃離去后 登高望遠察世間 二十世後今時當 東方出現結寃解】
【만사이황발(萬事已 黃髮 ) 잔생수백구(殘生隨 白鷗 )】
♧ 청림도사(靑林道士) 明(黃) 선생님 ♧
해월종택(海月軒): 봉황이 알을 품는 형국으로 풍수학상 강릉 이남 최고의 명당(明堂)
경북 울진군 기성면 사동리 433 (해월헌길70번지)
A Comme Amour Piano Music 30 minute loop | relaxing music ...
|
첫댓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