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핵 동사 완전정복 시리즈 -PUT *

오늘은 기초핵 중의 핵이 되는 PUT이라는 동사를 완전정복해 보겠습니다!
혹 “PUT이요? 그건 중학교 1학년 때 배운 동산데...”라고 자존심 상해 하실 분도 계실 겁니다.
하지만 여러분, 중학교 1학년 당시 PUT에 대해 어떻게 배우셨습니까?
PUT=놓다
...이렇게만 배웠습니다.
그 이상이 있었습니까? 아닙니다.
그런 단편화된 교육 때문에 기초동사가 너무나 중요한데도 성인이 다 돼서도 회화에 활용을 전혀 못하고 계신 겁니다.
PUT에 관해 사전 같은 데 나와 있는 내용 전부를 다 익히실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여기 제가 대표 문장이라고 찍어주는 것들만 외우시면 충분합니다.
기초적이지만 두고두고 유용하게 쓰일 것들... 자, 그럼 시작해 볼까요!
**************************************************************
PUT의 변화형은 put, putting, puts의 형태입니다. 즉,
과거형은 - put [풋, 픗]
...ing형은 - putting [풋팅, 픗팅]
3인칭 현재 단수형은 - puts [풋츠, 픗츠]
라는 거죠. ^^*
****************************************************************
여기서 PUT의 과거형도 그냥 PUT이라는 거, ....
왕초보 분들께는 좀 새롭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기초지만 많이 헷갈려 하시는 부분이거든요.
(특히 실제 회화하실 때요. ^^;)
PUT이 가진 가장 원초적인 뜻, 기본 뜻은 뭘까요?
모든 단어의 의미에는 그런 게 있습니다. 단 하나로 모든 걸 관통하는 근본 의미 말이죠.
네! PUT의 최초의 출발 의미는 ‘놓다’입니다!
맞추셨나요??
‘놓다.’ 이 뜻 하나가 분화되어 수십가지 용례로 쓰이기 시작한거죠.
분화된 뜻이 수십 가지라니까 걱정되신다구요?
걱정 붙들어 매세요.
PUT의 그 수십가지 분화 용례도 결국엔 단 3가지로 압축되니까요.
바로 다음에 나오는 것들이랍니다. ^^*
1. 물리적으로 놓는 PUT
2. 어떤 상황에 ‘놓는’ PUT
3. 뭔가에 적용시켜 ‘놓는’ PUT
1. 물리적으로 놓는 PUT
여기서 ‘물리적으로 놓는다’는 말은 말 그대로 손으로 직접 집어다 놓는다는 얘깁니다...
이게 PUT이 가진 가장 기본적인 뜻이죠.
그래서 ‘A를 B라는 장소에 놓다’는
put A in B
put A on B
...등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 A를 B라는 장소에 놓다 = put A in B, put A on B
하나는 전치사 in이 쓰였고 다른 하나는 on이 쓰였는데 차이가 뭘까요?
다음 예문을 보시면 이해가 갈 겁니다. ^^
활용 1) A를 B에 넣다 = put A in B
(한국식표현) 나는 식료품을 가방에 넣었다.
(영어식표현) 나는/넣었다/내 식료품들을/가방 안에.
= I/ put/my groceries/ in the bag.
활용 2) A를 B에 접촉시키다 = put A on B
(한국식표현) 그는 내 어깨에 손을 얹었다.
(영어식표현) 그는/놓았다/그의 손을/내 어깨에.
= He/ put/ his hand/ on my shoulder.
2. 어떤 상황에 ‘놓는’ PUT
어떤 상황에다가 뭘 놓는다구요?
눈치빠르신 분들은, 그럼 이번엔 PUT을 약간 추상화시켜서 쓰는 예란 걸 아실 겁니다.
네. 그렇습니다. 비유적으로 쓴 거죠.
‘A를 B라는 상황이나 상태에 놓다/처하게 하다’라는 뜻으로요.
그렇지만 표현은 역시 put A in B로 나타낸답니다.
