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絶 |
胎 |
養 |
長生 |
沐浴 |
冠帶 |
祿 |
旺 |
衰 |
病 |
死 |
墓 |
甲 |
申 8 |
酉 9 |
戌 10 |
亥 11 |
子 12 |
丑 1 |
寅 2 |
卯 3 |
辰 4 |
巳 5 |
午 6 |
未 7 |
乙 |
酉 9 |
申 8 |
未 7 |
午 6 |
巳 5 |
辰 4 |
卯 3 |
寅 2 |
丑 1 |
子 12 |
亥 11 |
戌 10 |
* 숫자는 양력 月 *
甲과 乙로 예를 들어본다.
이 12운성은 陽干과 陰干의 生死를 표시하여 활용하려는 것이 아니고 五行(水火金水)의 陰과 陽을 각 월별로 음양의 양을 가름하기 위한 도표가 되는 것이지 陽干과 陰干의 개별적인 生死를 알기 위함이 아니다. 午월에 乙목이 태어나고 甲목은 죽는 다는 것이 아니고 午월에는 木의 陰이 최대가 되고 陽이 최소가 된다는 것이다. 모든 사물에는 陰만 존재하고 陽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공히 陰과 陽이 같이 존재한다. 甲木에도 陽이 존재하고 陰이 존재하는데 다만 양의 성분이 강할 뿐이고 乙木에도 陰과 陽이 같이 존재하는데 다만 陰이 陽보다 더 강할 뿐이다. 이러한 것은 과학적으로 분명히 증명되는 사항이고 누구나 상식으로 알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12운성을 적용할시 陽干 陰干의 생사를 따로 적용한다는 것은 乙木은 陰만 존재하고 陽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과 甲목은 陽만 존재하고 陰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되는 것이기에 자연의 이치에 어긋나는 것이 되니 이는 분명한 오류인 것이다.
상기 도표에서 死를 살펴보면 甲은 午월에 死가 되고 乙은 亥월에서 死한다. 木이 필요한 것은 햇볕과 물인데 午월은 물(陰)이 완전히 끈겨 없어져 버린 계절이 된다. 물은 모여야 하는데 햇볕(陽)이 태과하여 土중으로 흩어져 버리게 되니 사망한 것이다. 그래서 물 없는 木이 火에 분소되어서 死한 것이 된다. 午월을 기점으로 물(水)이 다시 모일 준비를 시작하여 申월에 굳어지게 되니 다시 물이 잉태하게 되어 亥월에 물이 고이게 되니 木이 다시 잉태하게 된다. 즉 木氣가 뿌리에 되돌아가서 응고된 물이 다시 흩어지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물은 陽氣에 의해서 비로소 흩어져 흐르게 된다. 이 설명은 우리가 사는 자연의 정황과 같은데 다시 乙木을 살펴보면 午에서 발생하여 가을로 이어지면서 旺성하게 되어 지는데 이는 자연의 정황과 반대가 된다. 도리어 木이 쇠락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사색해보면 陰이 강화되면 陽은 소멸하고 陽은 곳 만물을 일어나게 하여 삶은 주는 것이 되고 陰은 모든 사물은 죽음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이에서 사주에 陰이 태강하면 일찍 죽는 다는 논리가 성립되고 혹 陰이 강한데 운에서 다시 태강하게 들어오면 그 운에서 사망에 이르게 될 암시가 있게 되는 것이다.
五行을 연구할 때는 필히 다음을 관찰하고 연구하여야 한다.
水 - 申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火 -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木 -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金 -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여기에 五行인 자연의 모든 조화가 들어 있다. 土는 사계절이 旺하여 특별한 生旺死를 논하지 않고 火(햇볕)만 있게 되면 존재하게 되고 火의 생애와 비슷한 길을 걷게 된다.
水의 생애는 申에서 태생하여 子에 이르러 왕성하게 되어 辰에서 墓에 들어가서 없어진다.
申은 水가 발생하는 곳이다. 庚金은 水의 母가 된다. 酉에서 자라서 戌에서 火가 墓에 들어감으로써 확산 기운이 소멸됨으로 확실한 응축이 된다. 子에서 왕성하게 되어 더 이상 응축되면 블랙홀로 변해버린다. 하나 陽기운이 다시 오르게 되니 더 이상 응축되지 못하게 토가 묶어버린다. 즉 陽기운을 받은 土가 활동을 한 것이다. 이것이 丑土가 된다. 하니 丑土는 水의 여기로 보는 것 보다는 水가 꽉찬 창고에 해당한다. 그 기운 초기는 거의 子水와 같은 힘이 있게 되는 것이다.
꽉찬 창고를 찌르면 물이 튀어나와서 온 세상에 뒤덮게 되어서 큰 피해가 되는데 하지만 가뭄에 온 세상을 물이 뒤덮게 된다면 복이 될 것이다. 이 부분은 투출과 그렇지 않는 것에서 결정되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아직 많은 임상이 필요하다.
寅에서 더 이상 갇혀 응축하지 못하는 水는 변화를 맞게 디는데 즉 申과 寅이 沖한다. 즉 水火가 沖하는 것으로 水가 申에서 발생하여 말을 타고 寅에서 말을 바꾸어 타고 다시 달리게 되는 것으로 흔히 하는 말로 寅이 역마가 된다. 바꾸는 곳은 역이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寅申등 四生支 충은 변동하는 象이 되다.
즉 水가 陽氣를 받아서 흩어져 움직이기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水는 흩어져 움직이면 死하는 것이 된다. 陽은 모여 응축하면 死가 된다. 이에서 卯에서 死하여 辰에서 墓에 들고 巳에서 끊기니 絶이 된다. 墓인 辰앞(卯)이 死가 되고 뒤(巳)는 絶이 된다. 다른 五行도 모두 마찬가지이니 이에 준하여 관찰하면 된다.
五行이 작용하여 만들어지는 자연은 이러함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즉 이속에 모든 자연의 원리가 존재하는 것으로 이를 궁구함이 곧 道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를 전부 상세히 글로 표현 하려면 아마 책 한권은 될듯하여 전부 설명하지 못하니 각자 심도 있게 연구를 하여야 할 것이다.
임철초 선생의 해석 중에 중요한 힌트중의 하나가 보인다. 선생의 설명이 人의 日主가 녹왕(祿旺)을 만나서 반드시 生을 받을 필요는 없고 月令이 休囚가 되고 年,日,時 중에 長生이나 祿旺을 만나면 약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庫를 만나서 사용하게 되면 根이 있게 된다. 라고 했다.
요즘 身의 강약을 잡는데 약하고 강하고의 비율을 5:5를 기준으로 계산하여 통변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는데 임선생은 그렇게 설명하지 않고 있다. 실제 임상해보면 5:5의 신강약 개념은 별로 신통하지 않다. 임철초 선생의 논리를 잘못 이해함에서 그렇게 신강약을 잡는 것이 유행한 것 같으니 숙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
丙 乙 己 丙
子 亥 亥 子
丁丙乙甲癸壬辛庚
未午巳辰卯寅丑子
乙亥日元. 生於亥月. 喜其天干兩透丙火. 不失陽春之景. 寒
을해일원. 생어해월. 희기천간양투병화. 부실양춘지경. 한
木向陽. 淸以純粹. 惜乎火土無根. 水木太重. 讀書未售. 兼
목향양. 청이순수. 석호화토무근. 수목태중. 독서미수. 겸
之中年一路水木. 生扶太過. 局中火土皆傷. 以致財鮮聚而志
지중년일로수목. 생부태과. 국중화토개상. 이치재선취이지
未伸. 然喜無金. 業必淸高. 若以年時爲乙木病位. 月日爲死
미신. 연희무금. 업필청고. 약이년시위을목병위. 월일위사
地. 豈不休囚已極. 宜用生扶之運. 今以亥子之水作生論. 則
지. 기불휴수이극. 의용생부지운. 금이해자지수작생론. 칙
不宜再見水木也.
