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미일. 금나라에서 태주관내관찰사(泰州管內觀察使) 완안병(完顔昺)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을유일. 금나라 사신을 위해 대관전(大觀殿)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 2월
임술일.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은퇴한 김약온(金若溫)이 죽었다. 갑자일. 왕이 외제석원(外帝釋院)에 행차했다. 갑술일. 진경보(陳景甫)를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상장군(上將軍)으로, 윤진(尹珍)을 병부상서(兵部尙書)·상장군으로 각각 임명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인종 18년(1140) 경신년 (국역 고려사: 세가, 2008. 8. 30.,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첫댓글 감사합니다
국역 고려사 : 세가
인종 18년(1140) 경신년
• 18년 봄 정월
계미일. 금나라에서 태주관내관찰사(泰州管內觀察使) 완안병(完顔昺)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을유일. 금나라 사신을 위해 대관전(大觀殿)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 2월
임술일.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은퇴한 김약온(金若溫)이 죽었다.
갑자일. 왕이 외제석원(外帝釋院)에 행차했다.
갑술일. 진경보(陳景甫)를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상장군(上將軍)으로, 윤진(尹珍)을 병부상서(兵部尙書)·상장군으로 각각 임명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인종 18년(1140) 경신년 (국역 고려사: 세가, 2008. 8. 30.,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한국고전용어사전
상서우복야
[ 尙書右僕射 ]
고려 시대 상서도성(尙書都省)•상서성(尙書省)의 정2품 벼슬. [참고어] 상서성(尙書省).
[네이버 지식백과] 상서우복야 [尙書右僕射]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