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10/2)-
윤평중 한신대 정치철학과 교수는
최근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소크라테스를 소환해 화제를 모은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가황(歌皇) 나훈아를 언급하며
“우리는 장안의 지가를 올린 자칭 지식인보다,
광대를 자처하는 한 예인(藝人)이
소크라테스에 훨씬 가깝다는 사실을 확인한다”고 했다.
윤 교수는 2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두 유명인이 한가위 명절에 철학자 소크라테스를 소환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나훈아는 지난달 30일 KBS에서 방송한 공연에서
‘세상이 왜 이래’ 등의 가사가 담긴 신곡 ‘테스형!’을 불렀다.
유 이사장은 같은 날 유튜브 방송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계몽 군주에 비유했다가 비판을 받은 것에 대해
“계몽 군주 가지고 그렇게 떠드는 분들이 어떤 사람이냐 하면,
2500년 전에 아테네에 태어났으면 소크라테스를 고발했을 사람들”이라고 했다.
윤 교수는 “가수 나훈아는 KBS 공연에서 부른
신곡 ‘테스형’에서 소크라테스를 형이라고 불렀다”면서
“‘어용 지식인’(그 자신이 자청한 표현이다) 유시민은
자신의 ‘김정은 계몽군주’론을 비판한 이들을
소크라테스를 고발한 아테네의 우중(愚衆)에 비유했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는 소크라테스에 대해 “‘너 자신을 알라’는 델포이의 신탁을 체현한 철학자”라며
“가난과 세속적 평가에 전혀 구애받지 않았고, 세 번 보병으로 참전한 전쟁에서
아군이 세 불리해 후퇴할 때도 동료들을 추스려 가장 늦게 물러난 담대한 인간이었다.
전우들은 최일선의 극한상황에서 소크라테스가 보여준
용기와 평정심에 깊은 인상을 받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소크라테스가 어떤 사람인지는
그의 재판과 죽음의 풍경에서 선명하게 드러난다”며
“그는 군중에게 영합하지 않았으며 죽음으로써
지행일치(知行一致)라는 자신의 신념을 지켰다.
신고전주의자 다비드의 그림은 소크라테스의 의연함을
회화적으로 빼어나게 형상화했다”고 덧붙였다.
윤 교수는 “나훈아 씨는 노래에 삶을 바친 장인(匠人)이자 자유인으로 보인다.
권력이나 돈 앞에서도 당당하다. 그만큼 성공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세상적으로 성공했다고 해서 다 그같이 의연한 건 아니다.
정반대의 경우가 더 많다”며 “나훈아가 소크라테스를
‘형’이라고 부른 게 난 아주 맘에 들었다.
소크라테스도 크지 않은 키에 평범한 용모(추남이라고 평한 기록도 있다)이지만
나훈아 같이 당당한 정신에 단단한 몸과 체력을 과시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어용 지식인임을 자부하는 유시민 씨와는 달리
소크라테스는 권력에 대한 아부를 경멸했다.
소크라테스는 오직 진리추구에만 관심이 있었다”며
“바로 이게 권력획득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웅변술(궤변)을 돈을 받고 가르쳤던 소피스트들과,
철학자 소크라테스를 차별화하는 결정적 지점이다.
소크라테스는 당대에 횡행한 궤변과 싸워
정론(正論)을 세우는 데 일생을 바친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끝으로 윤 교수는 “살아있는 권력을 결사옹위하기 위해
궤변을 농하는 어용 지식인이 스스로를 슬쩍 소크라테스에 비유하는 모습이라니”라며
“유시민 씨는 ‘김정은 계몽군주’설을 옹호하면서
자기가 공부를 너무 많이 한 죄라며 동료 시민들의 무식과 무지를 개탄한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모든 아테네 시민 앞에서
자신의 무지를 고백하는 것으로 대화를 시작한다.
우리는 장안의 지가를 올린 자칭 지식인보다,
광대를 자처하는 한 예인(藝人)이 소크라테스에
훨씬 가깝다는 사실을 확인한다”면서 글을 맺었다.
사람답게 사는길
원하연도 인간답게 사람답게 살아가고 싶습니다.
아니 사람답게 살아가겠습니다
기원전 399년 봄,
70세의 노인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감옥에서
독배를 마시고 태연자약하게 그의 생애의 막을 내렸다.
그는 자기에게 사형선고를 내린아테네의 5백명의 배심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자, 떠날 때는 왔다
우리는 길을 가는 것이다.나는 죽으러가고 여러분은 살러간다.
누가 더 행복할 것이냐,오직 신神만이 안다."
나는 62년 7월과 82년 1월 두 번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고 죽은 그 유명한 감옥소의 유적을찾아갔다.
소크라테스는 40세에서 70세까지 약 30년 동안
아테네 시민의 정신혁명을 위하여 그의 생애를 바쳤다.
