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S Code | 상세 명칭 |
HS Code 330610 | 치약 |
HS Code 330690 | 구강 청결제 |
HS Code 330620 | 치실 |
HS Code 960321 | 칫솔 |
□ 중국 일상용 구강용품 시장동향
ㅇ 중국 소비자의 구강용품에 대한 수요 증가
- 유로모니터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전체 구강용품은 6년 동안 증가하고 있으며, 2012년의 248억8700만 위안에서 2017년 352억400만 위안로 41.5% 증가했으며 연평균 7.2% 증가한 수치임.
중국 전체 구강용품 시장 규모
(단위: 백만 위안)
자료: 유로모니터
- 유로모니터의 데이터에 따르면 구강용품의 2012년 대비 2017년 증가율은 각각 구강청결제 76.2%, 치약 43.3%, 치실 42.4%, 칫솔 34.9%, 치아 미백제 27.9%임.
2017 중국 구강용품 품목별 비중
자료: TAOBAO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중국 치약 판매액은 6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2년 177억8900만 위안에서 2017년 254억8400만 위안으로 약 43% 증가했음.
- 또한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중국 치약 판매액 기준 중국 소비자가 치약을 선택할 때 미백관리, 구취제거, 민감성 등 기능성 제품의 선택 비중 등이 높다고 밝힘.
자료: TAOBAO
□ 중국 구강용품 관련 이슈 및 소비자군 다양화
ㅇ 2017년 한국의 아모레퍼시픽 치약의 유독성 물질 검출 의혹을 중국 여러 매체에서 크게 다루며, 치약 유해 성분 관심도가 높아짐.
ㅇ 2018년 중국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 3·15 완후이()방송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 등 수입산 칫솔이 중국 표준에 불합격으로 판정됐으며 불합격된 칫솔 제품이 51만 6000개나 된다고 밝힘. 또한 2017년 주해출입경검역국에서는 수입산 유아용 칫솔의 중국 규격 합격률이 70%이며, 불합격 제품의 대부분은 한국과 일본, 호주라고 밝힘.
ㅇ 세분화된 중국 소비자 군에 따른 시장 다각화 필요
- 2017중국유아구강보호백서《2017中国儿童口腔护理白皮书》의 발표에 따르면 60% 이상의 가정의 자녀가 구강 관련 문제가 있으며, 5세 환자 기준 충치 발생률은 66%에 달한다고 밝힘. 또한 중산계층의 증가에 따라 2020년까지 유아 충치 예방 및 치료 구강용품 시장이 50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측함.
- 중상산업연구원 데이터에 따르면 2013년 이후 중국 60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7년 노인인구는 2억4000만 명으로 중국 전체 인구의 17.3%를 차지했음. 앞으로 노인 인구는 새로운 소비자 군으로 등장함.
□ 경쟁동향
ㅇ 유로모니터의 2017년도 소매대상 구강용품 중국 브랜드 이용도에 따르면 현재 구강관리용품 시장점유율 1위는 14.9% Procter & Gamble사로 1988년 중국 광저우에 첫 협자 기업을 설립 이후 중국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Colgate Palmolive사와 Hawley & Hazel Chemical사가 각각 14.7%와 14.3%를 차지하고 있음.
- 시장의 주요 브랜드는 Darlie(14.3%), Crest(13.0%), Yunnan baiyao(12.6%), Colgate(12.4%), Saky(7.3%), Zhong hua(5.8%), Lesening(3.0%), Bamboo Salt(2.6%), Cnice(2.2%), Sensodyne(2.2%)임.
