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궁(巽宮)4,징파(徵破)東南 |
이궁(離宮)9,퇴식(退食)正南 |
곤궁(坤宮)2,안손(眼損)南西 |
|
(巽宮) 4 |
(離宮) 9 |
(坤宮) 2 |
진궁(震宮)3.식신(食神)正東 |
중궁(中宮)5,오귀(五鬼)中 |
태궁(兌宮)7,진귀(進鬼)正西 |
(震宮) 3 |
(中宮) 5 |
(兌宮) 7 | |
간궁(艮宮)8,관인(官印)北東 |
감궁(坎宮)1,천록(天祿)正北 |
건궁(乾宮)6,합식(合食)西北 |
(艮宮) 8 |
(坎宮) 1 |
(乾宮) 6 |
文王後天九宮圖 順序
옛날부터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법이다 일명 천록법(天祿法)이라고도 하는데 . 이사 방소법은 가주(家主)의 당년(當年) 나이와 文王後天九宮圖 를 기본으로 한다. 가주(家主)의 연령에 따라 길방과 흉방으로 구분되여 있으므로 당년 나이로 년궁(年宮)을 결정한 다음, 구궁도(九宮圖)의 순서에 따라 길한 방위를 찾으면 된다.
◎ 방소법의 길흉화복 (方所法의 吉凶禍福)
천록진록획재(天祿進祿獲財) - 관록(官祿)과 재물(財物)이 생기고.
식신영재치부(食神盈財致富) - 재물이 풍족하여 치부(致富)하고.
관인가관진작(官印加官進爵) - 벼슬과 녹봉(祿俸)오르고 승진도 한다.
합식부귀쌍전(合食富貴雙全) - 매사 형통하여 부귀(富貴)가 쌍전(雙全)한다.
퇴식가산퇴패(退食家産退敗) - 가산(家産)이 줄고 패(敗)한다.
징파도재손지(徵破盜財損志) - 재물을 도둑맞고 손재(損財)하며.
진귀귀숭재해(進鬼鬼崇災害) - 질병(疾病)과 재앙(災殃)이 생기고 재난이 많다.
오귀가택불녕(五鬼家宅不寧) - 가택(家宅)이 불안(不安)하고 우환(憂患)이많다.
안손손재안병(眼損損財眼病) - 손재(損財)와 안질(眼疾)이 생긴다.
순서
1,천록(一天祿)
2,안손(二眼損)
3,식신(三食神)
4,징파(四徵破)
5,오귀(五五鬼)
6,합식(六合食)
7,진귀(七進鬼)
8,관인(八官印)
9,퇴식(九退食)
◎연령(年齡) 부치는법
2,11,20,29 (巽)東南 38,47,56 |
7,16,25 (離)南 34,43,52 |
9,18,27 (坤)西南 36,45,54 |
|
3,12,21,30 (巽)辰巳 39,48,57.66 |
8,17,26,35 (離)午 44,53,62 |
1,10,19,28 (坤)未申 37,46,55,64 |
1,10,19,28 (震)東 37,46,55 |
3,12,21,30中 39,48,57 |
5,14,23,32 (兌)西 41,50,59 |
2,11,20,29 (震)卯 38,47,56,64 |
4,13,22,31 中 40,49,58,67 |
6,15,24,33 (兌) 42,51,60,69 | |
6,15,24,33 (艮)東北 42,51,60 |
8,17,26 (坎)北 35,44,53 |
4,13,22,31 (乾)西北 40,49,58 |
7,16,25,34 (艮)寅丑 43,52,61,70 |
9,18,27,36 (坎)子 45,54,63 |
5,14,23,32 (乾)戌亥 41,50,59,68 | |
男子年齡圖 |
女子年齡圖 |
◎ 년궁(年宮) 찾는 법
남 자는 구궁도의 1세는 진궁(震宮)에서 일으켜서 구궁 순서대로 나이 세어나간다 자신의 나이가 해당되는 곳이 년궁(年宮)이다. 즉 1세는 진궁(震宮), 2세는손궁(巽宮), 3세는 중궁(中宮), 4세는 건궁(乾宮) , 5세는 태궁(兌宮) , 6세는 간궁(艮宮), 7세는이궁(離宮), 8세는 간궁(坎宮), 9세는 곤궁(坤宮), 다시 10세는 진궁(震宮), 20세는손궁(巽宮), 30세는 중궁(中宮), 40세는 건궁(乾宮), 50세는태궁(兌宮) , 60세는 간궁(艮宮) , 70세는 이궁(離宮), 71세는 간궁(坎宮) , 72세는 곤궁(坤宮)...... 순으로 짚어나가다가 자신의 나이가 되는 곳이 년궁이 된다.
여자는 구궁도의 (坤宮)에서 1세는 에서 일으켜서 구궁 순서대로 순행한다.