부패 타락한 아테네사람들의 양심과생활을 바로잡기 위하여,
교만과 허영 속에서 방황하는 청년들의 인격을 각성시키기 위하여
그는 아테네 거리에 나가서시민들과 대화하고
가르치고 질책하고호소하고 계도하였다.
그러나 아테네의 어리석은 민중은 그를 법정에 고소했다.
그 소장에는 이렇게쓰여 있었다.
"소크라테스는 국가가 정한 신들을 믿지 않고,
새로운 신神을 끌어들이고.
또 청년을 부패 타락시켰다.그 죄는 마땅히 죽음에 해당한다."
소크라테스는
’불신앙과 청년의 유혹’이라는 두 죄명에 의해서 고소되었다.
아테네 시민 5백명으로 구성된 법정에서
두 차례의 투표 결과소크라테스는 사형선고를 받았다.
누가 소크라테스를 죽였는가.아테네의 어리석은 시민들 이었다.
민중은 사리사욕에 휩쓸리면 한심한
우중으로 전락한다.
인간은 군중심리에 사로잡히면 IQ 80
으로 떨어진다고 한다.
민중은 올바른 지각을 가지면 슬기로운
현중賢衆이 된다.
민중은 우중이 되기도 하고,현중이 되기도 한다.
역사의 어두운 반동세력도 되고,역사의밝은 개혁세력도 된다.
누가
예수그리스도를 십자가에 처형했는가.
이스라엘의 어리석은 민중들이었다.
민중의 질質이 문제였다.
아테네 시민의 무지와 악의와 오판이
위대한 철인 소크라테스를 죽였던것이다.
소크라테스를 죽였다는 것은 진리를
죽인 것이요, 정의를 죽인 것이다.
진리와 정의를 죽
나라는 반드시 쇠망한다.
소크라테스를 처형한 아테네는기원전
338년 마케도니아에게 패망하고 말았다.
소크라테스를 처형한 지 61년이 되는 때였다.
아테네는 역사의 심판과 징벌을 받았다
역사는 반드시 준엄하게 심판한다.
우리는 역사의 이 진리를 잊지 않아야 한다.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법정에서 시민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아테네의 사랑하는 시민들이여,
여러분들은 가장 위대하고 지혜와
위력으로 명성을 자랑하면서,
될수록 돈이나 많이모을 생각을 하고
또 이름이나 명예에만 관심이 쏠려서
지혜와 진리와 자기의 인격을 깨끗하게하는 일에 대해서는
조금도 마음을 쓰려고 하지 않는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는가"
그는 감옥에서
독배를 마시기 전
사랑하는 제자 플라톤에게 이렇게 말했다.
"사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
바로 사는 것이 중요하다."
생존하는 것은 그렇
게 중요한 일이 아니다.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하다.
’어떻게’라는 말이 가장 중요하다.
누구도 매국노나 배신자나 변절자나
살인범이나 패륜아나 강도나 매춘부처럼 살기를 원하는
사람은 이 세상에 아무도없을 것이다.
누구나 인생을 바로살기를 원한다.
바로 사는 것은 어떻게 사는 것이냐.
소크라테스에 의하면
첫째로 진실하게 사는 것이요,
둘째로 아름답게 사는 것이요,
셋째로 보람 있게 사는 것이다.
거짓되게 살고 추잡하게 살고 무의미하게 살기를
바라는 사람은 세상에 한 사람도 없을 것이다.
’바로’라는 말이 제일 중요하다.
말도 바로 하고,
생각도 바로 하고,
행동도 바로 하고
생활도 바로 해야 한다.
정치도 바로 하고,
경제도 바로 하고,
교육도 바로 하고
모든 것을 바로 해야 한다.
잘사는 것이 중요한문제가 아니다.
바로 사는 것이 중요하다.바로 살아야잘살 수 있다.
바로 살지 않고는
제대로 잘살 수 없다.
소크라테스는 또 외쳤다.
"철학은 죽음의 연습이다."
철학이라는 학문은
죽는 연습. 죽는 공부. 죽는 준비,죽는 훈련을 하는 학문이라고 했다.
언제 죽더라도 태연자약하게 죽을 수 있는 마음 자리를 준비하는 것이 철학이다.
확고부동한 사생관을 확립하고
조용하게 죽을 수 있는 정신적 준비를 하는 것이 철학의 궁극 목표다.
’철학자처럼 사색하고, 농부처럼 일하여라.이것이 가장 바람직한 인간상이다.’
< 에밀>을 쓴 프랑스의 위대한 사상가장 자크 루소의 말이다.
한국인에게 철학이 없는 국민이라고 한다.
철학이 없는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이 혼탁한 난세를 당당하게 살기 위하여 우리는 투철한 철학을 가져야 한다
철학이 없는 생활은 공허하고 빈약하다.
우리는 인생을 바로사는 지혜와 태연하게 죽을수 있는 준비를 해야한다.
이것이 철학적 정신이다.소크라테스는 우리에게그 위대한 모범을 보여주었다.