불의재견수목야.
⇒ 乙亥 日元이 亥月에 태어났다. 기쁜 것은 天干에 두 개의 丙火가 투출했다. 春의 햇볕으로 陽氣를 잃지 않았다. 한목(寒木)이 陽으로 향하여 순수하여 淸하다. 애석한 것은 火土가 根이 없고 水木이 태중(太重)하여 독서는 했지만 팔리지 않았고 겸해서 중년이 쭉 한길로 水木 運으로 나아가니 생부(生扶)가 태과하여 局中의 火土가 모두 손상된다. 까닭에서 財가 적게 모이고 뜻도 펼쳐보지 못했다. 그러나 기쁜 것은 金이 없는 것이다. 業은 반드시 淸하고 높다.
만약 年,時의 子수는 乙木의 病에 해당한다. 月,日은 乙木의 死地에 해당하는데 이것은 어찌 休囚가 극에 도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그렇다면 마땅히 生扶하는 運이 用神이 되는 것이 맞는 것인데 지금 亥子의 水로 生扶을 일으키運에서 논하여 보니 다시 水木 運을 보는 것이 좋지 않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 金河 注 : 乙亥가 亥월의 子시에 태어났다. 지엽이 조락하는 시절에 찬바람이 쌩하고 부는 캄캄한 子시가 된다. 火가 있어야 응결되어 밑으로 내려가는 火를 움직여 위로 흩어져 올라가게 하여야 木이 자랄 수가 있으니 화가 꼭 필요한 명조가 된다. 응결되어 내려가는 水는 木으로는 어찌할 수가 없다. 또 土로도 응결된 물은 흡수하지 못한다.
기상편에 과어용력, 성역다난(過於用力, 成亦多難 ; 사용하는 힘이 분수를 잃으면 이루기는 하나 어려움이 많다.).
또 모다자병, 여림심연(母多子病, 如臨深淵 ; 母가 많으면 子의 병이 깊은 연못에 빠진 것과 같다.)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현기부에 인다자행재이발(印多者行財而發 : 印이 많은 者는 財로 行하면 발한다.)라고 했다.
癸 癸 乙 戊
亥 卯 卯 午
癸壬辛庚己戊丁丙
亥戌酉申未午巳辰
春水多木. 過於洩氣. 五行無金. 全賴亥時比劫幫身. 嫌其亥
춘수다목. 과어설기. 오행무금. 전뢰해시비겁방신. 혐기해
卯拱局. 又透戊土. 剋洩並見. 交戊午運不壽. 若據俗說. 癸
묘공국. 우투무토. 극설병견. 교무오운불수. 약거속설. 계
水兩坐長生. 時逢旺地. 何以不壽. 又云食神有壽妻多子. 食
수양좌장생. 시봉왕지. 하이불수. 우운식신유수처다자. 식
神生旺勝財官. 此名利兩全多子有壽之格也. 總之陰陽生死之
신생왕승재관. 차명리양전다자유수지격야. 총지음양생사지
說. 不足憑也.
설. 부족빙야.
⇒ 春의 水가 木이 많아서 氣가 과하게 洩되고 있다. 五行에 金이 많다. 오로지 亥時의 比劫이 身을 돕는다. 싫은 것은 亥卯가 공국(拱局)하고 또 戊土가 투출하여 극설(剋洩)을 아울러 본 것이다.
戊午 運으로 교체하여 수명을 다하였다. 만약 속설에 의거하면 癸水가 長生 卯木을 두 개 坐하였고 時에 旺地를 만났는데 어떻게 수명을 다하였겠는가. 또 말하기를 食神이 있으면 수명이 길고 妻와 子가 많다고 하고 食神이 生旺하면 財官이 뛰어나게 된다고 했으니 명리가 둘 다 완전하고 자식이 많고 수명이 긴 格이 된다고 했는데 그렇지 않으니 다스려 보면 陰陽 生死의 說은 믿을 만한 것이 못된다.
< 金河 注 : 癸水가 卯월의 亥시에 태어났다.
水는 火가 적당하면 활발하게 움직이지만 木火가 태왕하면 흩어져 사망하게 된다. 특히 土까지 있으면 안성맞춤이 되어 흩어져 버려 사망하게 된다. 그런데 時에 水가 旺하여 사망에 이르기는 쉽지 않은데 옛날에는 의술의 혜택이 좀 빈약해서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자평진전에 재식중칙희방신. 관살지방. 구위불미.(財食重則喜幫身. 官煞之方. 俱爲不美 : 財食이 重하면 身을 도우면 좋고 官煞의 방향은 불미하다. )라 했다.
간명구결에 상관지격, 재왕신약, 관살중견, 혼잡충인, 세운우견필사(傷官之格, 財旺身弱, 官煞重見, 混雜衝刃, 歲運又見必死 : 傷官격에서 財旺하고 신약한데 官煞을 重하게 보는 혼잡에 刃을 衝하고 歲運에서 또다시 보면 필히 사망한다.)한 것이 이것이다.
滴天髓原文
故天地順遂而精粹者昌. 天地乖悖而混亂者亡.
고천지순수이정수자창. 천지괴패이혼란자망.
不論有根無根. 俱要天覆地載.
부론유근무근. 구요천복지재.
⇒ 天地가 순수하고 정수(精粹)한 者는 창성하고 天地 어그러져지고 혼란한 者는 亡한다.
有根과 無根을 논하지 말고 천복지재(天覆地載 : 하늘이 덮어주고 地支에서 실어준다)가 갖추어짐을 바라야 한다.
滴天髓徵義原文
取用干支之法. 干以載之支爲切. 支以覆之干爲切. 如喜甲乙
취용간지지법. 간이재지지위절. 지이복지간위절. 여희갑을
而載以寅卯亥子則生旺. 載以申酉則剋敗矣. 忌丙丁載以亥子
이재이인묘해자칙생왕. 재이신유칙극패의. 기병정재이해자
則制伏. 載以巳午寅卯則肆逞矣. 如喜寅卯而覆以甲乙壬癸則
칙제복. 재이사오인묘칙사령의. 여희인묘이복이갑을임계칙
生旺. 覆以庚辛則劫敗矣. 忌巳午而覆以壬癸則制伏. 覆以丙
생왕. 복이경신칙겁패의. 기사오이복이임계칙제복. 복이병
丁甲乙則肆逞矣. 不特此也. 干通於支. 支逢生扶. 則干之根
정갑을칙사령의. 불특차야. 간통어지. 지봉생부. 칙간지근
堅. 支逢冲剋. 則干之根拔矣. 支受蔭於干. 干逢生扶. 則支
견. 지봉충극. 칙간지근발의. 지수음어간. 간봉생부. 칙지
之蔭盛. 干逢剋制. 則支之蔭衰矣. 凡命中四柱干支. 有顯然
지음성. 간봉극제. 칙지지음쇠의. 범명중사주간지. 유현연
吉神而不爲吉. 確乎凶神而不爲凶者. 皆是故也. 所以無論天
길신이불위길. 확호흉신이불위흉자. 개시고야. 소이무론천
干一氣. 地支雙淸. 總要天覆地載.