즉 2세는진궁(震宮) , 3세는손궁(巽宮) , 4세는중궁(中宮) , 5세는건궁(乾宮) ,
6 세는태궁(兌宮) , 7세는간궁(艮宮) , 8세는이궁(離宮) , 9세는감궁(坎宮) , 다시 10세는곤궁(坤宮) , 20세는진궁(震宮) , 30세는손궁(巽宮) , 40세는중궁(中宮) 50세는건궁(乾宮) , 60세는태궁(兌宮) , 70세는간궁(艮宮) , 71세는이궁(離宮) , 감궁(坎宮)72세는...순으로 짚어나가다가 자신의 연령(年齡)가 되는 곳이 년궁(年宮)이 된다.
⊙ |
乾(남자) |
坤(여자) | ||||||||||||||||
당년 구분 |
1 10 19 28 37 46 55 64 73 82 |
2 11 20 29 38 47 56 65 74 83 |
3 12 21 30 39 48 57 66 75 84 |
4 13 22 31 40 49 58 67 76 85 |
5 14 23 32 41 50 59 68 77 86 |
6 15 24 33 42 51 60 69 78 87 |
7 16 25 34 43 52 61 70 79 88 |
8 17 26 35 44 53 62 71 80 89 |
9 18 27 36 45 54 63 72 81 90 |
2 11 20 29 38 47 56 65 74 83 |
3 12 21 30 39 48 57 66 75 84 |
4 13 22 31 40 49 58 67 76 85 |
5 14 23 32 41 50 59 68 77 86 |
6 15 24 33 42 51 60 69 78 87 |
7 16 25 34 43 52 61 70 79 88 |
8 17 26 35 44 53 62 71 80 89 |
9 18 27 36 45 54 63 72 81 90 |
10 19 28 37 46 55 64 73 82 91 |
天祿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眼損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食神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徵破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五鬼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合食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進鬼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官印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退食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西南 |
北 |
南 |
東北 |
西 |
西北 |
中 |
東南 |
東 |
2) 생기복덕방위(生氣福德方位)
생기복덕법은 적용 범위가 넓다 옛날부터 일진(日辰)과 방위(方位)의 길흉(吉凶)을 예측하는데 사용한 법으로 어느행사를 위한 택일을 막론하고
참작하지 않는것이 없다 모든 택일(擇日)의 기본가 된다. 또한 일진(日辰)을 기준으로 하여 24방위를 택해 택일을 정한다
나이를 기본괘로 하고, 상지선동(上指先動)하여 작괘(作卦)한다.
3) 태백살방위(太白殺方位)
태 백살은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져있다 흔히 손 있는 방위’ 또는 ‘손 있는 날’이라고도 한다.음력 스무아흐레와 그음 을 손 없는날이라 했지만 사실는동에서 남으로 남에서 서로 서에서북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아간다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등 일자에 따라 그 방위에 있는 살(殺)을 말한다
태백살이 있는 방향으로 이사(移徙)를 하거나 출행(出行)을 하면 손해(損害)와재난(災難)이많다고한다가 있다
또한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은 흉신(凶神)이 하늘로 올라가기 때문에 이사(移徙)를 해도 아무런 피해가 없다고 한다.
1일, 11일, 21일 : 정동방(正東方)에 태백살
2일, 12일, 22일 : 동남방(東南方)에 태백살
3일, 13일, 23일 : 정남방(正南方)에 태백살
4일, 14일, 24일 : 서남방(西南方)에 태백살
5일, 15일, 25일 : 정서방(正西方)에 태백살
6일, 16일, 26일 : 서북방(西北方)에 태백살
7일, 17일, 27일 : 정북방(正北方)에 태백살
8일, 18일, 28일 : 동북방(東北方)에 태백살이 있다.
4) 오귀삼살방위(五鬼三煞方位)
오귀삼살방(五鬼三殺方)은 삼살방(三殺方)이라고도 하며, 겁살(劫殺), 재살(災殺), 세살(歲殺)을 합칭한 말이다. 연에 따라 존재하는 것으로
120보(약150m)이상이면 이사 방향을 가리지 않고 임의대로 이사해도 무방(無妨)하다
신자진 년(申子辰 年) : 사오미 방(巳午未 方) = 남방(南方)
해묘미 년(亥卯未 年) : 신유술 방(申酉戌 方) = 서방(西方)
인오술 년(寅午戌 年) : 해자축 방(亥子丑 方) = 북방(北方)
사유축 년(巳酉丑 年) : 인묘진 방(寅卯辰 方) = 동방(東方)
5) 대장군방위(大將軍方位)
대장군은 연신방흉살(年神方凶殺)의 하나로 이 방위에 이사, 건물을 달아 내거나 헛간, 화장실, 축사 등 수리를 하거나 지으면 흉하다.
120보(약150m)이상이면 이사 방향을 가리지 않고 임의대로 이사해도 무방(無妨)하다
인묘진(寅卯辰) 3년간 : 감방(坎方, 북쪽)
사오미(巳午未) 3년간 : 진방(震方, 동쪽)
신유술(申酉戌) 3년간 : 이방(離方, 남쪽)
해자축(亥子丑) 3년간 : 태방(兌方, 서쪽)
6) 상문,조객살방위(喪門弔客殺方位)
사람이 죽은 방위로 이살방위는 질병과액이 따른다고 한다.
