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U는 순환 경제 구축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2022년 에코디자인 규제안을 발표하고, EU 내에 유통되는 모든 물리적 제품에 대해 DPP(Digital Product Passport, 디지털 제품 여권)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DPP제도가 정식 시행되면 EU에 수출하려는 기업은 물론이고 제품의 공급망 전(全) 과정의 참여자와 이해관계자가 DPP에 정보를 등록하고 공유받게 된다. 즉 EU뿐 아니라 전 세계의 공급망이 추적성을 가지며 하나의 디지털 기록매체에 의해 투명하게 공개될 전망이다.
EU에서는 특히 전자제품, 섬유, 배터리 분야에서 DPP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2022년 독일의 전기전자산업협회(ZVEI)는 하노버 산업박람회에서 ‘탄소발자국 컨트롤 캐비닛(ZVEI-Show-Case PCF@Control Cabinet)’ 쇼케이스 시연을 통해 전자제품 DPP의 구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스웨덴의 지속가능성 연구 협의체인 Trace4Value는 섬유산업의 특징에 적합한 데이터 표준양식(data protocol)을 찾아내기 위해 섬유 DPP 파일럿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배터리에 대해서는 이미 BatteryPass, GBA, MOBI 등 관련 기관 및 연맹에서 배터리여권(Digital Battery Passport, DBP)가이드라인을 발표했고, 최근 EU가 배터리법을 발효시킴으로써 그 구축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EU DPP에 대응하여 중국과 일본도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중국은 2023년 10월부터 IT 기업 남경복창(南京··)社를 중심으로 배터리 여권(DBP) 무료컨설팅 및 제작 서비스를 시작했다. 또한 기업 단위의 탄소배출 관리뿐 아니라 자동차, 기계, 전자기기, 섬유 등 각 품목별로 공급망 탄소발자국 플랫폼을 개발해 운영 중이다. 한편 일본은 배터리 및 부품업체 30여개사가 BASC(Battery Association for Supply Chain)를 결성하여 ‘일본식 배터리 공급망 디지털 플랫폼’ 구축을 위해 노력 중이고, 기업, 대학, 지역 시민단체가 모여 만든 J-CEP연맹은 플라스틱 수거 및 재활용을 위한 DPP를 구현을 위해 힘쓰고 있다.
향후 EU DPP는 기업의 ESG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특히 DPP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는 탄소발자국은 세계 각국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요소로 기업들은 탄소 배출량의 측정 및 감축노력에 대한 대비가 절실하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 기업은 △EU DPP 추진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공급망 정보의 축적 및 디지털 기술 도입 △탄소발자국 감축, 인권·노동 문제 해결 등 ESG 항목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정부 및 유관기관에게는 △배터리, 섬유 등 주요 품목의 파일럿 DPP 제작 지원 △중소기업을 위한 DPP 지원인프라 구축 △산업별 탄소배출 관리 플랫폼 구축 △DPP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참고자료)[TF2] EU 디지털 제품 여권(DPP) 추진 현황 및 시사점.pdf
down다운로드read미리보기
https://fileview.kita.net/v/pqjsOCGt5F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