간일기. 지지쌍청. 총요천복지재.
⇒ 干支의 취용하는 法에서 干에 실리는 것은 支가 요소(要所)가 되고 支를 덮어주는 것은 干이 요소(要所)가 된다.
甲乙은 寅,卯,亥,子가 실어주면 生旺하게 되어 기쁘고 申,酉는 극패(剋敗)가 되고 丙丁은 亥,子가 제복(制伏)하니 꺼리고 巳,午,寅,卯에 실리면 왕성하여 방자하게 된다.
寅,卯가 좋은데 甲,乙,壬,癸가 덮어주면 生旺하게 되고 庚,辛이 덮어 주면 겁패(劫敗)가 된다. 巳,午를 꺼리면 壬,癸가 제복(制伏)하고 丙,丁,甲,乙이 덮으면 왕성하여 방자하다. 이것은 특별한 것은 아니다.
干은 支에 通한다. 支의 생부(生扶)를 만나면 干의 根은 견고하다. 支에 冲剋을 만나면 干의 根이 뽑힌다.
支는 干의 음덕을 받으면 다시 干은 生扶를 얻게 되고 또 다시 支는 음덕으로 盛하게 된다. 干에게 剋制를 만나면 支의 음덕은 쇠약하게 된다.
무릇 命 中의 四柱 干支에 吉神이 나타났다고 吉이 되는 것은 아니다. 凶神이 확실한데도 凶한 者가 되는 것은 아닌 것은 모두 이러한 연유에서 그렇다. 소이 말하는 天干이 一氣하고 地支가 쌍청(雙淸)한 것을 논하지 말고 중요한 것은 천복지재(天覆地載 : 덮어주는 것은 天이고 실어주는 것은 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金河 注 : 이 내용의 참 뜻을 깨닫는데 거의 4년을 소비했다. 요즘에 많이 유행하는 月令格局이나 身强弱에 오로지 집착하면 이 귀중한 설명을 영원히 알지 못한다. 쉽게 생각해보면 위의 章에서 설명한 허실(虛失)과 刑沖害合의 작용이 해당 천간에 어떻게 미치게 되는 것인 가에서 길흉의 정황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乙木이 길신인데 乙酉 유년이고 사주 원국에 辛금이 있고 또 金이 강하면 도리어 乙木이 制되어서 흉함 암시가 있게 된다는 것이다. 다만 乙木을 구원해 줄 다른 神이 있다면 그 흉은 또한 감소된다. >
庚 庚 丁 己
辰 申 卯 亥
己庚辛壬癸甲乙丙
未申酉戌亥子丑寅
庚金雖生春令. 支坐祿旺. 時逢印比. 足以用官. 官坐財鄕.
경금수생춘령. 지좌록왕. 시봉인비. 족이용관. 관좌재향.
地支載以卯木財星. 又得亥水生扶有情. 丁火之根愈固. 所謂
지지재이묘목재성. 우득해수생부유정. 정화지근유고. 소위
天地順遂而精粹者昌也. 歲運逢壬癸亥子. 干有己印衛官. 支
천지순수이정수자창야. 세운봉임계해자. 간유기인위관. 지
得卯財化傷. 生平履險如夷. 少年科甲. 仕至封疆. 經云. 日
득묘재화상. 생평리험여이. 소년과갑. 사지봉강. 경운. 일
主最宜健旺. 用神不可損傷. 信斯言也.
주최의건왕. 용신불가손상. 신사언야.
⇒ 庚金이 비록 봄에 태어났지만 坐한 支가 祿旺이 되고 時에 印比를 만나서 官을 用하기 충분하다. 官이 財를 坐했다. 地支에서 卯木 財星이 실어 준다. 또 亥水의 生扶를 얻어 유정하다. 丁火의 根이 견고하다. 소위 天地가 순수하고 정수(精粹)한 者는 창성한다는 것과 같은 형상이다.
歲,運에서 壬,癸,亥,子를 만나도 干에 己土 印이 官을 지킨다. 支에서는 卯財가 傷을 化하니 평생 험하게 뒤집히지 않고 온화했다.
소년에 급제하여 봉강에 올랐다.
경운. 日主는 건강하게 旺한 것이 최고 좋고 用神은 손상 받지 않아야 한다는 이 말은 믿을 만하다.
< 金河 注 : 庚申이 卯月 辰時에 태어났다.
고서에 년월관성, 조년출사(年月官星, 早年出仕 : 년월에 官星이 있으면 일찍 관직에 오른다.)
일관청귀, 사해양명(一官淸貴, 四海揚名 : 한 개의 官이 청귀하면 사해에 이름을 떨친다.)
월령재관, 견지발복(月令財官, 見之發福 : 월령에 재관을 보면 발복한다.)라 한 것이 이를 두고 한말이다.
甲 庚 丁 己
申 辰 卯 酉
己庚辛壬癸甲乙丙
未申酉戌亥子丑寅
此亦以丁火官星爲用. 地支亦載以卯木財星. 與前造大同小異.
차역이정화관성위용. 지지역재이묘목재성. 여전조대동소이.
只爲卯酉逢冲. 剋敗丁火之根. 支中少水. 財星有剋無生. 雖
지위묘유봉충. 극패정화지근. 지중소수. 재성유극무생. 수
時逢甲木. 臨於申支. 謂地支不載. 雖有若無. 故身出舊家.
시봉갑목. 임어신지. 위지지불재. 수유약무. 고신출구가.
詩書不繼. 破耗刑傷. 一交戌運. 支類西方. 貧乏不堪.
시서불계. 파모형상. 일교술운. 지류서방. 빈핍불감.
⇒ 이 명조도 丁火 官星이 用된다. 地支에서 卯木 財星이 실어준다. 앞의 명조와 대동소이한데 卯酉 冲이 다르다.
丁火의 根을 극패(剋敗)한다. 支中에 水가 없다. 財星이 剋되고 生이 없다. 비록 時에 甲木을 만났지만 支에 申이 임하여 일컬어 地支에서 실어 주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비록 있다고 하더라도 없는 것과 같다. 그래서 뼈대 있는 집안 출신인데 시와 글을 잇지 못하고 파모현상(破耗刑傷)되었다.
戌運부터 支의 종류가 西方으로 되어서 궁핍하기가 심한 정도를 넘었다.
< 金河 注 : 庚辰이 卯月의 申時에 태어났다. 中運에 子亥癸壬의 水운이 있는데 卯酉沖을 통관시키지 못했던 모양이다. 이를 보면 金生水하고 水生木하고 木生火하여 발한다는 논리는 큰 영향이 없는 것 같다. 運에서 들어오는 水는 곧 바로 丁火에 작용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
癸 辛 壬 庚
巳 酉 午 申
庚己戊丁丙乙甲癸
寅丑子亥戌酉申未
庚辛壬癸. 金水雙淸. 地支申酉巳午. 煅煉有功. 謂午火眞神
경신임계. 금수쌍청. 지지신유사오. 단련유공. 위오화진신
得用. 理應名利雙輝. 所惜者五行無木. 金雖失令而黨多. 火
득용. 이응명리쌍휘. 소석자오행무목. 금수실령이당다. 화
雖當令而無輔. 更嫌壬癸覆之. 緊貼庚辛之生. 而申中又得長
수당령이무보. 갱혐임계복지. 긴첩경신지생. 이신중우득장
生. 則壬水愈肆逞矣. 雖有巳火助午. 無如巳酉拱金. 則午火
생. 칙임수유사령의. 수유사화조오. 무여사유공금. 칙오화
之勢必孤. 所以申酉兩運. 破耗異常. 丙戌運中. 助起用神.