年支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喪門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弔客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2,이사택일(移徙擇日)
1) 이안주당법(移安周堂法)
이 사주당법(移徙周堂法)은 이사하는 날이 30일이 있는 대월(大月)이면 1일를 안(安)에서 시작하여 2일은 이(利)을 3일은 천(天)에서 4일은해(害) 5일은살(殺)에서, 6일은부(富)에서 7일은사(師)에서 8일은재(災)에서 다시 9일은 안(安)에서 하면서 좌측으로 순행하고 29일까지 있는 소월(小月)이면 1일을 천(天)에서 시작하여 2일은 이(利)에서 3일은안(安)에서 4일은재(災)에서 하면서 우측으로 역행한다.
길(吉)은 천(天), 이(利), 부(富), 안(安), 사(師)의 5궁이 길한 날이다.
흉(凶)은 재(災), 살(殺), 해(害) 3궁이 흉한 날이다.이사 당일(當日)이 입궁(入宮)하는 곳이 바로 그 날의 주당(周堂) 이 된다.
日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大月 |
安 |
利 |
天 |
害 |
殺 |
富 |
師 |
災 |
安 |
利 |
天 |
害 |
殺 |
富 |
師 |
災 |
安 |
利 |
天 |
害 |
殺 |
富 |
師 |
災 |
安 |
利 |
天 |
害 |
殺 |
富 |
小月 |
天 |
利 |
安 |
災 |
師 |
富 |
殺 |
害 |
天 |
利 |
安 |
災 |
師 |
富 |
殺 |
害 |
天 |
利 |
安 |
災 |
師 |
富 |
殺 |
害 |
天 |
利 |
安 |
災 |
師 |
|
◎이사주당법(移徙周堂法)
安(吉) (大月)→ |
利(吉) |
天(吉) ←(小月) |
災(害) |
|
害(凶) |
師(吉) |
富(吉) |
殺(凶) |
2) 삼갑년순법(三甲年旬法)
당해 년의 지지(地支)를 기준으로 일진(日辰)의 길흉(吉凶)을 보는 법이다.
60갑자(甲子)를 육갑(六甲)으로 나누어 생갑순(生甲旬), 병갑순(病甲旬),
사갑순(死甲旬)으로 분류한다.
생 갑순(生甲旬)은 이사, 입택, 건축및수리, 혼인, 취임등 일반행사는 길하고, 병갑순(病甲旬)은 무해무익하며, 사갑순(死甲旬)을 사용하면 사망이나 질병의 불행이 따른다. 그러나 장사(葬事)과 매장(埋葬)에있어서는 이와 반대로 사갑순(死甲旬)의 일진이 대길하고, 병갑순(病甲旬)의 일진은 평상이고, 생갑순(生甲旬)의 일진에는 불안하고 육축(六畜)이 손상되며 재물의 실패도 있다고 한다.
[六十甲子의 六甲]
⊙갑자순(甲子旬) =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갑술순(甲戌旬) = 甲戌, 乙亥,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갑신순(甲申旬) =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갑오순(甲午旬) =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갑진순(甲辰旬) =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갑인순(甲寅旬) =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三甲年 早見表)
年 |
子午 |
未丑 |
寅申 |
卯酉 |
辰戌 |
巳亥 |
生甲旬 |
甲子旬 甲午旬 |
甲辰旬 甲戌旬 |
甲寅旬 甲申旬 |
甲子旬 甲午旬 |
甲辰旬 甲戌旬 |
甲寅旬 甲申旬 |
病甲旬 |
甲寅旬 甲申旬 |
甲子旬 甲午旬 |
甲辰旬 甲戌旬 |
甲寅旬 甲申旬 |
甲子旬 甲午旬 |
甲辰旬 甲戌旬 |
死甲旬 |
甲辰旬 甲戌旬 |
甲寅旬 甲申旬 |
甲子旬 甲午旬 |
甲辰旬 甲戌旬 |
甲寅旬 甲申旬 |
甲子旬 甲午旬 |
3) 입택귀화일(入宅歸火日)
귀화(歸火)는 조상(祖上)의 신주(神主) 즉 위패(位牌)를 사당에 옮겨 모시고 제사를 재내는것것인데, 이 날 이사(移徙)하면 좋다. 입택이란 새집에 들어가사는것을 말하고 이사란 어떻곳에 살다가 다른곳으로 옮겨 사는일을 말하는데 이날은 이사일과 같은일로 통영한다 또한 새로 이사한 집의 ‘집들이’하는 날로는 더욱 좋다.