물리적으로 놓다는 개념과 별반 다르지 않죠? ^^*
여기서 왜 in이냐구요?
특수한 그 어떤 상황에 ‘넣는(PUT)’ 개념이니까요.
* A를 B라는 상황이나 상태에 놓다/처하게 하다 = put A in B
활용 1) put A in B = A를 B에 속하게 하다
(아래의 경우 학교라는 조직에 속하는 상태로 ‘넣다’니까 PUT)
(한국식표현) 우리는 우리 아들을 사립학교에 넣었다(=입학시켰다).
(영어식표현) 우리는/넣었다/우리 아들을/어느 사립 학교에.
= We/ put/ my son/ in a private school.
3. 뭔가에 적용시켜 ‘놓는’ PUT
‘적용시킨다’는 말도 어디에 ‘갖다가 놓는다’는 느낌이 오시지 않나요?
네, 그렇다면 감 제대로 잡으신 겁니다. ^^
PUT의 비유적인 의미에서 반발자국 살짝 더 나아간 뜻이죠.
‘A를 B에 적용시키다’라고 할 때는 put A to B로 대개 전치사 to를 씁니다.
‘...에 대한 적용’이니까 당연히 방향성을 나타내는 전치사 to가 어울리겠죠? ^^*
전치사들이 미묘하게 다른 걸 주의하세요!!
* A를 B에 적용시키다 = put A to B
활용 1) A를 B에 적용하다 = put A to B
(한국식표현) 내 재능을 업무에 적용시켜 보겠다.
(영어식표현) 나는/시도한다/넣으려고/내 재능을/일쪽으로.
= I/ try/ to put/ my talent/ to work.
PUT이 가진 큰 의미의 카테고리는 이것으로 다 포괄되었습니다.
단순하면서도 요약이 잘 되죠? ^^*
마지막으로 숙어적으로 좀 특별하게 쓰이는 의미가 있습니다.
복잡한 건 아니구, 그냥 뽀~너스로 하나 알아두시라는 겁니다.
바로 ‘말하다, 표현하다’를 뜻하는 put it이라는 표현인데요...
put it? 그것(it)을 놓다(put)?
이게 어떻게 ‘말하다, 표현하다’는 뜻이 될까요??
간단합니다. 이때 it을 말(word)를 나타내는 대명사라고 생각해 보세요.
그럼 '말(it)을 놓다(put)'니까...... ‘표현하다’는 뜻 맞죠?! ^^*
예문> 말을 어떻게 꺼내야 좋을까... = I don't know how to put it...
활용) 말하다, 표현하다 = put it
(한국식표현) 네 식으로 편하게 말해봐.
(영어식표현) 말해봐/네 자신의 단어들로.
= Put it/ in your own words.
유제 1) A를 B 위에 놓다 = put A on B
(한국식표현) 나는 그 책을 탁자 위에 놓았다.
(영어식표현) 나는/놓았다/그 책을/그 탁자 위에.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유제 2) A를 B에 매기다 = put A on B (비유적)
(한국식표현) 주지사는 담배에 세금을 매겼다.
(영어식표현) 그 주지사는/매겼다/하나의 세금을/담배들에.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유제 정답> - * 꼬리말로 정답에 도전해 보세요!

그럼 이상으로 오늘의 PUT 동사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으로 정복할 동사는 TAKE입니다. ^^*
첫댓글 작은배님... 너무 감사드려요..^^ 제가 원했던 기본핵동사.. 보답으로 달달 암기하렵니다~
put에 대한 명쾌한 해설이네요.^^
나혜선 영어듣기[1] 20041042
이내용은 중급비즈영어 시간때 했던것?ㅋ good!!
봉성용 영어듣기 [2] 20032060 ^^
이렇게 사용하는 거군요~? 감사합니다. 열심히 배웠습니다. 이왕주 취업영어[07] 20031806
권석용 영어듣기(03) 20060903 이번주 과제요
모두가 도움이 되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