□ 수입 규모 및 동향
품목별 구강일용품 수입량
(단위: 천 달러)
품목명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치약 | 33,605 | 37,735 | 86,476 | 133,278 | 144,081 | 193,854 |
구강청결제 | 13,199 | 11,508 | 18,155 | 29,583 | 34,509 | 39,201 |
칫솔 | 29,508 | 37,086 | 46,276 | 54,509 | 62,924 | 80,103 |
치실 | 2,128 | 2,988 | 3,850 | 4,671 | 5,859 | 8,593 |
전체 | 78,440 | 89,317 | 154,757 | 222,041 | 247,373 | 321,751 |
자료:KITA
중국의 구강용품 수입동향(HS Code 3306 기준;)
(단위: 천 달러)
순위 | 국가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1 | 일본 | 4,659 | 8,662 | 19,675 | 32,097 | 39,964 | 55,357 |
2 | 태국 | 14,399 | 16,581 | 28,839 | 30,360 | 36,039 | 37,259 |
3 | 미국 | 9,526 | 7,347 | 14,194 | 22,805 | 24,451 | 35,302 |
4 | 한국 | 4,857 | 6,130 | 17,579 | 37,064 | 25,890 | 32,783 |
5 | 독일 | 2,289 | 1,660 | 3,236 | 10,977 | 7,384 | 14,958 |
6 | 이탈리아 | 116 | 939 | 3,538 | 7,618 | 15,260 | 14,145 |
7 | 프랑스 | 399 | 720 | 688 | 1086 | 2,897 | 8,217 |
8 | 대만 | 2,077 | 2,137 | 2,867 | 5,884 | 5,115 | 7,119 |
9 | 영국 | 2,963 | 1,835 | 3,475 | 3,295 | 4,204 | 4,605 |
10 | 폴란드 | 1 | 332 | 856 | 574 | 3,686 | 4,168 |
전체 | 41,286 | 46,343 | 94,947 | 151,760 | 164,890 | 213,913 |
자료:KITA
중국의 칫솔용품 수입동향(HS Code 9603 기준;)
(단위: 천 달러)
순위 | 국가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1 | 일본 | 20,412 | 25,674 | 25,924 | 30,617 | 39,678 | 48,664 |
2 | 독일 | 23,614 | 33,020 | 28,596 | 26,313 | 36,288 | 44,912 |
3 | 미국 | 15,709 | 17,667 | 17,948 | 19,178 | 18,659 | 25,426 |
4 | 한국 | 9,104 | 11,309 | 15,508 | 19,719 | 19,057 | 19,984 |
5 | 대만 | 7,500 | 7,107 | 9,114 | 8,672 | 10,563 | 14,338 |
6 | 베트남 | 4,158 | 5,374 | 6,530 | 7,209 | 6,278 | 7,625 |
7 | 이탈리아 | 1,948 | 3,514 | 3,116 | 3,275 | 4,304 | 5,084 |
8 | 아일랜드 | 2,221 | 2,793 | 1,834 | 1,648 | 3,800 | 4,427 |
9 | 스위스 | 2,022 | 2,685 | 2,225 | 2,958 | 3,830 | 3,285 |
10 | 태국 | 1,121 | 1,285 | 1,620 | 1,693 | 2,286 | 2,808 |
전체 | 87,809 | 110,428 | 112,415 | 121,282 | 144,743 | 176,553 |
자료:KITA
□ 유통구조
ㅇ 중국에서 구강용품 주요 유통방식은 오프라인 대형 슈퍼마트, 상점, 편의점 및 온라인쇼핑물(타오바오, 징동) 등임. 특히 대형마트는 중국 구강용품의 주요 유통채널로 해당 제품 연매출량의 50% 이상 차지함. (<구강용품 산업 시장전망 분석 및 투자전략 연구보고>)
ㅇ 외국 및 대형 브랜드는 인터넷, 빅데이터 등 새로운 유통채널을 이용해서 소비시장 및 소비자군을 확대시키는 전략을 하고 있음. 예를 들어 근년에 유행하는 각종 소셜 미디어(위챗 공식계좌, 쇼핑APP 등)를 통해 소비자들과 더욱 친근한 소비관계를 맺고 브랜드 제품의 가치를 보다 더 다양한 플랫폼에서 보여줄 수 있음.
□ 시사점
ㅇ 뛰어난 기능성 치약
- 최근 중국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구강용품 시장의 증가폭은 안정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함. 특히 젊은 소비자층이 소비 주력이 되며, 독특하고 차별화된 제품에 대한 관심이 많음.
- 섬서성 소비지 유통회사 A사의 인터뷰에 따르면 임산부 치약이나 유아용 치약 처럼 특정 소비자군을 대상으로(타깃팅한) 기능성 치약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밝힘.
-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연령층 혹은 생리적 니즈(요구)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기능성 제품을 중점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 또 다른 바이어는 한국 미백 치약 및 죽염 성분이 들어간 치약의 판매량이 중국 시장에서 인기가 좋다고 밝힘.
ㅇ 전동 칫솔의 선택 기준: 가성비, 접이식
- 최근에 전동 칫솔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A사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기존의 전동 칫솔(Philips, Oral-B등)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특히 음파식 전동 칫솔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음. 현재 중국 시장에서 가성비가 높은 “500위안 이하”의 전동 칫솔 제품이 필요하다고 밝힘.
- 또한 기존의 전동 칫솔의 부피는 상대적으로 크고 또는 3일 이상 외출하면 충전기도 필요하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음.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여행용 혹은 출장용 가벼운 전동 칫솔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자료: 유로모니터,TAOBAO, KITA 등 KOTRA 시안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