吉日은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정묘(丁卯), 기사(己巳),
경오(庚午)신미(辛未), 갑술(甲戌), 을해(乙亥), 정축(丁丑), 계미(癸未),
갑신(甲申)경인(庚寅), 임진(壬辰), 을미(乙未), 경자(庚子), 임인(壬寅),
계묘(癸卯)병오(丙午), 정미(丁未), 경술(庚戌), 계축(癸丑), 갑인(甲寅),
을묘(乙卯)기미(己未), 경신(庚申), 신유일(辛酉日)인데
천덕(天德),월덕(月德) 천월덕합(天月德合) 황도(黃道)를 겸(兼)하면 大吉하다
4), 황흑도길흉영정국(黃黑道吉凶定局)
황도(黃道)는 태벽살과함께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능히 흉신(凶神)의 惡性(악성)을 제살(制殺)할 수 있는 대길신(大吉神)으로 일이 급할 때는 이 황도일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사는 물론 혼인, 건축, 안장(安葬) 등 모든 일에 길(吉)하다. 황흑도의 구성은 6가지황도(黃道)와 6가지 흑도(黑道)로 되어있는데 흑도(黑道)는 흉(凶)하므로 피해야 한다.
月과支 區分 |
寅,申月 1,7月 |
卯,酉月 2,8月 |
辰,戌月 3,9月 |
巳,亥月 4,10月 |
子,午月 5,11月 |
丑,未月 6,12月 | |
1 |
청용황도(靑龍黃道) |
子 |
寅 |
辰 |
午 |
申 |
戌 |
2 |
명당황도(明堂黃道) |
丑 |
卯 |
巳 |
未 |
酉 |
亥 |
3 |
천형흑도(天刑黑道) |
寅 |
辰 |
午 |
申 |
戌 |
子 |
4 |
주작흑도(朱雀黑道) |
卯 |
巳 |
未 |
酉 |
亥 |
丑 |
5 |
금궤황도(金櫃黃道) |
辰 |
午 |
申 |
戌 |
子 |
寅 |
6 |
대덕황도(大德黃道) |
巳 |
未 |
酉 |
亥 |
丑 |
卯 |
7 |
백호흑도(白虎黑道) |
午 |
申 |
戌 |
子 |
寅 |
辰 |
8 |
옥당황도(玉堂黃道) |
未 |
酉 |
亥 |
丑 |
卯 |
巳 |
9 |
천뢰흑도(天籟黑道) |
申 |
戌 |
子 |
寅 |
辰 |
午 |
10 |
현무흑도(玄武黑道) |
酉 |
亥 |
丑 |
卯 |
巳 |
未 |
11 |
사명황도(司命黃道) |
戌 |
子 |
寅 |
辰 |
午 |
申 |
12 |
구진흑도(句陳黑道) |
亥 |
丑 |
卯 |
巳 |
未 |
酉 |
[예]
음력 1월(寅月)에는 황도일(黃道日)은 자일(子日), 축일(丑日), 진일(辰日), 사일(巳日), 미일(未日), 술일(戌日)길일이고 모든 일에 대길(大吉)하다
흑도일(黑道日)은 인일(寅日), 묘일(卯日), 오일(午日), 신일(申日), 유일(酉日), 해일(亥日)은 흉일이다. 매사에 불길한 날이다
또한 이일(寅日)에는 황도시(黃道時)은 자일(子時), 축일(丑時), 진일(辰時), 사일(巳時),미일(未時), 술일(戌時) 吉時이고 모든 일에 길한 時이다.
흑도시(黑道時)은 인시(寅時), 묘시(卯時), 오시(午時), 신시(申時), 유시(酉時), 해시(亥時)은 凶한時이다. 매사에 불리한 시이다
황도(黃道) : 매사 길한 신으로 제살(制殺)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어지간한 흉살이 있더라도 제살(制殺)하는 능력이 뛰어난 황도일진(黃道日辰)을 사용하면 면살(免殺)된다.
5), 월가기준조견표(月家吉神早見表) (입절(立節) 기준으로 하는것이 원칙이다)
월별 길신구분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吉 행사 |
천덕(天德) |
丁 |
申 |
壬 |
辛 |
亥 |
甲 |
戊 |
寅 |
丙 |
乙 |
巳 |
庚 |
만사대길 |
천덕합(天德合) |
壬 |
巳 |
丁 |
丙 |
寅 |
己 |
癸 |
亥 |
辛 |
庚 |
申 |
乙 |
만사대길 |
월덕(月德) |
丙 |
甲 |
壬 |
庚 |
丙 |
甲 |
壬 |
庚 |
丙 |
甲 |
壬 |
庚 |
만사대길 |
월덕합(月德合) |
辛 |
己 |
丁 |
乙 |
辛 |
己 |
丁 |
乙 |
辛 |
己 |
丁 |
乙 |
만사대길 |
생기(生氣)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이사에길 |
월은(月恩) |
丙 |
丁 |
庚 |
己 |
戊 |
辛 |
壬 |
癸 |
庚 |
乙 |
甲 |
辛 |
이사에길 |
월재(月財) |
九 |
三 |
四 |
二 |
七 |
六 |
九 |
三 |
四 |
二 |
七 |
六 |
이사에길 |
해신(解神) |
申 |
申 |
戌 |
戌 |
子 |
子 |
寅 |
寅 |
辰 |
辰 |
午 |
午 |
살을해소 |
이사길일을 택하는 방법은, 주당법(移徙周堂法), 생갑순(生甲旬),입택귀화일(入宅歸火日), 황도(黃道),와 만사에 유리한 천월덕(天月德),등 길신일(吉神日)을 찾고, 가주(家主)의 생기복덕법은 적용 하여 길일을 택한다.