지세필고. 소이신유양운. 파모이상. 병술운중. 조기용신.
大得際遇. 一交亥運. 壬水得祿. 癸水臨旺. 火氣剋盡. 家破
대득제우. 일교해운. 임수득록. 계수임왕. 화기극진. 가파
身亡.
신망.
⇒ 庚,辛,壬,癸로 金水가 쌍청(雙淸)하다. 地支에 申,酉,巳午로 단련되는 功이 있다. 일컬어 午火는 진신(眞神)의 用이 된다. 명리가 같이 휘날리는 이치에 응하는 것이 맞다. 애석한 것은 五行에 木이 없는 것이다. 金이 비록 실령 했지만 많은 무리가 있다. 火는 비록 당령 했지만 돕는 것이 없다.
다시 싫은 것은 壬,癸가 덮어주는 것고 庚辛이 긴첩하여 壬을 生하고 있고 申中에 또 長生을 얻어서 壬水가 더욱 방자하다. 비록 巳火가 있어서 午를 돕는다고 하더라도 巳酉 공금(拱金)하여 돕지 못하여 午火의 勢는 필히 고독하다. 소이 申,酉 양운(兩運)에 줄어들어 평상과 달랐다.
丙戌 運中에 用神이 일어나 도우니 좋은 인연을 만나서 亥運으로 교체되어 壬水가 祿을 얻고 癸水가 旺에 임하여 火氣가 剋되어 없어지니 집이 깨지고 자신도 사망했다.
< 金河 注 : 辛酉가 午月의 巳時에 태어났지만 金水가 태강하다. 年柱의 刃을 제거하여야 한다.
고서에 상관견관, 이화백단(傷官見官, 爲禍百端 : 傷官이 官을 보면 온갖 禍의 실마리가 된다.) >
甲 辛 壬 庚
午 酉 午 申
庚己戊丁丙乙甲癸
寅丑子亥戌酉申未
此亦用午中丁火之殺. 壬水亦覆之於上. 亦有庚辛金緊貼之生. 所喜者午時一助. 更妙天干覆以甲木. 則火之蔭盛. 且壬水見甲木而貪生. 不來敵火. 四柱有相生誼. 無爭剋之風. 中鄕榜. 仕至觀察. 與前造只換得先後一時. 天淵之隔. 所謂毫釐千里之差也.
⇒ 이 명조도 午 中의 丁火인 殺이 용신이다. 月支 午火 위에 壬水가 덮혀있고 庚,辛金이 바짝 붙어 生하고 있다.
기쁜 것은 午時에서 일조(一助)하고 다시 묘한 것은 天干에서 甲木이 덮어 생하고 있어 火의 음덕이 왕성하다.
또 壬水능 甲木을 生하려고 하여 火와 적대감이 적어니 四柱가 相生하는 의의가 있어 싸우고 극하는 바람이 없다.
향방으로 관찰사가 되었다. 앞의 명조와 다만 앞뒤로 1시간 차이인데 천연(天淵)의 격차가 있다. 소위 털끝만한 차이가 千里의 차이가 나는 것이다.
滴天髓原文
天全一氣. 不可使地德莫之載.
천전일기. 불가사지덕막지재.
⇒ 天의 온전한 一氣도 地에서 실어주는 덕이 없으면 사용이 불가하다.
** 진소암 선생 : 네 개 甲과 네 개 乙이 寅申 卯酉로 서로 沖하면 地道가 실어 주지 않는다. **
** 서낙오 선생 : 천전일기는 천간의 네 글자가 같은 것으로 즉 천간의 네 글자가 같은 甲이나 乙등으로 된 것을 말하고 반드시 支에 통근 하여야 하는 것을 말한 것이라 했다. **
滴天髓徵義原文
天全一氣者. 天干四甲四乙四丙四丁四戊四己四庚四辛四壬四
천전일기자. 천간사갑사을사병사정사무사기사경사신사임사
癸皆是也. 地支不載者. 地支與天干無生化也. 非特四甲四乙
계개시야. 지지불재자. 지지여천간무생화야. 비특사갑사을
而遇申酉爲不載. 卽全受剋於地支. 或反剋地支. 或天干不顧
이우신유위부재. 즉전수극어지지. 혹반극지지. 혹천간불고
地支. 或地支不顧天干. 皆爲不載也. 如四乙酉者. 受剋於地
지지. 혹지지불고천간. 개위불재야. 여사을유자. 수극어지
支也. 四辛卯者. 反剋地支也. 必須地支之氣上升. 天干之氣
지야. 사신묘자. 반극지지야. 필수지지지기상승. 천간지기
下降. 則流通生化, 而不至於偏枯. 又得歲運安頓. 非富亦貴
하강. 칙유통생화, 이불지어편고. 우득세운안돈. 비부역귀
矣. 如無升降之情. 反有冲剋之勢. 皆爲偏枯而貧賤矣. 宜細
의. 여무승강지정. 반유충극지세. 개위편고이빈천의. 의세
究之.
구지.
⇒ 天에 온전한 一氣는 天干의 四甲, 四乙, 四丙, 四丁, 四戊, 四己, 四庚, 四辛, 四壬, 四癸가 모두이다.
地支가 실어주지 않는 것은 地支와 天干이 生化가 없는 것이다. 四甲, 四乙이 뛰어나지 않는 것은 申,酉는 실어주지 않아서 그렇다. 즉 地支에서 剋을 받고 혹 地支가 도리어 剋하고 혹 天干에서 地支를 고려하지 않고 혹 地支에서 天干을 고려하지 않는 것 모두 실어주지 않는 것이다.
가령 四 乙酉는 地支에서 剋을 받는 것이다. 四 辛卯는 도리어 地支를 剋한다. 받드시 地支의 氣는 상승하고 天干의 氣는 하강하여 유통(流通) 생화(生化)여야 편고(偏枯)에 이르지 않는다. 또 歲,運에서 안돈(安頓;사물을 잘 정돈함, 마음·생각을 정리하여 안정되게 함.)하게 하면 富하지는 않지만 貴하게는 된다. 가령 升降의 정이 없고 도리어 冲剋하는 세력이 있으면 모두 偏枯하여 빈천하게 되니 세밀히 연구하여야 한다.
< 金河 注 : 대만의 곽목량 선생의 팔자신기묘괘에 수록된 팔자 입문 점괘의 한 명조를 소개한다.
乙 辛 丙 庚
未 亥 戌 辰
상기 명은 2000년 10월 20일 未時에 한 여자가 일의 성패에 대한 것을 질문한 것이다.
1. 戌토는 辛금의 여기가 되고, 월령(제강)에 있고, 辛금의 인성에 해당하고 丙火 官星의 墓庫가 된다. 印星은 연장자가 되고 官星은 상사가 된다.
2. 庚金 劫財의 좌하에 辰土 印星이 있고 提綱에 있는 戌과 沖하여 辰중에 있는 癸水가 沖출하여 丙火를 剋制한다. 이러한 형상은 丙火 正官에 대한 상사와 혹은 연장자와 경쟁자와 직무에 관련된 문제로 丙火 官星이 인정에 의한 속박을 꺼리어 부결(不決)되는 예상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경쟁자를 도와주는 연장자가 있어서 부교수가 되는 것은 어렵다.
