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역사문)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단대
    2. 대종교천부경학회
    3. 슬픈고양이
    4. buff
    5. 1학년
    1. 솜소밍
    2. 상앙
    3. 고니24
    4. 빨강머리앤
    5. SAC현욱
 
 
카페 게시글
고구려 토론방 고구려어와 일본어
yuki 추천 0 조회 340 04.11.14 13:54 댓글 1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4.11.14 15:00

    첫댓글 60 년대 이기문 씨 학설 같아 보이는데 수서인가에 고구려와 백제의 언어와 의복이 같다고 기록된것을 어떻게 설명하려는지 궁금하군요.

  • 작성자 04.11.14 17:14

    솔직히 그것때문에 긴가 민가 합니다 고구려와 일본어의 비교보다는 백제어가 일본어에 가까워야하는데 그리고 백제지배층은 부여계인데 왜 한어로 표현된는지 지배층과 피지배층과 다른것인지(믿지는 않치만) 솔직히 저같은 아마추어는 어려운 이야기지요 .....쩝쩝

  • 작성자 04.11.14 15:54

    추가로 그프로그램에 고구려어,백제어, 신라어의 비교가 나옴니다 보시고 각자 판단을

  • 04.11.14 16:31

    고구려어와 일본어간에 보이는 유사성이 백제어와의 관련을 잘못 본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은 계속 제기되어 왔습니다. 지금 이기문의 학설은 단지 그가 서울대학교수라는 것 그리고 그 제자가 많다는 것 이외 별 설득력이 없습니다. 같은 서울대학의 김방한 교수는 좀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죠.

  • 04.11.14 16:34

    백제의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언어가 달랐다는 것은 일본학자가 주장한 이래 역시 경성제국대학 교수들에 의해 신주단지 모시듯이 신봉되어왔죠. 그러나 수서는 백제건국후 거의 600년 후의 기록인데 세계역사상 지배층과 피지배층이 600년씩이나 다른 언어를 유지한 예가 거의 전무합니다.

  • 04.11.14 16:37

    그나 저나 이 방송이 거의 한달전에.. 내 "기술"을 발휘해서 받으려 갔더니 저속밖에 없군요. 피디박스는 눈물나오게 느리거든요(보통 1KB/sec). 에휴. 그나마 유키님 없으면 못받을 뻔 했으니.. 이런 흥미로운 방송이 있었다는 것을 나는 왜 몰랐을까....

  • 작성자 04.11.14 17:17

    어 이상하다 왜 이렇게 피디 박스 속도 가 ......

  • 04.11.14 19:54

    유치한 질문일지도 모르지만 ^^;; 궁금한것이 있는데 만약 현재의 사람과 과거의 사람 가령 고구려 사람과 시공간을 넘어 만난다면 대화가 통할까요? 생소한 단어가 많네요

  • 04.11.15 03:05

    제가 일본문학 전공자라서여..숫자 말인데여 3은 밋쯔나 산 이라고 하구여, 5는여 고나 이츠츠라고 하구여.. 7은 시치나 나나라고 하구요, 10은 보통 쥬우라 토우라고 하는데..제 생각에는 비교가 부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3이나 5는 저렇게 읽지 않습니다. ^*^

  • 04.11.15 03:11

    그리고 샘 말인데여 이리라는 단어는 일일사전에 존재하지 않구여..방금 찾아봤거든여, 보통 이즈미라고 합니다. ^*^ 발상이나 시도는 좋았는데 좀 더 정확은 분석을 했으면 좋겠군여^*^..

  • 04.11.15 12:04

    위 표에 있는 것들은 고대 일본어나 중기 일본어를 기준으로 한것일 겁니다. 그리고 이리 는 연개소문 표기에도 나오죠. 한가지 아쉬운것은 일본어와 연관성을 무리하게 지으려다 보니 우리말에 더 가까운 단어가 있는데 무시해버린것 등등. 우리말로는 울 입니다(울+물 -> 우물 개울 등등)

  • 04.11.15 12:22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