결혼택일(結婚擇日)
1),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
⊙ |
乾(남자) |
坤(여자) | |||||||||||||||
당년
구분 |
1 8 16 24 32 40 48 56 64 72 80 |
- 9 17 25 33 41 49 57 65 73 81 |
2 10 18 26 34 42 50 58 66 74 82 |
3 11 19 27 35 43 51 59 67 75 83 |
4 12 20 28 36 44 52 60 68 76 84 |
5 13 21 29 37 45 53 61 69 77 85 |
6 14 22 30 38 46 54 62 70 78 86 |
7 15 23 31 39 47 55 63 71 79 87 |
1 8 16 24 32 40 48 56 64 72 80 |
2 9 17 25 33 41 49 57 65 73 81 |
3 10 18 26 34 42 50 58 66 74 82 |
4 11 19 27 35 43 51 59 67 75 83 |
5 12 20 28 36 44 52 60 68 76 84 |
6 13 21 29 37 45 53 61 69 77 85 |
7 14 22 30 38 46 54 62 70 78 86 |
- 15 23 31 39 47 55 63 71 79 87 | |
吉 |
生氣 |
卯 |
丑寅 |
戌亥 |
酉 |
辰巳 |
未申 |
午 |
子 |
辰巳 |
酉 |
戌亥 |
丑寅 |
卯 |
子 |
午 |
未申 |
吉 |
天宜 |
酉 |
辰巳 |
午 |
卯 |
丑寅 |
子 |
戌亥 |
未申 |
丑寅 |
卯 |
午 |
辰巳 |
酉 |
未申 |
戌亥 |
子 |
平 |
絶體 |
子 |
戌亥 |
丑寅 |
未申 |
午 |
酉 |
辰巳 |
卯 |
午 |
未申 |
丑寅 |
戌亥 |
子 |
卯 |
辰巳 |
酉 |
平 |
遊魂 |
未申 |
午 |
辰巳 |
子 |
戌亥 |
卯 |
丑寅 |
酉 |
戌亥 |
子 |
辰巳 |
午 |
未申 |
酉 |
丑寅 |
卯 |
凶 |
禍害 |
丑寅 |
卯 |
子 |
辰巳 |
酉 |
午 |
未申 |
戌亥 |
酉 |
辰巳 |
子 |
卯 |
丑寅 |
戌亥 |
未申 |
午 |
吉 |
福德 |
辰巳 |
酉 |
未申 |
丑寅 |
卯 |
戌亥 |
子 |
午 |
卯 |
丑寅 |
未申 |
酉 |
辰巳 |
午 |
子 |
戌亥 |
凶 |
絶命 |
戌亥 |
子 |
卯 |
午 |
未申 |
辰巳 |
酉 |
丑寅 |
未申 |
午 |
卯 |
子 |
戌亥 |
丑寅 |
酉 |
辰巳 |
平 |
歸魂 |
午 |
未申 |
酉 |
戌亥 |
子 |
丑寅 |
卯 |
辰巳 |
子 |
戌亥 |
酉 |
未申 |
午 |
辰巳 |
卯 |
丑寅 |
생기복덕법은 적용 범위가 넓다 옛날부터 일진(日辰)과 방위(方位)의 길흉(吉凶)을 예측하는데 사용한 법으로 어느행사를 위한 택일을 막론하고 참작하지 않는것이 없다 모든 택일(擇日)의 기본가 된다. 나이를 기본괘로 하고, 상지선동(上指先動)하여 작괘(作卦)한다.
일상생기(一上生氣)
이중천의(二中天醫)
삼하절체(三下絶體)
사중유혼(四中遊魂)
오상화해(五上禍害)
육중복덕(六中福德)
칠하절명(七下絶命)
팔중귀혼(八中歸魂)
7 (巽)辰巳 |
8 1 (離)午→ 40歲 |
9 (坤)未申 |
|
6 (巽)辰巳 |
5 (離)午 20歲 |
4 (坤)未申 |
6 (震)卯 30歲 |
乾 (남자) |
2 (兌)酉 10歲 |
7 (震)卯 30歲 |
坤 (여자) |
3 (兌)酉 10歲 | |
5 (艮)寅丑 |
4 (坎)子 20歲 |
3 (乾)戌亥 |
(艮)寅丑 |
8 1 (坎)子→ 40歲 |
9 2 (乾)戌亥 |
상지선동(上指先動)이란 먼저 상효에 해당되는 상지(검지)를 바꾸라는 뜻입니다. 상효가 양이면 음으로, 음이면 양으로한다.
남자는 1세를 이에서 일으켜 팔방(八方)을 순행하고 2세는 곤궁(坤宮)에서 건너뜀(단,8세이상은건너뛰지 않는다)
여자는 1세를 坎에서 일으켜 팔방(八方)을역행 하고 8세는 간궁(艮宮)에서 건너뜀 (단,8세이상은건너뛰지 않는다)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의 길흉화복
◎생기(生氣) :극귀지상(極貴之象)으로 매사 형통의 대길한 일진과 방위.