3. 辰戌 印星이 沖하여 動하니 印이 불안정하다. 癸水는 戌月엔 死令이 되어 실제로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癸水는 傷官으로 傷官은 활동성인데 戌월에 死令으로 활동성이 위축 된 것으로 보면 된다.) 그래서 정상이 멀어 기대를 하는 것은 그릇된 것으로 시간이 더 필요할 뿐으로 丙火가 득지 할 때를 기다리면 원하는 것이 이루어진다.
4. 辛巳년 癸巳월은 巳巳형이 되고 巳亥 沖이 되니 변동 혹은 지연이 있게 되어 취해지는 것이 아니고 이때는 사람의 압력으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반드시 午월에 부교수로 승진된다. 즉 丙火를 地支에서 완벽하게 실어 주니 부교수에 오르게 된다는 것이다.
고서에 신왕재능임재관(身旺才能任財官 ; 身旺하여야 財官의 재능이 있어 맡을 수 있다)라 하였으니 身이 약하지 않는 것이 필 수가 된다. >
甲 甲 甲 甲
戌 寅 戌 申
壬辛庚己戊丁丙乙
午巳辰卯寅丑子亥
年支申金. 冲去日主寅木. 加以戌土乘權重見. 生金助殺. 謂
년지신금. 충거일주인목. 가이술토승권중견. 생금조살. 위
地支不顧天干. 夫四甲一寅. 似乎强旺. 第秋木休囚. 冲去祿
지지불고천간. 부사갑일인. 사호강왕. 제추목휴수. 충거녹
旺. 其根已拔. 不作旺論. 故寅卯亥子運中. 衣食頗豊. 一交
왕. 기근이발. 불작왕론. 고인묘해자운중. 의식파풍. 일교
庚辰. 殺之元神透出. 四子俱傷. 破家不祿. 干多不如支重.
경진. 살지원신투출. 사자구상. 파가불록. 간다불여지중.
理固然也.
이고연야.
⇒ 年支의 申金이 冲하여 日主의 寅木을 제거한다. 또 戌土을 중하게 보아서 권력을 타고 金을 生하고 殺을 도운다. 하여 地支가 天干을 고려하지 않는다. 四甲에 一寅이 돕고 있어서 强旺하게 보이지만 등급이 秋木으로 休囚가 되고 祿旺을 冲하여 제거하니 根이 이미 뽑혀서 旺으로 論하지 못한다. 그래서 寅,卯,亥,子 運中에서는 의식이 자못 풍부했지만 庚辰 運으로 교체하여 殺의 元神이 투출하여 4명의 子가 傷하고 가정이 깨어지고 사망했다. 干에 많이 있는 것이 支가 重한 것 보다 못하다는 이유가 확실다고 하여야 하겠다.
戊 戊 戊 戊
午 戌 午 子
丙乙甲癸壬辛庚己
寅丑子亥戌酉申未
滿局火土. 子衰午旺. 冲則午發而愈烈. 熬乾滴水. 謂天干不
만국화토. 자쇠오왕. 충칙오발이유열. 오건적수. 위천간불
覆. 初交己未. 孤苦萬狀. 至庚申辛酉運. 引通戊土之情. 大
복. 초교기미. 고고만상. 지경신신유운. 인통무토지정. 대
得際遇. 娶妻生子. 立業成家. 一交壬戌. 水不通根. 暗拱火득제우. 취처생자. 입업성가. 일교임술. 수불통근. 암공화
局. 遭祝融之變. 五口皆亡. 如天干透一庚辛. 或地支藏一申
국. 조축융지변. 오구개망. 여천간투일경신. 혹지지장일신
酉. 豈至若是之結局也.
유. 기지약시지결국야.
⇒ 火土가 꽉찬 局으로 子는 衰하고 午는 旺하다. 冲으로 午가 發하여 세차게 되니 물방울이 뽁여 말라버린다. 일컬어 天干이 덮어주지 못한다. 초 己未 運에 고통이 많았는데 庚申, 辛酉 運에 이르러 戊土의 情이 인통(引通)되어 큰 덕을 만나서 妻를 얻고 자식도 낳아서 業을 세우고 가정을 이루었다. 壬戌 운으로 바뀌어 水가 통근하지 못하여 암공(暗拱)하여 火局이 되니 축격(祝融)의 변을 만나서 다섯 식구가 죽었다. 가령 天干에 하 나의 庚,辛이 투출 했거나 地支이 하나의 申,酉가 간직되어 있어도 어찌 이와 같이 될 수가 있겠는가.
< 金河 注 : 戊戌이 午月의 午時에 출생했다. 사막에 다 말라가는 오아시스가 있는 명조가 된다.
이렇게 심하게 편중된 사주는 運의 영향을 아주 강하게 받게 되어 길흉의 부침이 심하게 된다. >
기상편에 과어조열, 수격처반유흉재(過於燥熱, 水激處反有凶災 ; 과하게 조열하면 水가 부딪쳐 오면 흉한 재앙이 있다.)했는 것이 이것이다.
戊 戊 戊 戊
午 子 午 申
丙乙甲癸壬辛庚己
寅丑子亥戌酉申未
此與前造祈換一申字. 而天干之氣下降. 地支之水有源. 午火
차여전조기환일신자. 이천간지기하강. 地支之水有源. 오화
雖烈. 究不能傷申金. 用金明矣. 况有子水爲去病之喜神. 交
수열. 구불능상신금. 용금명의. 황유자수위거병지희신. 교
申運戊辰年四月入學. 九月登科. 蓋得太歲辰字. 暗會水局之
신운무진년사월입학. 구월등과. 개득태세진자. 암회수국지
妙. 惜將來壬戌運中. 天干羣比爭財. 地支暗會火局. 未見其
묘. 석장래임술운중. 천간군비쟁재. 지지암회화국. 미견기
吉矣.
길의.
⇒ 이 명조는 앞의 명조와 비교하면 申 字하나만 바뀌었다. 이로 인해 天干의 氣가 하강하게 되어 地支의 水가 근원이 있게 되어서 午火가 비록 세차다고 하더라도 궁구하여 보면 申金을 傷하게 하지 못한다. 金을 用하는 것이 명확하다. 또 子水가 있어 病을 제거하니 喜神이 된다.
申運으로 교체하여 戊辰年 四月에 입학하여 九月에 등과 하였다. 태세(太歲)에 辰字를 얻어 암회(暗會)한 水局이 妙하다. 애석한 것은 장래 壬戌 運中에 天干에 군비쟁재(羣比爭財)하고 地支에 암회(暗會)한 火局으로 吉하다고 볼 수 없다.
辛 辛 辛 辛
卯 卯 卯 卯
癸甲乙丙丁戊己庚
未申酉戌亥子丑寅
此造四木當權. 四金臨絶. 雖日反剋地支. 實無力剋也. 如果
차조사목당권. 사금임절. 수일반극지지. 실무력극야. 여과
能剋. 可用財矣. 若能用財. 豈無成立. 彼出母腹數年間父母
能剋. 가용재의. 약능용재. 기무성립. 피출모복수년간부모
俱亡. 與道士爲徒. 己丑戊子運. 印綬生扶. 衣食無虧. 一交
구망. 여도사위도. 기축무자운. 인수생부. 의식무휴. 일교
丁亥. 生木剋金. 卽亡其師. 所有微業. 嫖賭掃盡而死.
정해. 생목극금. 즉망기사. 소유미업. 표도소진이사.
⇒ 이 명조는 四木이 당권(當權)하여 四金은 絶이 임했다. 비록 日이 地支를 剋한다고 하지만 실제 무력한 剋이다. 왜야하면 剋할 능력이 있다면 財를 用할 수 있는데 財을 用하였다면 어찌 이루지 못하였겠는가. 이 사람은 태어난지 수년에 父母가 함께 사망하여 道士를 따라갔다.
