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에는 九思(구사)라고 해서 군자다운 임금이 되려면 갖춰야 할 아홉 가지가 나온다. 공자가 말했다.
“볼 때는 눈 밝음을 생각해야 하고 들을 때는 귀 밝음을 생각해야 하고 낯빛을 취할 때는 따스함을 생각해야 하고 용모를 취할 때는 공손함을 생각해야 하고 말을 할 때는 진실함을 생각해야 하고 일을 할 때는 주도면밀함을 생각해야 하고 의문이 날 때는 질문 던지기를 생각해야 하고 화가 날 때는 그로 인해 닥칠 어려움을 생각해야 하고 이득을 보았을 때는 마땅한지 아닌지를 생각해야 한다.”
당나라 賢臣(현신) 魏徵(위징)은 明君(명군) 태종에게 ‘諫太宗十思疏(간태종십사소)’를 올려 태종을 경계시켰다. 구사와 비교하며 음미해도 좋지만 구사보다 현실적이라 더욱 와서 닿는다.
“▲정말로 욕심날 만한 것을 보았을 때에는 만족할 줄 알아서 스스로를 경계해야 함을 생각해야 하고[思] ▲장차 토목공사 등을 일으키려 할 때에는 그칠 줄 알아서 백성들을 편안하게 해줌을 생각해야 하고 ▲지위가 높아져 위태로움에 빠질까 걱정될 때에는 겸손하게 중도를 지키며[謙沖] 스스로를 길러줌을 생각해야 하고 ▲가득 차서 넘치는 것이 두려울 때에는 바다와 강물이 개울이나 냇물보다 더 낮은 곳에 있음을 생각해야 하고 ▲즐거움에 빠져 사냥하며 놀 때에는 세 번 이상 말을 내달려서는 안 됨을 생각해야 하고 ▲나태하고 게을러질까 걱정될 때에는 일의 시작을 신중히 하고 일의 끝을 잘 삼가야 함[愼始而敬終]을 생각해야 하고 ▲상하의 의견이 막히거나 (간신에 의해) 가려질까 걱정이 될 때에는 마음을 비워 아래 신하들의 간언하는 말을 받아들여야 함을 생각해야 하고 ▲간사한 자들이 중상모략을 행할까 걱정될 때에는 자신을 바로잡아 나쁜 사람을 물리쳐야 함을 생각해야 하고 ▲상이나 은혜를 내릴 때에는 사사로운 기쁨으로 잘못 상이나 은혜를 베풂을 생각해야 하고 ▲벌을 내릴 때에는 사사로운 노여움으로 형벌을 남용하게 됨을 생각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