◎천의(天醫) :부귀지상(富貴之象) 으로 매사 형통의 대길한 일진과 방위.
◎절체(絶體) :병권지상(兵權之象) 으로 매사 부진한 일진과 방위.
◎유혼(遊魂) :준아지상(俊雅之象) 으로 이해상반의 別無得失한 일진과 방위.
◎화해(禍害) :살벌지상(殺伐之象) 으로 매사 부진에 인상손재(人傷損財)한 일진과 방위.
◎복덕(福德) :극귀지상(極貴之象) 으로 매사 형통에 대길한 일진과 방위.
◎절명(絶命) :호쟁지상(好爭之象) 으로 매사 부진에 人傷多財의 대흉한 일진과 방위.
◎귀혼(歸魂) :간웅탐공지상(奸雄貪恭之象)으로 무사안일(無事安逸)하고
별무득실한 일진과 방위.
2), 오합일(五合日)
인일(寅日)과 묘일(卯日)을 오합일(五合日)이라 한다. 흔히 혼인(婚姻) 날짜를 택일할 때 사용하는는 법이다.
오합(五合)이란
日月合은 해와 달이 합하는 날,
陰陽合은 음양이 합하는 날,
人民合은 백성이 합하는 날,
金石合은 쇠와돌이 합하는 날,
江河合은 강과하천이 합하는 날이 각기 있고.
60갑자일 중에 인일(寅日)과 묘일(卯日)이 들어가는 날은 모두 오합일(五合日)에 해당된다.
일월합(日月合) |
갑인일(甲寅日) |
을묘일(乙卯日) |
음양합(陰陽合) |
병인일(丙寅日) |
정묘일(丁卯日) |
인민합(人民合) |
무인일(戊寅日) |
기묘일(己卯日) |
금석합(金石合) |
경인일(庚寅日) |
신묘일(辛卯日) |
강하합(江河合) |
임인일(壬寅日) |
계묘일(癸卯日) |
이 날을 좋다고 하는 것은 음양불장길일(陰陽不將吉日)과 득합(得合)하면 다른 길흉성(吉凶星)은 일절(一切) 불문(不問)하고 大吉 하다고 하기 때문이다.
3),음양불장길일(陰陽不將吉日)
남녀를 막론하고 혼인택일에 吉한 날이다 이날은 결혼날짜에 가장 좋은길 일이다. 다만 혼인총기일과 복단일, 신랑신부의주당일, 二十四節候日, 4월8일 단오일, 십악일월기일, 사갑순등을 빼고 날을 정하면 좋은吉日이 된다
혼인총기일이 제외된 (陰陽不將吉日)
寅(1月) |
丁卯 戊寅 己卯 庚寅 辛卯 丙寅 |
卯(2月) |
丙子 丁丑 戊寅 戊子 己丑 庚子 庚寅 |
辰(3月) |
丙子 丁酉 戊子 己酉 乙酉 |
巳(4月) |
甲子 甲戌 乙酉 丙戌 丁酉 戊子 戊戌 己酉 |
午(5月) |
甲申 甲戌 乙未 丙申 丙戌 戊申 戊戌 癸未 癸酉 |
未(6月) |
甲申 乙未 壬申 癸未 |
申(7月) |
甲申 乙巳 壬申 癸巳 |
酉(8月) |
甲申 壬午 壬申 |
戌(9月) |
庚午 辛卯 辛巳 辛未 壬午 癸卯 癸巳 癸未 |
亥(10月) |
庚辰 庚午 辛卯 壬辰 壬午 癸卯 |
子(11月) |
丁丑 己丑 庚寅 庚辰 辛丑 壬寅 壬辰 |
丑(12月) |
丙子 丙寅 戊子 庚子 庚寅 |
4),복단일(伏斷日) = 인연을 끊는 날
日辰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曜日 |
日 |
木 |
火 |
土 |
水 |
日 |
木 |
月 |
金 |
火 |
土 |
水 |
28宿 |
虛 |
斗 |
室 |
女 |
箕 |
房 |
角 |
張 |
鬼 |
觜 |
胃 |
壁 |
복단일(伏斷日)이란 엎어지고 끊긴다는 뜻으로 대흉(大凶)하므로 이사, 혼인, 여행 등 백사(百事)에 불리한 날이다. 그러나 황도일(黃道日)을 겹치면 무해하다고 한다.또 화장실(변소)을 새로 짓거나 수리하는 날, 어린 아이 젖떼는 일, 남과 인연을 끊는 일에 사용하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복단일은 요일(曜日)과 관계가 있다.
5),가취주당(嫁娶周堂)
결혼 택일하는데 가취주당법(嫁娶周堂法)을 많이 이용한다. 결혼하는 날이 1日, 7日, 9日, 15日, 17日, 23日, 25日 夫婦주당 곳에 입궁(入宮)하면 부부주당인데 이 날은 아주 凶 한 날이기 때문에 혼인날로 정하지 않는다.