己丑, 戊子 運에 印綬의 生扶를 받아서 의식에 허물이 었었지만 丁亥 運에 木을 生하고 金을 剋하여 스승이 타계하고조금 있던 재물을 탕진하고 죽었다.
< 金河 注 : 辛卯가 卯월 卯시에 태어났다. 財가 많아서 신약한 명조가 된다. 辛金은 天干이니 氣가 되어 動하여 卯에 의거하게 되었다. 이외에는 전혀 의지할 곳이 없다. 즉 몸이 없는 귀신이 아무 곳에나 氣를 내려 접신한 것에 불과하니 일찍 요절할 수 밖에 없다.
현기부에 유실쌍친, 재성태중(幼失雙親, 財星太重 : 어릴 때 보모를 잃는 것은 財星이 태중(太重)함에서 그렇다. )했다.
복음(伏吟)은 辛卯 辛卯와 같이 천간이 서로 같고 지지도 서로 동일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하건충 선생의 팔자심리추명학에서 동성끼리는 서로 배척한다. 복음은 자기가 자기를 부정하는 뜻이 있다. 움직임이 많아서 안정하기 어려운(多動變安) 象이 포함되어 있다 라고 했다.
명율선생골수가에 재다신약행재운, 차처방지입천대(財多身弱行財運, 此處方知入泉台 : 財가 많아서 신약한데 다시 財운으로 行하면 저승에 들어가는 것을 알아야한다.)라고 했다.
맹인단명비결에 천원일기, 지물상동, 수주횡사, 위열삼공(天元一氣, 支物相同, 雖主橫死, 位列三公 : 천원에 하나의 기운이고 지물도 동일하면 비록 주인은 횡사를 하지만 위치는 삼공이다.)라고 했고
사언독보에 천전일기, 지물상동, 임명득차, 위열삼공(天元一氣, 支物相同, 人命得此, 位列三公 : 천원에 하나의 기운이고 지물도 동일한 것을 인명에 얻게 되면 삼공에 위치한다.)이라고 했으니 마땅히 잘 살펴야지 한 가지에 집착하면 좋지 않다. 이는 身의 강약과 命의 화합하고 순화, 조화에 따라서 달리하게 되는 것이다.
滴天髓原文
地全三物. 不可使天道莫之容.
지전삼물. 불가사천도막지용.
⇒ 地에 완전한 세 가지 물건도 天道가 없다면 사용이 불가능하여 받아서 담지 못한다.
** 전천수 보주에서 서낙오 선생 : 支全三物은 지지에 소장된 人元이다. 많은 것은 3가지가 되고 支를 干에서 用하고干은 支에 뿌리를 둔다. 天全一氣는 기세가 순일하여 뿌리가 없으면 병들고 말라서 貴가 되기는 부족하다.
地支 중에 子午卯酉의 네 개는 한 개가 감추어져 있는 專이 되고 寅申巳亥와 辰戌丑未는 다 같이 세 개가 藏되어 있어서 다수를 따른다는 설명이다. 그래서 三物이라고 하는 것이다. 支중에 소장되어 있는 것이 비록 財官印의 세 개라고 하더라도 天干에 투출하여 나타나지 않으면 그 用은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天干에 투출 되어 있는 곳은 모두 支下에 통근하고 支中에 소장된 것은 天干에 널리 미치어 통하여 나타나야 그 기세가 자연순수(自然順遂)함이고 四柱도 반드시 정순(精純)하다.
위 글의 천복지재의 배합을 논한 실마리가 되는 것으로 命을 논하는데 매우 중요한 것이 된다. 이것은 오로지 干에 투출하고 支에 감추어진 6종의 간법의 하나가 된다.
任(임철초)의 설명은 天氣는 하강하고 地氣는 상승하는 해석이 된다. 이치의 옳음이 극히 면밀하다.
** 집요의 진소암 선생 : 寅卯辰이 甲乙 庚辛의 沖을 만나면 天이 덮어주지 않는다. **
滴天髓徵義原文
地全三物者. 支得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子丑,之方是也.
지전삼물자. 지득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자축,지방시야.
如寅卯辰日主是木. 要天干火多. 日主是火. 要天干金旺. 日
여인묘진일주시목. 요천간화다. 일주시화. 요천간금왕. 일
主是金. 要天干土重. 大凡支全三物. 其勢旺盛. 如旺神在提
주시금. 요천간토중. 대범지전삼물. 기세왕성. 여왕신재제
綱. 天干必須順其氣勢. 洩之可也. 如旺神在別支. 天干制之
강. 천간필수순기기세. 설지가야. 여왕신재별지. 천간제지
有力. 制之可也. 何以旺神在提綱只宜洩而不宜制. 扶旺神在
유력. 제지가야. 하이왕신재제강지의설이불의제. 부왕신재
提綱者. 必制神之絶地. 如强制之. 不得其性. 反激而肆逞矣.
제강자. 필제신지절지. 여강제지. 불득기성. 반격이사령의.
旺神者. 木方提綱得寅卯是也. 制神者. 庚辛金也. 寅卯乃庚
왕신자. 목방제강득인묘시야. 제신자. 경신금야. 인묘내경
辛之絶地也. 如辰在提綱. 四柱干支又有庚辛之助. 方可制矣.
신지절지야. 여진재제강. 사주간지우유경신지조. 방가제의.
所謂循其氣勢. 調劑得宜. 斯爲全美. 木方如此. 餘可例推.
소위순기기세. 조제득의. 사위전미. 목방여차. 여가예추.
⇒ 地全三物은 支에 寅卯辰, 巳午未, 申酉戌, 亥子丑의 方이 된 것이다.
가령 支가 寅卯辰의 方이 되는 경우에 日主가 木이 되면 天干에 火가 많기를 원하고 日主가 火가 되면 天干에 金旺을 원하고 日主가 金이 되면 天干에 土가 重하기를 원한다.
대범 支의 완전한 三物의 세력이 왕성하고 旺神이 제강(提綱)에 있으면 天干은 반드시 그 기세를 거스르지 않게 洩하는 것이 옳다.
가령 旺神이 다른 곳의 支에 있으면 天干이 制할 수 있는 힘이 있으니 制하는 것이 옳다.
어떤 까닭에서 旺神이 提綱에 있으면 洩이 마땅하고 制가 마땅하지 않는가 하면 旺神이 提綱에 존재하여 돕게 되면 반드시 制神은 絶地가 되어 强을 制할 수 있는 性을 얻지 못하여 도리어 반격을 당하여 사령(肆逞)하게 된다.
木方의 旺神은 提綱에 寅卯를 얻은 것으로 制하는 神은 庚辛 金이 된다. 寅卯는 庚辛의 絶地가 된다.
辰이 提綱에 있으면 四柱 干支의 庚辛을 돕게 되니 制할 수 있다. 소위 氣勢는 순환하여 고르게 조절하는 것이 마땅하여 완전한 아름다움이 된다. 木方이 이와 같은 것이니 남은 거도 이 예와 동등하게 추리하면 된다.
丙 甲 庚 辛
寅 辰 寅 卯
壬癸甲乙丙丁戊己
午未申酉戌亥子丑
此寅卯辰東方. 兼之寅時. 旺之極矣. 年月兩金臨絶. 旺神在
차인묘진동방. 겸지인시. 왕지극의. 년월양금임절. 왕신재
提綱. 休金難剋. 而且丙火透時. 木火同心. 謂强衆而敵寡.
