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연합신문=문석주 기자]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는 작년 5세 누리과정 제정(’11.9.5)에 이어 3, 4세 누리과정을 제정하여 만 3세부터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고시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만 5세에게만 적용되던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누리과정이 만 3~4세까지 연계된 공통과정으로 완성됨으로써 3~5세 유아 모두가 생애초기의 공정한 출발선을 보장받게 될 전망이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은 금년 1월, 정부 합동으로 만 5세에 이어 만 3~4세 유아에게도 양질의 교육과 보육을 제공하기 위해 ‘3~4세 누리과정’을 도입 한다는 계획 발표(’12.1.18) 이후, 관련 TF, 공청회, 심의회 등 관계자와 학부모 및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마련한 것이다.
이에 따라 내년 3월부터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어디에 다니든지 만 3~5세 어린이는 국가수준 공통과정으로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동일하게 제공받게 된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은 만 3~5세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연령별로 구성하되, 발달 특성상 연령 구분 없이 공동으로 제시된 경우에는 교수·학습방법 및 난이도를 조정하여 활동하게 된다.
심신의 건강과 조화로운 발달을 도와 바른 인성을 갖춘 민주시민의 기초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은 0-2세 표준보육과정 및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강화했다.
특히 바른 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기본생활습관을 강조하고, 남을 배려하고 존중하며, 더불어 함께하는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하여 ‘누리과정부터 인성교육을 강화’했다.
이는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폭력이 유아기의 사소한 따돌림 등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고, 초·중·고교에서의 폭력성으로 습관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건강한 몸과 마음을 기르도록 다양한 신체활동 참여를 강화하고, 유아 단계에 맞는 인터넷·미디어 중독 예방, 녹색성장교육 및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 등의 내용도 추가했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은 1일 3~5시간을 기준으로,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편성·운영 할 수 있도록 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공통과정을 최대한 충실히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는 내년 3월에 누리과정을 현장 적용할 수 있도록 ’13년 2월까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해설서와 지침서, 교사용 지도서 등을 개발·보급하고, 담당교원 연수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07-09(월)조간보도자료(3-5세_연령별_누리과정_제.개정_고시).hwp
문석주 기자 msj@eduyonhap.com
만 3~4세 유아도 공통 누리과정 배운다 | |
강원일보 2012.7.9. | |
교과부·복지부 고시 내년 3월부터 적용 기본생활습관 지도·바른 인성교육 강화 내년 3월부터 유치원·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4세 유아도 교육·보육 공통과정인 `누리과정'에 따라 같은 내용을 배운다. 이로써 만 5세에 이어 3, 4세 어린이까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면 국가 수준의 공통과정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는 8일 지난해 5세 누리과정 제정에 이어 3~4세 누리과정을 제정해 만 3세부터 5세를 대상으로 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고시했다. 5세 과정은 이번에 일부 개정됐다. 고시문에 따르면 연령별 누리과정은 만 3∼5세 아동이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통해 기본 생활습관과 바른 인성을 기르는 데 중점을 뒀다. 또 자율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전인발달을 이루며 사람과 자연을 존중하고 우리 문화를 이해하도록 했다. 0∼2세 표준보육 과정 및 초등학교 교육 과정과의 연계성도 고려해 짜였다. 전 영역에서 남을 배려하고 존중하며 함께 하는 활동을 강조해 인성교육을 강화했다. IT기기 확산, 다문화가정 증가 등에 따라 인터넷·미디어 중독 예방, 녹색성장 교육 및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 등의 내용도 추가했다. 교과부와 복지부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해설서와 지침서, 교사용 지도서 등을 개발·보급하고 담당교원 연수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도교육청은 3~5세 누리과정의 독립적이고 체계적인 유아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춘천 원주 강릉 각각 2곳, 동해 속초 태백 각각 1곳 등 총 9곳의 단설유치원 설립을 추진중이다. 황형주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