결 혼하는 달(月)이 음력으로 30일까지 있는 대월(大月)이면 부(夫)에서 1일을 시작하여 고(姑)을 향해 2일, 당(堂)에서 3일, 옹(翁) 4일, 제(第)에서 5일, 조(竈)에서 6일, 부(婦)에서 7일, 측(厠)에서 8일, 다시 부(夫)에서 9일 하면서 좌측으로 돌아순행하면 된다.
반대로 음력으로 29일까지 있는 소월(小月)이면 부(婦)에서 1일을 시작하여 2일은조(竈)에서 , 3일은제(第)에서 , 4일은옹(翁)에서 하면서 우측으로 역행한다.결혼당일(當日)이 입궁하는 곳이 바로 그 날의 가취주당법(嫁娶周堂法) 이 된다.
日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大月 |
夫 |
姑 |
堂 |
翁 |
第 |
竈 |
婦 |
厠 |
夫 |
姑 |
堂 |
翁 |
第 |
竈 |
婦 |
厠 |
夫 |
姑 |
堂 |
翁 |
第 |
竈 |
婦 |
厠 |
夫 |
姑 |
堂 |
翁 |
第 |
竈 |
小月 |
婦 |
竈 |
第 |
翁 |
堂 |
姑 |
夫 |
厠 |
婦 |
竈 |
第 |
翁 |
堂 |
姑 |
夫 |
厠 |
婦 |
竈 |
第 |
翁 |
堂 |
姑 |
夫 |
厠 |
婦 |
竈 |
第 |
翁 |
堂 |
|
廚(측간) |
夫(신랑) (大月)→ |
姑(시모) |
婦(신부) (小月)↓ |
|
堂(안방) |
竈(부엌) |
第(추녀안) |
翁(시부) |
6), 가취고과흉일(嫁娶孤寡凶日)
生年으로 남자는고진(孤辰) 여자는과숙(寡宿) 해당하는 일진이면 결혼식을 올리지 못한다
年生 구분 |
寅卯辰 |
巳午未 |
申酉戌 |
亥子丑 |
男(日辰) |
巳 |
申 |
亥 |
寅 |
女(日辰) |
丑 |
辰 |
未 |
戌 |
7), 가취월길흉일(嫁娶月吉凶日)
결혼식 올리는 달을 가리는 법인데 단 신부될 사람의 생년(女命)을 기준으로 한다
生年(女) 月구분 |
子 午 |
丑 未 |
寅 申 |
卯 酉 |
辰 戌 |
巳 亥 |
구분 |
대이월(대길) (大利月) |
6 12 |
5 11 |
2 8 |
1 7 |
4 10 |
3 9 |
대길 |
방매씨(중매) (妨媒氏) |
1 7 |
4 10 |
3 9 |
6 12 |
5 11 |
2 8 |
평범 |
방옹고(시부모) (妨翁姑) |
2 8 |
3 9 |
4 10 |
5 11 |
6 12 |
1 7 |
고부간의 갈등 |
방녀부모(친정부모) (妨女父母) |
3 9 |
2 8 |
5 11 |
4 10 |
1 7 |
6 12 |
친정부모가 없으면 무방 |
방부주(신랑) (妨夫主) |
4 10 |
1 7 |
6 12 |
3 9 |
2 8 |
5 11 |
신랑이 害 |
방여신(신부) (妨女身) |
5 11 |
6 12 |
1 7 |
2 8 |
3 9 |
4 10 |
신부가害 |
살부대기월 (殺夫大忌月) |
1,2 |
4 |
7 |
12 |
4 |
5 |
남편에게不利 |
8,12 |
6,7 |
6,7 |
8 |
12 |
7,8 |
8),결혼흉년(結婚凶年)
혼인 흉년을 피해서 결혼 하는것이 좋다 결혼 하게되면 불하하거나 離別을할 우려가 있다고한다 피해서 결혼식을 올
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년 구분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남자 결혼 흉년 |
酉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여자 결혼흉년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9),기타
月忌日 |
每月 초일, 5일, 14일, 23일 (단 寅卯日이면무방) | |
人動日 |
每月 1일, 8일, 13일, 18일, 23일, 24일,28일 | |
亥日 (百忌日) |
亥不嫁娶(해일에는 결혼식을 거행하지 않는다) | |
家娶大凶日 |
春三月 甲子日 乙丑日/ 夏三月 丙子日 丁丑日 | |
秋三月 庚子日 辛丑日/ 冬三月 壬子日 癸丑日 | ||
二十四節候日 |
동지 소한 대한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 |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 ||
十惡日 |
甲己年 |
3月戊戌日, 7月癸亥日, 10月丙申日, 11月丁亥日 |
乙庚年 |
4月壬申日, 9月乙巳日 | |
丙辛年 |
3月辛巳日, 9月庚辰日 | |
丁壬年 |
無 | |
戊癸年 |
6月己丑日 | |
喪夫喪妻殺 |
남자 |
亥子丑月에 壬子日, 癸亥日(喪夫殺) |
여자 |
寅卯辰月에 丙午日, 丁未日(喪妻殺) | |
기타 |
단오(5月5日), 4月8日, 死甲旬 |
택일에 가장 좋은 방법은 먼저 나이로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으로 자신에게 좋은 날을 택한다. 예를 들자면 생기일(生氣日), 천의일(天宜日), 복덕일(福德日)을 택한 다음에서 혼인총기일이 제외된 陰陽不將吉日과 오합일(五合日) 보고 좋은 날을 날을 고른다. 그리고 각종 흉일을 빼낸다 또는 유리한 날을 보아 자신의 생기법덕법으로 좋은 날과 일치시키면 가장 무난한 택일이 된다.