제강. 휴금난극. 이차병화투시. 목화동심. 위강중이적과.
勢在去庚辛之寡. 早行土運. 生金. 破耗異常. 進京入部辦事.
세재거경신지과. 조행토운. 생금. 파모이상. 진경입부판사.
至丙戌. 分發廣東. 得軍功. 升知縣. 喜其剋盡庚辛之美. 至
지병술. 분발광동. 득군공. 승지현. 희기극진경신지미. 지
酉,庚辛得地. 不祿矣.
酉,경신득지. 불록의.
⇒ 이것은 寅卯辰 東方을 겸해서 寅時가 되어서 旺함이 極에 달했다. 年月의 양金이 絶에 임했고 旺神이 提綱에 존재한다. 휴수인 金이 剋하기 어렵다. 또 丙火가 時에 투출해 있으니 木火가 같은 마음으로 일컬어 강한 무리에 적은 무리가 대적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세력이 있는 木火가 적은 庚辛을 제거하는 것이 된다.
조년의 土運에 金을 생하여 깨져 줄어들게 되어서 평상과 달랐고 판사를 따라서 서울로 진입하여 丙戌運에 도달하자 광동에서 분발하여 軍에서 공로를 얻어 지현에 올랐다.
庚辛을 剋하여 없어지게 하는 것이 아름답게 되어서 좋은 것이다. 酉운에 이르러 庚辛이 得地하여 不祿(불록 : 선비가 죽는 것)했다.
< 金河 注 : 甲辰이 寅月의 寅時 生이 된다. 比刃이 태왕하다. 甲木이 水墓에 뿌리 내렸다. 水의 卯는 水가 토에 흩어져 흡수 되어있는 것이다. 水는 火가 있어야 움직이게 된다. 火가 없으면 밑으로 흘러 들어가서 모이게 되니 木이 흡수하지 못한다. 그래서 火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丙戌 運은 用神 運이 되고 戌에 官煞이 통근하여 刃과 煞이 힘을 얻음으로 軍에서 공로를 얻게 된 것이다. 運의 干인 丙火는 자좌의 戌과 원국의 寅에 통근함이다.
酉運에는 火의 死地가 된다. 死地인 酉가 庚辛을 통근시켜 발광하고 또 刃이 卯酉 沖으로 충발함이다.
맹인단명비결에 양인칠살, 출사치명(羊刃七煞, 出仕馳名 : 양인과 칠살은 벼슬로 나아가는 이름이다.)
또 칠상유제, 봉관위복, 양인봉충, 재앙필지(七煞有制, 逢官爲福, 陽刃逢沖, 災厄必至 ; 七煞에 制가 있는데 官을 만나면 복이 되고 양인과 충이 되면 재앙에 이른다.)했다.
무요촬요에 살인교현, 장악병권(煞刃交顯, 掌握兵權 살과 인이 교차하여 나타나면 병권을 장악한다.)
진보부에 관성대인무극파, 장병형지대권(官星帶刃無剋破, 掌兵刑之大權 : 官星이 刃을 차면 병과 형을 장악하는 큰 권력이다.)이라 했다.
丁 甲 庚 庚
卯 寅 辰 寅
戊丁丙乙甲癸壬辛
子亥戌酉申未午巳
此亦寅卯辰東方. 旺神不是提綱. 辰土歸垣. 庚金得載. 力量足以剋木. 丁火雖透. 非庚金之敵. 用殺明矣. 至甲申運. 庚金祿旺. 暗冲寅木. 科甲聯登. 仕至郡守. 一交丙運制殺. 降職歸田.
⇒ 이 명조도 寅卯辰 東方인데 旺神이 提綱에 있지 않다.
辰土가 庚金을 실어주어 庚金의 역량이 충분하여 木을 剋 할 수 있어서 丁火가 비록 투출 하였지만 庚金에 대적하지 못한다. 그래서 확실하게 殺을 用할 수 있다.
甲申 運이 되니 庚金이 祿旺하여 寅木을 暗冲(地支의 沖)하여 과거에 급제하여 군수에 이르렀고 丙運이 되니 殺을 제하여 강직되어서 낙향되었다.
< 金河 注 : 甲寅이 辰月의 卯시에 태어났다. 더 이상 뻗어 나아가지 못하게 갇혀지는 계절에 이지만 時에서 庫를 탈출하게 조장하니 제어함이 마땅하다.
맹인단명비결에 인신사해지국, 남범흥왕, 여범고독(寅申巳亥之局, 男犯興旺, 女犯孤獨 : 寅申巳亥의 국을 男이 범하면 크게 일어나고 여자가 범하면 고독하다.
금옥부에 인신사해호의의, 불천도필출타향(寅申巳亥互依倚, 不遷徒必出他鄕 : 寅申巳亥가 서로 의거하는 인연은 무리가 옮기는 것은 아니고 반드시 타향으로 출타하는 것이다.
또 인신사해첩범, 유총명생발지심(寅申巳亥疊犯, 有聰明生發之心 : 寅申巳亥가 중첩으로 犯하면 총명함이 나타나 발하는 마음이다.)
사언독보에 인신사해, 새생지국, 용물신강, 우지발복(寅申巳亥, 四生之局, 用物身强, 遇之發福 : 寅申巳亥의 4생의 국을 신강한데 사용하면 복이 나타남을 만난다.)
명통부에 상관견관, 이화백단(傷官見官, 禍患百端 : 상관이 관을 보면 재난의 근심이 되는 온갖 실마리가 된다.)라고 했다.>
滴天髓原文
陽乘陽位陽氣昌. 最要行程安頓.
양승양위양기창. 최요행정안돈.
陽이 陽을 타서 陽氣가 창성한 위치가 되면 최고 중요한 것은 행정(行程)이 안돈(安頓)하게 되는 것이다.
<行程;멀리 가는 길. 일이 진행(進行)되어 가는 과정(過程) 安頓:사물을 잘 정돈함, 마음·생각을 정리하여 안정되게 함.>
滴天髓徵義原文
子,寅.辰,午,申,戌,爲陽支. 須分陽寒陽暖而論也. 西北爲寒.
자,인.진,午,신,술,위양지. 수분양한양난이논야. 서북위한.
東南爲暖. 如若申,子,戌,全. 爲西北之陽寒. 最要行運卯,
동남위난. 여약신,자,술,전. 위서북지양한. 최요행운묘,
巳,未,東南之陰暖是也. 如寅,辰,午,全. 爲東南之陽暖. 最要
사,미,동남지음난시야. 여인,진,오,전. 위동남지양난. 최요
行運遇酉,亥,丑,西北之陰寒是也. 此擧大局而論. 若遇日主之
행운우유,해,축,서북지음한시야. 차거대국이론. 약우일주지
用神喜神. 或木,或火,或土,是東南之陽暖. 歲運亦宜配西北之
용신희신. 혹목,혹화,혹토,시동남지양난. 세운역의배서북지
陰水,陰木,陰火. 方能生助喜神,用神,而歡如酬醡. 若歲運又
음수,음목,음화. 방능생조희신,용신,이환여수자. 약세운우
西北之陽水,陽木,陽火. 則爲孤陽不生. 縱使生助喜神. 亦難
서북지양수,양목,양화. 칙위고양불생. 종사생조희신. 역난
切當. 不過平坦而免崎嶇也. 陽暖之局如此. 陽寒之局亦如此
절당. 불과평탄이면기구야. 양난지국여차. 양한지국역여차
論. 所謂陽盛光昌剛健之勢. 須配以陰盛包含柔順之地是也.