疾病 九宮圖
6백금乾건삼연 戌 亥 아버지 남편 머리 亥 위장 명문 갈비 두뇌 대퇴부 가슴 대변 항문 위신경 /방관 생식기 월경 혈맥 대소변 자궁 장딴지 머리 혹 점 고환 생식기 월경 혈맥 대소변 자궁 장단지 머리 혹 점 신장 방광 생리 요통 백혈병 치질 당뇨 신결석 어깨 팔다리저림증 견비통 위장 비장 당뇨 치질 위암 산후증 자궁
開門 亥6 戌5 火 墓 庫 |
1백수坎감중연 子 중남 도적 귀 심장 子 신장 요도 자궁 귀 요통 음부 정자 생식기 갑상선 고환 월경 귀 요통 음부 정자 생식기 월경 갑상선
休門 子1 놀람 두려움 공포 반항 불평 불만 싫증 |
8백토艮간상연 丑 寅 막내아들 손 卯 비장 복부 손발 횡경막 맹장 취장 입 접촉물 /머리 담낭 눈 근육 동맥 무릎 팔 다리 타박 간장 이마 눈 모세혈관 근육 말초신경 수족 손가락 발가락 정강이 가려움증 손목 손마디 관절 발목 손발저림,시림 두뇌신경성 중풍 통풍 와사 위장질환 힘줄 혈액 디스크 관절 뼈 담결석
生門 寅3 丑10 金 墓 庫 |
7적금兌태상절 酉 차녀 첩 무당 입 午.殺 폐장 코 음성 혈관 피부 모발 입 월경 뼈골 신경 타박 폐장 코 음성 혈관 피부 모발 입 월경 뼈골 신경 타박 폐장질환 호흡질환 대장질환 근골질환 사지질환 간장 폐장 근골 사지병 생식 호흡기 피부 발모 기침 가래 혹
驚門 酉4 기쁨 슬픔 절망 비관 권위 군침 |
5황토중궁 戊양辰丑 己음戌未 殺 중궁 동처 고난 사고 질병 이별 혼란 戊: 위장, 己: 비장 - 비장질환 위장질환 복부질환 피부질환 당뇨질환 위장 내장 번뇌 망상 근심 의심 어리석음 게으름 허욕 |
3벽목震진하연 卯 장남 이마 수족 발 寅 간장 이마 눈 모세혈관 근육 말초신경 수족 손가락 발가락 정갱이 두상 머리 머리 담낭 눈 근육 동맥 무릎 팔 허리통증 고혈압 동맥경화 무릎 팔 다리 관절염 사지삐거나 부러짐
傷門 卯8 화냄 변덕 신경질 옹졸 들뜸 |
2흑토坤곤삼절 未 申 어머니 배 巳 위장 배 입 입술 잇몸 척추 복부 수족 /대장 폐 근골 경락 음성 피부 골수염 신경통 정맥 대장 폐 근골 경락 음성 피부 골수염 신경통 정맥천식 요통 대장 기관지 폐이상 치질 뼈저림 부러짐 삠 치아 골절
死門 未10 申9 木 墓 庫 |
9자화離이허중 午 중간딸 병사 눈 申.殺눈 혀 심장 신경통 정신 심포 시력 발열 심장 눈 혀 신경통 정신 심포 시력 열증 심자병 놀람 경기 혈압 팔다리삐거나 부러짐 뇌신경 심장질환 소장질환 눈병질환 편두질환 고혈압증 심장병소장 암 목병 편도 혈액순환병 景門 午7 사랑 마음 시기 질투 자랑 인기 |
4록목巽손하절 辰 巳 장녀 직원 이마다리 酉 위장 피부 등 허리 가슴 코 맹장 겨드랑이 /얼굴 소장 치아 복부 인후 편도선 혓바닥 소장 피부 치아 복부 인후 편도선 혓바닥 얼굴창백 얼굴 여드름 죽은깨 눈시력 코뼈 축농증 고혈압 갑상선 등뼈 담들듯뻐근함 피부병 당뇨
杜門 辰5 巳2 水 墓 庫 |
|
첫댓글 구궁도는 사주 어디 볼때 사용하나요
카페메뉴 구성학문이란 제목을 참고해보세요, 이사택일에 참고하면 크게도움이되는 역학의 한분야입니다.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