론. 소위양성광창강건지세. 수배이음성포함유순지지시야
若不深心硏究. 孰能探其精微而得其要訣也.
약불심심연구. 숙능탐기정미이득기요결야.
⇒ 子,寅.辰,午,申,戌은 陽支가 된다. 모름지기 차가운 陽과 따뜻한 陽으로 논한다. 西北은 차갑고 東南은 따뜻하다.가령 西北인 申,子,戌의 차가운 陽이면 運에서 東南인 卯,巳,未의 따뜻한 陰을 최고로 원하게 된다.
가령 寅,辰,午가 완전하게 있다면 東南의 따뜻한 陽으로 行運에서 酉,亥,丑인 西北의 차가운 陰을 최고로 원하게 된다. 이것은 대국적으로 논한 것이다.
만약 日主가 만난 用神, 喜神이 木, 火, 土인 東南의 따뜻한 陽이 되면 歲運의 배합은 西北의 陰水, 陰木, 陰火가 마땅하여 喜神, 用神을 생조 할 수 있는 방향이 되어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이니 기쁘다.
만약 歲運이 西北의 陽水,陽木,陽火는 陽으로만 되어서 生하지 못하니 喜神을 생조하는 것이 느슨하게 되어 절대 마땅한 것으로 보기 어려워 평탄한데 불과하고 기구한 고통을 면 할 뿐이다.
陽의 따뜻한 局이 이와 같으니 陽의 차가운 局도 동등하게 論하면 된다.
소위 성한 陽은 광창하고 강건한 勢로 모름지기 성한 陰의 안고 머금고 유순한 地가 짝하는 것을 설명한 것이 이것이다.
만약 이러한 것을 연구하는 마음이 깊지 않다면 능숙하게 그 정미한 요결을 찾을 수 있겠는가.
庚 丙 丙 癸
寅 午 辰 巳
戊己庚辛壬癸甲乙
申酉戌亥子丑寅卯
此東方之陽暖. 天干金水. 似乎無根. 喜月支辰土. 洩火蓄水
차동방지양난. 천간금수. 사호무근. 희월지진토. 설화축수
而生金. 庚金掛角逢生. 則庚金可用. 癸水卽庚金之喜神. 初
이생금. 경금괘각봉생. 칙경금가용. 계수즉경금지희신. 초
運甲寅乙卯. 金絶火生而水洩. 孤苦不堪. 一交癸丑北方陰溼
운갑인을묘. 금절화생이수설. 고고불감. 일교계축북방음습
之地. 金水通根. 又得巳丑拱金之妙. 出外大得際遇. 驟然發
지지. 금수통근. 우득사축공금지묘. 출외대득제우. 취연발
財十餘萬. 陽暖逢寒. 配合之美也.
재십여만. 양난봉한. 배합지미야.
⇒ 이 명조는 東方의 따뜻한 陽이다. 天干의 金水는 根이 없는 것 같다. 月支의 辰土가 좋다. 火를 설하고 水를 저축하고 金을 生한다. 庚金이 각에 걸려 生을 만나니 庚金이 用이 되고 癸水는 庚金의 喜神이 된다.
초운 甲寅, 乙卯에 金이 絶되고 火를 生하고 水를 洩하여 고초가 많았는데 癸丑 運으로 교체되어 北方의 陰溼한 地로 金水가 통근되고 巳丑가 공금(拱金)하여 묘하다.
밖에서 큰 인연을 만나서 십여만의 재산을 벌었다. 따뜻한 陽이 차가움을 만나서 아름다운 배합 때문이다.
< 金河 注 : 丙午가 辰월의 寅시에 태어났다. 辰월은 진기에 해당하는 木을 거두어 펴지게 하여 火로 변화 시키는 계절이 되고 寅시는 長生地가 된다. 土를 用하는 것이 좋게 보인다. 그렇다고 金이나 水가 나쁜 것은 아니고 土도 戌이나 未를 좋지 않다. 食神生財하고 또 癸水가 양인을 제어하여 큰돈을 벌게 된 것이다.
무요촬요에 주유겁재,비인다자, 형부모상처첩, 불취재(柱有劫財, 比刃多者, 刑父母傷妻妾, 不聚財 : 柱에 比刃가 많은 자는 보모, 처, 첩을 刑하고 재산을 모으지 못한다. )했는데 다행히 이 명조는 刃比를 원국에서 제어하고 운에서도 제어하는 성분이 들어오니 발하게 되는 것이다.>
庚 丙 乙 戊
寅 寅 丑 寅
癸壬辛庚己戊丁丙
酉申未午巳辰卯寅
丙寅日元. 雖支遇三寅. 最喜丑土乘權. 財星歸庫. 若運走西北土金. 財業必勝前造. 惜一路東南木火之地. 祖業破盡. 徧歷數省. 奔馳不遇. 至午運暗會劫局. 死於廣東. 一事無成. 莫非運也.
⇒ 丙寅 日元이 비록 支에 三寅을 만났지만 좋은 것은 丑土가 월령에 있어서 권력을 탄 것으로 財星이 庫에 통근하였고 만약 運이 西北 土金으로 달렸다면 재물이 반드시 전의 명조보다 뛰어 났을 것인데 애석하게 東南 木火의 地로 쭉 나아가니 조업(祖業)이 깨어져 없어지고 여러 성을 떠돌아 다녀도 인연을 만나지 못하고 午運에 이르러 寅午 暗會하는 劫局이 되어 광동에서 죽었다. 한 가지 일도 이룬 것이 없으니 運이 없어서 그러한 것이다.
< 金河 注 : 丙寅이 丑月의 寅時에 태어났다. 梟가 과다하다.
간명구결에 양인중견재사(陽刃重見財死 : 중한 陽刃이 재를 보면 死 한다. )했다. 3개의 寅이 午와 손잡으니 태과하게 된 것이다.
또 양인봉생다악사(陽刃逢生多惡死 ; 양인이 생을 만나면 해로움과 死함이 많다.)
정미론에 만반양인, 결정분시(滿盤陽刃, 決定分屍 : 陽刃이 만반하면 시체가 나누어진다.)
간명구결에 생부태과, 인갱왕이신종(生扶太過, 印更旺而身終 : 생부가 태과한데 印이 다시 旺하면 身이 끝난다.)했다. 즉 火가 분소하여 없어진 것이다.
무요촬요에 양인약봉인수, 수귀이잔질재신(羊刃若逢印綬, 雖貴而殘疾在身 : 양인이 만약 인수를 만나면 비록 貴하지만 몸에 질병이 있어서 해롭다.)
금옥부에 생래빈요, 재식득지효인중(生來貧夭, 財食得地梟印重 : 생애에 가난하고 요절함은 財食이 득지하고 梟印이 중함이다.)
명통부에 식신우효, 무재극요(食神遇梟, 無財則夭 : 食神이 梟를 만났는데 財가 없으면 요절한다.) 즉 午火가 寅과 손잡으니 火가 강해져서 庚金 財星이 제거 된 연유로 死한 것이다. >
이상을 살펴보면 羊刃과 梟와 食神의 동향에도 死하는 문제가 민감함을 알 수 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사람이 더위에 힘들면 허탈해져 퍽 퍼지게 되지요. 즉 목기가 死한 상징으로 보면 어떨까합니다.
음양생사에 대해서는 삼명통회의 논음양생사에 어느 고서보다 가장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만민영 선생 시대에도 논란이 많았나 봅니다. 만민영 선생은 기원전 고인의 견해를 많이 인용하여 설명합니다. 더 많는 것을 얻자고 하시면 참고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